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

申请号 KR1020130072340 申请日 2013-06-21 公开(公告)号 KR101449302B1 公开(公告)日 2014-10-08
申请人 김용국; 发明人 김용국;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 rear bag of a motorcycle. The locking device for the rear bag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rear bag mounted on the motorcycle from being opened due to vibration and impact in the driving of the motorcycle by including a fixing piece, a receiving piece, a push switch, an operating piece, and an engaging piece. Also, the locking device for the rear bag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noises in the rear bag due to the vibration and the impact by connecting the rear bag without a clearance like a gap. The locking device for the rear bag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easily open the rear bag with one touch method. The locking device for the rear bag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ar bag, the fixing piece, a rotation shaft, the receiving piece, the push switch, a first rotation shaft, the operating piece, a second rotation shaft, an operating spring, the engaging piece, a restoring spring, and a locking piece.
权利要求
  • 오토바이의 후방에 공구 등의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구비되며, 하부에는 공구 등이 수납되는 수납함(11)이 구비되고, 수납함(11)의 상부에는 수납함(1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수납함(11)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12)가 구비되며, 덮개(12)의 후방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턱(13)이 형성되는 리어백(10);
    상기 리어백(10)의 수납함(11) 후방에 결합되어 고정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원통형의 키박스(21)가 고정되는 키박스고정구(22)가 형성되고, 키박스고정구(22)의 상부에는 관통형성된 푸쉬스위치삽입부(23)가 형성되며, 푸쉬스위치삽입부(23)의 전방에는 양측이 각각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편(24)이 형성되고, 지지편(24)의 상단 양측에는 후방으로 각각 돌출된 회동축고정구(25)가 형성되며, 회동축고정구(25)에서 이격된 지지편(24) 하부에는 관통형성된 회전축삽입구(26)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편(24)의 일측에는 회전축삽입구(26)에서 이격되어진 하부에 관통된 작동스프링삽입구(27)가 형성되는 고정편(20);
    상기 고정편(20)의 회전축삽입구(26) 각각의 사이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29);
    상기 회전축(29)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안착돌기(31)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누름편(32)이 각각 형성되는 안착편(30);
    상기 고정편(20)의 푸쉬스위치삽입부(23)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전방 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푸쉬돌기(41)가 형성되고, 푸쉬돌기(41)는 연장형성된 일단이 누름편(32)에 닿도록 형성되는 푸쉬스위치(40);
    상기 고정편(20)의 회동축고정구(25) 각각의 사이에 축 결합되는 제1회동축(43);
    상기 제1회동축(43)의 축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는 회동축삽입구(51)의 상부가 제1회동축(43)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1회동축(43) 하부 회동축삽입구(51) 사이에는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돌기(52)가 형성되고, 회동축삽입구(51)와 지지돌기(52) 사이에는 각각 지지부(53)가 형성되며, 회동축삽입구(51)의 일측에는 스프링삽입구(54)가 형성되고, 회동축삽입구(51)의 타측에는 스프링안착홈(55)이 형성되는 작동편(50);
    상기 작동편(50)의 회동축삽입부(51) 하부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양측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회동축(56);
    상기 작동편(50)의 스프링삽입부(54) 및 고정편(20)의 작동스프링삽입구(27)에 연장형성된 일측과 타측이 각각 고정 결합되어 작동편(50)이 탄발되게 형성되는 작동스프링(57);
    상기 고정편(20)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고정구(61)가 제2회동축(56)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리어백(10)의 걸림턱(13)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고리(62)가 형성되는 걸림편(60);
    상기 제2회동축(56)의 축 상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작동편(50)의 스프링안착홈(55)에 안착되고, 연장형성된 일측 선단은 걸림편(60)의 전방측 일면에 안착되어 걸림편(60)이 탄발되게 형성되는 복원스프링(64);
    상기 키박스(21)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되어 구비되며, 키박스(21)의 작동에 따라 축 회전되어 지지돌기(52) 및 안착편(30)의 사이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잠금편(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스위치(40)의 전방 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안착면(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돌기(31) 및 누름편(32) 사이에는 양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이격돌기(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60)의 스프링고정구(61) 하측에는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고정편(20)의 후방 상측에 안착되는 걸림부(6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24)의 하부측에는 리어백(10)에 결합 고정되도록 돌출된 리어백고정부(28)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
  • 说明书全文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Locking apparatus for rear bag of motorcycle}

    본 발명은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토바이의 주행시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오토바이에 창작 구비된 리어백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리어백에 틈새 등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결되어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리어백에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리어백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4446호에서와 같이 공구함 체결용 클램프의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공구함체결용 클램프장치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분리용 누름구를 누르면 걸이부의 걸고리가 뚜껑의 걸림턱에서 분리되어 뚜껑이 열릴 수 있게 한 공구함 체결용 클램프의 잠금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분리용 누름구가 걸이부를 직접적으로 눌러서 공구함의 체결을 해제하는 방식으로써 분리용 누름구가 회동축에 의해 체결될 시에 체결 위치가 분리용 누름구의 일측으로 치우쳐 있어서 분리용 누름구를 사용자가 누를 시에 강하게 눌러줘야 하였으며, 공구함의 분리도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분리용 누름구의 파손도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44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에 분리용 누름구가 걸이부를 직접적으로 눌러서 공구함의 체결을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공구함의 분리가 쉽지 않으면서도 일체형으로 형성된 분리용 누름구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의 구성을 고정편, 안착편, 푸쉬스위치, 작동편, 걸림편으로 구성하여 오토바이의 주행시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오토바이에 창작 구비된 리어백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리어백에 틈새 등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결되어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리어백에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리어백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토바이의 후방에 공구 등의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구비되며, 하부에는 공구 등이 수납되는 수납함이 구비되고, 수납함의 상부에는 수납함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수납함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가 구비되며, 덮개의 후방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는 리어백과, 상기 리어백의 수납함 후방에 결합되어 고정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원통형의 키박스가 고정되는 키박스고정구가 형성되고, 키박스고정구의 상부에는 관통 형성된 푸쉬스위치삽입부가 형성되며, 푸쉬스위치삽입부의 전방에는 양측이 각각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편이 형성되고, 지지편의 상단 양측에는 후방으로 각각 돌출된 회동축고정구가 형성되며, 회동축고정구에서 이격된 지지편 하부에는 관통 형성된 회전축삽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편의 일측에는 회전축삽입구에서 이격되어진 하부에 관통된 작동스프링삽입구가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회전축삽입구 각각의 사이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안착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누름편이 각각 형성되는 안착편과, 상기 고정편의 푸쉬스위치삽입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전방 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푸쉬돌기가 형성되고, 푸쉬돌기는 연장형성된 일단이 누름편에 닿도록 형성되는 푸쉬스위치와, 상기 고정편의 회동축고정구 각각의 사이에 축 결합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의 축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는 회동축삽입구의 상부가 제1회동축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1회동축 하부 회동축삽입구 사이에는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회동축삽입구와 지지돌기 사이에는 각각 지지부가 형성되며, 회동축삽입구의 일측에는 스프링삽입구가 형성되고, 회동축삽입구의 타측에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의 회동축삽입부 하부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양측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회동축과, 상기 작동편의 스프링삽입부 및 고정편의 작동스프링삽입구에 연장형성된 일측과 타측이 각각 고정 결합되어 작동편이 탄발되게 형성되는 작동스프링과, 상기 고정편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고정구가 제2회동축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리어백의 걸림턱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제2회동축의 축 상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작동편의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되고, 연장형성된 일측 선단은 걸림편의 전방측 일면에 안착되어 걸림편이 탄발되게 형성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키박스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되어 구비되며, 키박스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어 지지돌기 및 안착편의 사이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잠금편으로 이루어지는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는 종래에 분리용 누름구가 걸이부를 직접적으로 눌러서 공구함의 체결을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공구함의 분리가 쉽지 않으면서도 일체형으로 형성된 분리용 누름구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던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를 고정편, 안착편, 푸쉬스위치, 작동편, 걸림편으로 구성하여 오토바이의 주행시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오토바이에 창작 구비된 리어백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리어백에 틈새 등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결되어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리어백에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리어백을 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의 부분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의 부분절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가 리어백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가 리어백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가 리어백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절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가 리어백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절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는 오토바이의 후방에 공구 등의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구비되는 리어백(10)과, 상기 리어백(10)의 수납함(11) 후방에 결합되어 고정 구비되는 고정편(20)과, 상기 고정편(20)의 회전축삽입구(26) 각각의 사이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29)과, 상기 회전축(29)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착편(30)과, 상기 고정편(20)의 푸쉬스위치삽입부(23)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푸쉬스위치(40)와, 상기 고정편(20)의 회동축고정구(25) 각각의 사이에 축 결합되는 제1회동축(43)과, 상기 제1회동축(43)의 축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는 회동축삽입구(51)의 상부가 제1회동축(43)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작동편(50)과, 상기 작동편(50)의 회동축삽입부(51) 하부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양측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회동축(56)과, 상기 작동편(50)의 스프링삽입부(54) 및 고정편(20)의 작동스프링삽입구(27)에 연장형성된 일측과 타측이 각각 고정 결합되어 작동편(50)이 탄발되게 형성되는 작동스프링(57)과, 상기 고정편(20)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걸림편(60)과, 상기 제2회동축(56)의 축 상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복원스프링(64)과, 상기 키박스(21)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되어 구비되며, 키박스(21)의 작동에 따라 축 회전되어 지지돌기(52) 및 안착편(30)의 사이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잠금편(65)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오토바이의 후방에 공구 등의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구비되며, 하부에는 공구 등이 수납되는 수납함(11)이 구비되고, 수납함(11)의 상부에는 수납함(1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수납함(11)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12)가 구비되며, 덮개(12)의 후방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턱(13)이 형성되는 리어백(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어백(10)의 전방측 수납함(11) 및 덮개(12) 사이에는 스프링 등이 장착되어 리어백(10)이 체결 해제되었을 시에 덮개(12)가 자동적으로 열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리어백(10)의 수납함(11) 후방에 결합되어 고정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원통형의 키박스(21)가 고정되는 키박스고정구(22)가 형성되고, 키박스고정구(22)의 상부에는 관통형성된 푸쉬스위치삽입부(23)가 형성되며, 푸쉬스위치삽입부(23)의 전방에는 양측이 각각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편(24)이 형성되고, 지지편(24)의 상단 양측에는 후방으로 각각 돌출된 회동축고정구(25)가 형성되며, 회동축고정구(25)에서 이격된 지지편(24) 하부에는 관통형성된 회전축삽입구(26)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편(24)의 일측에는 회전축삽입구(26)에서 이격되어진 하부에 관통된 작동스프링삽입구(27)가 형성되는 고정편(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20)은 고정편(20)의 지지편(24) 양측 하부측에 리어백(10)에 결합 고정되도록 돌출된 리어백고정부(28)가 각각 형성되어 리어백(1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나 고정편(20)이 리어백(1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고정편(20)의 회전축삽입구(26) 각각의 사이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29)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9)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안착돌기(31)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누름편(32)이 각각 형성되는 안착편(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착편(30)의 안착돌기(31) 및 누름편(32) 사이에는 양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이격돌기(33)가 형성되어 안착편(30)이 지지편(24) 사이 지정된 위치에서 양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편(20)의 푸쉬스위치삽입부(23)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전방 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푸쉬돌기(41)가 형성되고, 푸쉬돌기(41)는 연장형성된 일단이 누름편(32)에 닿도록 형성되는 푸쉬스위치(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푸쉬스위치(40)의 전방 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안착면(42)이 형성되며, 안착면(42)에는 후술되는 작동편(50)의 지지돌기(52)가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편(20)의 회동축고정구(25) 각각의 사이에 축 결합되는 제1회동축(43)이 구비된다.

    상기 제1회동축(43)의 축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는 회동축삽입구(51)의 상부가 제1회동축(43)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1회동축(43) 하부 회동축삽입구(51) 사이에는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돌기(52)가 형성되고, 회동축삽입구(51)와 지지돌기(52) 사이에는 각각 지지부(53)가 형성되며, 회동축삽입구(51)의 일측에는 스프링삽입구(54)가 형성되고, 회동축삽입구(51)의 타측에는 스프링안착홈(55)이 형성되는 작동편(50)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편(50)의 회동축삽입부(51) 하부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양측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회동축(56)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편(50)의 스프링삽입부(54) 및 고정편(20)의 작동스프링삽입구(27)에 연장형성된 일측과 타측이 각각 고정 결합되어 작동편(50)이 탄발되게 형성되는 작동스프링(57)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20)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고정구(61)가 제2회동축(56)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리어백(10)의 걸림턱(13)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고리(62)가 형성되는 걸림편(6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60)의 스프링고정구(61) 하측에는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고정편(20)의 후방 상측에 안착되는 걸림부(63)가 형성된다.

    상기 제2회동축(56)의 축 상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작동편(50)의 스프링안착홈(55)에 안착되고, 연장형성된 일측 선단은 걸림편(60)의 전방측 일면에 안착되어 걸림편(60)이 탄발되게 형성되는 복원스프링(64)이 구비된다.

    상기 키박스(21)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되어 구비되며, 키박스(21)의 작동에 따라 축 회전되어 지지돌기(52) 및 안착편(30)의 사이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잠금편(6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의 작동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사용자가 리어백(10)을 열기 위해 키박스(21)를 작동하여 잠금편(65)을 잠금 해제하고, 푸쉬스위치(40)를 누르면 푸쉬스위치(40)에 형성된 푸쉬돌기(41)가 안착편(30)의 누름편(32) 일측을 누르게 되고, 푸쉬돌기(41)에 눌린 누름편(32)에 의해 안착편(30)이 회전축(29)의 축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편(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돌기(31)가 같이 축 회전되면서 작동편(50)의 지지부(53)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며, 작동편(50)은 제1회동축(43)에 의해 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편(50)이 제1회동축(43)의 축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하면 작동편(50)의 스프링삽입구(54) 및 고정편(20)의 작동스프링삽입구(27)에 결합된 작동스프링(57)의 탄성력으로 인해 작동편(50)의 하부측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편(50)의 하부측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지며, 작동편(50)의 하부에 제2회동축에 의해 축 결합된 걸림편(60)이 동시에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지게 되고, 걸림편(60)이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회동축(56)의 축 상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작동편(50)의 스프링안착홈(55)에 안착되고, 연장형성된 일측 선단은 걸림편(60)의 전방측 일면에 안착되어 걸림편(60)이 탄발되게 구비되는 복원스프링(64)에 의해 작동편(50)이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이 방지되어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의 열림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는 고정편(20), 안착편(30), 푸쉬스위치(40), 작동편(50), 걸림편(60)으로 구성되어 오토바이의 주행시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오토바이에 창작 구비된 리어백(10)이 열리는 것을 방지되면서도 리어백(10)에 틈새 등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리어백(10)을 열 수 있고, 진동 및 충격 또는 사용자의 사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시건장치 10 : 리어백
    11 : 수납함 12 : 덮개
    13 : 걸림턱 20 : 고정편
    21 : 키박스 22 : 키박스고정구
    23 : 푸쉬스위치삽입부 24 : 지지편
    25 : 회동축고정구 26 : 회전축삽입구
    27 : 작동스프링삽입구 28 : 리어백고정부
    29 : 회전축 30 : 안착편
    31 : 안착돌기 32 : 누름편
    33 : 이격돌기 40 : 푸쉬스위치
    41 : 푸쉬돌기 42 : 안착면
    43 : 제1회동축 50 : 작동편
    51 : 회동축삽입구 52 : 지지돌기
    53 : 지지부 54 : 스프링삽입구
    55 : 스프링안착홈 56 : 제2회동축
    57 : 작동스프링 60 : 걸림편
    61 : 스프링고정구 62 : 걸림고리
    63 : 걸림부 64 : 복원스프링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