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 및 그 탑재 구조

申请号 KR1020070096773 申请日 2007-09-21 公开(公告)号 KR1020080028327A 公开(公告)日 2008-03-31
申请人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마카베타쿠미; 오가와수미타카; 타테와끼타케후미; 카타야마무쯔미; 야마시타아키히코; 나가쯔유토시야;
摘要 A motor cyc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mounting structure thereof are provided to suppress increase in air resistance and allow superior transmitting/receiving sensitivity. A mounting structure(300) of a motorcycle communication device(10) which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a motorcycle(12) and the outside through radio, and includes a slot(308) for insertion of a card(306). The mounting structure includes a storage box(70) and a light(320). The storage box includes a space(70a) for storage of articles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space. The light is arranged in the storage box, and turned on when the cover is opened. The motorcycle communication device is arranged in the storage box.
权利要求
  • 라디오를 통해 자동이륜차(12, 12')와 외부 사이에 특정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306 306')가 삽입되는 삽입구(308, 308')를 포함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의 탑재 구조(300)로서,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70a)과 공간(70a)을 덮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는 보관함(70, 70'); 및
    보관함(70, 70') 내부에 제공되고, 덮개가 열리면 점등되는 라이트(320)를 포함하며,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는 보관함(70, 70') 내부에 제공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의 탑재 구조(30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308, 308')와 상기 라이트(320)는 동일한 벽면(326)에 제공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의 탑재 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308, 308')는 상기 라이트(320)의 방향으로 놓이도록 제공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의 탑재 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륜차(12, 12')는 자동이륜차이고;
    상기 보관함(70, 70')은 승차 시트(seat)(31, 31')의 아래에 제공되고, 상기 승차 시트(31, 31')는 덮개의 역할도 하며;
    상기 삽입구(308, 308')는 위쪽을 향하도록 제공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의 탑재 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는 사이드 스탠드(side stand)(68, 68')제공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보관함(70, 70') 내부의 표면에 제공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의 탑재 구조.
  • 라디오를 통해 자동이륜차(12, 12')와 외부 사이에 특정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306 306')가 삽입되는 삽입구(308, 308')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308, 308')를 덮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
    상기 덮개의 개방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상기 감지 수단에 의해 상기 덮개의 개방이 감지되면 점등되는 라이트(320)를 포함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320)는 상기 덮개에 제공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10').
  • 자동이륜차(12, 12')의 핸들바(26, 26')의 중앙 부분의 적어도 전부측(front side)을 덮는 전부 카울(front cowl)(76, 76');
    상기 전부 카울(76') 위에 제공된 윈드 스크린(wind screen)(78');
    상기 전부 카울(76')로 열리고, 상기 전부 카울(76')과 핸들바(26')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윈드 스크린(78')의 후면측과 연통하는 공기 유도로(146'); 및
    상기 자동이륜차(12, 12')와 외부 사이에 특정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안테나(302, 302')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302')는 상기 공기 유도로(146')에 제공되는, 안테나 탑재 구조(300', 410', 420', 430')를 가진 자동이륜차(12, 12').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도로(146')에 리세스(recess)(136')가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136')에 상기 안테나(302')가 배치되는, 자동이륜차(12, 12').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302')를 덮는 커버가 상기 리세스(136')에 제공되는, 자동이륜 차(12, 12').
  • 说明书全文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 및 그 탑재 구조{MOTORCY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라디오를 통해 자동이륜차와 외부 사이에 특정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와 그 탑재 구조, 및 상기의 통신 장치에 대해 바람직한 안테나 탑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와 같은 요금 징수 도로 상의 톨케이트에서의 요금 지불과 관련된 정체를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최근에 ETC(전자요금징수시스템(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가 개발되어 실용화되었다. ETC에서는, 톨게이트에서 필요한 정보가 라디오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통신 장치와 지정된 레인(lane)의 시스템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요금 지불이 수행된다. ETC의 활용은 자동차가 톨게이트에 정차할 필요가 없게 해주고, 이로써 정체를 완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ETC에서는 사용자나 은행 계좌 번호 등의 식별을 위해 정보를 기록하는 카드가 차량용 통신 장치에 미리 삽입된다. 이 카드는 삽입과 인출이 자주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리한 위치에 차량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TC 시스템은 톨게이트에서 송수신 장치와 라이오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도 포함한다. 안테나는 라디오파의 양호한 송수신 감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량의 먼 앞쪽에 배치된다.

    우연히도 자동차처럼 자동이륜차도 톨게이트에서 요금 지불과 관련된 동일한 불편함을 겪어야 한다. 그래서 자동이륜차용의 ETC의 개발 및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자동이륜차의 경우에도 카드의 삽입 및 인출을 고려하여 편리한 위치에 차량용 통신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차량용 통신 장치를 자동이륜차에 탑재하는 것은 자동차에서보다 더 많은 제약을 받는다. 또한, 자동차의 경우에는 차량 내 탑승자가 원하는 어느 위치에나 차량용 통신 장치를 배치할 수 있는 반면, 자동이륜차의 경우에는 방수성(waterproof property), 방진성(dust-proof property) 등과 같은 내환경성(environmental resistance)을 고려하여 차량용 통신 장치를 배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동이륜차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통신 장치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전면부(front portion)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자동이륜차에의 안테나 탑재는 전술한 자동차의 경우보다 더 많은 제약을 받는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 문서 1은 내환경성과 취급 용이성을 고려하여 차량용 통신 장치가 미터 케이스(meter case) 안에 설치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특허 문서 1은 또한 내환경성을 고려하여 안테나가 미터 케이스의 상부 면을 따라 배치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한편, 자동이륜차의 경우에는 주행 중 바람이 탑승자에게 직접 부딪치는 것을 막고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종종 전부면(front surface)에 윈드 스크린(wind screen)이 제공된다. 때때로 윈드 스크린의 상단부(upper end portion)에 와류(vortex)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바람의 소음을 일으키거나 주행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 문서 2는 적정량의 공기를 유도하여 와류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윈드 스크린의 후면측과 연통하는 공기 유도로(air guide passage)가 제공된 구조를 제안한다.

    [특허 문서 1] 일본 특개평 10-278865호 공보

    [특허 문서 2] 일본 특개 2002-284066호 공보

    자동차의 경우처럼 ETC의 차량용 통신 장치가 실내에 제공되면, 실내등에 의해 차량용 통신 장치가 밝혀지고, 이에 따라 야간 중에 어두운 곳 등에서도 카드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자동이륜차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실내등에 상응하는 부품이 없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에 카드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경우 가로등 근처나 침침한 불빛에 의존하여 삽입 및 인출을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의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도 카드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와 그 탑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특허 문서 1에 설명된 구성에서는 안테나가 미터 케이스의 상부 면을 따라 제공된다. 그러나 미터 케이스가 작으면 안테나가 배치되지 않거나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안테나는 가능하면 차량의 먼 앞쪽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차량의 전면부는 주행 저항을 줄이기 위해 가능하면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중하게 고려하지 않고 안테나를 단순히 전면에 제공하면, 공기 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차량의 전면부에 특히 큰 풍압(wind pressure)이 가해지므로, 안테나의 탑재는 충분히 튼튼해야 한다. 또한 차량이 전면부는 미관 결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전면부에는 사물들을 추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의 관점에서도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공기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고 양호한 송수신 감도를 제공할 수 있는 안테나 탑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의 탑재 구조는 자동이륜차와 외부 사이에 라디오를 통한 특정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하기의 특징을 갖는다.

    특징 1: 자동이륜차와 외부 사이에 라디오를 통한 특정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진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의 탑재 구조가 제공되고, 이 구조는,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과 공간을 덮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를 포함한 보관함; 보관함 내부에 제공되고 덮개가 열릴 때 켜지는 라이트를 포함한다.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는 보관함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는 덮개가 열릴 때 켜지는 라이트에 의해 밝혀지고, 이에 따라 야간 중에 어두운 곳 등에서도 카드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는 보관함 내부에 제공되어, 우수한 내환경성을 달성한다.

    특징 2: 삽입구와 라이트가 동일 벽면에 제공되면, 삽입구가 라이트에 의해 쉽게 밝혀진다.

    특징 3: 삽입구가 라이트의 방향으로 놓이도록 제공되면, 삽입구가 라이트에 의해 쉽게 밝혀진다.

    특징 4: 보관함은 시트(seat) 아래에 제공될 수 있고, 시트가 덮개의 역할도 할 수 있으며, 삽입구는 상방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트가 보관함의 상부를 덮기 때문에, 시트를 열면,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의 삽입구가 상부 개구로 향하게 되어, 카드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특징 5: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는 사이드 스탠드(side stand)가 제공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보관함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이륜차가 사이드 스탠드에 의해 약간 기울어져서 주차될 때, 대향측의 면이 탑승자에게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오게 되고, 그래서 삽입구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는 하기의 특징을 갖는다.

    특징 6: 자동이륜차와 외부 사이에 라디오를 통한 특정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진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삽입구를 덮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 덮개의 개방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감지 수단에 의해 덮개의 개방이 감지되면 켜지는 라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는 덮개가 열릴 때 라이트에 의해 밝혀지고, 이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카드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삽입구는 일반적으로 덮개에 의해 덮이므로, 삽입구로부터의 습기와 먼지의 침투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써 우수한 내환경성이 달성된다.

    특징 7: 라이트가 덮개에 제공되면, 본체 측의 구조가 간소해질 수 있고, 삽입구 근방을 넓게 밝힐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안테나를 위한 안테나 탑재 구조는 하기의 특징을 갖는다.

    특징 8: 자동이륜차의 핸들바의 중앙부의 적어도 전부측(front side)을 덮는 전부 카울(front cowl); 전부 카울 위에 제공된 윈드 스크린; 전부 카울로 열리고, 전부 카울과 핸들바 사이에 제공되며, 윈드 스크린의 후면측과 연통하는 공기 유도 통로; 및 자동이륜차와 외부 사이에 특정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자동이륜차용 안테나 탑재 구조가 제공된다. 안테나는 공기 유도로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대부분의 주행 바람은 전부 카울에서 윈드 스크린의 전부면을 향하여 흐르고, 약간의 공기 저항의 증가가 있다. 또한 적정량의 바람만 공기 유도로 내로 흐르므로, 안테나에 과도한 풍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안테나는 자동이륜차의 가장 앞쪽의 상부 위치에 제공되며, 톨게이트 등에서 안테나와 송수신 장치 사이에 방해물이 존재하지 않아, 양호한 송수신 감도가 얻어진다.

    특징 9: 리세스(recess)가 공기 유도로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안테나는 리세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이 공기 유도로를 좁게 만들지 않으면서 안테나의 탑재를 용이하게 한다.

    특징 10: 안테나를 덮는 커버가 리세스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공기가 공기 유도로를 통해 흐르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의 탑재 구조에서는, 덮개가 열릴 때 켜지는 라이트에 의해 밝혀지고, 이에 따라 야간 중에 어두운 곳 등에서도 카드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는 보관함 내부에 제공되어, 우수한 내환경성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에서는, 덮개가 열릴 때 켜지는 라이트에 의해 밝혀지고, 이에 따라 야간 중에 어두운 곳 등에서도 카드의 삽입 및 인 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삽입구는 일반적으로 덮개에 의해 덮여서, 삽입구로부터의 습기나 먼지의 침투가 방지되고, 이에 따라 우수한 내환경성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륜차를 위한 안테나 탑재 구조에서는, 대부분의 주행 바람이 전부 카울에서 윈드 스크린의 전부면을 향하여 흐르고, 약간의 공기 저항의 증가가 있다. 또한 적정량의 바람만 공기 유도로 내로 흐르므로, 안테나에 과도한 풍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안테나는 자동이륜차의 가장 앞쪽의 상부 위치에 제공되며, 톨게이트 등에서 안테나와 송수신 장치 사이에 방해물이 존재하지 않아, 양호한 송수신 감도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와 그 탑재 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예로써 하기에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자동이륜차(차량)(12)(도 1)에 탑재된다. 먼저, 자동이륜차(12)를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자동이륜차(12)의 좌우 방향은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하여 정의되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이륜차(12)는 스쿠터형 자동이륜차이고, 그 전단부에는 전륜(WF)을 지지하는 전부 포크(front fork)(25) 및 전부 포크(25)에 연결된 핸들바(26)가 조종가능하도록 지지된 헤드 파이프(27)를 포함한다. 후단부에서 후륜(WR)을 지지하는 유닛 스윙 하우징(unit swing housing)(UE)은, 상하방향으로 스윙이 가능하도록 본체 프레임(F)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지지된다. 연료 탱크(28)와 연료 탱크(28)의 뒤에 배치된 라디에이터(29)는 유닛 스윙 엔 진(UE) 앞의 위치에서 본체 프레임(F)에 탑재된다. 또한 전부 시트(32)와 후부 시트(33)를 가진 탄뎀 구조(tandem structure)의 승차 시트(31)는 본체 프레임(F)의 후부에 배치된다. 또한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본체 커버(34)는 본체 프레임(F), 유닛 스윙 엔진(UE)의 전면부, 연료 탱크(28), 및 라디에이터(29)를 덮도록 본체 프레임(F)에 부착된다.

    유닛 스윙 엔진(UE)은 실린더 축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냉식 엔진(E)과, 변속기 벨트와 풀리에 의해 무단변속을 통해 엔진(E)의 출력을 후륜(WR)에 전달하는 벨트형 무단변속기(M)를 포함한다. 무단변속기(M)는 기어 시프트(gear-shifting) 전기 모터(42)의 구동에 따라 크랭크샤프트 측 상의 움직이는 풀리를 구동하여 기어비(gear ratio)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작용한다.

    무단변속기(M)의 변속기 케이스(43)는 엔진(E)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도록 엔진(E)의 크랭크케이스(44)의 좌측 상에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후륜(WR)의 좌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스윙 암(미도시)의 전단부는 크랭크케이스(44)의 우측에 연결된다. 후륜(WR)은 변속기 케이스(43)의 후단부와 스윙 암의 후단부 사이에 지지된다.

    한 쌍의 좌우 후부 쿠션(64)의 상단부는 본체 프레임(F)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후부 쿠션(64) 모두의 하단부는 변속기 케이스(43)의 후단부와 스윙 암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자동이륜차(12)에는 주차 시에 자동이륜차(12)를 세워놓기 위한 메인 스탠드(main stand)(66)와 사이드 스탠드(68)가 구비된다.

    일본에서는 차량들이 도로의 좌측으로 다니고, 탑승자들은 일반적으로 자동 이륜차의 좌측에서 타고 내리므로, 사이드 스탠드(68)는 스탠드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좌측에 제공된다. 사이드 스탠드(68)는 좌측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자동이륜차(12)가 자체적으로 세워지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보관을 위한 보관함(70)은 승차 시트(31) 아래에 제공되고, 승차 시트(31)의 전단부 아래에서 후부 쿠션(64)의 상부 근방으로 연장한다. 승차 시트(31)는 보관함(70)의 상부를 덮는 덮개의 기능도 한다. 보관함(70) 내부의 공간(70a)은 승차 시트(31)를 우측으로 들어올리면 노출된다. 보관함(70)의 세부 구조는 뒤에서 설명한다.

    전부 커버(34)의 전부 카울(76)은 상부에 투명한 윈드 스크린(78) 및 한 쌍의 좌우 백미러(후면 거울이라고도 함)(80)를 포함한다. 내부 커버(82)는 탑승자의 다리 앞 부분을 덮는 레그 실드(leg shield)(84)와 스텝 홀더(step holder)(86)를 포함한다. 스텝 홀더(86)는 센터 커버(88)의 후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승객이 자신의 발을 올려놓는 필리온 스텝(pillion step)(90)은 들어갈 수도 있고 나올 수도 있도록 부착된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와 그 탑재 구조(300)를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안테나(302)와 함께 ETC 시스템(304)을 구성한다.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얇은 판 형상이고, 좁은 단부 면(10a)에서 카드(306)의 삽입 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구(308)와 배출 스위치(310)를 갖는다. 배출 스위치(310)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내에 삽입된 카드(306)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드(306)에는 사용자, 도로 요금 지불에 필요한 은행 계좌 등에 관한 정보가 내부의 IC 칩에 기록되어 저장된다. 카드(306)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에 의해 판독된다.

    차량이 요금 징수로 상에서 톨게이트를 통과하면, ETC 시스템(304)이 자동으로 톨게이트에 제공된 ETC 게이트(312)의 송수신 장치(314)와 통신하고, 카드(306)에 기록된 정보를 읽으며, 송수신 장치(314)에 요금 징수 도로 구역의 정보 및 차량의 종류, 카드 회사 등의 정보와 함께 판독된 정보를 알린다. 따라서 송수신 장치(314)가 대상 차량의 도로 요금을 결정하여 지정된 카드 회사에 도로 요금을 부과하는 소정의 절차를 이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ETC 시스템(304)을 이용하면 자동이륜차(12)가 톨게이트에서 정차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에 따라 정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안테나(302)는, 예를 들어 1024 kbps의 통신 속도로 5.8 MHz의 고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ASK 변조 방식을 기초로 ETC 게이트(312)의 송수신 장치(314)와 통신을 수행한다. 안테나(302)는 고주파수의 단거리 송수신의 수행에 이용되므로 소형으로 형성된다.

    ETC 시스템(304)의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보관함(70)의 내부에 제공되고, 안테나(302)는 좌우 백미러(80)의 어느 한쪽의 내부에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 구조(300)에는 보관함(70),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및 라이트(320)가 있다.

    라이트(320)로서 예를 들어, 전구, LED(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또는 EL(전계 발광(electroluminescence))이 사용될 수 있다.

    보관함(70)은 물품 보관용 공간(70a)을 포함하고, 승차 시트(31)는 이 공간을 덮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의 역할을 한다. 보관함(70)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전면 헬멧(full-face helmet)(H1, H2)(도 7 참조)의 보관을 허용하는 부피를 갖는다. 승차 시트(31)는 우측에 제공된 힌지(hinge)(322)(도 3 참조) 둘레로 회전 가능하며, 승차 시트(31)가 좌측으로 기울어져 공간(70a)을 덮은 상태에서 키 로크(key lock)(324)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공간(70a)이 실질적으로 밀폐되어 닫히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습기나 먼지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승차 시트(31)용의 로크 기구(lock mechanism)는 키 로크(324)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키(key)가 없는 엔트리 시스템(entry system)에 의해 자동으로 잠기고 풀리는 것일 수 있다.

    보관함(70)은, 공간(70a) 내의 우측 벽면(326)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다소 높은 위치에 제공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라이트(320),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및 승차 시트(31)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330)를 갖는다.

    스위치(330)는 공간(70a)의 좌측면의 상단부에 제공되고, 승차 시트(31)를 기울이면 승차 시트(31)의 단부에 의해 스위치(330)가 작동하여 승차 시트(31)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라이트(320)는 스위치(330)와 연계하여 작동한다. 라이트(320)는 승차 시트(31)를 열어 젖히면 점등되고, 기울어진 승차 시트(31)를 닫으면 꺼진다. 따라서 보관함(70)의 내부는 야간 시의 어두운 곳 등에 서도 라이트에 의해 밝혀져서, 헬멧 등을 꺼내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라이트(320)는 승차 시트(31)가 닫혀있는 동안 소등되므로, 불필요하게 라이트(320)가 계속 켜져 있어서 조명 전력을 낭비하는 일이 없다.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라이트(320)의 약간 아래쪽 위치에서 우측 벽면(326)에 고정되고, 넓은 면이 우측 벽면(326)과 접하게 되어, 삽입구(308)가 제공된 단부 면(10a)이 상부에 위치한다. 지지 브라켓(336)은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의 아래에 제공되고, 후크(338)는 장치 좌우에 제공된다. 고무 벨트(340)는 이 후크들(338) 사이에 이어져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두 개의 후크(338) 사이의 간격은 다양한 폭의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소 크게 한다. 우측 벽면(326)에는 진동감쇠 부재(342)가 제공되어,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에의 진동의 전달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삽입구(308)는 라이트(320)의 방향으로 놓이므로, 삽입구(308)는 라이트(320)에 의해 쉽게 밝혀진다. 라이트(32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구(308)는 라이트(320)의 긴 쪽을 따라 배치되어, 전 삽입구(308)가 밝혀진다.

    구조적인 이유로 라이트(320)의 근방에 삽입구(308)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라이트(320)로부터 나오는 빛을 삽입구(308) 근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광 유도 부재(light guide member)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삽입구(308)의 개구는 위쪽으로 향해 있어서, 카드(306)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삽입구(308)와 라이트(320)은 동일한 우측 벽면(326)에 제공되므로, 이들 사이에 빛을 차단하는 물체가 있을 가능성이 없고, 삽입구(308)는 라이트(320)에 의해 쉽게 밝혀진다.

    승차 시트(31)를 아래로 기울이면 보관함(70) 내의 공간(70a)은 실질적으로 밀폐되어 닫히므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안으로의 습기나 먼지의 침투가 예방되어 우수한 내환경성이 달성된다.

    보관함(70)은 키 로크(324)에 의해 잠기고, 보관함(70)의 내부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외부에서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가 탑재되어 있는지 알 수 없다.

    보관함(70)은 헬멧(H1, H2) 보관을 위해 자주 이용되므로, 자동이륜차(12)의 운전을 시작할 때와 끝낼 때 승차 시트(31)를 자주 기울여 열게 된다. 따라서 카드(306)의 삽입 및 인출만을 위하여 승차 시트(31)를 열고 닫기보다는 헬멧(H1, H2)의 사용 및 보관과 연계하여 개폐 작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절차가 간편해진다.

    승차 시트(31)는 우측으로 열어 젖혀지므로, 탑승자는 보관함(70) 안으로 손을 넣어 물품을 꺼낸다. 이때 라이트(320)가 우측 벽면(326)의 다소 상부에 제공되므로, 라이트(320)는 손으로 덮이지 않아서, 보관함(70)이 적절하게 밝혀진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이륜차(12)는 사이드 스탠드(68)에 의해 좌측(도 6에서는 우측)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주차될 수 있어서, 삽입구(308)는 그 좌측에 서 있는 탑승자의 방향으로 위치된다. 또한 우측 벽면은 좌측으로부 터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있어서, 삽입구(308)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사이드 스탠드(68)가 우측에 제공된 경우에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가 좌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70)의 개구를 상부에서 보면,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두 개의 헬멧(H1, H2)이 보관될 때,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이들 사이의 틈에 배치되어, 전혀 간섭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큰 사이즈의 두 헬멧(H1, H2)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의 폭을 W라고 하면, 실질적으로 중앙인 위치는 전후방으로 ±W의 범위, 즉 보관함(70)의 길이(L1)의 중앙(어느 한쪽 끝으로부터 길이(L2)의 위치)을 기준으로 W2 내에 들어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를 W2의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배치함으로써 두 헬멧(H1, H2)의 간섭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미러(80)에는 전부 카울(76)(도 1 참조)이 일체로 제공되고, 그 기저로서 수지 커버(350)가 형성되어 있다. 백미러(80)에는 수지 커버(350) 내부에 코어(core)(352), 거울(354), 기울일 수 있는 기구(356), 및 안테나(302)가 있다. 거울(354)은 코어(352) 둘레로 어느 방향으로든지 기울일 수 있다. 안테나(302)는 코어(352)와 거울(354) 사이의 공간의 상부에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포스트(358)는 수지 커버(350)의 내부 표면의 상부에 제공된다. 안테나(302)는 나사(360)로 포스트(358)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지 커버(350)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안테나(302)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백미러(80)는 실질적으로 자동이륜차(12)(도 1 참조)의 전부에 제공되고, 수지 커버(350)는 수지로 만들어지므로, 라디오파의 감쇠는 거의 없고, 이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송수신이 가능하다.

    안테나(302) 자체는 수지 커버(350)에 의해 덮이고,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안테나(302)에 연결된 케이블(302a)은 커버(350)로부터 전부 카울(76)로 직접 이어져서, 어떤 부분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승차 시트(31)를 닫으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배치된다. ETC 시스템(304)이 외부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뒤따른다. 그래서 외부인은 자동이륜차에 ETC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는지 아는 것이 불가능하고, 방수성, 방진성과 같은 내환경성 성능과 관련하여 개선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ETC 시스템(304)의 탑재는 불필요한 돌출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공기역학적 성능과 미적 시장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비록 백미러(80)가 도 8 및 도 9에서는 좌측에 제공되지만, 안테나(302)는 백미러(8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와 그 탑재 구조(300)는 하기와 같이 작동한다.

    먼저 자동이륜차(12)에 승차하기 전에 탑승자는 승차 시트(31)를 위로 젖혀서 보관함(70)의 공간(70a)을 노출시키고, 우측 벽면(326)에 제공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의 삽입구(308)에 카드(306)를 삽입한다. 이때 라이트(320)는 스위 치(330)의 작동으로 켜지므로, 삽입구(308)는 어두운 곳에서도 밝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드(30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탑승자가 쓰는 헬멧(H1, H2)은 보관함(70)에 보관되어 있고, 탑승자는 수하물을 보관해야 하는 이유로 탑승 전에 승차 시트(31)를 위로 젖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카드(306)는 단순히 이때 삽입구(308)에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절차가 간소화된다.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삽입된 카드(306)로부터 사용자, 도로 요금 지불을 위한 은행 계좌 등에 관한 정보를 읽게 된다.

    그 다음, 탑승자는 승차 시트(31)를 닫고, 승차 시트(31)에 올라타고 자동이륜차(12)를 출발시킨다. 자동이륜차(12)가 요금 징수 도로를 들어가고 나올 때,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안테나(302)를 통해 ETC 게이트(312)에서 송수신 장치(314)와 통신을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도로 요금 지불을 위한 은행 계좌, 주행하는 요금 징수 도로의 구역, 차종, 카드 회사 등의 정보를 교환한다. 이렇게 해서 송수신 장치(314)는 지정된 카드 회사에 도로 요금을 부과하는 절차를 이행한다.

    목적지에 도착하여 자동이륜차(12)의 운전을 끝낼 때에는, 자동이륜차(12)가 정지된 후, 승차 시트(31)가 위로 젖혀지고,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의 배출 스위치(310)가 눌려져 카드(306)가 뽑힌다. 이때 배출 스위치(310)는 단부 면(10a)에 제공된 라이트(320)에 의해 밝혀지고, 이로써 어두운 곳에서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배출 스위치(310)의 조작 시, 카드(306)는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배출되고, 탑승자가 꺼내게 된다. 단부 면(10a)이 위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카드(306)가 무심코 떨어지는 것이 예방된다.

    이후, 승차 시트(31)는 주차를 위해 닫히고 키 로크(324)로 잠긴다. 주차 중에 ETC 시스템(304)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우수한 내환경성이 달성된다.

    전술한 탑재 구조(300)는 자동이륜차(12)에 적용에 될 수 있지만, 물론 자동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경우에도 문이 닫혀 있는 동안 내부의 라이트가 꺼지고, 야간에 자동차 내부는 꽤 어둡다. 따라서 삽입구(308)는 전술한 탑재 구조(300)의 라이트(320)에 의해 밝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계기판 내부에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를 제공하여 계기반의 전부 커버의 개폐와 연계하여 라이트(320)가 점등 및 소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400)와 그 수정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4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400)는 카드(306)가 삽입되는 삽입구(402)를 가진 본체 장치(404), 본체 장치(404)를 덮는 케이스(408), 삽입구(402)가 제공되는 표면(402a)에 배치된 작동 부재(410a)를 가진 마이크로 스위치(410), 표면(402a)을 덮는 개폐가 가능한 커버(덮개)(412), 및 커버(412)에 제공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라이트(414)를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본체 장치(404)와 마이크로 스위치(410)가 가시화되도록 케이스(408)는 가상 선으로 표시된다.

    커버(412)는 전체 표면(402a)을 덮는 긴 형태를 가지고, 커버(413)의 긴 쪽 에 제공된 힌지(403)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본체 장치(404)는 케이스(408)에 실질적으로 밀폐되어 둘러싸이고, 이로써 외부로부터의 습기와 먼지의 침투를 막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닫히면, 커버(412)는 로킹 기구(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잠기고, 다시 누르면 풀어서 열 수 있다.

    커버 라이트(414)는 표면(402a)을 덮는 커버(412)의 표면에 힌지(403)로부터 대향하는 측의 위치에서 삽입구(40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따라서 전체 삽입구(402)는 커버 라이트(414)에 의해 밝혀진다. 커버 라이트(414)로는 예를 들어, 전구, LED, 또는 EL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412)에는 커버(412)가 닫힐 때 마이크로 스위치(410)의 작동 부재(410a)를 누르는 돌출부(412a)가 제공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410)는 본체 장치(404)의 측면에 제공되며, 커버(412)가 닫히면 커버(412)에 제공된 돌출부(412a)에 의해 작동 부재(410a)가 작동하도록 배치되어, 이로써 커버(412)의 개폐 상태의 감지를 허용한다. 커버 라이트(414)는 마이크로 스위치(410)와 연계하여 작동하고, 커버(412)가 닫히면 소등되고, 커버(412)가 열리면 점등된다. 따라서 삽입구(402)는 어두운 곳에서도 라이트에 의해 밝혀지고, 이로써 카드(306)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커버(412)가 닫혀 있는 동안 커버 라이트(414)는 소등되므로, 불필요하게 라이트(414)가 계속 켜져 있어서 조명 전력을 낭비하는 일이 없다.

    또한 커버 라이트(414)는 커버(412)에 제공되므로, 본체 측면 상의 구조가 간소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삽입구(402)의 근방이 넓게 밝혀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수정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430)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커버 라이트(414)가 본체 장치(404)와 표면(402a)의 케이스(408) 사이의 틈에 제공된다. 전술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430)에서는 커버 라이트(414)에 연결된 전선(414a)이 케이스(408)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따라서 배선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400, 430)에서는, 삽입구(402)가 커버(412)의 개방과 연계된 커버 라이트(414)에 의해 밝혀지고, 이로써 카드(306)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체 장치(404)가 케이스(408)와 커버(412)에 의해 덮여 있어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400, 430)는 우수한 내환경성을 제공하고, 따라서 자동이륜차(12) 내 다양한 위치에의 탑재를 허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13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안테나를 위한 안테나 탑재 구조에 대해 하기에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탑재 구조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를 포함하고, 자동이륜차(차량)(12')(도 13 참조)에 탑재된다. 먼저 자동이륜차(12')에 대해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자동이륜차(12')의 방향은 시트에 올라탄 탑승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정의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이륜차(12')는 스쿠터형의 자동이륜차이고, 그 전단부에 전륜(WF')을 지지하는 전부 포크(25')와, 전부 포크(25')에 연결된 핸들바(26')가 조종가능하도록 지지된 헤드 파이프(27')를 포함한다. 후단부에서 후륜(WR')을 지지하는 유닛 스윙 하우징(UE')은 상하방향으로 스윙이 가능하도록 본체 프레임(F')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지지된다. 연료 탱크(28')와 연료 탱크(28')의 뒤에 배치된 라디에이터(29')는 유닛 스윙 엔진(UE') 앞의 위치에서 본체 프레임(F')에 탑재된다. 또한 전부 시트(32')와 후부 시트(33')를 가진 탄뎀 구조의 승차 시트(31')는 본체 프레임(F')의 후부에 배치된다. 또한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본체 커버(34')는 본체 프레임(F'), 유닛 스윙 엔진(UE')의 전면부, 연료 탱크(28'), 및 라디에이터(29')를 덮도록 본체 프레임(F')에 부착된다.

    유닛 스윙 엔진(UE')은 실린더 축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냉식 엔진(E')과, 변속기 벨트와 풀리에 의해 무단변속을 통해 엔진(E')의 출력을 후륜(WR')에 전달하는 벨트형 무단변속기(M')를 포함한다. 무단변속기(M')는 기어 시프트 전기 모터(42')의 구동에 따라 크랭크샤프트 측 상의 움직이는 풀리를 구동하여 기어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작용한다.

    무단변속기(M')의 변속기 케이스(43')는 엔진(E')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도록 엔진(E')의 크랭크케이스(44')의 좌측 상에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후륜(WR')의 좌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스윙 암(미도시)의 전단부는 크랭크케이스(44')의 우측에 연결된다. 후륜(WR')은 변속기 케이스(43')의 후단부와 스윙 암의 후단부 사이에 지지된다.

    한 쌍의 좌우 후방 쿠션(64')의 상단부는 본체 프레임(F')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두 후방 쿠션(64')의 하단은 변속기 케이스(43')의 후단부와 스윙 암의 후단 부에 연결된다.

    자동이륜차(12')에는 주차 시에 자동이륜차(12')를 세워놓기 위한 메인 스탠드(66')와 사이드 스탠드(68')가 구비된다.

    일본에서는 차량들이 도로의 좌측으로 다니고, 탑승자들은 일반적으로 자동이륜차의 좌측에서 타고 내리므로, 사이드 스탠드(68')는 스탠드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좌측에 제공된다. 사이드 스탠드(68')는 좌측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자동이륜차(12')가 자체적으로 세워지게 한다.

    물품 보관을 위한 보관함(70')은 승차 시트(31') 아래에 제공되고, 승차 시트(31')의 전단부 아래에서 후부 쿠션(64')의 상부 근방으로 연장한다. 승차 시트(31')는 보관함(70')의 상부를 덮는 덮개의 기능도 한다. 보관함(70') 내부의 공간은 승차 시트(31')를 우측으로 들어올리면 노출된다.

    전부 커버(34')의 전부 카울(76')은 상부에 투명한 윈드 스크린(78')을 포함한다. 한 쌍의 좌우 백미러(80')는 핸들바(26')에 제공된다. 내부 커버(82')는 탑승자의 다리 앞 부분을 덮는 레그 실드(84')와 스텝 홀더(86')를 포함한다. 스텝 홀더(86')는 센터 커버(88')의 후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승객이 자신의 발을 올려놓는 필리온 스텝(90')은, 들어가기도 하고 나오기도 하도록 부착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커버(34')의 전면부는 전부 카울(76')을 형성한다. 전부 카울(76')은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자동이륜차(12')의 전면에 있는 핸들바의 중앙 부분(즉, 스템(122')), 미터 유닛(126'), 헤드 파이프(27') 등을 완전히 덮고, 먼 쪽 단부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한다.

    전부 카울(76')에는 센터 가니쉬(center garnish)(102'), 좌우로 돌출한 측면 부위(104'), 및 센터 가니쉬(102') 위에 제공된 윈드 스크린(78')이 있다. 센터 가니쉬(102')와 윈드 스크린(78')은 일체로 매끄럽게 서로 연결되고, 따라서 주행 바람이 센터 가니쉬(102')로부터 윈드 스크린(78') 쪽으로 쉽게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윈드 스크린(78')은 탑승자에 대한 바람막이(wind shielding) 효과와 주행 중의 유동 저항(flow resistance) 저감 효과를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윈드 스크린(78')의 전표면은 투명해서, 탑승자에게 양호한 시야를 제공한다. 윈드 스크린(78')의 하부(78a')만 시야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검은색으로 칠해서, 내부측의 미터 유닛(126')과 관련된 차양 효과(sunshade effect)와 외부 디자인에 대한 효과를 제공한다.

    센터 가니쉬(102')에는 먼 쪽 중앙 단부에 있는 헤드라이트(108'), 좌우의 다소 높은 위치에 제공된 방향 지시등(110'), 헤드라이트(108') 위에 제공된 공기 유도 입구(112'), 및 먼 쪽 단부의 좌우에 위치한 한 쌍의 작은 공기 유도 입구(114')가 있다. 공기 유도 입구(112')는 바닥면(112a')을 포함하고, 하방으로 볼록한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바닥면(112a')은 상방과 그 중앙으로 연장함에 따라 더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도 입구(112')의 상단부에는 좁은 개구(116')가 제공되어 있다.

    공기 유도 입구(112')는 전부 카울(76')의 전체 면적과 비교하여 작은 면적만 차지하며, 적정량의 공기만 바닥면(112a')으로부터 개구(116')로 유도되도록 한 다.

    공기 유도 입구(112')처럼 공기 유도 입구(114')는 적정량의 공기가 그 뒤쪽에 있는 개구로 유도되도록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 카울(76')의 내부에는 헤드 파이프(27'), 핸들바 스템(122'), 포크 브릿지(fork bridge)(124'), 미터 유닛(126'), 스테이(stay)(128'), 분할판(129'), 및 헤드라이트(108')가 제공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27')는 본체 프레임(F')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파이프로서, 핸들바 스템(122')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핸들바 스템(122')의 상단부는 핸들바(26')의 좌우 방향의 중앙 위치에 연결된다. 핸들바 커버(132')는 핸들바(26')에 제공된다. 핸들바 스템(122')의 하단부는 전부 포크(25') 쌍에 연결된다. 스테이(128')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브라켓(134')은 헤드 파이프(27')의 전부면에 제공된다. 스테이(128')는 복수의 파이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미터 유닛(126'), 헤드라이트(108'), 및 전부 카울(76')을 지지한다. 분할판(129')은 스테이(128') 아래에 탑재되고, 아래로부터 헤드 파이프(27')와 미터 유닛(126')을 덮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터 유닛(126')은, 속도계, 유속계(tachometer), 연료계(fuel meter), 적산거리계(odometer)를 포함하는 미터 본체(126a')와 미터 본체(126a')의 상부를 덮는 미터 바이저(meter visor)(126b')를 갖는다. 미터 바이저(126b')는 중앙에 제공된 리세스(136')와 함께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의 곡면을 형성한다. 뒤에서 설명하는 안테나(302')는 리세스(136')에 제공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터 유닛(126')은 공기 유도 입구(112')의 뒤쪽 사선으로 위쪽의 위치에서 윈드 스크린(78') 내부에 배치된다. 좁은 틈(140')은 미터 바이저(126b')와 윈드 스크린(78') 사이에 형성된다. 미터 바이저(126b')의 먼 쪽 단부와 공기 유도 입구(112')의 바닥면(112a')의 뒤쪽 단부는 연결판(14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틈(144')은 센터 가니쉬(102')의 상단에서 연결판(142')과 내부면(102a')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공기 유도 입구(112')의 개구(116')는 틈(144')과 틈(140')을 통해 윈드 스크린(78')의 내부와 연통하고, 틈(144')과 틈(140')은 공기 유도로(146')를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302')는 미터 바이저(126b')의 리세스(136')에 제공된다. 안테나(302)는, 예를 들어 1024 kbps의 통신 속도로 5.8 MHz의 고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ASK 변조 방식을 기초로 ETC 게이트(312')(도 19 참조)의 송수신 장치(314')와 통신을 수행한다. 안테나(302')는 고주파수의 단거리 송수신의 수행에 이용되므로 소형으로 형성된다. 리세스(136')의 바닥에는 진동감쇠 부재(147')가 제공되어, 안테나(302')에 대한 진동의 전달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안테나(302')의 케이블(302a')이 길면, 케이블(302a')의 잉여 부분을 근방의 포스트(309') 둘레도 감싸서 고정시킬 수 있다. 포스트(309')는 스테이(128') 또는 미터 유닛(126')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이 나중에 배선이 안되는 일이 없도록 해준다.

    도 18로부터 명백하듯이, 리세스(136')는 미터 본체(126a')와 미터 바이저(126b')의 상부 면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제공된다. 리세 스(136')는 전부(front)는 얕고, 후부로 갈수록 깊어진다.

    안테나(302')는 자동이륜차(12')의 전면부에 제공되고, 또 자동이륜차(12')는 전방으로 움직이므로, 안테나(302')와 안테나(302')의 전방 위에 위치한 송수신 장치(314')(도 19 참조) 사이에 양호한 송수신 감도가 획득된다. 이는 수지(resin)로 만들어진 윈드 스크린(78')과 센터 가니쉬(102')만 안테나(302')와 송수신 장치(314')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라디오파의 감쇠가 거의 없다.

    안테나(302')가 표준 장비로 될 때뿐 아니라, 안테나(302')가 탑승자, 판매업자 등에 의해 개장(retrofitted)될 때에도 안테나(302')는 공기 유도로(146') 안으로 거의 돌출하지 않고, 윈드 스크린(78')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자동이륜차(12')의 공기역학적 특성이 감쇠되지 않고, 미적 시장성과 관련하여 개선이 이루어진다.

    도 13으로 돌아가서, 센터 가니쉬(102')의 전부 표면으로 향하는 주행 바람(FW)은 공기 유도 입구(112')로 들어가서, 공기 유도로(146')을 통과하여 윈드 스크린(78')의 뒷면으로부터 상방과 측면으로 흐른다. 윈드 스크린(78')의 뒷면에서 나온 적정량의 이러한 후면 유동(RW)은 윈드 스크린(78')의 전부면을 따라 흐른 전부면 유동(FW)와 합쳐진다. 그 결과 윈드 스크린(78')의 뒷면에서 발생되는 음압이 작아진다. 따라서 전부면 유동(FW)을 윈드 스크린(78')의 뒷면으로 유인하는 힘이 감소하여, 전부면 유동(FW)은 윈드 스크린(78')의 엣지 둘레로 가지 않고 후방으로 직접 가며, 따라서 탑승자에게 개선된 바람막이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안테나(302')를 포함하는 ETC 시스템(304')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302')는 도 4에서 유사하게 도시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와 함께 ETC 시스템(304')을 구성한다.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얇은 판 형상이고, 좁은 단부 면(10a')에서 카드(306')의 삽입 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구(308')와 배출 스위치(310')를 갖는다. 배출 스위치(310')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 내에 삽입된 카드(306')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드(306')에는 사용자, 도로 요금 지불에 필요한 은행 계좌 등에 관한 정보가 내부의 IC 칩에 기록되어 저장된다. 카드(306')는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에 의해 판독된다.

    차량이 요금 징수로 상에서 톨게이트를 통과하면, ETC 시스템(304')이 자동으로 톨게이트에 제공된 ETC 게이트(312')의 송수신 장치(314')와 통신하고, 카드(306')에 기록된 정보를 읽으며, 송수신 장치(314')에 요금 징수 도로 구역의 정보 및 차량의 종류, 카드 회사 등의 정보와 함께 판독된 정보를 알린다. 따라서 송수신 장치(314')가 대상 차량의 도로 요금을 결정하여 소정의 카드 회사에 도로 요금을 부과하는 소정의 절차를 이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ETC 시스템(304')을 이용하면 자동이륜차(12')가 톨게이트에서 정차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에 따라 정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ETC 시스템(304')의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예를 들어 보관함(70')(도 13 참조)의 내부에 제공되고,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302')와 케이블(302a')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ETC 시스템(304')이 외부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뒤따른다. 그래서 외부인은 자동이륜차에 ETC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는지 아는 것이 불가능하고, 방수성, 방진성과 같은 내환경성 성능과 관련하여 개선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ETC 시스템(304')의 탑재는 불필요한 돌출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공기역학적 성능과 미적 시장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재 구조(300')는 전부 카울(76'), 윈드 스크린(78'), 공기 유도로(146'), 리세스(136'), 및 안테나(302')에 의해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ETC 시스템(304')의 안테나(302')와 그 탑재 구조(300')는 하기와 같이 작동한다.

    먼저 자동이륜차(12')에 승차하기 전에 탑승자는 승차 시트(31')를 위로 젖혀서 보관함(70')을 노출시키고, 자동이륜차(12')의 내부에 제공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의 삽입구(308')에 카드(306')를 삽입한다.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가 카드(306')로부터 사용자, 도로 요금 지불에 필요한 은행 계좌 등에 관한 정보를 판독된다.

    그 다음, 탑승자는 승차 시트(31')를 닫고, 승차 시트(31')에 올라타고 자동이륜차(12')를 출발시킨다. 안테나(302')는 자동이륜차(12')의 주행 중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안테나(302')는 주행 바람을 직접적으로 맞지 않고, 후면 유동(RW)의 일부만 맞으며, 따라서 안테나(302')에 과도한 풍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자동이륜차(12')가 고속도로와 같은 요금 징수 도로를 들어가고 나올 때, 자 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는 안테나(302')를 통해 ETC 게이트(312')에 있는 송수신 장치(314')와 통신을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도로 요금 지불을 위한 은행 계좌, 주행하는 요금 징수 도로의 구역, 차종, 카드 회사 등의 정보를 교환한다. 이렇게 해서 송수신 장치(314')는 지정된 카드 회사에 도로 요금을 부과하는 절차를 이행한다.

    이때, 안테나(302')는 자동이륜차(12')의 전부와 상부에 제공되고, 리세스(306')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라디오파의 방향성을 고려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안테나(302')와 송수신 장치(314') 사이에 높은 송수신 감도가 달성되고,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이 보장된다.

    목적지에 도착하여 자동이륜차(12')의 운전을 끝낼 때에는, 자동이륜차(12')가 정지된 후, 승차 시트(31')가 위로 젖혀지고,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10')의 배출 스위치(310')가 눌려져 카드(306')가 뽑힌다. 배출 스위치(310')의 조작 시, 카드(306')는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배출되고, 탑승자가 꺼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탑재 구조(300')에서는, 안테나(302')가 외부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대부분의 주행 바람은 전부 카울(76')에서 윈드 스크린(78')의 전부면으로 흐르며, 약간의 공기 저항의 증가가 있다. 또한 적정량의 공기만 공기 유도로(146')로 흐르므로, 안테나(302')에 과도한 풍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안테나(302')는 자동이륜차(12')의 가장 앞쪽의 상부 위치에 제공되고, 톨게이트에서 안테나(302')와 송수신 장치 사이에 방해물이 전혀 존재하지 않아, 양호한 송수신 감도가 달성된다.

    또한 안테나(302')는 리세스(136')에 의해 위치와 방향이 조절되면서 제자리에 고정되므로, 안테나(302')는, 송수신 장치(314')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각도 θ(도 18 참조)에 대하여 안테나(302')가 라디오파의 강한 송수신 방향성을 보이는 방향으로 쉽게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탑승자가 특별한 지식, 측정 도구, 지그(jig) 등이 없이 안테나(302')를 고감도를 보장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쉽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치 회사나 직원과 관련하여 선택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테나(302')는 공기 유도로(146') 안으로 거의 돌출하지 않아서, 공기 유도로(146')을 통과하는 후면 유동(RW)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후면 유동(RW)은 안테나(302')에 거의 부딪치지 않고, 과도한 풍압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리세스(136')와 관련된 탑재 강도와 리세스(136')의 구조가 지나치게 증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안테나(302')가 공기 유도로(146')로 약간 돌출한 경우에는, 공기 유도로(146') 내를 흐르는 후면 유동(RW)이 센터 가니쉬(102')의 전부 면을 따라 흐르는 주행 바람(FW) 만큼 강하지 않다. 따라서 적정량의 바람만 흘러서, 안테나(302')에 과도한 풍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안테나(302')는 탑승자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공기 유도로(146')의 상당히 뒤쪽에 위치한다. 그래서 안테나(302')는 특히 보이지 않고, 전방 시야를 가리지 않으며, 탑승자가 안테나(302')의 존재를 불필요하게 의식하지 않게 된다.

    과도한 풍압이나 외력이 예상치 못하게 안테나(302')에 가해지더라도, 후면에 있는 스텝(136a')(도 18 참조)에 지지되기 때문에 안테나(302')가 떨어질 염려 가 없다. 또한 리세스(136')가 안테나(302')로 거의 꽉 채워져 있기 때문에, 후면 유동(RW)이 리세스(136')에 의해 방해받을 염려가 거의 없다.

    안테나(302')는 윈드 스크린(78')의 하부(78a')나 센터 가니쉬(102')에 의해 덮이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또한 케이블(302a')은 리세스(136')로부터 전부 카울(76') 안으로 직접 이어진다. 그래서 안테나(302')의 어느 부분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안테나(302')의 탑재 구조의 수정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탑재 구조(300')와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들 각 수정은 전술한 탑재 구조(30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정에 따른 탑재 구조(400')에서는, 카트리지(402')가 전술한 리세스(136')의 위치에 제공되고, 안테나(302')는 카트리지(402') 내에 설치된다. 카트리지(402')는 미터 바이저(126b')에 대하여 클로(claw)(402a')와 맞물려 고정되어, 카트리지(402')의 탑재가 용이하다. 또한 카트리지(402')는 클로(402a')의 맞물림을 풀어서 뗄 수 있다. 안테나(302')는 상부 커버(402b')에 의해 공기 유도로(146')로부터 분리되어, 풍압을 받지 않는다.

    카트리지(402')의 상부 커버(402b')는 상부 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미터 바이저(126b')의 상부 면에 매끄럽게 연결된다. 이것이 공기 유도로(146')의 하부면이 더 매끄럽게 형성되도록 하여, 후면 유동(RW)이 쉽게 움직이도록 한다.

    안테나(302')가 공기 유도로(146') 안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카트리지(402') 가 안테나(302')를 지지하므로, 카트리지(402')가 실제로 공기 유도로(146')의 리세스를 구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비록 안테나(302')가 공기 유도로(146') 안으로 전혀 돌출하지 않지만, 카트리지(402')는 공기 유도로(146')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테나(302')는 카트리지(402')에 탑재된다. 이는 안테나(302')가 공기 유도로(146')에 제공된다는 말과 같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정에 따른 탑재 구조(410')에서는, 안테나(302')가 연결판(142')의 후면에 돌출한 보스(boss)(412')에 나사(414')로 단단히 고정된다. 안테나(302')는 공기 유도로(146') 안으로 전혀 돌출하지 않으므로 여기에 풍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보스(412')의 사용으로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고정 홀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계 가공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홀(302b')(또는 고정 스테이 등)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 불필요해져서, 부분들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경우, 비록 안테나(302')가 공기 유도로(146') 안으로 전혀 돌출하지 않지만, 연결판(142')은 공기 유도로(146')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테나(302')는 연결판(142')에 탑재된다. 이는 안테나(302')가 공기 유도로(146')에 제공된다는 말과 같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정에 따른 탑재 구조(420')에서는, 전술한 리세스(136')가 제공되지 않고, 안테나(302')는 미터 바이저(126b')에 직접 제공된 다. 전술한 탑재 구조(420')에서도, 안테나(302')가 자동이륜차(12')의 전면의 상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양호한 감도가 획득된다. 또한 안테나(302')는 전부 카울(76')의 내부에 제공되므로, 안테나(302')에 과도한 풍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안테나(302')는 소형이므로, 공기 유도로(146')를 크게 좁히지 않고, 따라서 적정량의 후면 유동(RW)의 흐름을 허용한다.

    2점 쇄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안테나(302')는 미터 바이저(126b')의 후단부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수정에 따른 탑재 구조(430')에서는, 안테나(302')가 전술한 크기가 큰 전부 카울(76') 대신 핸들바(432'), 미터 패널(434')을 덮는 수지로 만든 작은 핸들바 커버(436') 내에 제공된다. 핸들바 커버(436') 내에서 안테나(302')는 핸들바(432')와 미터 패널(434')의 전부(front)에 제공된다.

    핸들바 커버(436')는 그립(grip)(432a')과 다른 핸들바(432'), 레버(432b'), 및 유압 유닛(432c')을 덮고, 전부로 연장하면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핸들바 커버(436')의 중앙 부분은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작은 커버(438')를 형성한다. 안테나(302')는 작은 커버(438')의 후면에 고정된다.

    전술한 탑재 구조(430')의 경우에도, 안테나(302')가 자동이륜차(12')의 전면의 상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양호한 감도가 획득된다. 또한 안테나(302')는 핸들바 커버(436')의 내부에 제공되므로, 안테나(302')에 과도한 풍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안테나(302')는 꼭 ETC에 사용되는 것일 필요가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안테나(302')는, 예를 들어 GPS(지상 위치 측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륜차를 위한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와 그 탑재 구조, 및 안테나 탑재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이륜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승차 시트의 개방을 노출된 보관함을 가진, 도 1에 도시된 자동이륜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ETC 시스템과 ETC 게이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의 탑재 구조이다.

    도 6은 승차 시트는 열려있고, 사이드 스탠드에 의해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주차된 자동이륜차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승차 시트가 열려있는 보관함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부분적으로 단면이 도시된 백미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백미러의 단면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0은 안테나와 탑재 포스트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수정에 따른 자동이륜차용 통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륜차이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자동이륜차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자동이륜차의 전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자동이륜차의 전면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미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이 실시예에 따른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ETC 시스템과 ETC 게이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제1 수정에 따른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2 수정에 따른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3 수정에 따른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4 수정에 따른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0, 10', 400, 430...자동이륜차용 통신장치

    12, 12'...자동이륜차

    66...메인 스탠드

    68...사이드 스탠드

    70...보관함

    70a...공간

    76, 76'...전부 카울

    78'...윈드 스크린

    80...백미러

    102'...센터 가니쉬

    108'...헤드라이트

    112'...공기 유도 입구

    116'...개구

    122'...핸들바 스템

    126'...미터 유닛

    126b'...미터 바이저

    136'...리세스

    140', 144'...틈

    142'...연결판

    146'...공기 유도로

    300...통신 장치의 탑재 구조

    300', 410', 420', 430'...안테나 탑재 구조

    302, 302'...안테나

    302a'...케이블

    304, 304'...ETC 시스템

    306, 306'...카드

    308, 402...삽입 슬롯

    310...배출 스위치

    314, 314'...송수신 장치

    320...라이트

    322, 403...힌지

    324...키 로크

    326...우측 벽면

    330...스위치

    342...진동감쇠 부재

    404...본체 장치

    402'...카트리지

    408...케이스

    410...마이크로 스위치

    414...커버 라이트

    434'...미터 패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