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

申请号 KR1020160174786 申请日 2016-12-20 公开(公告)号 KR101761776B1 公开(公告)日 2017-07-26
申请人 주식회사 씨엠파트너; 发明人 이병세;
摘要 본발명은윈치를이용하여고중량의배터리를승강시키며착탈시키기용이한전기구동식이륜차량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전륜 및 후륜이 설치되고, 상기 전륜 및 후륜 사이에 배터리브라켓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윈치;
    상기 윈치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배터리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배터리브라켓이 결합되는 수평프레임부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전방수직프레임부 및 후방수직프레임부와,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하부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부는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의 하부 중 일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제1바 및 타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제2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 및 제2바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회전축에 상기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양측에 스탠드바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주차시, 상기 스탠드바의 타단부가 지면을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이 직립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배터리브라켓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양단부에 걸림부가 구비되며,
    전후로 배치된 상기 배터리브라켓의 마주보는 면에는 지지부재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은 상기 배터리브라켓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윈치는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윈치의 케이블은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늘어뜨려지며, 상기 윈치의 케이블 단부에 구비된 후크를, 상기 배터리 상부에 구비된 상부고리에 걸어 상기 배터리를 승강시킬 수 있고,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고리를 포함하는 클램핑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클램핑부재의 레버를 토글 방식으로 작동시켜 상기 걸림부에 대해 상기 고리가 걸리고,
    상기 배터리의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스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 및 후방수직프레임부 사이에 상기 배터리가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 Electrical driving type vehicle having two-wheels }

    본 발명은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으로는 일본등록특허 제5658538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전동 이륜차는 복수의 프레임 부재가 용접 등으로 일체로 구성된 강제의 차체 프레임을 구비하고, 차체 프레임은 헤드 파이프와 헤드 파이프에서 후하방으로 연장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 후단에 용착되고 후상방에 연장되어 그 후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리어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리어프레임의 하부에는 후방에 내다 붙이도록 판형 좌우 한쌍의 피벗 플레이트가 용착되고 피벗 플레이트의 전방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리어프레임 사이에는 좌우 한쌍의 서포트 프레임이 용착되어 가설되어 있다. 각 프레임은 알루미늄 합금제의 파이프재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에는 좌우 한쌍의 프론트 포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프론트 포크의 하부에 전륜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론트 포크의 상부에 조향 핸들이 고정되어 조향 핸들에는 액셀 그립, 브레이크 레버 등의 각종 조작 기기가 배설되어 있다. 조향 핸들의 후방에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가 배치되어 시트는 차체 전후 방향 중앙에서 후륜 후부 부근까지 연재한다. 후륜은 스윙 유닛 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스윙 유닛은 그 전부를 피벗축을 통해 피벗 플레이트에 지지됨으로써, 피벗축을 축중심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윙 유닛 후부와 좌측의 리어프레임 사이에는 완충기인 리어 쿠션이 개재되어 있다.

    스윙 유닛은 전동 모터와 기어 기구를 유닛 케이스에 수용해 구성되고 또한 유닛 케이스는 그 상부에 ECU(Electrical Control Unit)와 PDU(Power Drive Unit)를 유닛화한 제어 유닛을 수용하고 있다. ECU는 차량의 각종 제어를 통괄적으로 실행하고, PDU는 ECU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한다. 기어 기구는 발진 클러치 및 유성기어 등을 포함하고 기어 기구에 의해 전동 모터의 구동이 후륜에 단계적으로 전달된다. 후륜은 전동 모터가 구비하는 드라이브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 구동한다.

    배터리유닛은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전후로 늘어선 전브래킷 및 후브래킷에 체결되어서 지지되어 있다. 배터리유닛은 컨택터에 제1선(하니스)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컨택터는 좌측의 리어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체결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컨택터는 제1선을 통해 배터리유닛과 접속함과 동시에, 제2선을 통해 PDU에 전기적으로 접속해 PDU에 전력을 공급한다. 컨택터는 후술하는 DC-DC컨버터과도 접속하고 있어, DC-DC컨버터에 의해 배터리유닛으로부터의 전압을 강압해 ECU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DC-DC컨버터는 차체 적소에 설치되어 있다. PDU와 전동 모터는 제3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동 이륜차에서는 배터리유닛으로부터의 전력이 메인 스위치와 연동하는 컨택터를 통해 모터 드라이버인 PDU에 공급되고 PDU에서 직류에서 3상 교류로 변환된 후에 3상 교류 모터인 전동 모터에 공급된다. 또한 배터리유닛으로부터의 출력전압은 상기 DC-DC컨버터를 통해 강압되고, 예를 들면 12 V의 서브 배터리나 계기류 등의 일반 전장 부품 및 ECU 등의 제어계 부품에 공급된다.

    한편, 중국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2764937호에 기재된 전기버스에는, 하부에 롤러가 설치된 배터리를 윈치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배터리는 차량 일측에 걸쳐진 사판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차량 내부의 배터리 객실로 이동된다.

    그러나, 일본등록특허 제5658538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의 주행 거리는, 배터리 용량에 의존하는데, 배터리 용량이 커질수록 배터리유닛의 중량이 증가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 작업자가 직접 착탈하며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국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2764937호에 기재된 기술은 고중량의 배터리를 설치하기에 용이하지만, 이륜 차량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5658538호

    중국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276493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윈치를 이용하여 고중량의 배터리를 승강시키며 착탈시키기 용이한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은, 전륜 및 후륜이 설치되고, 상기 전륜 및 후륜 사이에 배터리브라켓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윈치; 상기 윈치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배터리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시, 상기 프레임이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브라켓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양단부에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고리를 포함하는 클램핑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클램핑부재의 레버를 토글 방식으로 작동시켜 상기 걸림부에 대해 상기 고리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배터리브라켓이 결합되는 수평프레임부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전방수직프레임부 및 후방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 및 후방수직프레임부 사이에 상기 배터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프레임부와,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양측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 스탠드바를 더 포함하되, 주차시, 상기 스탠드바의 타단부가 지면을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이 직립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캐스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작업자가 윈치에 의해 고중량의 배터리를 승강시키며 착탈시키기 용이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없다.

    또한, 주차시, 프레임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직립 상태를 유지하여, 윈치를 통해 배터리를 상하로 승강시키며 착탈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클램핑부재의 레버를 토글 방식으로 작동시켜 배터리브라켓의 걸림부에 대해 클램핑부재의 고리가 걸림으로써, 배터리브라켓에 대해 배터리가 이격없이 설치되어 견고히 지지된다.

    또한, 전방수직프레임부와 후방수직프레임부 사이에 배터리가 위치되어, 배터리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제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프레임부의 양측에 스탠드바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스탠드바의 타단부가 지면을 지지하여, 주차시 프레임이 직립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배터리를 상하로 승강시키며 배터리브라켓의 걸림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다.

    또한, 배터리를 지지하는 캐스터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배터리를 이동시키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배터리의 사시도.
    도 4는 프레임 하부에 배터리 수용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프레임에서 배터리가 설치되는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
    도 6은 걸림부와 클램핑부재의 결합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1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12) 및 후륜(114)이 설치되고, 전륜(112) 및 후륜(114) 사이에 배터리브라켓(200)을 포함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설치된 윈치(140);와, 윈치(140)에 의해 승강하며 배터리브라켓(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100)의 프레임(110)은, 전방에 전륜(1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에 후륜(1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후륜(114) 측에 모터(139)가 배치되어 후륜(114)의 회전축과 연결되되, 모터(139)는 후술할 배터리(150)와 전력케이블(156)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기전력을 제공받아 후륜(114)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100) 및 전력케이블(156)을 통한 배터리(150)와 모터(139) 사이의 기전력 제공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과,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5403호 등 종래에 많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종래기술을 참고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는 프레임(110) 및 배터리(150) 설치 구조를 중심으로 상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110)은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조향부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 삽입된 전방경사프레임부(115)와, 전방경사프레임부(115)의 후방에 결합되어 배터리브라켓(200)이 결합되는 수평프레임부(120)와, 수평프레임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전방수직프레임부(122) 및 후방수직프레임부(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후방수직프레임부(126)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프레임부(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 전륜(1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향부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파지하여 이륜 차량(100)을 조향할 수 있도록 손잡이(116)가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수평프레임부(120)는 전방경사프레임부(115)의 후방에 결합되어,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100)의 후방부까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평프레임부(120)의 중앙부 상부에는 윈치(140)와, 운전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220)가 설치되되, 시트(220)는 윈치(140)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윈치(140)에 감겨진 케이블(142)은 도 2와 같이, 수평프레임부(120)를 관통하여 하부로 늘어뜨려지며, 케이블(142)의 단부에는 후크(143)를 포함한다. 작업자(운전자 등)는 윈치(140)에 결합된 손잡이(145)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후술할 배터리(150)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윈치(140)에 대한 자세한 구조는 한국공개특허 제2000-0058502호를 참고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수평프레임부(120)의 후방 상부에는 수납박스(230)가 설치된다. 수납박스(230)는 배달용 물품(식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납박스(230)의 상부를 개폐가능하도록 뚜껑이 힌지 결합된다. 수납박스(230)는 시트(220)의 후방에 위치된다.

    또한, 수평프레임부(120)의 후방 하부에는 컨트롤러(240)가 설치된다. 컨트롤러(240)는 ECU(Electrical Control Unit)와 PDU(Power Drive Unit)를 포함하여, 모터(139)의 구동을 제어하는 등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100)에 대한 각종 제어를 담당한다.

    한편, 전방수직프레임부(122) 및 후방수직프레임부(126)는, 수평프레임부(120)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수직프레임부(122) 및 후방수직프레임부(126) 사이에 배터리(150)가 위치된다.

    또한, 전방수직프레임부(122)의 하부에는 운전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발판(124)이 결합된다.

    또한, 후방수직프레임부(126)는 전방수직프레임부(122)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되고, 후방수직프레임부(126)의 하단부에는 좌우측으로 수평 연장된 연장부(1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127), 다시 말해 후방수직프레임부(126)의 하부의 양측에 하부프레임부(130)의 전방부가 결합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하부프레임부(130)는 후방수직프레임부(126)의 하부 중 일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제1바(130a) 및 타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제2바(130b)를 포함하고, 제1바(130a) 및 제2바(130b)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회전축에 후륜(11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프레임부(130)의 제1바(130a) 및 제2바(130b)는 서로 이격되되, 그 둘의 중앙부는 복수 개의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모터(139)가 설치된다.

    또한, 하부프레임부(130)의 제1바(130a) 및 제2바(130b)는, 각각 쇼크업소버(129)를 통해 수평프레임부(120)의 후방부와 연결된다. 쇼크업소버(129)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쇼크업소버(129)는 스프링이 내장된 것이다.

    또한, 하부프레임부(130)의 양측에는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 스탠드바(133)를 더 포함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두 개의 스탠드바(133)의 일단부가, 각각 하부프레임(110)의 제1바(130a) 및 제2바(130b)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스탠드바(133)는 연결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 가능하다.

    그래서, 도 1과 같이, 주차시 스탠드바(133)가 펼쳐진 상태로, 스탠드바(133)의 타단부가 지면을 지지하여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100)의 프레임(110)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주차시, 전방수직프레임부(122) 및 후방수직프레임부(126)이 상하 방향으로 갈수록 어느 일측으로 경사지지 않고, 상하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부의 수평프레임부(120)도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어느 일측으로 경사지지 않고, 또한, 프레임(110)의 중심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으며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윈치(140)를 통해 배터리(150)를 상하로 수직 승강시키며 배터리브라켓(200)에 착탈시키기 용이하다. 윈치(140)에 의해 배터리(150)를 승강시키며 착탈시키는 내용은 뒤에서 다시 상술하도록 한다.

    또한, 하부프레임(110)의 제1바(130a) 및 제2바(130b)와, 스탠드바(133)의 일측에, 스프링(135)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스프링(135)은 스탠드바(133)에 초기 위치(접혀진 상태)로의 복귀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는, 전방수직프레임부(122)와 후방수직프레임부(126) 사이에 위치되는 배터리(150)와, 배터리브라켓(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배터리브라켓(200)은, 수평프레임부(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방수직프레임부(122)와 후방수직프레임부(126)의 사이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방수직프레임부(122)와 수평프레임부(120)가 만나는 모서리부와, 후방수직프레임부(126)와 수평프레임부(120)가 만나는 모서리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된다.

    배터리브라켓(20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되, 양단부가 수평프레임부(12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전후로 배치된 두 개의 배터리브라켓(200)의 마주보는 면에는 지지부재(205)가 각각 결합된다. 지지부재(205)의 일측은 배터리브라켓(2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수평프레임부(120)의 하면에 결합되어 그 둘을 견고히 결합시킨다. 두 개의 지지부재(205)에서 마주보는 부분은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아치 형상을 이룬다.

    한편, 수평프레임부(120)의 좌우측으로 돌출된 배터리브라켓(200)의 양단부에, 걸림부(202)가 구비된다. 걸림부(202)에는 후술할 배터리(150)의 클램핑부재(170)의 고리(172)가 걸려 체결된다. 또한, 보다 자세하게, 도 5 및 도 6과 같이, 걸림부(202)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조금 만곡된 만곡부(207)가 형성된다. 클램핑부재(170)의 고리(172)는 만곡부(207)에 걸린다.

    배터리(15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수직프레임부(122)와 후방수직프레임부(126) 사이의 공간(105)에 배치되어 설치된다. 배터리(150)의 하부에는 배터리(15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캐스터(152)가 구비된다. 캐스터(152)는 배터리(150) 하부의 네 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된다. 각각의 캐스터(152)는 배터리(15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도 4와 같이, 캐스터(152)를 통해 작업자가 배터리(150)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전방수직프레임부(122)와 후방수직프레임부(126)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다.

    배터리(150)의 상부에는, 윈치(140)의 케이블(142) 단부에 구비된 후크(143)를 걸 수 있도록 상부고리(154)가 돌출되어 있다. 상부고리(154)는 배터리(150) 상면 중심에 구비된다.

    상부고리(154)에 후크(143)를 건 상태에서, 작업자가 윈치(140)의 손잡이(145)를 회전시켜, 배터리(150)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고, 배터리(150)가 후크(143)에 걸려 매달린 상태로 후술할 클램핑부재(170)의 고리(172)를 걸림부(202)에 걸어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50) 승강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고, 작업자가 어디서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터리(150)의 좌우 측면의 상부에는 걸림부(202)에 걸리는 고리(172)를 포함하는 클램핑부재(170)가 설치된다. 클램핑부재(170)를 통해 배터리브라켓(200)의 걸림부(202)에 배터리(15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램핑부재(170)는 도 3 및 도 6과 같이, 배터리(150) 외면에 결합된 힌지부(도면 부호 미도시)와,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74)와, 몸체(174)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레버(176)와, 몸체(174)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걸림부(202)의 만곡부(207)에 일측이 걸리는 고리(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74)와 레버(176)는 일체로 형성된다.

    클램핑부재(170)의 고리(172)를 걸림부(202)의 만곡부(207)에 걸어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174)와 레버(176)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면서 고리(172)가 걸림부(202)의 만곡부(207)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다. 그 후, 몸체(174)와 레버(176)를 최초 위치로 다시 원위치되도록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하측 방향으로 내리면 만곡부(207)와 고리(172) 사이가 이격없이 견고하게 걸려 체결된다. 다시 말해, 클램핑부재(170)의 레버(176)를 토글 방식으로 작동시켜 걸림부(202)에 대해 고리(172)가 걸리도록 하는 것으로, 클램핑부재(170)의 레버(176)를 들어올리며 만곡부(207)상에 고리(172)를 위치시킨 후, 클램핑부재(170)의 레버(176)를 다시 하측으로 눌러서 걸림부(202)의 만곡부(207)와 고리(172)가 이격없이 견고히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배터리(150)의 상면은 배터리브라켓(200)의 하면에 접하여 밀착된다.

    또한, 몸체(174)의 중앙부에는 잠금편(177)이 관통되는 관통구(178)가 형성되고, 잠금편(177)에 자물쇠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174)의 일측면에는 고리(172)와 걸림부(202)가 견고히 걸려 체결된 상태를 해제시켜 걸림부(202)의 만곡부(207)와 고리(172)의 걸림상태를 이완시킬 수 있는 누름부(17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클램핑부재(170)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공개특허 제2009-183424호 및 일본등록특허 제2668345호를 참고하기로 한다.

    클램핑부재(170)를 이용하여 배터리(150)를 배터리브라켓(200)에 설치한 후에는, 배터리(150)에 전력케이블(156)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케이블(156)을 통해 배터리(150)로부터 모터(139)에 기전력을 전달하여 후륜(114)을 구동시키게 된다. 전력케이블(156)을 통한 기전력 전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전술한 종래기술과,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5403호를 참고하기로 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구동식 이륜 차량(100)은, 작업자가 윈치(140)에 의해 고중량의 배터리(150)를 승강시키며 착탈시키기 용이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없다. 그리고 프레임(11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직립 상태를 유지하여, 윈치(140)를 통해 배터리(150)를 상하로 승강시키며 착탈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클램핑부재(170)의 레버(176)를 토글 방식으로 작동시켜 배터리브라켓(200)의 걸림부(202)에 대해 클램핑부재(170)의 고리(172)가 걸림으로써, 배터리브라켓(200)에 대해 배터리(150)가 이격없이 설치되어 견고히 지지된다.

    또한, 전방수직프레임부(122)와 후방수직프레임부(126) 사이에 배터리(150)가 위치되어, 배터리(150)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제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프레임부(130)의 양측에 스탠드바(133)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스탠드바(133)의 타단부가 지면을 지지하여, 주차시 프레임(110)이 직립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배터리(150)를 상하로 승강시키며 배터리브라켓(200)의 걸림부(202)에 설치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이륜 차량 105: 공간
    110: 프레임 112: 전륜
    114: 후륜 115: 전방경사프레임부
    116: 손잡이 120: 수평프레임부
    122: 전방수직프레임부 124: 발판
    126: 후방수직프레임부 127: 연장부
    129: 쇼크업소버 130: 하부프레임부
    130a: 제1바 130b: 제2바
    133: 스탠드바 135: 스프링
    139: 모터
    140: 윈치 142: 케이블
    143: 후크 145: 손잡이
    150: 배터리 152: 캐스터
    154: 상부고리 156: 전력케이블
    170: 클램핑부재 172: 고리
    174: 몸체 175: 누름부
    176: 레버 177: 잠금편
    178: 관통구 200: 배터리브라켓
    202: 걸림부 205: 지지부
    207: 만곡부 220: 시트
    230: 수납박스 240: 컨트롤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