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

申请号 KR1020050078567 申请日 2005-08-26 公开(公告)号 KR1020060050677A 公开(公告)日 2006-05-19
申请人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우에노마사키; 사이토도시카즈; 스파쳇산프롬;
摘要 기립 위치 및 격납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스탠드를, 상기 기립 위치에서 록하는 록 상태 및 그 록 상태를 해제한 언록 상태를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 가능한 스탠드록 장치를 구비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수납 박스의 용적을 증대해도 조작 레버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높인다.
조작 레버(83)가 승차용 시트(45)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0)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30)의 전벽(30c)에 조작 가능하게 지지된다.
权利要求
  • 기립 위치 및 격납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15)에 부착되는 스탠드(32)를, 상기 기립 위치에서 록하는 록 상태 및 그 록 상태를 해제한 언록 상태를 조작 레버(83)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 가능한 스탠드록 장치(81)를 구비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로서, 상기 조작 레버(83)가 승차용 시트(45)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0)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30)의 전벽(前壁;30c)에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30)의 후벽(30e)에 이 후벽(30e)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팽출된 소품 박스(69)를 형성하는 물건 수납부(68)가 연달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
  • 기립 위치 및 격납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15)에 부착되는 스탠드(32)를, 상기 기립 위치에서 록하는 록 상태 및 그 록 상태를 해제한 언록 상태를 조작 레버(83)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 가능한 스탠드록 장치(81)를 구비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15)은 프론트 포크(17)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6)로부터 뒤로 하강하면서 연장되는 메인 파이프(20)와, 후륜(WR)을 후방부에서 피봇 지지하는 리어 포크 (24)의 전방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탠드(32)를 하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메인 파이프(20)의 후방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피봇 플레이트(23)를 구비하고, 앞쪽을 개방한 대략 U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23)와 함께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23)의 후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벽(80)의 앞쪽에, 기립 위치에 있는 상기 스탠드(32)로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를 상기 조작 레버(83)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하는 록 부재(8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82)가 상기 연결벽(80)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83)에 의한 조작력을 상기 록 부재(82)에 전달하는 조작 케이블(84)이, 상기 리어 포크(24)의 전방부를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23)에 지지하는 피봇축(99)과, 그 피봇축(99) 뒤쪽의 상기 연결벽(80)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케이블(84)이 관통하는 개구부(98)가 양 피봇 플레이트(23)의 한 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 차.
  • 说明书全文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MOTORCYCLE WITH STAND LOCK APPARATUS}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기립 상태에 있는 스탠드 및 수납 박스 부근의 종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

    도 5는 스탠드를 수납 위치에 회동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단면도.

    도 6은 기립 위치에 있는 스탠드의 록 상태를 해제했을 때의 도 4에 대응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차체 프레임

    16 : 헤드 파이프

    17 : 프론트 포크

    20 : 메인 파이프

    23 : 피봇 플레이트

    23 : 리어 포크

    30 : 수납 박스

    30c : 수납 박스의 전벽

    30e : 수납 박스의 후벽

    32 : 스탠드

    45 : 승차용 시트

    68 : 물품 수납부

    69 : 소품 박스

    81 : 스탠드록 장치

    83 : 조작 레버

    80 : 연결벽

    82 : 록 부재

    84 : 조작 케이블

    98 : 개구부

    99 : 피봇축

    WR : 후륜

    본 발명은 기립 위치 및 격납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스탠드를, 상기 기립 위치에서 록하는 록 상태 및 그 록 상태를 해제한 언록 상태를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 가능한 스탠드 록 장치를 구비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에 관한 것이다.

    스탠드를 그 기립 위치에서 록하는 록 상태 및 그 록 상태를 해제한 언록 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가, 승차용 시트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의 후벽에 배치되어 있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보 제2923829호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일본 특허 공보 제292382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납 박스의 후벽에서 차체 프레임에 조작 레버가 지지되는 구성에서는, 수납 박스의 수납 용적을 후측에 증대하고자 하면, 자동 이륜차의 대형화를 피하여 조작 레버를 배치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고, 또한 유저는 수납 박스의 뒤쪽으로부터 조작 레버를 조작하기 때문에, 수납 박스의 후벽의 조작 레버가 보이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납 박스의 용적을 증대해도 조작 레버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높인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보 제2923829호에 개시된 것에서는, 기립 위치에 있는 스탠드로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를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하도록 하여 스탠드록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록 부재가 후륜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이지만, 후륜에서 튀어오른 물이나 진흙이 상기 록 부재에 걸리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탠드록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록 부재에 후륜에서 튀어오른 물이나 진흙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립 위치 및 격납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스탠드를, 상기 기립 위치에서 록하는 록 상태 및 그 록 상태를 해제한 언록 상태를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 가능한 스탠드록 장치를 구비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로서, 상기 조작 레버가 승차용 시트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의 전벽에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수납 박스의 후벽에 그 후벽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팽출된 소품 박스를 형성하는 물건 수납부가 연달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기립 위치 및 격납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스탠드를, 상기 기립 위치에서 록하는 록 상태 및 그 록 상태를 해제한 언록 상태를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 가능한 스탠드록 장치를 구비하는 스탠드록 장치 부착 자동 이륜차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프론트 포크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로부터 뒤로 하강하면서 연장되는 메인 파이프와, 후륜을 후방부에서 피봇 지지하는 리어 포크의 전방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탠드를 하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메인 파이프의 후방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피봇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앞쪽을 개방한 대략 U자형의 횡 단면 형상을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와 함께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의 후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벽의 앞쪽에, 기립 위치에 있는 상기 스탠드로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를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하는 록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가 상기 연결벽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조작력을 상기 록 부재에 전달하는 조작 케이블이, 상기 리어 포크의 전방부를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에 지지하는 피봇축과, 그 피봇축 뒤쪽의 상기 연결벽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조작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개구부가 양 피봇 플레이트의 한 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기립 상태에 있는 스탠드 및 수납 박스 부근의 종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 도 5는 스탠드를 수납 위치에 회동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단면도, 도 6은 기립 위치에 있는 스탠드의 록 상태를 해제했을 때의 도 4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15)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 파이프(16)에는, 전륜(WF)을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17)가 조향 가능하게 피봇된다. 상기 프론트 포크(17)의 상단에는 바 형상의 조향 핸들(18)이 연결되고, 전륜(WF)의 위쪽을 덮는 프론트 팬더(19)가 프론트 포크(17)에 지지된다.

    차체 프레임(15)은 그 전단의 상기 헤드 파이프(16)와, 그 헤드 파이프(16)로부터 뒤로 하강하면서 연장되는 메인 파이프(20)와, 그 메인 파이프(20)의 후단에 고착되어 뒤로 상승하면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파이프(21…)와, 이들 리어 파이프(21…)의 후단에 각각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시트 레일(22…)과, 상기 메인 파이프(20)의 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피봇 플레이트(23…)를 구비한다.

    상기 피봇 플레이트(23)에는 후륜(WR)을 피봇 지지하는 리어 포크(24)가 피봇되고 차체 프레임(15)의 후방부 및 리어 포크(24) 사이에 리어 쿠션(25)이 설치된다.

    차체 프레임(15)의 중간부에는 엔진(E) 및 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이 메인 파이프(20)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탑재되고, 변속기(M)의 출력은 체인(26)을 통해 후륜(WR)에 전달된다.

    또한, 에어 클리너(27)와, 이 에어 클리너(27) 및 엔진(E) 사이에 설치되는 기화기(28)가 엔진(E)의 위쪽에 배치되고, 후륜(WR)의 위쪽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29) 및 그 연료 탱크(29)의 앞쪽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0)가 차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 지지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15)에서의 피봇 플레이트(23…)의 하부에는 스탠드축(31)을 통해 스탠드(32)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15) 중 피봇 플레이트(23…)를 제외한 부분, 상기 엔진(E)의 일부, 에어 클리너(27), 기화기(28), 연료 탱크(29) 및 수납 박스(30)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차체 커버(35)로 덮인다.

    이 차체 커버(35)는, 헤드 파이프(16)를 앞쪽에서 덮는 프론트 커버(36)와, 메인 파이프(20), 엔진(E)의 일부, 에어 클리너(22) 및 기화기(23)를 옆쪽에서 덮도록 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36)의 양측에 이어지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와, 양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의 전방부를 옆쪽에서 덮도록 하여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우 한 쌍의 레그 실드(38…)와, 상기 양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의 전측 하부 사이를 연결하는 언더 커버(39)와, 상기 헤드 파이프(16)를 후방측에서 덮는 동시에 상기 메인 파이프(20)의 전방부를 위쪽에서 덮도록 하여 상기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의 상부 사이를 접합하는 메인 파이프 상부 커버(40)와, 메인 파이프(20)의 중간부를 위쪽에서 덮도록 하여 양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 및 상기 메인 파이프 상부 커버(40)의 후방부에 연접되는 센터 커버(41)와, 상기 메인 파이프(20)의 후방부 및 양 리어 파이프(21…)를 옆쪽에서 덮도록 하여 양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의 뒤쪽에 이어지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와, 횡단면 형상을 뒤쪽으로 개방한 대략 U자형으로 하여 센터 커버(41)의 후방부 및 양 사이드 커버(42…)의 상부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하는 프론트 보디 커버(43)와, 상기 양 시트 레일(22…)을 옆쪽에서 덮도록 하여 양 사이드 커버(31…)의 후방부 및 프론 트 보디 커버(32)의 후방부에 연접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보디 커버(44…)를 구비한다.

    상기 프론트 보디 커버(43) 및 양 리어 보디 커버(44…) 상에는, 개폐 가능한 탠덤형의 승차용 시트(45)가 설치되어 있고, 폐쇄 상태에 있는 승차용 시트(45)의 아래쪽에, 그 승차용 시트(45)의 개방 시에 헬멧(46) 등의 수납 및 취출을 가능하게 한 상기 수납 박스(30) 및 승차용 시트(45)의 개방 시에 급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수납 박스(30)의 뒤쪽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29)가 배치되어 있고, 수납 박스(30)의 옆쪽은 사이드 커버(42…) 및 프론트 보디 커버(43)로 덮이고, 연료 탱크(29)의 옆쪽은 리어 보디 커버(44)로 덮여진다.

    또한, 리어 보디 커버(44…)에는 후륜(WR)을 위쪽에서 덮는 리어 팬더(47)가 연달아 설치된다. 또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의 후방부 및 센터 커버(41)의 전방부 양측 하부 사이에는 개구부(48…)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48…)에는 파워 유닛(P)측에 냉각풍을 흡입하기 위한 루버(49…)가 부착된다.

    또한, 조향 핸들(18)의 양단에는 그립(50…)이 설치되지만, 그립(50…)이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조향 핸들(18)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핸들 커버(51)로 덮인다.

    이 핸들 커버(51)의 전면 중앙부에는 헤드라이트용 개구부(52)가 설치되어 있고, 그 헤드라이트용 개구부(52)에 면하도록 하여 헤드라이트(53)가 핸들 커버(51)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차체 커버(35)에서의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37…)의 단부에, 프론트 커버(36)의 양측단에서 옆쪽으로 팽출하는 팽출부(37a…)가 일 체로 설치되어 있고, 그 팽출부(37a)에 설치된 프론트 윙커용 개구부(54…)에 면하는 프론트 윙커(55…)가 상기 팽출부(37a…)에 부착된다.

    도 2에 있어서, 수납 박스(30)는 차체 프레임(15)에서의 메인 파이프(15)의 후단 및 양 리어 파이프(20…)의 전방부에 고착된 지지판(58) 및 양 리어 파이프(20…)의 후방부에 각각 고착된 지지 브래킷(59…)에, 마운트 고무(60…, 61…)를 통해 지지된다. 즉, 수납 박스(30)의 저벽(30a)에서의 전단 부근에는 한 쌍의 레그부(30b…)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레그부(30b…)가 마운트 고무(60…)를 통해 지지판(58)에 지지되며, 또한 수납 박스(30)의 후단측 상부 양측이 마운트 고무(61…)를 통해 지지 브래킷(59…)에 각각 지지된다.

    또한, 수납 박스(30)의 전벽(30c)의 상부 중앙에는 앞쪽으로 돌출하는 지지 아암부(30d)가 일체로 돌출 설치된다. 한편, 승차용 시트(45)의 바닥판(62)의 전단에는 레버(63)의 일단이 고착되어 있고, 이 레버(63)의 타단은 상기 지지 아암부(30d)에 축(64)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승차용 시트(45)는 도시하지 않는 시트 록 장치에 의해서 록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후방부를 위쪽으로 튀어오르도록 회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수납 박스(30)의 전단 상부에 지지된다.

    이 수납 박스(30)의 저벽(30a) 및 후벽(30e)의 연결부 중앙에는 배터리(65)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 오목부(66)를 형성하도록 하여 후방측 경사진 아래로 팽출한 팽출부(30f)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수납 박스의 후벽(30e)에는 그 후벽(30e)에서 후방측으로 팽출된 소품 박스(69)를 형성하는 물건 수납부(68)가 연달아 설치된다. 즉, 물건 수납부(68)는 합성 수지제의 상자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 으로, 후벽(30e)의 중앙부에 설치된 개구부(67)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후벽(30e)의 내면에 접촉하는 플랜지부(68a)가 상기 상자형 부재에 설치되고, 후벽(30e)을 관통하는 복수의 핀(68b…)이 상기 플랜지부(68a)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핀(68b…)의 후벽(30e)으로부터의 돌출단을 후벽(30c)의 외면에 각각 용착함으로써, 후벽(30e)에서 뒤쪽으로 팽출된 소품 박스(69)를 형성하도록 하여 물건 수납부가 수납 박스(30)의 후벽(30e)에 연달아 설치되게 된다.

    상기 배터리 수납 오목부(66) 및 소품 박스(69)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 부재(70)로 폐쇄 가능하고, 이 덮개 부재(70)는 배터리 수납 오목부(66) 및 소품 박스(69)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힌지부(70a)를 중간부에 갖는 것으로, 수납 박스(30)의 저벽(30a)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오목부(66)의 앞쪽에는, 상기 덮개 부재(70)의 일단을 탄발적으로 끼울 수 있는 한 쌍의 협지 돌기부(71, 71)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고, 덮개 부재(70)의 타단에는 수납 박스(30)의 후벽(30e)에 탄발적으로 걸어맞출 수 있는 복수의 걸어맞춤 훅(70b…)이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피봇 플레이트(23, 23)는 위쪽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판부(23a, 23a)를 상단부에 갖는 것으로, 이들의 경사판부(23a…)가 차체 프레임(15)에서의 메인 파이프(20)의 후방부 양측에 용접된다.

    양 피봇 플레이트(23…)의 하단부에는 스탠드축(31)을 통해 스탠드(3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 스탠드(32)는 도 1∼4에 도시하는 기립 위치와, 도 5에 도시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며, 양 피봇 플레이트(23…)의 한 쪽 및 스탠드(32) 사이에는 스탠드(32)의 회동에 의해 기립 위치 및 수납 위치 중 모든 쪽에 가압력을 발휘하도록 하여 용수철(79)이 설치된다.

    그렇게 하여 스탠드축(31)의 앞쪽에서 양 피봇 플레이트(23…) 사이에는, 이들의 피봇 플레이트(23…)에 양단이 고착된 지지축(74)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원통형의 스토퍼 고무(75)가 설치되어 있고, 스탠드(32)에는 상기 스탠드(32)가 기립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스토퍼 고무(75)에 접촉하는 제1 회동 규제판(76)이 설치된다. 또한 스탠드(32)의 양 피봇 플레이트(23…)측의 단부에 고착된 제2 회동 규제판(77)에는, 수납 위치로 스탠드(32)가 회동했을 때에 상기 스토퍼 고무(75)에 접촉하는 완충 고무(78)가 부착된다.

    또한, 양 피봇 플레이트(23…)의 후단은 앞쪽을 개방한 대략 U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23…)와 함께 구성하는 연결벽(80)으로 연결된다.

    스탠드(32)의 기립 위치에서의 록 상태 및 그 록 상태를 해제한 언록 상태는 스탠드록 장치(81)에서 전환 가능하고, 이 스탠드록 장치(81)는 상기 스탠드(32)가 기립 위치에 있을 때에 제2 회동 규제판(77)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록 부재(82)와, 상기 록 부재(82)의 걸림 이탈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 레버(83)와, 상기 조작 레버(83)에 의한 조작력을 상기 록 부재(82)에 전달하는 조작 케이블(84)을 구비한다.

    조작 레버(83)는 수납 박스(30)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30)의 전벽(30c)에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전벽(30c)을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회동축(85)의 내측단에 상기 조작 레버(83)의 기단이 고착된다. 한편, 전벽 (30c)의 앞쪽에서 상기 회동축(85)의 외측단에는 조작 레버(83)의 회동 조작에 따라서 회동하도록 하여 전동 레버(86)의 일단이 고착된다.

    록 부재(82)는, 상기 피봇 플레이트(23…)의 후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벽(80)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 연결벽(80)의 전면에 고착된 횡단면 대략 L자형의 지지 부재(87)에, 스탠드축(31)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축선을 배치한 축(8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제2 회동 규제 부재(77)에는 스탠드(32)가 기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록 부재(82)를 걸림 이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걸어맞춤 구멍(8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87)에는 록 부재(82)의 일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삽입 관통 구멍(90)이, 스탠드(32)가 기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 구멍(89)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된다.

    또한, 양 피봇 플레이트(23…) 중 자동 이륜차의 진행 방향 앞쪽을 향한 상태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피봇 플레이트(23) 및 록 부재(82) 사이에는, 록 부재(82)를 걸어맞춤 구멍(89)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용수철(91)이 설치된다.

    조작 케이블(84)은 아우터 케이블(92) 내에 이너 케이블(93)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우터 케이블(92)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엔드(94)는 수납 박스(30)의 전벽(30c)의 전면에 상기 전동 레버(86)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고착되는 케이블 지지 부재(95)에 지지되며, 상기 케이블 엔드(94)로부터 돌출한 이너 케이블(93)의 일단은 상기 전동 레버(86)의 타단에 연결된다.

    또한, 아우터 케이블(92)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엔드(96)는, 전술한 좌측의 피봇 플레이트(23)에 고착되는 케이블 지지 부재(97)에 지지되고, 그 케이블 엔드(96)로부터 돌출한 이너 케이블(93)의 타단은 록 부재(82)에 연결된다. 더구나, 이너 케이블(93)의 타단은 록 부재(82) 및 피봇 플레이트(23) 사이에 설치된 용수철(91)의 용수철력에 의해서 아래쪽을 항한 견인력이 작용하는 위치에서 록 부재(82)에 연결된다. 즉, 조작 케이블(84)은 상기 용수철(91)에 의해서 항상 아래쪽으로 견인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한편, 조작 레버(83) 및 전동 레버(86)를 수납 박스(30)의 전벽(30c)에 지지하는 회동축(85)의 위치는, 조작 레버(83)를, 도 4에서 도시하는 록 위치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언록 위치 중 어느 위치에 회동 조작해도, 그 위치를 유지하는 측에 상기 조작 케이블(84)로부터의 견인력이 전동 레버(86)에 작용하도록 설정된다.

    그렇게 하여 조작 레버(83)를, 도 4에서 도시하는 록 위치에 회동 조작했을 때에는, 록 부재(82)가 제2 회동 규제 부재(77)의 걸어맞춤 구멍(89)에 걸어맞추어 스탠드(32)의 기립 위치가 록되고, 또한 스탠드(32)가 기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83)를 언록 위치에 회동 조작했을 때에는, 록 부재(82)가 제2 회동 규제 부재(77)의 걸어맞춤 구멍(89)으로부터 이탈된 언록 상태가 되며, 도 5에서 도시한 수납 위치에 스탠드(32)를 튀어올림 조작할 수 있다.

    그런데, 조작 케이블(84)은 상기 수납 박스(3)에서의 전벽(30c)의 전면을 따라서 전동 레버(86)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양 리어 파이프(21…) 중 좌측의 리어 파이프(21)의 외측에서 좌측의 피봇 플레이트(23)의 상부에 설치되는 개구부(98)를 관통하여 양 피봇 플레이트(23…) 사이에 연장되며, 또한 리어 포크(24)의 전방부를 양 피봇 플레이트(23…)에 지지하는 피봇축(99)과, 그 피봇축(99)의 뒤쪽의 연결벽(80)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록 부재(82)까지 연장된다. 또한, 조작 케이블(84)의 아우터 케이블(92) 중 한 쪽의 리어 파이프(21)의 외측을 거쳐 한 쪽의 피봇 플레이트(23)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98)를 관통하는 중간 부분에는 케이블 커버(100)가 장착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수납 박스(30)의 후벽(30e)에는 그 후벽(30e)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팽출된 소품 박스(69)를 형성하는 물건 수납부(68)가 연달아 설치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30)의 수납 용적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구나 스탠드록 장치(81)의 조작 레버(83)가 수납 박스(30)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30)의 전벽(30c)에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30)의 용적을 증대해도 조작 레버(83)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이 없고, 더구나 승차용 시트(45)를 개방하여 수납 박스(30)의 위쪽을 개방했을 때에는 조작 레버(83)를 확인하기 쉬워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 레버(83)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용적을 차지하는 헬멧(46)을 수납 박스(30)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헬멧(46)의 헤드부를 전벽(30c)에 대향시키는 자세로 수납 박스(30) 내에 수납함으로써, 헬멧(46) 및 조작 레버(83)의 간섭을 회피하여 조작 레버(83)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32)를 하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메인 파이프(20)의 후방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피봇 플레이트(23…)의 후방부 사이가 앞쪽을 개방한 대략 U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양 피봇 플레이트(23…)와 함께 구성하는 연결벽(80)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벽(80)의 앞쪽에 기립 위치에 있는 스탠드(32)로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를 조작 레버(83)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하는 록 부재(82)가 배치되기 때문에, 록 부재(82)는 양 피봇 플레이트(23…) 및 연결벽(80)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배치되게 되고, 후륜(WR)에서 튀어오른 물이나 진흙이 록 부재(8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록 부재(82)를 항상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더구나, 록 부재(82)는 지지 부재(87)를 통해 연결벽(80)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록 부재(82)의 바로 뒤쪽에 연결벽(80)이 배치되게 되고, 후륜(WR)에서 튀어오른 물이나 진흙이 록 부재(82)에 걸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83)에 의한 조작력을 록 부재(82)에 전달하는 조작 케이블(84)이 리어 포크(24)의 전방부를 양 피봇 플레이트(23…)에서 지지하는 피봇축(99)과, 그 피봇축(99)의 뒤쪽의 연결벽(80) 사이를 통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요동하는 리어 포크(24)에 의한 영향이 조작 케이블(84)에 미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상기 조작 케이블(84)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케이블(84)을 관통시키는 개구부가 양 피봇 플레이트(23…)의 한 쪽에 설치됨으로써, 조작 케이블(84)을 무리하게 굴곡시키는 일없이, 더구나 최단 거리로 원활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조작 레버가 수납 박스 내에 배치되고, 수납 박스의 전벽에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의 용적을 증대하더라도 조작 레버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이 없고, 더구나 승차용 시트를 개방하여 수납 박스의 위쪽을 개방했을 때에는 조작 레버를 확인하기 쉬워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수납 박스의 수납 용적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스탠드록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록 부재가, 좌우 한 쌍의 피봇 플레이트 및 연결벽이 앞쪽을 개방한 대략 U자형의 횡단면 형상으로 연결되고, 록 부재가 양 피봇 플레이트 및 연결벽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후륜에서 튀어오른 물이나 진흙이 록 부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록 부재를 항상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연결벽에 록 부재가 지지됨으로써 록 부재의 바로 뒤쪽에 연결벽이 배치되게 되고, 후륜에서 튀어오른 물이나 진흙이 록 부재에 걸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요동하는 리어 포크에 의한 영향이 조작 케이블에 미치는 일이 없도록 하여 그 조작 케이블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조작 케이블을 무리하게 굴곡시키는 일없이, 더구나 최단 거리에서 원활하게 배치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