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

申请号 KR2020080012935 申请日 2008-09-26 公开(公告)号 KR2020100003615U 公开(公告)日 2010-04-05
申请人 김기철; 发明人 김기철;
摘要 본 고안은 자전거의 연결관에 선택적으로 힌지회동을 통해 프레임의 상방과 전륜바퀴의 상방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회동지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지지편에 사용목적에 따라 개폐덮개의 힌지회동을 통해 개폐되는 착좌부를 연결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위치 가변을 통해 물건수납 및 유아탑승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안장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2조 1쌍으로 이루어져 연결관의 양측에서 밀착고정되며, 양단부에 볼트,너트체결을 통해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설치공을 갖는 연결편이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외면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연결봉과 지지봉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봉의 외면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를 중심으로 힌지회동하여 프레임의 상방과 전륜바퀴의 상방으로 위치 가변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연결봉(116)이 삽입연결되는 힌지관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체결홈과 연통된 체결공이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체결되며, 외면 타측에 서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결합홀을 갖는 연결플레이트가 돌출형성된 회동지지편과,
상기 회동지지편과 함께 힌지회동하여 물품을 수용하거나 사람이 착좌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과 전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 닥에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삽입연결되는 슬릿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슬릿홈에 삽입되는 연결플레이트의 삽입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홀과 연통을 이루는 결합공이 마련되어 연결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체결되고, 양측벽에 쐐기홈이 일체로 형성된 착좌부 및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착좌부와 힌지핀을 통해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 외벽에 상기 쐐기홈과 걸림을 이루는 쐐기돌기가 마련되고, 중간부에 개구홈이 마련된 개폐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전거, 바구니, 착좌부, 쐐기홈
权利要求
  • 후륜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프랭크기구가 연결설치되며, 전방에 상하로 개구된 연결관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연결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 조향을 위한 전륜바퀴가 설치된 서스펜션포크(Suspension Fork)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짐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설치사용되는 자전거용 바구니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바구니(100)는
    2조 1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관(2)의 양측에서 밀착고정되며, 양단부에 볼트,너트체결을 통해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설치공(111)을 갖는 연결편(113)이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연결관(2)이 삽입되는 수용홈(115)이 형성되며, 외면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연결봉(116)과 지지봉(117)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봉(116)의 외면 양측에 체결홈(118)이 형성된 연결구(110)와,
    상기 연결구(110)를 중심으로 힌지회동하여 프레임(1)의 상방과 전륜바퀴(4)의 상방으로 위치 가변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연결봉(116)이 삽입연결되는 힌지관(121)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관(121)의 외면 일측에 상기 체결홈(118)과 연통된 체결공(123)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25)가 체결되며, 외면 타측에 서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결합홀(127)을 갖는 연결플레이트(129)가 돌출형성된 회동지지편(120)과,
    상기 회동지지편(120)과 함께 힌지회동하여 물품을 수용하거나 사람이 착좌 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과 전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1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31)의 바닥에 상기 연결플레이트(129)가 삽입연결되는 슬릿홈(133)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슬릿홈(133)에 삽입되는 연결플레이트(129)의 삽입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홀(127)과 연통을 이루는 결합공(135)이 마련되어 연결플레이트(129)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137)가 체결되고, 양측벽에 쐐기홈(139)이 일체로 형성된 착좌부(130) 및
    상기 수용공간(131)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착좌부(130)와 힌지핀(145)을 통해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 외벽에 상기 쐐기홈(139)과 걸림을 이루는 쐐기돌기(141)가 마련되고, 중간부에 개구홈(143)이 마련된 개폐덮개(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홈(139)의 인접한 일측에는 개방된 수용공간(131)의 전방을 폐쇄하기 위해 힌지회동하는 개폐덮개(140)가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개폐덮개(14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P)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
  • 说明书全文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Available to a baby saddle bicycle basket}

    본 고안은 자전거용 바구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연결관에 선택적으로 힌지회동을 통해 프레임의 상방과 전륜바퀴의 상방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회동지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지지편에 사용목적에 따라 개폐덮개의 힌지회동을 통해 개폐되는 착좌부를 연결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위치 가변을 통해 물건수납 및 유아탑승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안장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라 함은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2륜차의 일종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통상 후륜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기구의 페달을 발로 밟아 회전시키면 이와 동시에 후륜이 회전되면서 그 회전력에 의해 앞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통상의 2륜식 자전거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전륜 및 후륜, 전륜을 조향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서스펜션포크(Suspension Fork),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 전륜 및 후륜의 회전을 구속하는 브레이크, 후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크랭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삼각형을 2개 합한 것과 같은 모양으로 파이프로 연결한 것으로, 별도의 연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파이프만을 저온용접하거나 다이캐스트 가공으로 고정하여 틀을 형성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서스펜션포크(Suspension fork)는 헤드파이프 상하에 있는 볼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좌우를 회전할 수 있게 되었고 차종에 따라 그것에 알맞게 구부러져 있다. 이 굽음의 값과 헤드파이프의 노면에 대한 경사각(카스터각) 및 앞바퀴타이어의 복원력으로 안정성·조향성이 좌우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기구는 사용자의 발구름 동작이 이루어지는 페달이 전방 스프로킷에 연결되며, 상기 후륜에는 후방 스프로킷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방 스프로킷과 후방 스프로킷은 체인을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을 구르면 그 동력을 전달받아 전방 스프로킷이 회전하며, 그 회전력은 체인을 통해 후방 스프로킷으로 전달되어 후륜이 회전운동한다.

    이에 자전거는 회전운동하는 후륜에 의해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후륜의 상부에는 자전거 운전자 외에 다른 사람을 탑승시킬 수 있도록 보조시트가 구비되며, 전륜의 상부에는 자전거 운전자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바구니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자전거의 운전자와 함께 유아를 탑승시킬 수 있도록 유아안장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시트, 바구니 및 유아용 안장은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자전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자전거의 유아용 안장과 바구니는 각각 본연의 기능은 충실히 수행하나, 그 기능이 단순하게 한정적으로만 사용되어 이용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전거에 설치되는 유아용 안장은 구매 초기에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구매 후 소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유아가 성장하여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용하지 못하는 유아용 안장이 페달을 밟는데 걸림으로써, 자전거 탑승시 장애요소로 남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전거의 연결관에 선택적으로 힌지회동을 통해 프레임의 상방과 전륜바퀴의 상방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회동지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지지편에 사용목적에 따라 개폐덮개의 힌지회동을 통해 개폐되는 착좌부를 연결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위치 가변을 통해 물건수납 및 유아탑승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안장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후륜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프랭크기구가 연결설치되며, 전방에 상하로 개구된 연결관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연결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 조향을 위한 전륜바퀴가 설치된 서스펜션포크(Suspension Fork)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짐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설치사용되는 자전거용 바구니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바구니는

    2조 1쌍으로 이루어져 연결관의 양측에서 밀착고정되며, 양단부에 볼트,너트체결을 통해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설치공을 갖는 연결편이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외면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연결봉과 지지봉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봉의 외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를 중심으로 힌지회동하여 프레임의 상방과 전륜바퀴의 상방으로 위치 가변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연결봉(116)이 삽입연결되는 힌지관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체결홈과 연통된 체결공이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체결되며, 외면 타측에 서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결합홀을 갖는 연결플레이트가 돌출형성된 회동지지편과,

    상기 회동지지편과 함께 힌지회동하여 물품을 수용하거나 사람이 착좌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과 전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에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삽입연결되는 슬릿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슬릿홈에 삽입되는 연결플레이트의 삽입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홀과 연통을 이루는 결합공공이 마련되어 연결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체결되고, 양측벽에 쐐기홈이 일체로 형성된 착좌부 및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착좌부와 힌지핀을 통해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 외벽에 상기 쐐기홈과 걸림을 이루는 쐐기돌기가 마련되고, 중간부에 개구홈이 마련된 개폐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전거에 설치되는 자전거용 바구니를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위치 가변을 통해 물건수납 및 유아탑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앞서, 본 고안의 내용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자전거는 프레임(1)의 하부 후방에 후륜바퀴가 연결되고, 프레임의 하부 전방에 후륜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프랭크기구가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은 그 전방에 상하로 개구된 연결관(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2)에는 서스펜션포크(3)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서스펜션포크(3)의 단부에는 자전거의 조향을 위한 전륜바퀴(4)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100)는 상기 연결관(2)에 연결설치되는 2조 1쌍의 연결구(110)와, 상기 연결구(110)를 중심으로 힌지회동하여 위치 가변을 이루는 회동지지편(120)과, 사용목적에 따라 물건수납 및 유아착좌 기능을 수행하는 착좌부(130) 및 착좌부(130)의 개구된 전방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덮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10)는 평단면의 형상이 반구형상을 갖는 2조 1쌍으로 이루어져 연결관(2)의 양측에서 밀착고정된다.

    이에, 상기 연결구(110)는 그 양단부에 볼트,너트체결을 통해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설치공(111)을 갖는 연결편(113)이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연결관(2)이 삽입되는 수용홈(115)이 형성되며, 외면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연결봉(116)과 지지봉(117)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봉(116)의 외면 양측에 체결홈(11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116)과 지지봉(117)은 수직을 이루며, 상기 수용홈(115)은 연결관(2)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동지지편(120)은 선택적으로 프레임(1)의 상방과 전륜바퀴(4)의 상방으로 위치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110)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회동지지편(120)은 그 일측에 상기 연결봉(116)이 삽입연결되는 힌지관(121)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관(121)의 외면 일측에 상기 체결홈(118)과 연통된 체결공(123)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25)가 체결되며, 외면 타측에 연결플레이트(129)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129)의 내측에는 서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결합홀(127)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착좌부(130)는 탑승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회동지지편(120)과 함께 힌지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지지편(120)의 연결플레이트(129)에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착좌부(130)는 물품을 수용하거나 사람이 착좌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상방과 전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31)의 바닥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129)가 삽입연결되는 슬릿홈(133)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의 하부에는 상기 슬릿홈(133)과 연통을 이루어 볼트(137)가 체결되는 결합공(135)이 마련된다.

    또한, 수용공간(131)의 양측벽에는 쐐기홈(139)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홈(139)의 인접한 일측에는 스토퍼(P)가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플레이트(129)가 슬릿홈(133)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회동지지편(120)의 체결공(123)과 서로 등간격을 갖는 착좌부(130)의 결합홀(127)들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연통된 체결공(123)과 결합홀(127)에 볼트(137)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플레이트(129)가 슬릿홈(133) 내에 설치고정된다.

    한편, 상기 개폐덮개(140)는 상기 수용공간(131)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착좌부(130)와 힌지핀(145)을 통해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개폐덮개(140)는 그 양측 외벽에 상기 쐐기홈(139)과 걸림을 이루는 쐐기돌기(141)가 마련되고, 중간부에 개구홈(143)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개방된 수용공간(131)의 전방을 폐쇄하기 위해 개폐덮개(140)를 힌지회동시키면, 상기 개폐덮개(140)는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그 단부가 스토퍼(P)에 걸림을 이루어 더 이상 수용공간(131) 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는 자전거에 힌지회동을 통해 프레임의 상방과 전륜바퀴의 상방으로 위치 가변하는 회동지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지지편에 사용목적에 따라 물건수납시와 유아탑승시로 구분하여 개폐덮개가 개폐되는 착좌부를 연결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위치 가변을 통해 물건수납 및 유아탑승 기능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의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자전거용 바구니(100)를 유아 탑승을 위한 안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구(110)의 체결홈(118) 및 회동지지편(120)의 체결공(123)에 체결된 고정볼트(125)를 탈거한 후 상기 회동지지편(120) 및 착좌부(130)를 프레임(1)의 상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연결구(110)의 타측(연결구의 후방측)에 형성된 체결홈(118) 및 회동지지편(120)의 체결공(123)에 고정볼트(125)를 체결하여 회동지지편(120)을 연결구(110)에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착좌부(130)의 양측벽을 벌려 쐐기돌기(141)를 쐐기홈(139)에서 이탈시킨 후, 개폐덮개(140)를 힌지회동시켜 착좌부(130)의 전방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개폐덮개(140)의 개구홈(143)에는 회동지지편(120)의 연결플레이트(129)가 삽입연결된다.

    이에 따라, 전방이 개구된 착좌부(130)의 수용공간(131)에 유아가 착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폐덮개(140)은 힌지핀(145)을 기준으로 하향경사각을 이루어 착좌시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여 편안하게 착좌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의 다른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단면도 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자전거용 바구니(100)를 물품의 수납을 위한 바구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구(110)의 타측(연결구의 후방측)에 형성된 체결홈(118) 및 회동지지편(120)의 체결공(123)에 체결된 고정볼트(125)를 탈거한 후 상기 회동지지편(120) 및 착좌부(130)를 전륜바퀴(4)의 상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연결구(110)의 일측(연결구의 전방측)에 형성된 체결홈(118) 및 회동지지편(120)의 체결공(123)에 고정볼트(125)를 체결하여 회동지지편(120)을 연결구(110)에 힌지회동 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개폐덮개(140)를 착좌부(130) 측으로 힌지회동시켜면, 개폐덮개(140)의 쐐기돌기(141)는 착좌부(130)의 쐐기홈(139)에 걸림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덮개(140)를 힌지회동시켜 수용공간(131)의 전방을 폐쇄시키면, 상기 수용공간(131)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됨으로써, 자전거의 탑승자가 다양한 물건을 싣고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의 또 다른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100)는 안장(5)이 구비된 프레임(1)에 연결설치되어, 후륜바퀴(미도시) 측으로 힌지회동하여 유아안장 및 물건수납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의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안장으로 사용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의 다른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단면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안장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의 또 다른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연결관

    3 : 서스펜션포크 4 : 전륜바퀴

    110 : 연결구 120 : 회동지지편

    130 : 착좌부 140 : 개폐덮개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