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트 장치

申请号 KR1020167014705 申请日 2014-12-19 公开(公告)号 KR101767355B1 公开(公告)日 2017-08-10
申请人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스템즈 아게; 发明人 주스,파스칼; 웡,조니카필드; 런제,마린;
摘要 본발명은킥 스쿠터(12a; 12b; 12c; 12d; 12d'; 12e, 12e')에체결하기위해시트유닛(14a; 14b; 14c; 14d; 14e)과적어도하나의제 1 체결유닛(16a; 16b; 16c; 16d; 16e)을가지는킥 스쿠터(12a; 12b; 12c; 12d; 12d'; 12e, 12e'), 특히킥보드용시트장치를기반으로한다상기시트장치가수용객체(22a; 22b; 22c; 22d, 22e)를위해제공되고적어도한 상태에서적어도거의완전히둘러싸는적어도하나의수용영역(20a; 20b; 20c; 20d; 20e)을가지는적어도하나의저장유닛((18a; 18b; 18c; 18d; 18e)을포함하는것이제안된다.
权利要求
  • 킥 스쿠터(12a; 12b; 12c; 12d; 12d'; 12e, 12e')에 체결하기 위해 시트 유닛(14a; 14b; 14c; 14d; 14e)과 제 1 체결 유닛(16a; 16b; 16c; 16d; 16e)을 가지는 킥 스쿠터(12a; 12b; 12c; 12d; 12d'; 12e, 12e')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수용 객체(22a; 22b; 22c; 22d, 22e)를 위해 제공되고 폐쇄 상태에서 둘러싸이는 수용 영역(20a; 20b; 20c; 20d; 20e)을 가지는 저장 유닛((18a; 18b; 18c; 18d; 18e)과,
    킥 스쿠터(12a; 12b; 12c; 12d; 12d'; 12e, 12e')의 조향로드(32a; 32b; 32c; 32d; 32e)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제 2 체결 유닛(34a; 34b; 34c; 34d; 34e)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 유닛((18a; 18b; 18c; 18d; 18e)은 베이스 몸체(24a; 24b; 24c; 24d; 24e) 및 상기 베이스 몸체(24a; 24b; 24c; 24d; 24e)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수용 영역(20a; 20b; 20c; 20d; 20e)이 접근가능한 개방 몸체(26a; 26b; 26c; 26d; 26e)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18a; 18b; 18c)의 개방 몸체(26a; 26b; 26c)가 슬라이드-박스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쿠터용 시트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18a; 18b; 18c)의 수용 영역(20a; 20b; 20c)이 상기 베이스 몸체(24a; 24b; 24c)에 대해 개방 몸체(26a; 26b; 26c)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접근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쿠터용 시트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시트 유닛(14a; 14b; 14;, 14d; 14e)이 저장 유닛(18a; 18b; 18c; 18d; 18e)과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쿠터용 시트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시트 유닛(14a; 14b; 14;, 14d; 14e)이 저장 유닛(18a; 18b; 18c; 18d; 18e)의 베이스 몸체(24a; 24b; 24c; 24d; 24e)와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쿠터용 시트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체결 유닛(16a; 16b; 16c; 16d; 16e)이 장착된 상태에서 킥 스쿠터(12a; 12b; 12c; 12d; 12d'; 12e, 12e')의 발판(30a; 30b; 30c; 30d; 30e)에 대해 시트 유닛(14a; 14b; 14;, 14d; 14e) 및 저장 유닛(18a; 18b; 18c; 18d; 18e)을 지지하도록 제공된 지지 표면(28a; 28b; 28c; 28d; 28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쿠터용 시트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 2 체결 유닛(34a; 34b; 34c; 34d; 34e)이 장착된 상태에서 조향 로드(32a; 32b; 32c; 32d; 32e) 주위에 부분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된 수용 요소(36a; 36b; 36c; 36d; 36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쿠터용 시트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선택적인 푸시로드(150a)를 체결하기 위한 푸시로드 체결 유닛(148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쿠터용 시트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푸시로드 체결 유닛(148a)이 선택적 푸시로드(150a)의 부분 영역을 수용하도록 제공된 기능적 개구부((15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쿠터용 시트 장치.
  • 제 1항에 따른 시트 장치(10a; 10b; 10c; 10d; 10e)로 구성된 킥 스쿠터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시트 장치{SEAT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킥 스쿠터를 위한 특히 킥보드를 위한 시트 장치는 스쿠터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체결 유닛과 시트 유닛을 가지도록 이미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쉬운 조립, 구성, 공간활용, 다양한 사용 및/또는 특히 어린이 친화적인 개선된 특성을 가지는 일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및 추가적인 전개는 종속항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은, 시트 유닛과 킥 스쿠터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체결 유닛을 가지는 킥 스쿠터를 위한 시트 장치를 기초로 한다.
    객체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대체로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완전히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 유닛이 객체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실질적인 수용 영역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히 킥 스쿠터에 해제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유닛이 제공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시트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 1 체결 수단을 통해 킥 스쿠터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것을생각할 수 있다. 수용 영역에 수용될 수 있고 당업자가 편리하게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객체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가 수용 영역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트 장치가 계속해서 킥 스쿠터에 장착할 수 있는 킥 스쿠터를 위한 별도의 부가 장치로 제공된다. "시트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트 표면을 포함하고 착석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형태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예시는 GB 2 263 258A(Scooter convertible to trike by means of a folding seat, 1991-12-23), FR 2 895 725 A1(JOUET SUR ROUES POUR ENFANT, SUSCEPTIBLE D'ADOPTER DIFFERENTES CONFIGURATIONS, 1999-12-31), DE10109376A1(Multi-functional pedal scooter, 2002-09-05) 등이 있다.

    "킥 스쿠터"는 본 명세서에서 특히 각각의 휠인 적어도 두 개의 롤 바퀴를 가진 비 전동식 근력 구동 수단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발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중량의 상당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판을 가진 스쿠터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리로 밀어냄으로써 사용자의 근력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되는 스쿠터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킥 스쿠터는 특히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편리하게 이해하는 다른 방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해 특히 제공되는 것이 원칙적으로 적합하다.
    여기서 "근력 구동 차량"은 사용자 및/또는 운전자의 근력을 사용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이동하는 운동 수단으로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기계 및/또는 외부 에너지, 예를 들면 바람 없이 구동되는 이동 수단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특히 적어도 7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 우선적으로 적어도 90 %, 특히 우선적으로 적어도 99 %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킥보드"는 적어도 세 개의 롤을 가진 특히 킥 스쿠터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세 개의 롤 중 적어도 두 개는 킥 스쿠터의 전방 영역 특히 전방 액슬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킥 스쿠터의 발판에 적어도 두 축에 대해 및/또는 따라 이동 가능한 전방 액슬을 가진 킥 스쿠터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체중 이동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조향되도록 제공되는 킥 스쿠터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체중 이동으로 배타적으로 조향되는 회전 강성 조향 로드를 가진 킥 스쿠터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트 유닛"은 시트 표면을 포함 및/또는 시트 표면을 구현하는 시트 장치의 유닛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체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추가 장치 및/또는 추가 장비에 스쿠터 시트 장치를 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닛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형태-잠금 및/또는 강제-잠금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및/또는 다른 장비와 스쿠터 시트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수단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강제 잠금 및/또는 형태 잠금에 의해 연결되는 것은 특히 해제가능한 연결을 의미하며 여기서 두 구성 요소 사이의 유지력은 기하학적으로 나란히 결합되는 구조 요소에 의해 바람직하게 전송되고 및/또는 마찰력은 상기 구조 요소사이에 전달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해제가능한"은 특히 "비파괴 분리가능한"의 의미이다. 또한 상기 문맥에서, "저장 유닛"은 객체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 표면, 저장 영역 및/또는 저장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시트 장치의 유닛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유닛은 객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수용 영역"은 본 명세서에서 객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영역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저장 공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영역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평면에서, 재료 유닛 및/또는 시트 장치의 요소에 의해 적어도 거의 완전히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영역은 수용 영역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시작하여, 적어도 네개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다섯개의 공간 방향의 재료 유닛 및/또는 시트 장치의 요소로 구분된다. 우선적으로 수용 영역은 특히 실질적인 수용 영역에 의해 구현된다. 여기서 "필수 수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리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리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 리터의 체적을가지는 수용역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장치의 적어도 1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를 점유하는 수용 영역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제공된"은 특히 특별히 설계 및/또는 장착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정 기능을 위해 제공된 객체에 의해 특히 상기 객체가 적어도 하나의 적용 상태 및/또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특정 기능을 구현 및/또는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적어도 거의 완전히 포함하는"은 상본 명세서에서 상기 수용 영역이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평면에서 시트 장치의 재료 유닛 및/또는 시트장치의 요소에 의해 적어도 거의 완전히 포함되는 것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영역은 적어도 거의 완전히 수용 영역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시작하는 6개의 공간 방향의 재료 유닛 및/또는 시트 장치의 요소에 의해 적어도 거의 완전히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거의 완전히"는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8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까지를 의미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의 구현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특히 유리한 시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시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저장 유닛으로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에 따라 특히 킥 스쿠터 위한 보조 장치는 시트 및 저장 유닛으로 양쪽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트 표면 아래의 공간은 공간의 특히 유리한 이용이 달성될 수 있음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어린이 킥 스쿠터 시트 장치로서의 구현에서 유리한 시트 장치는 이와 별도로 예를들어 완구와 같은 객체의 저장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몸체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개방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개방 몸체에 의해 상기 수용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몸체에 대하여 개방 몸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수용 영역의 폐쇄 상태에서 수용 영역의 개방 상태로 및 그 반대의 변화가 달성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시트유닛이 사용중인 동안 즉, 사용자가 그 위에 앉아있는 동안 수용 영역은 또한 베이스 몸체에 대해 개방 몸체를 이동시킴으로써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영역은 폐쇄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에서 저장 유닛의 베이스 몸체에 의해 구분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에서 저장 유닛의 개방 몸체에 의해 직접 구분된다. "베이스 몸체"는 본 명에서에서, 저장 유닛, 바람직하게는 시트 장치의 운반 용량의 적어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저장 유닛의 몸체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장치의 시트 유닛은 저장 유닛의 베이스 몸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여기서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전체의 적어도 4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 및 특히 우선적으로 적어도 60 %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에서에서, "개방 몸체"는 저장 유닛을 여는 역할을 저장 유닛의 몸체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기 저장 유닛의 수용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따른 몸체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몸체에 대해 상기 수용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이동 몸체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베이스 몸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개방 몸체"는 본 명세서에서 특히 적어도 10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cm의 이동 반경으로 이동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동은 여기서 상대적 회전 운동, 및/또는 상대적 병진 운동 및/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편리한 것으로 간주되는 다른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가능하게 되는"은 특히 객체가 수용 영역에서 인출되거나 수용 영역에 투입될 수 있도록 수용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개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 영역의 개방 부분은 재료 유닛 및/또는 시트 장치의 요소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저장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용 영역은 따라서 바람직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의 수용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몸체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개방 몸체의 슬라이딩 이동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된다. "슬라이딩 이동"은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이동 성분이 병진 운동 성분으로 구현되는 운동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거의 직선으로 진행하는 이동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실질적인 이동 성분"은 총 이동의 이동 벡터의 적어도 6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 에 달하는 길이를 가지는 이동 벡트의 이동 성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결과, 특히 개방 몸체의 특히 달성가능한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에따라 수용 영역이 접근가능해질 수 있다. 특히 간단한 개방이 이에따라 특히 어린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 몸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드 박스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우선적으로 수용 영역은 개방 상태 및 마찬가지로 폐쇄 상태에서 특히 적어도 다섯개의 공간 방향의 저장 유닛의 개방 몸체에 의해 직접 구분된다. 원칙적으로, 그러나 또한 저장 유닛의 개방 몸체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편리한 것으로 간주되는 다른 몸체 예를들어 플랩 및/또는 덮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슬라이드 박스"는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상측에서 특히 완전히 개방된 박스 형상의 유닛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유닛, 예를들어 특히 저장 유닛의 베이스 몸체에 대해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편리한 것으로 간주되는 다른 안내 요소 및/또는 레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유닛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결과, 특히 유리한 개방 몸체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특히 쉽게 제조 가능한 저장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이에 따라 특히 쉽게 적재가능한 개방 몸체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에따라 객체의 낙상이 유리하게 피해질 수 있다.

    특히, 개방 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유닛, 특히 개방 몸체 및/또는 베이스 몸체는 개방 몸체가 특히 내부에서 조명될 수 있는 조명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어 "투명한"은 특히 작업 소재 또는 구조 요소의 광 투과성 특성을 의미하며, 작업 소재는 구조 요소는 가시광선의 스펙트럼 범위의 특히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투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시 광선의 스펙트럼 범위는 대략 350nm-800nm의 파장 λ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개방 몸체로 완전히 커버되어 한 방향을 따라 보여지는 객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개방 몸체와 상기 객체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보여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개방 몸체를 통해 보여지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특히 개방 몸체를 통해 개방 영역내로 보여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시트장치의 조명이 조명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특히 내부로부터 광학적으로 쾌적한 조명이 달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트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구현되는 것이 제안된다. "일체로 구현"은 특히, 적어도 물질 대 물질 접합 예를들어 용ㅇ접공정, 접착동정, 사출성형 공정 및/또는 당업자에게 편리하게 간주되는 다른 공정에 의해 및/또는 유리하게 일체로 예를들어 한 주조로 제조됨으로써 및/또는 한 성분 또는 다중 성분 사출성형 공정 및 바람직하게 단일 블랭크에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두 유닛에 의해 구현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는 특히 유닛이 부분 특히 기능적으로 적절한 부분인 적어도 하나 특히 적어도 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세 개의 공유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 특히 유리한 시트 장치는 특히 킥 스쿠터에 신속하게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특히 구성 요소의 수는 따라서 적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시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몸체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구현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몸체와 완전히 일체로 구현된다. 이 결과, 특히 유리한 시트 장치는 특히 킥 스쿠터가 신속하게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이에따라 특히 구성 요소의 수는 적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트 유닛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중량 힘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저장 유닛의 베이스 몸체 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 결과, 특히 안정적인 시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체결 수단이 킥 스쿠터의 발판과 적어도 대향된 시트 유닛 및/또는 저장 유닛을 지지하기 위해 장착 상태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표면을 통해 장착 상태 및/또는 작동시 특히 시트장치 및/또는 사용자의 주 중량 힘은 킥 스쿠터의 발판에 대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 표면"은 본 명에서에서 다른 객체의 다른 표면에 접촉을 위해 또는 인접하도록 제공되는 장치의 표면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표면 상에 있거나 다른 객체가 적아도 하나의 상태에 있는 방식의 표면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지지 표면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중량 힘이 지지되는 표면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장착된 상태"는 시트 장치가 의도된 방식으로 킥 스쿠터에 완전히 연결된 상태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상태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서, "발판"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의 적어도 한발을 위한 휴게 영역을 제공하는 킥 스쿠터의 일부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지면에 대하여 적어도 거의 평행한 킥 스쿠터 일반 스탠드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연장 평면을 갖는 킥 스쿠터의 일부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메인 연장 평면"은 상기 부분을 완전히 포함하는 가장 작은 기하학적 직사각형 입방체의 최대 측면 영역에 평행한 특히 직사각형 입방체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평면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메인 중량 힘"은 본 명세서에서 특히 총중량의 적어도 3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를 의미한다. 이 결과, 특히 유리 시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지지표면으로 인해 킥 스쿠터에 특히 간단한 장착으로 달성된다. 또한 이 때문에 시트 유닛이 발판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지지됨으로서 특히 시트 장치의 낮은 수준의 강성만이 요구된다. 특히 어린이 킥 스쿠터 시트 장치로서의 구현에서 이에따라 어린이를 위해 유리하게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안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특히 적은 무게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시트 장치가 킥 스쿠터 조향로드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조향로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핸들 요소를 포함하는 로드형 구조 부재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조향로드는 핸들 부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휠 및/또는 킥 스쿠터의 적어도 한 액슬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조향로드는 적어도 하나의 휠 및/또는 스쿠터의 적어도 한 액슬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전달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조향로드은 여기서 킥 스쿠터의 발판에 대하여 이동가능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결과, 킥 스쿠터에 대한 시트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고정이 보장될 수 있다. 특히,부주의한 해제를 방지됨에 따라 차량의 두 지점에서의 체결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체결 유닛은 장착된 상태에서 조향로드의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수용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요소 및/또는 유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을 포함하는 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요소 및/또는 유닛 주위에 연결을 제공하는 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위에 연결"은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9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0°의 각도 범위로 적어도 한 평면의 수용요소로 둘러사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 킥 스쿠터 조향로드에서 시트 장치의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가능한 체결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에따라 복수의 방향에서 포지티브 결합이 특별한 장착 공정이 필요없이 미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시트 장치는 선택적인 푸시로드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로드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우선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푸시로드 체결 유닛은 다른 선택적인 부가 모듈의 체결을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푸시로드 체결 유닛은 선택적인 푸시로드의 공구없는 체결을 위해 제공된다. "푸시로드 체결 유닛"은 본 명세서에서 이를 통해 푸시로드가 시트 장치에 고정 할수 있는 유닛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푸시로드가 임의로 시트 장치에 체결될 수 있는 유닛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선택적 푸시로드"는 시트 장치, 특히 시트 장치를 가진 킥 스쿠터가 푸시될 수 있음에 따른 로드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시트 장치, 특히, 시트 장치를 가진 킥 스쿠터는 직접 사용자와는 다른 다른 사용자에 의해 푸시 및/또는 안내될 수 있는 선택적 로드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우선적으로, 예를 들어 부모가 시트 장치 특히 시트장치를 가진 킥 스쿠터에 아이를 푸시할 수 있는 선택적 로드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공구 없는(toolless)"은 본 명세서에서 특히 추가 수단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특히 용이한 방법으로 연결을 확립 및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이 때문에 어떠한 공구도 체결 확립 및 해제에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연결은 어디서나 해제 및 확립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인 푸시로드는 특히 공구 또는 특수 렌치와 관계없이 시트 장치의 푸시로드 체결 장치로부터 장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다. 장착은 높은 수준의 어린이 친화성이 마찬가지로 달성될 수 있음에 따라 부모의 도움없이 어린이에 의해 가능하다.

    "선택적 부가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임의로 시트 장치와 결합 될 수 있는 모듈 예들들어 요소 및/또는 부가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된 상태로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지만, 시트장치 및/또는 킥 스쿠터의 기본 기능과는 무관한 모듈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선택적 부가 모듈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편리하게 간주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특히, 이러한 것은 선택적 푸시로드, 선택적 세이프티 플래그 및/또는 임의의 안전 페넌트로 이해되여야 한다. 그러나 선택적인 추가 모듈은 단순히 디자인 요소로 구현되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푸시로드에 체결 유닛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푸시로드는 직접 시트 장치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결과, 시트 장치의 안내가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선택적인 추가 기능 모듈이 이에따라 시트장치 및 여기서 특히 간접적으로 킥 스쿠터에 체결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푸시로드 체결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의 베이스 몸체를 가진 일체 구성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된다. "일체 구성"은 특히 예를들어 용접 공정 및/또는 접착 공정에 의해 기판 대 기판 접착으로 연결되는 것, 특히 바람직하게는 예를들어 하나의 주조 로부터 제조됨으로써 및/또는 한 성분 또는 다중 성분 사출 성형 공정에서 제조됨으로써 성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구조작 성분의 수를 유리하게 낮게 유지되도록한다. 또한, 푸시로드 체결 유닛의 유리한 높은 안정성이 이에따라 달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로드 고정 유닛이 선택적 푸시로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역을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적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기능적 개구부"는 본 명세서에서 장착 상태에서 선택적 푸시로드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역을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개구부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선택적 푸시로드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구부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우선적으로, 선택적 푸시로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되거나 또는 특히 우선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택적 푸시로드에 의해 통과되는 개구부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결과, 선택적 푸시로드의 바람직하고 쉬운 장착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유리하게 증식 가능한 푸시로드 체결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로드 체결 유닛의 기능적 개구부는 저장 유닛의 수용 영역과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적 개구부는 수용 영역을 향해 개방된다. 따라서, 특히 유리하게 컴팩트한 구조 형태가 달성된다. 또한 장착 된 상태에서 수용 영역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선택적 푸시로드가 이에따라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시트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선택적 푸시로드에 기초한다. 선택적인 푸시로드가 시트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푸시로드 체결 유닛의 기능적 개구부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영역과, 시트장치에서 체결 유닛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를 가지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요소는 시트 장치에서 고정 유닛의 백업 고정을 위해 제공된다. 우선적으로 고정 요소는 고정 목적으로 체결 유닛의 안내 영역의 단부상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고정 디스크에 의해 구현된다. "체결 유닛"은 본 명세서에서 푸시로드가 이를 통해 시트 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 유닛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안내 영역"은 본 명세서에서 푸시로드 체결 유닛의 기능적 개구부를 통해 안내되도록 제공되는 푸시로드가 장착되도록 하는 상기 푸시로드의 일부 영역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적 개구부를 구분하는 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된 푸시로드의 장착 상태에 있는 푸시로드의 일부 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우선적으로 안내 영역은, 푸시로드의 장착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기능적 개구부를 구분하는 벽으로 둘러싸인다. "고정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장착 상태에서 푸시로드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요소로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리핑아웃 및/또는 인출되는 것에 대해 기능적 개구부의 안내 영역을 고정하도록 제공된 장착된 상태에 있는 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우선적으로 고정 요소는 기능적 개구부의 삽입 영역 맞은편에 위치되는 기능적 개구부 의 한측면에 푸시로드의 베이스 몸체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삽입 영역"은 푸시로드가 장착시 기능적 개구부내로 삽입되는 기능적 개구부의 한 영역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결과, 유리하게 간단하고 빠른 장착이 특히 달성가능하다. 또한, 이 결과 시트 장치에서 선택적 푸시로드의 안정적인 체결이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의 해제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시트 장치에 체결 유닛을 고정하는 목적으로 안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에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우선적으로 그루브는 안내 영역의 장착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 결과, 유리하게 시트 장치에서 선택적 푸시로드의 안정적인 체결과 고정이 달성가능하다. 또한, 푸시로드의 해제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특히, 푸시로드의 유리한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시로드의 안내 영역은 시트 장치의 저장 수단의 수용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부터 시트 장치의 푸시로드 체결 유닛의 기능적 개구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시트 장치에서 선택적 푸시로드의 유리하게 쉽고 빠른 장착을 달성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선택적 푸시로드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신축 튜브로 구체화되는 베이스 몸체를 포함한다. 특히 우선적으로 푸시로드의 베이스 몸체는 매니폴드 신축 튜브로 구현된다. "신축 튜브"는 본 명세서에서, 동축으로 나란히 놓여진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튜브들을 포함하는 튜브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부분의 튜브는 각각 다음의 더 큰 부분 튜브에 대해 축 방향으로 교대 또는 당겨질 수 있다. 이것은 신축 튜브 길이에 대한 비파괴 변화를 허용한다. 여기서 "매니폴드 신축 튜브"는 서로 동축으로 놓여진 적어도 세 부분 튜브를 포함하는 신축 튜브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선택적 푸시로드는 베이스 몸체의 최대 연장된 상태에서 특히 최대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40 cm 이하 및 특히 바람직 하게는 30cm 이하의 길이를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선택적 푸시로드는 베이스 몸체의 최대 연장된 상태에서 특히 최대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50 cm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cm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cm의 길이를 가진다. 구조적 유닛의 "메인 연장 방향"은 구성 유닛을 완전히 둘러싸는 가장작은 직사각형 입방체 형상의 가장 긴 측면 에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향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결과, 푸시로드는 바람직하게 콤팩트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시트 장치와 푸시로드를 가지는 시트 시스템에 기초한다. 시트 장치는 해제된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푸시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수용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해제상태의 푸시로드를 고정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요소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시트장치에서 푸시로드가 이를통해 일시 고정 및/또는 적재될 수 있는 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시로드가 이를통해 일시적으로 고정 및/또는 비사용의 경우에 시트 장치에 적재될 수 있는 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해제 상태"는 본 명세서에서 푸시로드가 상기 푸시로드 체결 유닛으로부터 해제되는 푸시로드의 상태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푸시로드가 특히 의도된 기능으로 사용되지 않는 푸시로드의 상태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결과, 상기 푸시로드는 비사용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빠르고 쉽게 적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시로드는 이에따라 유리하게 해제 상태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요소가 시트 장치의 저장 유닛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며, 저장유닛의 수용 영역에서, 해제된 상태의 상기 푸시로드의 적어도 베이스 몸체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시로드는 시트 장치의 저장 유닛 몸체의 개방 몸체에서 해제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푸시로드는 비사용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빠르고 쉽게 적재 될 수 있다. 또한, 푸시로드는 이에 따라 유리하게 해제된 상태로 상기 저장 유닛을 따라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푸시로드 및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술된 적용 및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뿐만 아니라, 상기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을 목적으로 상술한 바와 다른 다수의 각 요소, 성분 및 유닛들을 포함 할 수 있다.

    다른 장점들이 하기하는 도면의 설명에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면에는 본 발명의 5개의 실시예가 제시된다.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는 조합되어 복수의 특징을 포함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의도적으로 상기 특징들을 분리및 이들을 편리하게 결합하여 고려한다.

    도 1은 시트 유닛, 제 2 체결 유닛 및 베이스 몸체와 개방 몸체를 포함하는 저장 유닛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가 고정되는 킥 스쿠터를 개략적으로 도시,
    도 2는 시트유닛, 제 2 체결 유닛 및 저장유닛을 가지며, 개방 몸체와 킥 스쿠터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 및 킥 스쿠터의 개략적 측면도,
    도 4는 시트유닛, 제 2 체결 유닛 및 저장유닛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와 킥 스쿠터의 부분 분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와 킥 스쿠터의 개략적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와 킥 스쿠터의 개략적 정면도,
    도 7은 시트유닛, 제 1 체결 유닛, 제 2 체결 유닛 및 저장유닛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의 개략도,
    도 8은 개방 상태의 저장유닛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 선택적 푸시로드 및 킥 스쿠터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와 선택적 푸시로드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 해제된 상태의 선택적 푸시로드 및 킥 스쿠터의 부분 분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와 선택적 푸시로드의 부분 섹션 XI의 개략적 단면도,
    도 12 선택적 푸시로드의 개략적 단면도,
    도 13 선택적 푸시로드의 고정 요소의 개략적 단면도,
    도 14는 선택적 푸시로드의 고정요소의 단면 평면의 XIV를 통한 개략적 단면도,
    도 15는 시트유닛, 선택적인 제 1 체결 유닛, 제 2 체결 유닛 및 저장 유닛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 및 킥 스쿠터의 개략도,
    도 16은 시트유닛, 다른 선택적인 제 1 체결 유닛, 제 2 체결 유닛 및 저장 유닛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 및 킥 스쿠터의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시트 장치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가 고정된 킥 스쿠터의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선택적인 시트 장치, 어댑터 장치 및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가 고정된 선택적인 킥 스쿠터의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선택적인 시트 장치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가 고정된 킥 스쿠터의 개략도,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선택적인 시트 장치, 어댑터 장치 및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가 고정된 선택적인 킥 스쿠터의 개략도.

    도 1은 킥 스쿠터(12a)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10a)를 도시한다. 킥 스쿠터(12a) 및 시트 장치(10a)는 시스템(38a)을 형성한다. 킥 스쿠터(12a)는 어린이용 킥 스쿠터로 형성된다. 킥 스쿠터(12a)는 바람직하게는 20 kg의 최대 중량 및 12 개월까지의 청소년에게 적합하다. 킥 스쿠터(12a)는 킥보드에 의해 형성된다. 킥 스쿠터(12a)는 베이스 몸체(40a) 및 조향로드(32a)를 가진다. 차례로, 베이스 몸체(40a)는 발판(30a), 전방 액슬 캐리어(42a), 후방 액슬 캐리어(44a) 및 조향로드(32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발판(30a)은 이중 볼록 기본 형상을 가진다. 발판(30a)은 또한 킥 스쿠터(12a)의 기립 위치에서 베이스 영역에서 등진 발판(30a)의 측면에 놓여지는 데크(46a)를 가진다. 전방 액슬 캐리어(42a) 및 후방 액슬 캐리어(44a)는 각각의 경우 각 대향 단부에서 발판(30a)에 인접한다. 액슬(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후방 액슬 캐리어(44a)가 회전 가능하게 킥 스쿠터(12a)의 후방 롤(48a)를 수용한다. 킥 스쿠터(12a)의 브레이크 장치(50a)는 또한 후방 액슬 캐리어(44a)에 배치된다. 후방 롤(48a)은 브레이크 장치(50a)에 의해 제동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50a)는 후방 롤(48a) 위에 있도록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적재 요소(52a)를 가진다. 브레이크 장치(50a)는 스프링 요소(52a)에 예를들어 사용자의 발에 의해 압력을 가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전방 액슬 캐리어(42a)는 킥 스쿠터(12a)의 두 전방 롤(54a, 54a')이 회전 가능한 방법으로 체결되는 조향 메커니즘(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조향 메커니즘(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방 롤 (54a, 54a')은 킥 스쿠터(12a)의 베이스 몸체(40a)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킥 스쿠터(12a)의 조향은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체중 이동에 의해 수행된다. 체중 이동의 방법으로 신체를 사용하여 조향함에 있어서, 모터 기술과 균형 감각은 특히 아이들과 함께 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직접 조향을 위한 회전가능한 조향 로드를 사용하는 조향 메커니즘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향 로드(32a)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은 전방 액슬 캐리어(42a)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들의 메인 연장 방향(56a)에 관련하여, 상기 수용 영역은 발판(30a)의 메인 연장 평면의 법선과 평행이되도록 조향로드(32a)를 수용한다. 조향로드(32a)는 결합 영역(상세히 도시되지 않음), 연장된 로드 영역(58a), 및 핸들 요소(60a)로 구성된다. 핸들 요소(60a)는 환형으로 구성된다. 전체 킥 스쿠터(12a)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원칙적으로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되고, 로드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 영역(58a)으로부터 수직한 방법으로 돌출하는 두 그립을 포함하는 핸들 요소(60a)를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여기서 로드 영역(58a)으로부터, 상기 결합 영역으로부터 등진 로드 영역(58a)의 단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돌출한다. 여기서 조향로드(32a)는 T 자형이 되도록 구성된다.

    시트 장치(10a)는 저장 유닛(18a)를 가진다. 저장 유닛(18a)은 베이스 몸체(24a)와 상기 베이스 몸체(24a)에 관하여 이동 가능한 개방 몸체(26a)를 가진다. 베이스 몸체(24a)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24a)는 상기 베이스 몸체(24a)를 일괄적으로 형성하고 대략 역경상(mirror-inverted)인 두 하프 쉘(62a, 64a)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24a)는 좌측 하프 쉘(62a) 및 우측 하프 쉘(64a)로 구성된다. 하프 쉘(62a, 64a)은 스크류(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원칙적으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연결거나 접착되는 두 개의 하프 쉘(62a, 64a)을 생각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4a)는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메인 연장 방향(66a) 및 조향로드(32a)의 메인 연장 방향(56a)과 평행한 평면에 의해 분리된다. 하프 쉘(62a, 64a)은 상기 평면에서 서로 인접한다. 여기서 베이스 몸체(24a)는 부분적으로 중공이 되도록 구성된다. 하프 쉘(62a, 64a)은 부분적으로 중공이 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베이스 몸체(24a)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두 부분이상 특히 부분 쉘로 구성될 수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4a)는 대략 C 자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24a)는 여기서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 및 상기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과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 부분 영역(72a)을 가진다. 상기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 수직 부분 영역(72a)은 일체로 구성된다.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은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과 거의 평행하게 진행하는 메인 연장부를 갖는다. 상기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은 그 단부의 메인 연장 방향(66a)을 따라 보았을 때, 수직 부분 영역(72a)의 상단부에 인접한다.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은 마찬가지로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과 거의 평행하게 진행하는 메인 연장부를 가진다.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은 그 단부의 메인 연장 방향(66a)을 따라 볼 때 수직 부분 영역(72a)의 하단부에 직접 인접한다. 여기서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은 라운딩을 통해 직접 수직 부분 영역(72a)로 이행한다. 또한, 베이스 몸체(24a)의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은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킥 스쿠터(12a)의 발판(30a)에 직접 지지된다. 베이스 몸체(24a)의 수직 부분 영역(72a)은 킥 스쿠터(12a)의 조향로드(32a)에 대해 직접 지지된다.

    저장 유닛(18a)의 개방 몸체(26a)는 부분적 박스형이 되도록 구성된다. 저장 유닛(18a)의 개방 몸체(26a)는 서랍으로 형성된다. 폐쇄 상태에서 개방 몸체(26a)는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 및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개방 몸체(26a)는 수직 부분 영역(72a)에 대해 직접 지지된다. 개방 몸체(26a)는 박스(74a)를 가진다. 박스(74a)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개방 몸체(26a)의 폐쇄 상태에서, 박스(74a)는 상기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을 향해 개방된다. 박스(74a)는 부분적으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폐쇄된 상태에서, 박스(74a)는 각각의 경우 부분적으로 상기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 및 수직 부분 영역(72a)으로 둘러싸인다. 폐쇄 상태에서, 베이스 몸체(24a)와 관련하여 개방 몸체(26a)의 박스(74a)는 따라서 다섯 공간 방향의 베이스 몸체(24a)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개방 몸체(26a)는 박스(74a)에 배치된 핸들(76a)을 가진다. 핸들(76a)은 상기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에 근접하고 수직 부분 영역(72a)으로부터 등진 박스(74a)의 측면에 배치된다. 핸들(76a)은 박스(74a)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다. 핸들(76a)가 C 자형상 및 박스(74a)의 일측면으로부터 반대측면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핸들(76a)은 박스(74a)와 그 단부에 의해서만 연결된다. 핸들(76a)은 고정 박스(74a)에 연결된다.

    시트 장치(10a)는 또한 제 1 체결 유닛(16a)을 가진다. 제 1 체결 유닛(16a)은 킥 스쿠터(12a)에 시트 장치(10a)의 고정을 위해 작용한다. 제 1 체결 유닛(16a)은 킥 스쿠터(12a)의 발판(30a)에 시트 장치(10a)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작용한다. 제 1 체결 유닛(16a)은 시트 장치(10a)의 저장 유닛(18a)의 베이스 몸체(24a)와 부분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제 1 체결 유닛(16a)은 지지 표면(28a)을 가진다.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 표면(28a)은 킥 스쿠터(12a)의 발판(30a)과 관련하여 시트 유닛(14a) 및 저장 유닛(18a)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지지 표면(28a)은 발판(30a)에 대해 직접 지지된다. 지지 표면(28a)은 베이스 몸체(24a)의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과 일체로 구성된다.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에 수직인 방향에서, 지지 표면(28a)은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두 웹(78a, 78a')으로 구분된다. 웹(78a, 78a')은 마찬가지로 베이스 몸체(24a)의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과 일체가되도록 구성된다. 웹(78a, 78a')은 지지 표면(28a)에 거의 수직 인 방식으로 지지 표면(28a)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제 1 체결 유닛(16a)은 체결 요소(80a)를 가진다. 체결 요소(80a)는 베이스 플레이트(82a)를 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82a)은 대략 직사각형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82a)는 발판(30a)의 메인 연장면과 평행이 되도록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킥 스쿠터(12a)로 연장되는 메인 연장 평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체결 요소(80a)는 네 래치 후크(84a)를 가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갯수의 래치 후크(84a)의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래치 후크(84a)는 베이스 플레이트(82a)의 두 개의 서로 대향하는 외부 변부에 성형된다. 각각의 경우 두 래치 후크(84a)는 공통 외부 변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래치 후크(84a)는 베이스 플레이트(82a)의 메인 연장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법으로 연장된다. 또한, 래치 후크(84a)는 베이스 플레이트(82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2a)로부터 등진 단부 상의 래치 후크(84a)는 각각의 경우 래치 캐치를 가진다. 래치 후크(84a)의 래치 캐치는 내즉 즉, 베이스 플레이트(82a)의 대향된 외측 변부의 래치 후크(84a)의 방향을 지시한다. 또한, 체결 요소(80a)는 네 개의 돌기(86a)를 가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갯수의 돌기(86a)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돌기(86a)는 부분적으로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과 관련되는 방식으로, 체결 요소(80a)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82a)를 정렬하고, 배치하기 위해 제공된다. 돌기(86a)는 메인 연장 방향(66a)에 수직인 방식으로,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과 관련하여 베이스 플레이트(82a)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돌기(86a)는 상기 체결 요소(80a)의 베이스 플레이트(82a)의 하부면 상에 성형된다. 돌기(86a)는 베이스 플레이트(82a)의 메인 연장 평면에 수직인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a)로부터 하부로 돌출한다. 또한, 돌출부(86a)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은 개방 몸체(26a)와 면하는 상부 측면에 리세스(88a)를 가진다. 리세스(88a)는 개방 몸체(26a)와 면하는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의 외부 벽에 결합된다. 리세스(88a)는 체결 요소(80a)의 베이스 플레이트(82a)의 외형에 거의 대응하는 외형을 가진다.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는, 돌출부(86a) 발판(30a) 및 지지 표면(28a)을 형성하는 외부 측면과 면하는 외부 벽의 내부 측면까지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의 공동을 통해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86a)는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82a)가 리세스(88a)에 직접 배치되고, 리세스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베이스 플레이트(82a)를 지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2a)는 폼-피팅 방법으로 리세스(88a)에 수용된다. 상기 위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82a)는 베이스 플레이트(82a)의 메인 연장 평면에 수직인 방식으로 오직 상부로만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은 발판(30a)과 면하는 하부 측면 네 개의 리세스(90a)를 가진다. 리세스(90a)는 발판(30a)과 면하는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의 외벽에 포함된다. 각 경우에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체결 요소(80a)의 네 래치 후크(84a) 중 하나는 네 개의 리세스(90a)를 통해 연결된다. 킥 스쿠터(12a)상의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래치 후크(84a)는 리세스(90a)를 통해 연결되고 이들의 래치 캐치에 의해 킥 스쿠터(12a)의 발판(30a) 아래에 래치된다.

    개방 몸체(26a)와 면하는 베이스 플레이트(82a)상의 체결 요소(80a)는 두 가이드 웹(92a, 92a')을 가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갯수의 가이드 웹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 웹(92a, 92a')은 각각의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82a)에 장착된 와이드 웹에 의해 형성되고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과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개방 몸체(26a)의 박스(74a)는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과 면하는 하부 측면에서 베이스 몸체(24a)의 가이드 웹(92a, 92a')과 일치하는 두 안내 리세스(94a, 94a')를 가진다. 박스(74a)의 안내 리세스(94a, 94a')는 박스(74a) 내로 성형되고,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과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폐쇄된 상태에서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체결 요소(80a)의 가이드 웹(92a, 92a')은 박스(74a)의 안내 리세스(94a, 94a')으로 안내된다. 박스(74a)의 안내 리세스(94a, 94a')는 박스(74a)의 단부까지 베이스 몸체(24a)의 수직 부분 영역(72a)을 향해 연장된다. 박스(74a)의 안내 리세스(94a, 94a')는 상기 단부를 향해 개방된다. 개방 몸체(26a)는, 개방될 때, 체결 요소(80a)의 가이드 웹(92a, 92a')이 박스(74a)의 안내 리세스(94a, 94a'로부터 해제되도록, 완전하게 베이스 몸체(24a)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리세스(94a, 94a')는 가이드 웹(92a, 92a')을 완전히 밀고 그로부터 해제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베이스 몸체(24a)에서 개방 몸체(26a)의 완전 분리를 배체하도록 차단 요소가 베이스 몸체(24a), 체결 요소(80a) 및/또는 개방 몸체(26a) 상에 배치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개방 몸체(26a)의 폐쇄 상태에서, 즉, 개방 몸체(26a)가 베이스 몸체(24a)로 완전히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요소(80a)는 베이스 몸체(24a)에 완전히 고정되고, 장착된 상태에서는 또한 킥 스쿠터(12a)상에 고정된다. 개방 몸체(26a)에 의한 시트 장치(10a)의 상기 상태에서 체결 요소(80a)는 베이스 몸체(24a)로부터 상부 운동과 관련하여 차단된다. 체결 요소(80a)는 상기 상태에서 해제될 수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체결 요소(80a)의 우연한 해제 및 이에따라 또한 킥 스쿠터(12a)로부터 시트 장치(10a)가 부분적으로 해제되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상기 상태에서 체결 요소(80a)는 대체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다.

    또한, 시트 장치(10a)는 제 2 체결 유닛(34a)을 가진다. 제 2 체결 유닛(34a)은 킥 스쿠터(12a)의 조향로드(32a)에 해제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 2 체결 유닛(34a)은 시트 장치(10a)의 저장 유닛(18a)의 베이스 몸체(24a)와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2 체결 유닛(34a)은 수용 요소(36a)를 가진다. 시트 장치(10a)가 킥 스쿠터(12a)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 요소(36a)는 부분적으로 킥 스쿠터(12a)의 조향로드(32a)을 포함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시트 장치(10a)가 킥 스쿠터(12a)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 요소(36a)는 조향로드(32a)의 로드(58a)의 영역을 부분적으로 포함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용 요소(36a)는 대략 반 원통 형상 및 베이스 몸체 상에 성형된 네개의 안내 돌출부인 베이스 몸체를 포함한다. 안내 돌출부는 베이스 몸체의 양 측면에 개방 측면 상의 베이스 몸체에서 돌출한다. 각각의 경우에, 두 안내 돌출부는 한 측면에 배치된다. 수용 요소(36a)는 베이스 몸체(24a)의 수용 영역(96a)에 수용된다. 수용 영역(96a)은 베이스 몸체(24a)의 수직 부분 영역(72a)에 배치된다. 수용 영역(96a)은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고,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에 수직하는 방법으로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의 방향에서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을 향해 연장되는 두 웹(98a, 98a')으로 구분된다.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웹(98a, 98a')은 조향로드(32a)의 메인 연장 방향(56a)과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수용 영역(96a)은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웹(98a, 98a')로 구분되는 와이드 갭에 의해 형성된다. 수용 영역(96a)은 베이스 수용 영역 및 삽입 영역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수용 영역은 하나의 실린더 축이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에 수직하게 진행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수용영역은 삽입 영역을 향해 양 단부에서 개방된다. 베이스 수용 영역은 수용 요소(36a)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을 따라 볼 때, 삽입 영역은 시트 유닛(14a)로부터 제 2 체결 유닛(34a)를 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 수용 영역과 직접 인접한다. 또한, 삽입 영역은 시트 유닛(14a)으로부터 제 2 체결 유닛(34a)를 향한 방향으로 베이스 수용 영역을 개방한다. 최종 장착 상태에서, 조향로드(32a)의 로드 영역(58a)은 삽입 영역에 의해 수용 요소(36a)로 삽입될 수 있다. 제 2 체결 유닛(34a)은 또한 체결 요소(100a)를 가진다. 체결 요소(100a)는 중공 지지 리브를 갖는 중공 몸체로 형성된다.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체결 요소(100a)는 수용 영역(96a)에 배치된다. 체결 요소(100a)는 한 외부 측면에서 저장 유닛(18a)의 베이스 몸체(24a)의 외부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끝난다.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조향로드(32a)는 수용 요소(36a)의 체결 요소(100a)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시트 장치(10a)의 장착 상태에서, 수용 영역(96a)은 체결 요소(100a)에 의해 커버된다. 체결 요소(100a)는 여기서 삽입 영역을 거의 채운다. 장착을 위해, 체결 요소(100a)는 수용 영역(96a)의 삽입 영역으로 푸시된다. 여기서, 체결 요소(100a)는, 안내 돌출부가 체결 요소(100a)의 지지 리브들 사이에서 돌출하는 방법으로 수용 요소(36a)의 안내 돌출부 위로 가압되고 체결 요소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이를 부분적으로 폼-피팅 방법으로 고정한다. 이어서, 체결 요소(100a)는 스크류(102a)에 의해 베이스 몸체(24a)에 나사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스크류(102a)는 여기서 제 1 웹(98a)의 개구부, 체결 요소(100a)의 개구부 및 제 2 웹(98a')의 개구부를 통해 나사 결합된다.

    제 1 체결 유닛(16a)과 제 2 체결 유닛(34a)은 각각의 경우 공구 없는(toolless) 방식으로 킥 스쿠터(12a)에 연결가능하고 공구 없는(toolless) 방식으로 킥 스쿠터(12a)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시트 장치(10a)는 공구 또는 특정한 렌치 없이 킥 스쿠터(12a)로부터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장착은 부모의 도움없이 아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베이스 몸체(24a)는 조명 요소(104a)를 가진다. 조명 요소(104a)는 베이스 몸체(24a)의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에 통합된다. 조명 요소(104a)는 개방 몸체(26a)의 방향으로 빔을 투사하기 위해 제공된다. 개방 몸체(26a)는 조명 요소(104a)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조명될 수 있다. 조명 요소(104a)는 광 요소(104a)가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음에 따라 스위치 요소(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스위치 요소는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 방식으로, 베이스 몸체(24a)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조명 요소(104a) 및/또는 스위치 요소(상세히 도시되지 않음)가 개방 몸체(26a)에 통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유닛(18a)은 수용 영역(20a)을 가진다. 수용 영역(20a)은 수용 객체(22a)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단지 예시적인 객체(22a)가 도면에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다른 객체가 수용 영역(20a)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 영역(20a)은 바람직하게는 장난감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 영역(20a)은 실질적으로 개방 몸체(26a)의 박스(74a)에 의해 형성된다. 수용 영역(20a)은 박스(74a)에 배치된다. 한 상태에서, 수용 영역(20a)은 거의 완전히 밀폐된다. 폐쇄 상태에서, 수용 영역(20a)은 거의 완전히 밀폐된다. 수용 영역(20a)은 다섯 공간 방향의 박스(74a)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수용 영역(20a)은 여섯 번째 공간 방향에서 거의 완전히 베이스 몸체(24a)의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에 의해 구분된다. 따라서, 시트 장치(10a)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수하물 또는 여행 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개구부(26a)의 몸체를 경유하여 수용 영역(20a)에 접근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저장 유닛(18a)의 수용 영역(20a)은 베이스 몸체(24a)와 관련하여 개방 몸체(26a)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접근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개방 몸체(26a)는 여기서 개방 몸체(26a)의 박스(74a)의 개방 측면이 베이스 몸체(24a)의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부터 이격되어 움직이고 상기 개방 측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방법으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개방 몸체(26a)는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변위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 영역(20a)은 객체(22a)가 수용 영역(20a)로 적재될 수도 있거나 수용 영역(20a)으로부터 제거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개방 몸체(26a)는 수용 영역(20a)에 최대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 몸체(24a)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개방 몸체(26a)는 또한 간단한 장난감 박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시트 장치(10a)는 다양한 잠재적인 용도로 이용가능하다.

    시트 장치(10a)는 또한 시트 유닛(14a)를 가진다. 시트 유닛(14a)은 덧댄 시트 표면(108a)을 가진 시트 요소(106a)를 가진다. 시트 요소(106a)는 시트 표면(108a)이 부드럽게 덧대지는 방법으로 부분적으로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시트 요소(106a)의 임의의 다른 재료로 구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원칙적으로 시트 요소(106a)는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시트 요소(106a)는 대략 타원형의 기본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가 있는 또 다른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유닛(14a)은 저장 유닛(18a)와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트 유닛(14a)은 저장 유닛(18a)의 베이스 몸체(24a)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시트 유닛(14a)은 저장 유닛(18a)의 베이스 몸체(24a)에 접착된다.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의 상부면상의 시트 유닛(14a)의 시트 요소(106a)는 베이스 몸체(24a)의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의 외부측면에 접착된다. 상기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의 상부측면상의 상기 시트 유닛(14a)의 시트 요소(106a)는 베이스 몸체(24a)의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의 리세스에 접착된다.

    사용시, 사용자는 시트 유닛(14a)의 시트 표면(108a)에 앉는다. 사용시 사용자의 중량이 시트 유닛(14a)을 경유하여 저장 유닛(18a)의 베이스 몸체(24a)로 향한다. 무게는 저장 유닛(18a)의 베이스 몸체(24a)로부터 발판(30a)으로 향한다.

    또한, 시트 장치(10a)는 두 개의 발판(110a, 110a')를 가진다. 발판(110a, 110a')은 킥 스쿠터(12a)가 구동될 때, 사용자가 자신의 발을 배치시키는 역할을한다. 발판(110a, 110a')은 베이스 몸체(24a) 상에 배치된다. 베이스 몸체(24a)와 일체가 되도록 발판(110a, 100a')이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24a)의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과 수직 부분 영역(72a)이 일체가 되도록 발판(110a, 110a')이 구성된다. 발판(110a, 110a')은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 및 수직 부분 영역(72a) 사이의 전이 영역에 성형된다. 발판(110a, 110a')은,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에 수직하고, 부표면과 부분적으로 평행하도록 베이스 몸체(24a)의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a)으로부터 각각의 경우 돌출하는 거의 삼각형의 돌출부로 형성된다. 발판(110a, 110a')은, 각각의 경우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의 방향으로 상부로 지시하는 하나의 발판 영역(112a, 112a')을 가진다. 시트 장치(10a)의 메인 연장 방향(66a)을 따라 볼 때, 여기서 발판 영역(112a, 112a')은 수직 부분 영역(72a)을 향해 약간 위쪽으로 만곡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다른 표시 성형 및/또는 발판(110a, 110a')의 배치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장치(10a)는 푸시로드 체결 유닛(148a)를 가진다. 푸시로드 체결 유닛(148a)은 선택적인 푸시로드(150a)를 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푸시로드 체결 유닛(148a)은 선택적인 푸시로드(150a)의 도구없는 체결을 위해 제공된다. 푸시로드 체결 유닛(148a)은 기능적 개구부(152a)를 가진다. 기능적 개구부(152a)는 적어도 선택적 푸시로드(150a)의 일부 영역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기능적 개구부(152a)은 저장 유닛(18a)의 베이스 몸체(24a)에 배치된다. 기능적 개구부(152a)가 베이스 몸체(24a)의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의 수직 부분 영역(72a)에서 등진 단부에 배치된다. 기능적 개구부(152a)는 베이스 몸체(24a)의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을 통해 완전히 연장된다. 기능적 개구부(152a)는 대략 수직한 방법으로 수평 부분 영역(68a)을 통해 연장된다. 기능적 개구부(152a)는 수평 부분 영역(68a)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수평 부분 영역(68a)의 하부 측면까지 연장된다. 기능적 개구부(152a)는 거의 일정한 단면을 가진다. 기능적 개구부(152a)는 거의 평탄한 원형 단면을 가진다. 잘못된 장착, 특히 회전식으로 잘못된 장착은 평탄화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다른 단면도 생각할 수 있다. 개방 몸체(26a)의 폐쇄 상태에서, 기능적 개구부(152a)는 수용 영역(20a)의 하단부에 인접한다. 상단을 향할 때, 기능적 개구부(152a)는 대기를 향해 열린다. 상단을 향한 기능적 개구부(152a)는 리드/커버(170a)로 폐쇄될 수 있다. 폐쇄 된 상태에서, 리드/커버(170a)는 기능적 개구부(152a)에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걸려있다. 폐쇄된 상태에서, 리드/커버(170a)는 기능적 개구부(152a)를 커버한다(도 8, 10, 11).

    선택적 푸시로드(150a)는 모체 푸시로드에 의해 형성된다. 푸시로드(150a)는 선택적으로 시트 장치(10a)와 킥 스쿠터(12a)를 안내하기 위해, 시트 장치(10a)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시트 장치(10a)에 앉아있는 사람, 특히 어린이가 푸시될 수 있다. 선택적 푸시로드(150a)는 체결 유닛(154a)을 가진다. 푸시로드(150a)는 체결 유닛(154a)를 경유하여 시트 장치(10a)에 체결될 수 있다. 푸시로드(150a)는 체결 유닛(154a)를 경유하여 시트 장치(10a)의 푸시로드 체결 유닛(148a)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유닛(154a)은 안내 영역(156a)을 가진다. 안내 영역(156a)은 시트 장치(10a)의 푸시 로드 체결 유닛(148a)의 기능적 개구부(152a)에 의해 안내되기 위하여 제공된다. 안내 영역(156a)은 대략 원통형 기본 형상을 가진다. 한 측면에서, 가이드 영역(156a)의 기본 형상은 평탄면(172a)을 가진다. 평탄면(172a)은 대략 원통형 기본 형상의 중심 축(174a)과 평행이 되도록 연장된다. 안내 영역(156a)는 중심 축(174a)에 수직인 평면에서 기능적 개구부(152a)의 단면에 거의 대응하는 단면을 가진다. 안내 영역(156a)은 약간의 동작으로 기능적 개구부(152a)를 통해 결합된다. 자유 단부에서, 안내 영역(156a)은 2 개의 그루브(160a, 162a)를 가진다. 그루브(160a, 162a)는 중심 축(174a)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연장된다. 그루브(160a, 162a)는 안내 영역(156a)의 기본 형상의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장착된 상태에서, 그루브(160a, 162a)를 가지는 안내 영역(156a)의 한 영역은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체결 유닛(154a)은 수용 영역(176a)을 가진다. 수용 영역(176a)은 푸시로드(150a)의 베이스 몸체(168a)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용 영역(176a)은 그루브(160a, 162a)로부터 등진 안내 영역(156a)의 측면상의 가이드 영역(156a)에 배치된다. 수용 영역(176a)은 또한 안내 영역(156a)이 기능적 개구부(152a) 내로 삽입될 때, 중지수단으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수용 영역(176a)은 장착 상태에서, 상부 수평 부분 영역(68a)의 소재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어링 영역을 가진다(도 8, 10, 11).

    또한, 선택적 푸시로드(150a)는 고정 요소(158a)를 가진다. 고정 요소(158a)는 시트 장치(10a)에 체결 유닛(154a)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 요소(158a)는 추가적으로 체결 유닛(154a)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 요소(158a)는 기능적 개구부(152a)에서 미끄러짐에 대하여 하부 측면에 상기 체결 유닛(154a)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시트 장치(10a)에 체결 유닛(154a)을 고정하는 경우, 고정 요소(158a)는 가이드 영역(156a)의 그루브(160a, 162a)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고정 요소(158a)는 안내 영역(156a)의 단부에 중심 축(174a)에 수직하는 방법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고정 요소(180a)의 웹(178a, 180a)은 그루브(160a, 162a)에 연결된다. 고정 요소(158a)는 디스크 형상의 베이스 몸체(182a)를 가진다. 고정 요소(158a) 부분적으로 고무 재료로 구성된다. 고정 요소(158a)는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방식으로 플라스틱 재료 또는 부분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요소(158a)는 T 자형 그루브(184a)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T 자 그루브를(184a)를 구분하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웹(178a, 180a)은, 장착된 상태에서, 그루브(160a, 162a)에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메인 연장 방향(186a)으로, 고정 요소(158a)의 T 자형 그루브(184a)는 고정 요소(158a)의 메인 연장 평면과 평행이 되도록 연장된다. 그루브(184a)의 T 자형 단면은 고정 요소(158a)의 메인 연장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 놓여진다. T 형 그루브(184a)는 메인 연장 평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고정 요소(158a)의 원형 메인 연장 영역(188a)을 향해 개방된다. T자형 그루브(184a)는 고정 요소(158a) 직경의 약 2/3에 걸쳐 메인 연장 방향(186a)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서, T 자형 그루브(184a)는 한쪽 단부를 향해 개방되고, 고정 요소 (158a)의 스톱(190a)을 경유하여 다른 단부를 향해 구분된다. 이와 같이, 개방 단부를 경유하여 고정 요소(158a)의 T 자형 그루브는 스톱(190a)까지 안내 영역(156a)의 단부상에 푸시될 수 있다(도 9, 11, 13, 14).

    또한, 선택적 푸시로드(150a)는 베이스 몸체(168a)를 가진다. 베이스 몸체(168a)는 신축 튜브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168a)는 복수의 신축 튜브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168a)는 동축으로 서로 내부에 있는 세 부분 튜브(192a, 192a', 192a")를 가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다른 갯수의 부분 튜브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부분 튜브(192a')가 제 1 부분 튜브(192a)와 관련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고정 요소(194a)가 제 1 부분 튜브(192a)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 3 부분 튜브(192")가 제 2 부분 튜브(192a')와 관련하여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다른 고정 요소(194a')가 고정 요소(194a)로부터 등진 제 2 부분 튜브(192a')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핸들(196a')이 다른 고정 요소(194a')와 등진 제 3 부분 튜브(192a")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장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몸체(168a)는 고정 요소(194a)에서 등진 제 1 부분 튜브(192a)의 하단부에서 체결 유닛(154a)의 수용 영역(176a)에 유지된다. 고정을 위해, 장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몸체(168a)를 둘러싸는 수용 영역(176a)이 보어를 가진다. 고정 요소(194a)로부터 등진 제 1 부분 튜브(192a)의 하단부에서 베이스 몸체(168a)는 해당 보어를 가진다.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 핀(198a)이 수용 영역(176a)의 보어와 베이스 몸체(168a)의 보어를 통해 안내되고, 상기 고정 핀(198a)은 수용 영역(176a)의 베이스 몸체(168a)를 고정한다. 고정 핀(198a)은 장착 상태에서, 고정 핀(198a)을 제위치에 유지하는 클램핑 링(200a)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램핑 링(200a)은 장착 된 상태에서, 수용 영역 (176a)을 둘러싼다(도 10, 11, 12).

    또한, 시트 장치(10a)는 수용 요소(166a)를 가진다. 수용 요소(166a)는 상기 푸시로드(150a)를 수용하기 위해 해제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푸시로드(150a)는 바람직하게는 해제된 상태로 공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수용 요소(166a)는 시트 장치(10a)의 저장 유닛(18a)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수용 요소(166a)는 개방 몸체(26a)에 의해 형성된다. 해제된 상태에서, 푸시로드(150a)는 저장 유닛(18a)의 개방 몸체(26a)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몸체(182a)는 개방 몸체(26a)내로 결합되는 크기로 축소 될 수 있다.(도. 10).

    본 발명의 네 개의 추가 실시예들은 도 15-20에 도시된다. 다음의 설명은 실질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들 사이의 차이로 제한된다. 참조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성분, 특징 및 기능과 관현하여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특히 도 1-14의 실시예의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차별화하기 위하여, 도 1-14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참조 부호의 문자는 도 15-20의 예시적인 참조 부호의 문자 b 및 e로 대체된다. 동일하게 참조된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특히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참조하는 참조는 역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특히 도 1-14의 실시예의 도면 및/또는 설명으로 원칙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5는 킥 스쿠터(12b)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시트 장치(10b)를 도시한다. 킥 스쿠터(12b)와 시트 장치(10b)는 시스템(38b)을 형성한다. 킥 스쿠터(12b)는 도 1-14의 1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킥 스쿠터(12a)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시트 장치(10b)는 제 1 체결 유닛(16b)을 가진다. 제 1 체결 유닛(16b)은 킥 스쿠터(12b)에 시트 장치(10b)를 고정하기 위해 작용한다. 제 1 체결 유닛(16b)은 킥 스쿠터(12b)의 발판(30b)에 시트 장치(10b)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작용한다. 제 1 체결 유닛(16b)은 시트 장치(10b)의 저장 유닛(18b)의 베이스 몸체(24b)와 함께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제 1 체결 유닛(16b)은 지지 표면(28b)을 가진다.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 표면(28b)은 킥 스쿠터(12b)의 발판(30b)과 관련하여 상기 시트 유닛(14b)와 저장 유닛(18b)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시트 장치(10b)의 장착 상태에서, 지지 표면(28b)은 발판(30b)에 대해 직접 지지된다. 지지 표면(28b)은 베이스 몸체(24b)의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b)과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시트 장치(10b)의 메인 연장 방향(66b)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지지 표면(28b)은 시트 장치(10b)의 메인 연장 방향(66b)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두 웹(78b, 78b')으로 구분된다. 웹(78b, 78b')은 마찬가지로 베이스 몸체(24b)의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b)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웹(78b, 78b')은 지지 표면(28b)에 거의 수직 인 방식으로 지지 표면(28b)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제 1 체결 유닛(16b)은 고정 요소(80b)를 가진다. 체결 요소(80b)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에 의해 형성된다. 체결 요소(80b)가 후크 및 루프 연결로 형성된다. 체결 요소(80b)는 두 개의 관통 개구부(114b, 114b')을 통해 안내된다. 관통 개구부(114b, 114b)는 각각의 경우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b)의 상측으로,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b)를 통해 수직한 방법으로 웹(78b, 78b) 중 하나로부터 연장된다.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b)의 상측에서, 체결 요소(80b)는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b)과 저장 유닛(18b)의 박스(74b) 사이에서 안내된다.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b)의 하측에서, 체결 요소(80b)는 두 웹,(78b, 78b') 사이에서 안내되고, 두 웹(78b, 78b') 사이의 체결 요소(80b)의 후크 및 루프 연결은 분리가능하게 달성된다. 원칙적으로, 후크 및 루프 연결 영역은 다른 영역으로 대체될 수 있다. 후크 및 루프 연결의 폐쇄 상태에서, 체결 요소(80b)는 본래 폐쇄된 테이프가 된다. 또한, 제 1 체결 유닛(16b)은 프레스 몸체(116b)를 가진다. 한 측면에서, 프레스 몸체(116b)는 발판(30b)의 하측의 2 차원 형상으로 합치되는 형상을 형성하는 이차원 형상을 가진다. 체결 요소(80b)(상세히 도시되지 않는 방법으로)는 프레스 몸체(116b)를 통해 안내된다. 프레스 몸체(116b)는 체결 요소(80b)를 경유하여 발판(30b)에 대한 이차원 형상으로 가압된다. 이에따라 시트 장치(10b)의 기밀이 보장된다.

    개방 몸체(26b)와 면하는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b) 측면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24b)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수의 가이드 레일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각 경우에 가이드 레일은 시트 장치(10b)의 메인 연장 방향(66b)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두 개의 웹으로 구성된다.

    개방 몸체(26b)의 박스(74b)는,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b)과 면하는 하부측면에 베이스 몸체(24b)의 가이드 레일(상세히 도시되지 않음)과 매치되는 두 가이드 웹(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박스(74b)의 가이드 웹은 시트 장치(10b)의 메인 연장 방향(66b)과 평행하록 연장된다. 폐쇄 상태와 같은 조립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박스(74b)의 가이드 웹은 베이스 몸체(24b)의 가이드 레일에 안내된다. 개방 될 때 개방 몸체(26b)는 가이드 웹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해제되도록 베이스 몸체(24b)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웹은 완전히 가이드 레일을 완전히 밀어 그로부터 해제된다. 원칙적으로 차단 요소가 별도로 베이스 몸체(24b)로부터 개방 몸체(26b)를 완전 분리를 배제하는 개방 몸체(26b) 및/또는 베이스 몸체(24b)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특히 예를 들어 도 1-14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안내와 같이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다른 안내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6은 킥 스쿠터(12c)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시트 장치(10c)를 도시한다. 킥 스쿠터(12c) 및 시트 장치(10c)는 시스템(38c)을 형성한다. 킥 스쿠터(12c)는 도 1-14의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킥 스쿠터(12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시트 장치(10c)는 시트 유닛(14c), 저장 유닛(18c), 제 1 체결 유닛(16c) ㅁ및 제 2 체결 유닛(34c)을 가진다. 제 1 체결 유닛(16c)의 설계 실시예를 제외하고, 시트 장치(10c)는 도 1-14의 제 1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는 안전 장치(10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시트 장치(10c)는 제 1 체결 유닛(16c)를 가진다. 제 1 체결 유닛(16c)은 킥 스쿠터(12c)에 시트 장치(10c)를 고정하기 위해 작용한다. 제 1 체결 유닛(16c)은 킥 스쿠터(12c)의 발판(30c)에 시트 장치(10c)를 해제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해 작용한다. 제 1 체결 유닛(16c)은 시트 장치(10c)의 저장 유닛(18c)의 베이스 몸체(24c)와 부분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제 1 체결 유닛(16c)은 지지 표면(28c)을 가진다.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 표면(28c)은 킥 스쿠터(12c)의 발판(30c)과 관련하여 시트 유닛(14c) 및 저장 유닛(18c)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시트 장치(10c)의 장착 상태에서, 지지 표면(28c)은 발판(30c)에 대해 직접 지지된다.지지 표면(28c)은 베이스 몸체(24c)의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c)과 일체로 구성된다. 시트 장치(10c)의 메인 연장 방향(66c)에 수직인 방향에서, 지지 표면(28c)은 시트 장치(10c)의 메인 연장 방향(66c)과 평행인 두 개의 웹 78c, 78c')으로 구분된다. 웹(78c, 78c')은 마찬가지로 베이스 몸체(24c)의 하부 수평 부분 영역(70c)과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웹(78c, 78c')은 지지 표면(28c)에 거의 수직 인 방식으로 지지 표면(28c)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제 1 체결 유닛(16c)은 두 개의 고정 요소 80c, 80c')를 가진다. 체결 요소 80c, 80c')는 각각의 경우 하나의 후크 및 루프 테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체결 요소 80c, 80c')는 각각의 경우 하나의 가시 후크 영역과 하나의 루프 영역을 가진다. 체결 요소(80c, 80c)의 각각은 웹(78c, 78c') 중 하나에 고정 배치된다. 이를 위해, 웹(78c, 78c')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브라켓(118c, 118c')을 가진다. 브래킷(118c, 118c')은 각각의 경우 관련된 웹(78c, 78c')의 베이스 몸체 양단부에 고정연결된다. 체결 요소(80c, 80c)는 각각의 경우 관련된 웹(78c, 78c')의 베이스 몸체와 브라켓(118c, 118c')사이에서 안내되고 브라켓을 둘러싸도록 브라켓(118c, 118c')에 봉합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웹(78c, 78c')에 체결 요소(80c, 80c')를 체결하는 다른 형태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 체결 유닛(16c)은 프레스 몸체(116c)를 가진다. 한 측면에서, 프레스 몸체(116c)는 발판(30c)의 하부면의 2 차원 형상에 합치하는 형상을 형성하는 이차원 형상을 가진다. 프레스 몸체(116c)는 이 차원 형상으로부터 등진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브래킷 120c, 120c')를 가진다. 장착을 위해, 프레스 몸체(116c)는 발판(30c)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체결 요소(80c, 80c')는 브래킷(120c, 120c')을 통해 하부로 안내되고 그후 후크 및 루프 연결에 의해 다시 자신에게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킥 스쿠터(12c)에 시트 장치(10c)의 바람직한 체결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프레스 몸체(116c)는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이 발판(30c)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장치(10c)의 타이트한 유지가 보장될 수 있다.

    도 17은 킥 스쿠터(12d')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시트 장치(10d)를 도시한다. 킥 스쿠터(12d') 및 시트 장치(10d)는 시스템(38d)을 형성한다. 다른 크기를 제외하고, 킥 스쿠터(12d')는 도 1-14의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킥 스쿠터 (12a)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다. 특히, 킥 스쿠터(12d')는 도 1-14의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킥 스쿠터 (12a)와 비교할때 동일한 기능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1 내지 14의 제 1 실시 예의 킥 스쿠터(12a)의 설명 역시 특히 킥 스쿠터 12d')에 적용될 수 있다.

    시트 장치(10d)는 시트 유닛(14d), 저장 유닛(18d), 제 1 체결 유닛(16d), 및 제 2 체결 유닛(34d)을 가진다.

    시트 장치(10d)는 저장 유닛(18d)을 가진다. 저장 유닛(18d)은 베이스 몸체(24d)와 상기 베이스 몸체(24d)에 관련하여 이동 가능한 개방 몸체(26d)를 가진다. 베이스 몸체(24d)는 공동을 형성한다. 베이스 몸체(24d)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24d)는 사다리꼴 풋프린트를 갖는 프리즘의 형태를 가지며 사다리꼴 풋프린트는 베이스 몸체(24d')의 측면 영역(122d, 122d')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 몸체(24d)는 두 개의 사다리꼴 측면 영역(122d, 122d')을 가진다. 여기서, 사다리꼴의 긴 측면은 발판(30d)을 등진 측면에 위치한다. 하나만이 보여지는 한 검사경(124d)은 각각의 경우 측면 영역(122d, 122d')에 위치한다. 검사경(124d)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특히 검사경(124d)으로 베이스 몸체(24d)의 공동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몸체(24d)는 재료 상부 측면(126d), 재료 전방 측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 및 재료 하부 측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베이스 몸체(24d)의 후방 측면은 개방된다. 시트 장치(10d)에 장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몸체의 하부 측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은 킥 스쿠터(12d')의 발판(30d)을 직접 지지한다. 시트 장치(10d)의 장착 상태에서, 베이스 몸체(24d)의 전방 측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은 킥 스쿠터(12d')의 조향로드(32d)와 면한다.

    개방 몸체(26d)는 베이스 몸체(24d)의 개방된 후방 측면에 배치된다. 개방 몸체(26d)는 플랩에 의해 형성된다. 폐쇄 상태에서 개방 몸체(26d)는 베이스 몸체(24d)의 후방 측면을 폐쇄하고, 잠근다. 베이스 몸체(24d)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개방 몸체(26d)가 장착된다. 개방 몸체(26d)는 회전축(128d)에 의해 베이스 몸체(24d)와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다. 베이스 몸체(24d)의 경우, 회전축(128d)은 베이스 몸체(24d)의 하부 측면 및 베이스 몸체(24d)의 후방 측면에 인접한 측면 영역(122d)사이에 형성된다. 개방 몸체(26d)의 경우, 회전축(128d)은 하부 영역(130d)에 배치된다. 회전축(128d)은 베이스 몸체(24d)의 측면 영역(122d) 상의 두 개의 핀과 개방 몸체(26d)의 두 리세스에 의해 구현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회전축(128d)의 또 다른 구현 및/또는 배치도 생각할 수 있다. 래치 장치(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는 개방 몸체(26d)의 대향된 하부 단부 영역(130d)에 대향된 개방 몸체(26d)의 상부 단부 영역(132d)의 내부 측면에 배치된다. 개방 몸체(26d)의 폐쇄상태에서, 래치 장치(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는 베이스 몸체(24d)의 상부 측면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개방 몸체(26d)는 핸들 리세스(134d)를 가진다. 개방 몸체(26d)는 핸들 리세스(134d)를 사용하여 래치상태를 풀고 개방시킬 수 있다. 개방 몸체(26d)는 실질적으로 부분적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 몸체(24d)는 조명 요소(104d)를 가진다. 조명 요소(104d)는 베이스 몸체(24d)의 공동 내에 통합된다. 조명 요소(104d)는 상기 공동을 조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거기에서, 공동 내의 빛은 검사경(124d)과 투명 개방 몸체(26d)를 통해 빔이 외부로 투사될 수 있다. 조명 요소(104d)에 의해 베이스 몸체(24d)은 내측으로부터 조명될 수 있다. 조명 요소(104d)는 조명 요소(104d)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스위치 요소(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스위치 요소는 더 상세하게 표시되지 않는 방식으로 베이스 몸체(24d)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조명 요소(104d) 및/또는 스위치 요소(상세히 도시되지 않는)가 개방 몸체(26d)에 통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유닛(18d)은 수용 영역(20d)을 가진다. 수용 영역(20d)은 객체(22d)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단지 예시 목적의 객체(22d)가 도시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사업자에게 의미있는 다른 객체가 수용 영역(20d)에 수용 될 수 있다. 수용 영역(20d)은 실질적으로 베이스 몸체(24d)에 의해 구분된다. 수용 영역(20d)은 베이스 몸체(24d)의 공동에 의해 형성된다. 한 상태에서, 수용 영역(20d)은 거의 완전히 밀폐된다. 닫힌 상태에서, 수용 영역(20d)은 거의 완전히 밀폐된다. 수용 영역(20d)은 베이스 몸체(24d)에 의한 5개의 공간 방향으로 구분된다. 또한, 수용 영역(20d)은 개방 몸체(26d)에 의해 여섯 번째 공간 방향으로 대략 완전히 구분된다. 수용 영역(20d)은 개방 몸체(26d)에 의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방 몸체(26d)는, 핸들 리세스(134d)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져서 래치상태에서 해제된다. 개방 몸체(26d)는 이제 회전축(128d)에 의해 접힐 수 있다. 여기서 개방 몸체(26d)는 닫힌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한다.

    시트 장치(10d)는 또한 시트 유닛(14d)을 가진다. 시트 유닛(14d)은 덧댄 시트 표면(108d)과 시트 요소(106d)를 가진다. 시트 요소(106d)는 부분적으로 시트 표면(108d)이 부드럽게 덧대지도록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시트 요소(106d)의 다른 구성 재료도 생각할 수 있다. 시트 요소(106d)는 대략 타원형의 기본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또 다른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유닛(14d)은 저장 유닛(18d)과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트 유닛(14d)은 유닛(18d)의 베이스 몸체(24d)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시트 유닛(14d)은 저장 유닛(18d)의 베이스 몸체(24d)에 접착 결합된다. 시트 유닛(14d)의 시트 요소(106d)는 접착제로 상기베이스 몸체(24d)의 상측 126d에 결합된다. 시트 유닛(14d)의 시트 요소(106d)는 베이스 몸체(24d)의 상부 측면(126d)에 가압 접착된다.

    사용시, 사용자가 시트 유닛(14d)의 시트 표면(108d)에 앉는 경우. 사용자의 체중은 시트 유닛(14d)을 경유하여 저장 유닛(18d)의 베이스 몸체(24d)로 이동한다. 저장 유닛(18d)의 베이스 몸체(24d)에서 체중이 발판(30d)으로 이동한다.

    시트 장치(10d)의 제 2 체결 유닛(34d)은 킥 스쿠터(12d')의 조향로드(32d)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 2 체결 유닛(34d)은 시트 장치(10d)의 저장 유닛(18d)의 베이스 몸체(24d)와 일체로 구성된다. 제 2 체결 유닛(34d)은 수용 요소(36d)를 가진다. 킥 스쿠터(12d')에 시트 장치(10d)가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 요소(36d)는 킥 스쿠터(12d')의 조향로드(32d)를 포함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킥 스쿠터(12d')에 시트 장치(10d)가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 요소(36d)는 조향로드(32d)의로드 영역(58d)를 둘러싸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시트 장치(10d)의 장착 상태에서, 수용 요소(36d)는, 조향로드(32d)가 킥 스쿠터(12d')의 베이스 몸체(40d)에 연결되는 킥 스쿠터(12d')의 수용 영역(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둘러싼다. 수용 요소(36d)는 베이스 몸체(24d)의 전방 측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배치된다. 수용 요소(36d)는 환형으로 구성된다. 제 2 체결 유닛(34d)의 수용 요소(36d)는 한 평면에서 폐쇄된 중단 외형을 갖는 관통 개구부(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장착 된 상태에서, 조향로드(32d)는 관통 개구부를 통해 연결된다. 시트 장치(10d)의 제 2 체결 유닛(34d)을 킥 스쿠터(12d')에 체결하기 위하여, 조향로드(32d)는 베이스 몸체(40d)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여기서, 조향로드(32d)는 래치 메커니즘(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해제함으로써 베이스 몸체(40d)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다른 연결 메커니즘도 생각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연결의 수립 및/또는 해제를 위해 공구가 필요한 메커니즘도 여기서 생각할 수 있다. 그 후, 시트 장치(10d)는 킥 스쿠터(12d)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제 1 체결 유닛(16d)에 의해 고정된다. 다음 단계에서, 조향로드(32d)는 그 메인 연장 방향(56d)을 따라 제 2 체결 유닛(34d)의 관통 개구부를 통해 킥 스쿠터(12d')의 베이스 몸체(40d)로 향하고 이어서 거기에 래치된다.

    도 18은 시트 장치(10d), 어댑터 장치 136d, 및 킥 스쿠터(12d)를 도시한다. 시트(10d) 장치, 어댑터 장치(136d) 및 킥 스쿠터(12d)는 한 시스템을 형성한다. 도 1-14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킥 스쿠터(12a)과 동일하도록 킥 스쿠터(12d)가 구성된다.

    시트 장치(10d)의 장착 상태에서, 어댑터 장치(136d)는 킥 스쿠터(12d)의 발판(30d)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킥 스쿠터(12d)에 고정된다. 또한, 장착 상태에서, 어댑터 장치(136d)는 시트 장치(10d)의 제 1 체결 유닛(16d)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해제가능한 방법으로 연결된다. 어댑터 장치(136d)는 저장 유닛(18d)의 베이스 몸체(24d)의 하부 측면 및 킥 스쿠터(12d)의 발판(30d)의 상부 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어댑터 장치(136d)는 시트 장치(10d)의 높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따라 다양한 시트 높이가 예를 들면 다양한 어댑터 장치(136d)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따라 시트 장치(10d)는 어댑터 장치(136d) 킥 스쿠터(12d)에-마찬가지로 어댑터 장치(136)없이 킥 스쿠터(12d')- 둘다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다른 킥 스쿠터 및 다른 차량을 위한 다른 어댑터 장치(136d)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9는 킥 스쿠터(12e')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시트 장치(10e)를 도시한다. 킥 스쿠터(12e')및 시트 장치(10e)는 시스템(38e)을 형성한다. 도 17 및도 18의 제 4 실시 예에서 설명한 킥 스쿠터(12e')는 킥 스쿠터(12d')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시트 장치(10e)는 시트 유닛(14e), 저장 유닛(18e), 제 1 체결 유닛(16e), 및 제 2 체결 유닛(34e)를 가진다.

    시트 장치(10e)는 저장 유닛(18e)를 가진다. 저장 유닛(18e)은 베이스 몸체(24e) 및 상기 베이스 몸체(24e)에 관하여 이동 가능한 개방 몸체(26e)를 가진다. 베이스 몸체(24e)는 공동을 형성한다. 베이스 몸체(24e)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24e)는 대략 사다리꼴 풋프린트를 가지는 프리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사다리꼴 풋프린트는 베이스 몸체(24e)의 측면 영역(122e, 122e')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 몸체(24e)는 대략 사다리꼴 측면 영역(122e, 122e')을 가진다. 여기서, 사다리꼴의 긴 측면은 발판(30e)을 등진 측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베이스 몸체(24e)는 재료 후방 측면(138e), 재료 전방 측면(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 및 재료 하부 측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베이스 몸체(24e)의 상부 측면은 개방된다. 베이스 몸체(24e)의 하부 측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은, 시트 장치(10e)의 장착 상태에서, 킥 스쿠터(12e')의 발판(30e)에 직접 지지된다. 베이스 몸체(24e)의 전방 측면(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은 시트 장치(10e)의 장착 상태에서, 킥 스쿠터(12e')의 조향로드(32e)와 면한다. 후방 측면(138e)의 영역에서베이스 몸체(24e)의 후방 영역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외부 벽을 통해 베이스 몸체(24e)의 공동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개방 몸체(26e)는 베이스 몸체(24e)의 개방된 상부 측면에 배치된다. 개방 몸체(26e)는 플랩에 의해 형성된다. 폐쇄 상태에서, 개방 몸체(26e)는 베이스 몸체(24e)의 상부를 폐쇄하고, 베이스 몸체를 잠근다. 개방 몸체(26e)는 베이스 몸체(24e)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개방 몸체(26e)는 회전축(140e)에 의해 베이스 몸체(24e)와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다. 베이스 몸체(24e)의 경우, 회전축(140e)은 베이스 몸체(24e)의 개방된 상부 측면 및 베이스 몸체(24e)의 전방 측에 근접한 외측 영역(122e) 사이에 형성된다. 개방 몸체(26e)의 경우, 회전축(140e)은 전방 단부 영역(142e)에 배치된다. 회전축(140e)은 힌지에 의해 구현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회전축(140e)의 다른 실시예 및/또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핸들(146e)은 개방 몸체(26e)의 전방 단부 영역(142e)과 대향된 개방 몸체(26e)의 후방 단부 영역(144e)에 배치된다. 핸들(146e)에 의해 개방 몸체(26e)는 베이스 몸체(24e)와 관련하여 이동될 수 있다. 개방 몸체(26e)는 핸들(146e)에 의해 각각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몸체(24e)는 조명 요소(104e)를 가진다. 조명 요소(104e)는 베이스 몸체(24e)의 공동 내에 통합된다.

    또한, 저장 유닛(18e)은 수용 영역(20e)을 가진다. 수용 영역(20e)은 객체(22e)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용 영역(20e)은 실질적으로 베이스 몸체(24e)로 구분된다. 수용 영역(20e)는 베이스 몸체(24e)의 공동에 의해 형성된다. 한 상태에서, 수용 영역(20e)은 대략 완전히 밀폐된다. 닫힌 상태에서, 수용 영역(20e)은 대략 완전히 밀폐된다. 수용 영역(20e)는 베이스 몸체(24e)에 의한 5개의 공간 방향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수용 영역(20e)은 개방 몸체(26e)에 의해 여섯번째 공간 방향으로 대략 완전히 구분된다. 수용 영역(20e)은 개방 몸체(26e)에 의한 접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방 몸체(26e)는 핸들(146e)에 의해 상부로 요동된다. 여기서 개방 몸체(26e)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한다.

    시트 장치(10e)는 또한 시트 유닛(14e)을 가진다. 시트 유닛(14e)은 덧대진 시트 표면(108e)을 가진 시트 요소(106e)를 가진다. 시트 요소(106e)는 부분적으로 시트 표면(108e)이 부드럽게 덧대지는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의미있는 시트 요소(106e)의 다른 재료로 구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있다. 저장 유닛(18e)과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 유닛(14e)을 구성한다. 저장 유닛(18e)의 개방 몸체(26e)와 통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 유닛(14e)을 구성한다. 시트 유닛(14e)은 상기 저장 유닛(18e)의 개방 몸체(26e)에 접착된다. 시트 유닛(14e)의 시트 요소(106e)는 개방 몸체(26e) 상부 측면에 접착된다. 시트 유닛(14e)의 시트 요소(106e)는 개방 몸체(26e)의 전체 상부 측면에 걸쳐 연장된다.

    사용시, 사용자가 시트 유닛(14e)의 시트 표면(108e)에 앉다. 사용시, 사용자의 체중은 시트 유닛(14e)을 경유하여 저장 유닛(18e)의 베이스 몸체(24e)로 이동한다. 저장 유닛(18e)의 베이스 몸체(24e)로부터 체중이 발판(30e)으로 이동한다.

    시트 장치(10e)의 제 2 체결 유닛(34e)은 킥 스쿠터(12e')의 조향로드(32e)에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 2 체결 유닛(34e)은 도 17 및 도 18의 제 4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제 2 체결 유닛(34d)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20 시트 장치(10e), 어댑터 장치(136e), 및 킥 스쿠터(12e)를 도시한다. 시트 장치(10e), 어댑터 장치(136e) 및 킥 스쿠터(12e)는 한 시스템을 형성한다. 킥 스쿠터(12e)는 도 1-14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킥 스쿠터(12a)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어댑터 장치(136e)는 도 17 및 18의 제 4 실시예에 설명된 어댑터 장치(136d)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