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申请号 KR1020070038447 申请日 2007-04-19 公开(公告)号 KR1020080094267A 公开(公告)日 2008-10-23
申请人 김문섭; 发明人 김문섭;
摘要 An afterimage display device attached to a rotary body is provided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an outside and a fixing unit by using the fixing unit. A display device using an afterimage effect is attached to a rotary body.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n afterimage display unit(100) for displaying text or image data by using an afterimage effect of light according to a swing or rotating operation.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fixing unit for coupling the afterimage display unit with front wheels or rear wheels of the rotary body. The afterimage display unit includes a memory part(10) for storing contents of text or image data, a light source part(20) for displaying afterimages of the text or image data, a switching unit(30) for adjusting on/off states of a power supply, and a control unit(40)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part in order to display the afterimages of the text or image data.
权利要求
  • 자전거 또는 모터사이클을 포함하는 회전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잔상효과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스윙 또는 회전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잔상효과를 발생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로 표시되는 잔상표시장치와;
    상기 잔상표시장치를 회전체의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표시장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잔상 표시하는 광원부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잔상 표시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표시장치에는 스윙 또는 회전을 감지하는 스윙센서가 더 설치되어 제어부에 스윙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제어부에 의해 광원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잔상표시장치가 일정부분 내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의 바퀴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와 고정결합되며 잔상표시장치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정 외력을 가압하는 결착부와,
    상기 하부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퀴살의 일정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바퀴살이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너트부재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은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로가 관통 형성되고 이를 따라 이동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와 결합하 는 너트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볼트부재에는 바퀴살이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너트부재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결착부는 몸체부와 일체로 결합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 외연에 축설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프링부재와 고정결합되어 결착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결착판이 잔상표시장치에 외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잔상표시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으로 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기밀을 유지하는 외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는 바퀴살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와 나사결합하는 너트부재가 장착되어 바퀴살에 외부하우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에는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광원부와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지점에 투명재질로 빛이 투과하도록 형성되며, 잔상표시장치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외부하우징 외측으로 일정량 투과될 수 있도록 외부하우징의 재질이 반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 说明书全文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After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rotary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가 장착된 자전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와 고정수단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와 고정수단의 결합을 나타내는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에 바퀴살이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모리부 20 : 광원부

    21 : 보조광원 30 : 스위칭부

    40 : 제어부 50 : 스윙센서

    60 : 통신모듈 100 : 잔상표시장치

    110 : 몸체부 120 : 고정브라켓

    121 : 홈부 122 : 나사산

    123 : 가이드로 130 : 결착부

    131 : 지지체 132 : 고정축

    133 : 스프링부재 134 : 결착판

    140 : 수용부 150 : 너트부재

    160 : 볼트부재 161 : 요홈부

    170 : 외부하우징 200 : 고정수단

    300 : 바퀴살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모터사이클과 같은 회전체에 장착되어 잔상효과를 통한 문자 및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잔상표시장치를 회전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체에 설치하여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잔상표시장치가 고정수단으로 내입되어 외부와 고정수단 내 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가 오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한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체가 시각적으로 빠른 속도로 발광 후 점멸하면 빛의 자극이 제거된 후에도 인간의 시각기관에 어떤 흥분상태가 계속되어 시각작용이 잠시 남는 잔상현상이 생겨난다. 종래에는, 교통경찰이나 도로공사 안내요원 등이 들고 안내하는 봉상의 막대나 공연장에서의 야광봉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시각적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선형운동 내지 회전운동을 통해 잔상효과를 얻어내도록 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본 출원인은 해당 기술과 관련하여, 특허 출원 및 실용신안 등록된 "잔상표시장치"를 통해,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잔상 표시하는 광원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스윙을 감지하는 센서, 스윙이 감지되면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잔상 표시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광원부의 동작과 동시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도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잔상표시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잔상표시장치에서는 팔을 흔드는 등의 스윙을 통한 텍스트, 이미지 및 오디오 데이터 출력만이 가능하여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현재 사용자가 많은 자전거에 이를 도입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비가 오거나 도로상에 물이 있어도 장치의 파손이 없는 잔상표시장치의 제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잔상표시장치를 자전거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자전거에 설치하여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잔상표시장치 가 고정수단으로 내입되어 외부와 고정수단 내 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가 오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수단을 가지는 자전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모터사이클을 포함하는 회전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잔상효과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스윙 또는 회전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잔상효과를 발생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로 표시되는 잔상표시장치와; 상기 잔상표시장치를 자전거의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잔상표시장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잔상 표시하는 광원부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잔상 표시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잔상표시장치에는 스윙 또는 회전을 감지하는 스윙센서가 더 설치되어 제어부에 스윙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제어부에 의해 광원부가 제어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잔상표시장치가 일정부분 내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의 바퀴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와 고정결합되며 잔상표시장치와 분리되지 않 도록 일정 외력을 가압하는 결착부와, 상기 하부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퀴살의 일정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바퀴살이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너트부재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은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로가 관통 형성되고 이를 따라 이동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와 결합하는 너트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볼트부재에는 바퀴살이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너트부재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착부는 몸체부와 일체로 결합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 외연에 축설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프링부재와 고정결합되어 결착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결착판이 잔상표시장치에 외압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은 잔상표시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으로 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기밀을 유지하는 외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는 바퀴살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와 나사결합하는 너트부재가 장착되어 바퀴살에 외부하우징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하우징에는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광원부와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지점에 투명재질로 빛이 투과하도록 형성되며, 잔상표시장치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외부하우징 외측으로 일정량 투과될 수 있도록 외부하우징의 재질이 반투명재질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가 장착된 자전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와 고정수단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와 고정수단의 결합을 나타내는 조립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에 바퀴살이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에는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에 잔상효과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스윙 또는 회전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잔상효과를 발생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로 표시되는 잔상표시장치(100)와, 상기 잔상표시장치(100)를 자전거의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고정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자전거, 모토사이클 또는 자동차 훨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불규칙하게 회전하는 회전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잔상표시장치(100)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0)와,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잔상 표시하는 광원부(20)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스위칭부(30)와,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잔상 표시하도록 상기 광원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잔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40)는 잔상표시장치(100)의 전반적 제어를 담당함은 물론이며, 잔상표시장치(100)에 설치되는 통신모듈(60)을 통해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를 수신받거나, 키패드 등을 통해 제공받은 텍스트 데이터로 콘텐츠를 구성하여 메모리부(10)에 저장하여 광원부(20)를 통해 이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0)는 제어부(40)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며, 텍스트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100)에는 텍스트 데이터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메모리부(10)에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어부(40)는 별도로 설치되는 스피커를 통해 이를 텍스트 데이터 출력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할 것이다.

    한편 상기 광원부(20)는 다수의 LED로 구성되는 LED어레이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어부(40)가 표시하고자 하는 텍스트 데이터에 따라서 다수의 LED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30)는 잔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의 작동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으로 입력되는 버튼과 연관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잔상표시장치(100)에는 잔상 표시를 개시하기 위한 시점을 센싱하기 위한 스윙센서(5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잔상표시장치(100)의 회전 또는 스윙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이를 전송함으로써 제어부(40)가 광원부(20)의 발광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잔상표시장치(100)에는 전술하였듯이 통신모듈(60)이 설치되어 외부단말기와 통신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하는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단말기로부터 용이하게 입력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신모듈(60)로는 USB, IIC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며, 컴퓨터 등의 외부단말기와 제어부(40) 간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잔상표시장치(100)가 일정부분 내입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와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회전체의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의 바퀴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20)과,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 일측와 고정결합되며 잔상표시장치(100)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정 외력을 가압하는 결착부(130)와, 상기 하부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퀴살의 일정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는 잔상표시장치(100)의 상부측을 내입하여 잔상표 시장치(100)를 보호함과 동시에 회전체에 결착될 수 있도록 잔상표시장치(100)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역할은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10)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라켓(120) 및 결착부(130), 수용부(140)를 통해 가능해진다.

    상기 몸체부(110)의 전면에는 잔상표시장치(100)의 광원부(20)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발광될 수 있도록 광원부(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빛 투과율이 높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며, 잔상표시장치(100)에 설치되는 보조광원(21) 빛이 일정량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투명재질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의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잔상표시장치(100)는 광원부(20)의 조사광에 따른 텍스트 또는 이미지 출력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보조광원(21)에 따른 야광봉 또는 형광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100)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120)은 한편으로는 몸체부(110)와 다른 한편으로는 바퀴살(300)과 결합되어 잔상표시장치(100)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일단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회전체의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의 바퀴살(3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홈부(121)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너트부재(15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122)이 형성된다.

    즉, 고정브라켓(120)의 일단에는 홈부(121)로 바퀴살(300)을 수용한 후 너트부재(150)를 단부의 나사산(122)을 따라 나사결합하여 바퀴살(3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로(123)가 관통 형성되고 이를 따라 이동하는 볼트부재(160)와 상기 볼트부재(160)와 결합하는 너트부재(150)가 장착되되, 상기 볼트부재(160)에는 바퀴살(3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요홈부(161)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너트부재(15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로(123)를 따라 적절한 위치에 이동하여 볼트부재(160)의 요홈부(161)에 바퀴살(300)을 수용할 수 있게 되며, 고정브라켓(120)의 양단 각각에 바퀴살(300)을 수용, 고정시킴으로써 안정된 잔상표시장치(100)의 작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결착부(13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결합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체(131)와, 상기 한 쌍의 지지체(131)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고정축(132)과, 상기 고정축(132) 외연에 축설되는 스프링부재(133)와, 상기 스프링부재와 고정결합되어 결착판(134)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부재(133)의 복원력에 의해 결착판(134)이 잔상표시장치(100)에 외압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착판(134)을 일측 단부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잔상표시장치(100)와 고정수단(200)은 분리되는데, 이러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잔상표시장치를 자전거 및 고정수단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형광봉 또는 팔의 수동적인 스윙에 의한 잔상표시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는 회전체에 설치하여 사용하면서 긴급 상황 또는 필요에 따라 손쉽게 분리하여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큰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40)는 회전체에 잔상표시장치(100)를 설치시 회전체의 일정 바퀴살(300)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200)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데, 단면이 "

    " 형태로 형성되어 바퀴살(300)이 수용된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부(140)는 잔상표시장치(100)에도 고정수단(20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잔상표시장치(100)가 고정수단(200)과 결합하고, 이러한 고정수단(200)과 다시 회전체의 바퀴살(300)이 고정결합 하게 됨에 따라 잔상표시장치(100)가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체 바퀴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문자 또는 이미지 출력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200)은 잔상표시장치(100)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으로 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기밀을 유지하는 외부하우징(170)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상기 외부하우징(170)의 일측과 타측에는 바퀴살(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홈부(121)가 형성된 볼트부재(160)와, 상기 볼트부재(160)와 나사결합하는 너트부재(150)가 장착되어 바퀴살(300)에 외부하우징(170)이 고정된다.

    전 실시예와 비교하면, 설치 및 분리 형태는 동일하나 외부하우징(170) 내측에 잔상표시장치(100)를 수용하여 일체 외부와의 기밀을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체가 이동하는 이동로 상에 물 등의 유체가 있을 경우, 비가 오는 경우 등에서도 아무런 제약없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전 실시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지만 잔상표시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는 소형 배터리를 이용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소형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한 교체부(18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교체부의 교체볼트(181)와 외부하우징(170) 간에 고무링 등의 기밀 수단을 설치하여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상표시장치(100)의 통신모듈(60) 또한 상기 교체부(180)와 동일한 구성을 통하여 통신포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은 속도검출부가 구비되어 회전속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어부(40)가 속도검출부로부터 전송되는 속도데이터를 통하여 광원부(20)의 발광 시간 및 점멸 시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회전속도에 따라 저속모드(10km/h ~ 30km/h)와 고속모드(30km/h이상)으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게끔 선택버튼 또는 선택바를 구성하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어부(40)가 설정된 발광 시간, 점멸 시간격으로 발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잔상표시장치를 자전거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자전거에 설치하여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상표시장치가 고정수단으로 내입되어 외부와 고정수단 내 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가 오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대량 보급된 자전거에 잔상표시장치가 결합되어 자전거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하여 자전거의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