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

申请号 KR1020010047038 申请日 2001-08-03 公开(公告)号 KR1020010081135A 公开(公告)日 2001-08-29
申请人 유병섭; 发明人 유병섭;
摘要 PURPOSE: A device for supporting a food delivery case is provided to prevent a food from spilling out or mixing by keeping the balance of the food delivery case using a magnet and to protect a deliveryman from an accident. CONSTITUTION: A food delivery case supporting device comprises a support member(2) of which lower end is fixed on a carrier(1) of a motorcycle and installed in a vertical stance, a carriage box(4) receiving a delivery case(3) while being hu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a connecting member(5) comb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to support the delivery case in the air, and a balance member combined to the connecting member to keep the balance of the delivery case by moving the delivery case. Since both permanent magnet of a core and another permanent magnet of a holder have the N polarity, a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Thus, the core is kept in balance in the center of a space. Therefore, the food in the delivery case is prevented from spilling or tilting.
权利要求
  • 오토바이의 짐받이(1)에 하단이 고정되며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부재(2)와, 배달통(3)을 내부에 수납하며 짐받이(1)의 상측 공중에 매달린 운반통(4)과, 상기 운반통(4)의 상측과 결합하여 상기 운반통(4)을 공중에서 지지하는 연결부재(5)와, 상기 지지부재(2)와 운반통(4)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면이 상기 지지부재(2)의 상단에 고정되며 하면에 관통되어 설치된 연결부재(5)와 결합되어 상기 운반통(4)을 상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반통(4)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한 평형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수단은 상면이 지지부재(2)의 상단과 결합되고 하면에 연결부재(5)가 관통되어 설치된 실린더(7)의 홀더(14)와, 상기 홀더(14)의 내면에 설치된 영구자석(16)과, 홀더(14)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하면에 연결부재(5)가 결합된 코어(10)와 상기 코어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16)과 대향하는 위치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한 영구자석(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2)(16)은 그 자석의 중심선으로부터 90도 이하의 간격을 가지고 2개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6)을 자력을 변경시킬 수 있는 전자석으로 대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2)(16) 대신에 상기 홀더(14)와 코어(10)사이에 코일스프링(22)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7)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어 있고 방사상으로 구멍이 뚫려 있는 파이프 형태의 코어(28)와, 상기 구멍에 일단이 삽입되어 있고 타단에 구비된 롤러(32)가 홀더(14)의 내벽면을 타고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롤러부재(30)와 상기 롤러(32)와 코어(28)의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10)(28)의 중앙 하면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연결부재(5)를 삽입하고, 그 연결부재(5)와 코어(10)(28)의 사이에 핀(34)을 장착을 하고, 그 연결부재(5)와 코어(10)(28)의 벽면에 코일스프링(36)을 장착하여 실린더(7)의 전후방향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
  • 说明书全文

    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CARRYING APPARATUS OF A BOX FOR A FOOD DELIVERY}

    본 발명은 음식배달용 배달통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배달용 배달통에 음식그릇을 넣고, 그 배달통을 오토바이로 배달하는 경우에도 그릇에 담긴 음식이 쏟아지거나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면서 음식 배달원의 안전에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점(중국집, 분식점, 한식점 등)은 손님이 음식의 배달을 주문하는 경우 음식을 배달하기 위하여 배달원이 음식물을 넣어 가지고 배달하는 이른바 철가방이라는 배달통을 준비하고 있다.

    상기한 배달통은 직접 사람이 들고 가는 경우도 있지만, 원거리까지 배달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오토바이의 짐받이에 운반통을 장착하고, 그 운반통내에 배달통을 넣고 배달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도로사정이 좋지 않거나 오토바이 운전에 숙련되지 않은 배달원이 오토바이를 운전할 때에는 배달통 속에 음식이 쏟아지거나 뒤섞이어 손님들의 불만이 많았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가 있어 대부분의 배달원들은 배달통을 오토바이의 짐받이에 싣지 않고, 한 손으로는 오토바이의 핸들을 잡고, 한 손으로는 배달통을 들어 배달통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오토바이로 배달통을 배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오토바이로 배달통을 배달할 때 배달원들이 한 손에 든 배달통을 의식하면서 운전을 하여야 하므로 배달원들의 교통사고가 빈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에서 1997. 5. 19. 등록된 음식물 배달통 취부운반장치(실 1997-0004743)가 제안된 바가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음식물 배달통 취부운반장치는 그 장치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고가이며, 완충의 기능을 전부 스프링이나 에어쇼바로 하기 때문에 응답성이 떨어지거나, 오히려 스프링간의 공진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달통을 담은 운반통이 공중에서 자석의 자력으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오토바이로 배달통을 배달하더라도 음식물이 쏟아지거나 섞이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달원이 오토바이로 배달을 하더라도 양손으로 핸들을 잡고 운전을 할 수 있으므로 배달원의 안전사고를 극소화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평형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도2의 BB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평형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을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평형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이 개재된 롤러부재를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7은 도6의 평형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코어와 연결부재에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코어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짐받이 2 : 지지부재 3 : 배달통 4 : 운반통 5 : 연결부재 6: 도어 7 : 실린더 8 : 파이프 9 : 슬롯 10,28 : 코어 12,16 : 영 구자석 14 : 홀더 18 : 공간부 20 : 커버 22,34,36 : 코일스프링 30 : 롤러부재 32 : 롤러

    본 발명은 오토바이의 짐받이(1)에 하단이 고정되며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부재(2)와, 배달통(3)을 내부에 수납하며 짐받이(1)의 상측 공중에 매달린 운반통(4)과, 상기 운반통(4)의 상측과 결합하여 상기 운반통(4)을 공중에서 지지하는 연결부재(5)와, 상기 지지부재(2)와 운반통(4)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면이 상기 지지부재(2)의 상단에 고정되며 하면에 관통되어 설치된 연결부재(5)와 결합되어 상기 운반통(4)을 상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반통(4)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한 평형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평형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4는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도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오토바이의 짐받이(1)에 배달통(3)을 수용하는 운반통(4)을 공중으로 약간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배달통(3)에는 배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그릇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운반통(4)의 측면에 형성된 도어(6)를 위로 들어올려 배달통(3)을 운반통(4)내에 수납할 수도 있고, 운반통(4)을 크게 한다면 도어(6)를 열지 않고도 위에서 배달통(3)을 운반통(4)내에 집어넣을 수도 있다. 상기 운반통(4)은 알루미늄 판재로 만들 수도 있고,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오토바이용 짐받이(1)의 앞쪽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부재(2)의하단부가 고정되는데, 고정방식은 용접을 할 수도 있고, 볼트와 너트로 고정할 수도 있고, 그와 균등의 범위에 있는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 관계없다.

    상기 지지부재(2)의 상단부는 운반통(4)의 평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실린더(7)의 상면과 결합되는데, 이 또한 용접으로 고정할 수도 있고, 볼팅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7)는 대략 파이프 형상의 홀더(14)를 구비하고 있어 내부에는 공간부(18)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18)에는 길이방향으로 원통형의 코어(10)가 내장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원통형의 코어(10)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7)의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운반통(4)을 공중에서 매달은 상태에서 평형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5)의 상단부가 관통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그 연결부재(5)의 하단부는 운반통(4)의 측면과 파이프(8)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8)로 되어 있으나, 그것을 강판을 사용하여도 상관없고, 견고하게 연결부재(5)와 운반통(4)을 결합할 수 있으면 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7)의 홀더(14) 내측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원통상의 코어(1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코어(10)의 중앙 하단에는 연결부재(5)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7)의 홀더(14) 중앙 하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대략 60도 각도 범위 내에서 슬롯(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코어(10) 및 연결부재(5)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어(10)의 외면 상하부에는 일정한 두께로 영구자석(12)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12)이 그 중심선에서 볼 때 대략 30도 내지 45도의 간격을 두고 2개가 설치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원주면 전체 또는 코어(10)가 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영구자석(12)이 설치된다. 상기 영구자석(12)의 표면을 N극이나 S극 중 어는 하나로 해도 상관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N극으로 하였다.

    상기 실린더(7)의 홀더(14) 내면 원주면상에는 상기 코어(10)의 영구자석(12)과 대향하는 위치에 영구자석(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영구자석(12)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16)이 그 중심선에서 볼 때 대략 30도 내지 45도의 간격을 두고 2개가 설치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원주면 전체 또는 코어(10)가 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영구자석(16)이 설치된다. 상기 영구자석(16)의 표면을 N극이나 S극 중 어는 하나로 해도 상관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N극으로 하였다.

    위와 같이 하면, 코어(10)의 영구자석(12)과 홀더(14)의 영구자석(16)이 대향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N극을 띠고 있으므로 서로 반발력이 생겨 상기 코어(10)가 홀더(14)의 공간부(18) 중앙에서 좌우, 상하방향으로 평형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코어(10)에는 연결부재(5)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5)에는 파이프(8)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8)는 운반통(4)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오토바이를 주행하면서 좌우, 상하방향으로 유동을 한다 하더라도 영구자석(12)(16)의 상호간 반발력으로 코어(10)가 실린더(7)의 홀더(14)내에서 평형을 유지하기 때문에 배달통(3)에 수납된 음식도쏟아지거나 쏠리지를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7)의 홀더(14) 양단에는 내부에 위치한 코어가 전후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커버(20)가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 상호간의 반발력을 이용하였으나, 상기 홀더(14)의 내면에 설치한 영구자석(16)을 전자석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오토바이의 밧데리에서 전원을 유도하여 통상적인 전자석회로를 거쳐 상기 영구자석(16)을 전자석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 상기 전자석회로에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전자석의 자력을 조정하면 반발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한 일실시예에서는 자석 상호간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운반통(4)의 평형을 유지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2)을 3개 사용한 것이 다르다. 상기 코어(10)의 상면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코일스프링(22)의 일단을 설치하고, 그 코일스프링(22)의 타단은 볼트(24)를 결합하여 홀더(14)에 관통시키고, 상기 볼트(24)를 홀더(14)의 외측에서 너트(26)로 결합하면 코일스프링(2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코어(10)를 실린더(7)의 홀더(14)내에서 평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6에 있어서, 실린더(7)내에는 파이프 형태의 코어(28)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어 있고, 그 코어(28)가 실린더(7)내에서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그 코어(28)에는 방사상으로 구멍이 뚫려 있고, 그 구멍에는 롤러부재(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고, 그 롤러부재(30)의 타단에 구비된 롤러(32)가 홀더(14)의 내벽면을 타고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롤러(32)와 코어(28)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4)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5)가 상하 좌우 또는 복합적으로 이동을 하려고 할 때, 그 연결부재(5)에 작용하는 하중을 코일스프링(34)이 압축 또는 팽창을 하면서 동시에 롤러부재(30)의 롤러(32)가 홀더(14)의 내벽면을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면서 그 하중을 완화시켜 상기 연결부재(5)에 결합된 운반통(4)의 평형을 유지하여 준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오토바이의 운전중 운반통(4)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기우는 것만을 고려하였으나,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0)(28)의 중앙 하면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연결부재(5)를 삽입하고, 그 연결부재(5)와 코어(10)(28)의 사이에 핀(34)을 장착을 하고, 그 연결부재(5)와 코어(10)(28)의 벽면에 코일스프링(36)을 장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하고, 동시에 상기 코어(10)(28)와 커버(20) 사이에 어느 정도 유격을 두면 그 연결부재(5)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가 있고, 운반통(4)이 전후방향으로 쏠리더라도 상기 코일스프링(36)에 의하여 운반통(4)의 평형을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그 구조는 간단한 반면 배달통에 평형력을 전달하는 전달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배달용 배달통에 음식그릇을 넣고, 그 배달통을 오토바이로 배달하는 경우에도 그릇에 담긴 음식이 쏟아지거나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 배달원이 오토바이 운전대를 양손으로 잡고 운전을 할 수 있고, 오토바이 운전 중 음식이 쏟아지는 것을 열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오토바이로 음식을 배달할 때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