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취식 커버장치

申请号 KR1020070138559 申请日 2007-12-27 公开(公告)号 KR1020090070526A 公开(公告)日 2009-07-01
申请人 곽종수; 发明人 곽종수;
摘要 A rolling cover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a vehicle by preventing the foreign material outside a cover from moving to the inside of the cover. A rolling cover device comprises: a slip sheet shaft(100) in which a slip sheet(110) is rolled; a cover shaft(200) rotating with a torque input unit and winding a cover(210) and the slip sheet; a power transmission unit(300) delivering the torque of the cover shaft into the slip sheet shaft; and a body part(400) accepting the slip sheet shaft and the cover shaft to be rotated to be parallel. The torque input unit is a handle(220) connected to one end among both ends of the cover shaft.
权利要求
  • 간지가 감겨진 간지샤프트와;
    회전력입력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커버 및 상기 간지가 함께 적층 되어 감겨지는 커버샤프트와;
    상기 커버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간지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간지샤프트 및 커버샤프트를 수용하여 서로 나란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커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입력수단은, 상기 커버샤프트의 양단 중 어느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커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으로 상하 이분 형성되되, 상기 상부케이싱은 상기 커버샤프트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케이싱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케이싱 내에는 상기 간지샤프트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케이싱에는 상기 커버의 인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커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 내에는 상기 간지의 양면에 접촉하는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커버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는 소정의 경사를 이루어 고정되며, 상기 하부케이싱의 하부에는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커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커버샤프트에 마련된 제1기어와, 상기 간지샤프트에 마련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사이에 치합된 연결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커버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에는 상기 커버샤프트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커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의 저면에는 받침대가 추가로 마련되되, 상기 받침대는 상기 하부케이싱의 저면에 고정 체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절첩 되며, 선택적으로 신축 가능한 다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커버장치.
  • 说明书全文

    권취식 커버장치{Rolling type cover device}

    본 발명은 권취식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를 인출하여 이륜차 또는 자동차를 덮어 보호하며, 미사용 시 커버를 권취시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써, 권취식의 커버장치를 이용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커버의 권취 시 커버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 간지가 적층된 상태로 권취 됨으로써 커버 외면의 이물질이 커버 내면으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륜차나 자동차의 오염을 내구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스토퍼를 이용하여 커버가 인출되는 것을 막아 항시 적절한 텐션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의 주차 시 비나 눈에 노출될 경우 체인 등 각종 부품의 부식을 유발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주차 시에는 낙엽이나 수액(樹液) 등의 이물질에 의하여 도장이 쉽게 변색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륜차 및 자동차의 주차 시 별도의 커버를 씌워줌으로써, 비나 눈, 먼지, 낙엽이나 수액과 같은 각종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용한 커버를 이륜차나 자동차에 별도로 적재하고 다니다가 씌우는 작업이 불편하기 때문에 차체에 고정된 권취식의 커버장치가 안출되었다.

    이와 같이 차체에 고정된 권취식 커버장치는 차량을 주차시켜 놓은 상태에서 롤에 감겨진 커버를 인출하여 차체를 덮어 주었다가, 미사용 시에는 롤에 감아서 보관할 수 있다는 편의성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체에 고정된 권취식 커버장치는 사용 시 커버 외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커버를 감아 보관하는 과정에서 커버의 내표면으로 옮겨가게 되어,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차체와 접촉하는 커버의 내표면이 쉽게 오염됨으로써, 상술한 커버 사용의 이점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권취식의 커버장치를 이용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커버의 권취 시 커버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 간지가 적층된 상태로 권취 됨으로써 커버 외면의 이물질이 커버 내면으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륜차나 자동차의 오염을 내구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스토퍼를 이용하여 커버가 인출되는 것을 막아 항시 적절한 텐션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권취식 커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간지가 감겨진 간지샤프트와; 회전력입력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커버 및 상기 간지가 함께 적층 되어 감겨지는 커버샤프트와; 상기 커버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간지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간지샤프트 및 커버샤프트를 수용하여 서로 나란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몸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권취식의 커버장치를 이용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커버의 권취 시 커버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 간지가 적층된 상태로 권취 됨으로써 커버 외면의 이물질이 커버 내면으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륜 차나 자동차의 오염을 내구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스토퍼를 이용하여 커버가 인출되는 것을 막아 항시 적절한 텐션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에 대한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에 대한 이륜차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에 대한 자동차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00) 내에 회전에 따라 커버(210)를 감는 커버샤프트(200)와, 이 커버샤프트(200)의 일측에 간지(110)가 감겨 있는 간지샤프트(100)가 마련되고, 동력전달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커버샤프트(200)와 간지샤프트(100)가 연동 하여 회전함으로써, 커버(210)와 간지(110)가 적층 되면서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감겨지게 되어, 상기 커버(210)의 외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상기 간지(110)에 의하여 상기 커버(210)의 내표면으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간지샤프트(100)나 커버샤프트(200)의 회전방향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이하 설명한다.

    우선, 간지샤프트(100)는 롤러 형상의 샤프트로써, 이 간지샤프트(100)에는 간지(110)가 감겨져 있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간지(110)를 감아주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간지(110)를 풀어주는 것으로, 상기 간지(110)는 혹서기 및 혹한기에도 손상 없이 내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빗물이나 눈, 먼지, 수액 등의 이물질이 통과하지 않는 필름 형태의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커버샤프트(200) 또한 롤러 형상의 샤프트로써, 이 커버샤프트(200)는 이후에 설명할 회전력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커버(210)와 함께 상기 간지(110)를 적층 시켜 감아주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210)와 간지(110)를 풀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210)는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 및 자동차의 일부나 차체 전부를 덮어 비나 눈, 먼지, 낙엽이나 수액 등 기타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 및 방염 처리된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샤프트(200)는 커버(210)의 사용을 위해 상기 커버(210)를 당김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버(210)를 풀어주게 되지만, 이 커버 샤프트(2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인출된 커버(210)를 다시 권취 시키기 위해서는 회전력입력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력입력수단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회전력을 가해주는 수동형태가 가능하며, 이러한, 상기 회전력입력수단은,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양단 중 어느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별물로 이루어진 손잡이(220)를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양단 중 어느 일측 단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이 손잡이(220)를 돌려 상기 커버샤프트(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커버(210)와 간지(110)가 함께 적층 되어 감겨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미도시 하였지만 스위치 제어를 통하여 전동모터가 회전력을 가해주는 전동형태가 가능하며, 이러한 상기 회전력입력수단은, 별도의 전원공급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커버샤프트(200)와 간지샤프트(100)가 서로 연동 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상기 간지샤프트(10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00)이 마련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회전속도와 간지샤프트(100)의 회전속도를 비교해서 살펴보면,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커버(210)와 간지(110)가 많이 감겨져 있을 때에는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직경이 커지는 반면, 상기 커버샤프트(200)로부터 커버(210)와 간지(110)가 많이 풀려 나갔을 때에는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며, 이에 따른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직경 변화율은 크다.

    하지만, 간지샤프트(100)의 경우 얇은 필름 형태의 간지(110)만이 감겨지거나 풀려 나가기 때문에 상기 간지샤프트(100)의 직경 변화는 미소하다.

    즉,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감겨진 커버(210)와 간지(11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버샤프트(200)와 간지샤프트(100)에는 회전속도 차이가 항상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정한 회전비를 유지하는 실시예와 가변 회전비를 얻을 수 있는 실시예를 각각 구분하여 이하 설명한다.

    첫째, 일정한 회전비를 유지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은 벨트나 체인 등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마련된 제1기어(310)와, 상기 간지샤프트(100)에 마련된 제2기어(320)와, 상기 제1기어(310)와 제2기어(320) 사이에 치합된 연결기어(3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기어(310)는 커버샤프트(20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제2기어(320)는 간지샤프트(10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샤프트(200)와 상기 간지샤프트(100)는 항상 일정한 회전비를 이루어 같은 방향으로 연동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커버샤프트(200)와 간지샤프트(100)의 회전비는 그 직경 및 커버(210)와 간지(110)의 감기는 두께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양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1회전 시 상기 간지샤프트(100)가 1회전 이상 회전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가변 회전비를 유지하는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 버샤프트(200)와 제1기어(310) 사이에 스톱링(230), 코일스프링(240), 그리고 경사돌기(251)가 형성된 경사링(250)이 부가되며, 상기 간지샤프트(100)와 제2기어(320) 사이에는 소정의 토크 이하에서는 마찰력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고 소정 토크를 초과할 경우 미끄러짐에 의하여 헛도는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회전 시 원판 형상의 스톱링(230)이 일체로 회전하며, 이 스톱링(230)에는 코일스프링(24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경사링(25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경사링(250)의 외면에는 나선형으로 돌출된 두 개 이상의 경사돌기(251)가 형성되며, 미도시 하였지만 이 경사돌기(251)에 대응하여 제1기어(310)의 내면에도 경사돌기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310)는 커버샤프트(200)에 아이들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샤프트(200)로부터 커버(210)와 간지(110)가 풀려 나갈 때에는 상기 커버샤프트(200), 스톱링(230), 그리고 경사링(250)이 모두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아이들 상태로 지지된 제1기어(310)는 그 내면에 형성된 경사돌기가 상기 경사링(250)에 형성된 경사돌기(251)와 맞물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제2기어(320)는 연결기어(330)를 통하여 상기 제1기어(3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간지샤프트(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샤프트(200)로부터 풀려 나오는 간지(110)를 감게되며, 만약 상기 간지샤프트(100)가 간지(110)를 감는 회전속도가 상기 커버샤프트(200)에서 간지(110)가 풀려 나오는 속도보다 빠를 경우 간지(110)에 작용하는 텐션에 의하여 상기 간지샤프트(100)는 제2기어(320)로부터 미끄러져 슬립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손잡이(220)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샤프트(20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커버(210)와 간지(110)를 감을 때에는 상기 커버샤프트(200)와 함께 스톱링(230)과 경사링(250)이 함께 회전하되, 상기 경사링(250)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240)이 수축하면서 상기 경사링(250)에 형성된 경사돌기(251)는 미도시한 상기 제1기어(310)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돌기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샤프트(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기어(310)는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간지(110)가 감겨짐에 따라 상기 간지샤프트(100)에 감겨진 간지(110)가 풀려 나오면서 상기 간지샤프트(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간지샤프트(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기어(320), 연결기어(330), 그리고 상기 제1기어(310)가 연동 하여 회전하지만, 상기 간지샤프트(100)는 오직 감겨져 있던 간지(110)가 풀려 나오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할 뿐 상기 제1기어(310), 제2기어(320), 그리고 연결기어(330)가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회전력을 부가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커버샤프트(200)에 감겨진 커버(210)와 간지(110)의 두께 변화에 따라 커버샤프트(200)와 간지샤프트(100)의 회전속도 차이가 발생하더라 도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몸체부(400)는 상기 간지샤프트(100) 및 커버샤프트(200)를 수용하여 서로 나란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가벼우면서도 고강도를 지닌 합성수지 사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400)의 측면에 상기한 동력전달수단(300)이 마련되므로, 이 동력전달수단(3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덮개(430)를 마련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몸체부(400)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지만,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00)는 상부케이싱(410)과 하부케이싱(420)으로 상하 이분 형성되되, 상기 상부케이싱(410)은 상기 커버샤프트(200)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케이싱(42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케이싱(420) 내에는 상기 간지샤프트(100)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케이싱(410)에는 상기 커버(210)의 인출구(411)가 형성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케이싱(420)을 차체에 수평 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샤프트(20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케이싱(410)이 회전하여 임의의 각도를 이루어 커버(210)를 인출구(411)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케이싱(420) 내에는 상기 간지(110)의 양면에 접촉하는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421)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421)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 중앙에 간지(110)가 통과하는 슬롯이 형성된 것으로, 이 슬롯에 간지(110)가 통과 할 때, 상기 간지(110)의 양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421)는 소정의 경사를 이루어 고정되며, 상기 하부케이싱(420)의 하부에는 이물질 배출구(422)가 형성된 것이 좋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421)를 상기 하부케이싱(420) 내에 경사지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421)에 의하여 간지(110)에서 닦여진 이물질이 상기 하부케이싱(420) 내에 한 쪽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하부케이싱(420) 한 쪽에 모인 이물질을 도 1에 도시한 이물질 배출구(4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410)에는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412)가 마련된 것이 양호하다.

    즉, 상기 스토퍼(412)는 상기 상부케이싱(410) 외부에서 그 회전을 조작할 수 있는 막대 형상의 요소로서, 그 단부에 쐐기가 형성되어 이 쐐기에 걸려 상기 커버샤프트(2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샤프트(200)와 일체로 회전하는 스톱링(230)의 외주에 치형을 별도로 성형하여 상기 스토퍼(412)의 쐐기가 상기 스톱링(230)이 치형에 선택적으로 치합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412)가 스톱링(230)에 치합될 경우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이를 통해 커버샤프트(200)에 감겨진 커버(210)가 더 이상 풀려나가지 않는 동시에,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케이싱(420)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이루어 경사지게 위치한 상기 상부케이싱(410)을 커버샤프트(200)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경우 차체를 덮고 있는 커버(210)에 적절한 텐션(tension)을 부여하게 됨으로써, 커버(210)가 벗겨지는 일이 없게 된다.

    특히, 지금까지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는 자전거나 오토바이에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자동차에는 이하에 설명할 받침대(500)를 이용하여 범퍼에 일시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하부케이싱(420)의 저면에는 받침대(500)가 추가로 마련되되, 상기 받침대(500)는 상기 하부케이싱(420)의 저면에 고정 체결되는 브래킷(510)과, 상기 브래킷(510)으로부터 절첩 되며, 선택적으로 신축 가능한 다리(520)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브래킷(510)은 상기 하부케이싱(420)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다리(520)는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거나 작동유체가 봉입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길이가 탄력적으로 신장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케이싱(420)이 자동차의 범퍼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520)를 신장시키면 상기 브래킷(510)을 지면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범퍼 하부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510)과 다리(52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지지되지 않고,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을 두고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한 다리(520)를 사용 치 않을 때에는 그 길이를 단축시켜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케이싱(410)에는 운반손잡이(413)가 추가로 마련되어, 커버(210)의 미사용 시 사용자가 상기 운반손잡이(413)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를 운반하거나 차체에 적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를 자전거나 오토바이에 적용한 고정식 타입과 자동차에 적용한 착탈식 타입으로 구분하여 그 작용을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륜차에 적용되는 고정식 타입의 권취식 커버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400)의 하부케이싱(420)을 안장 뒤에 마련된 짐받이나 핸들 앞쪽에 고정 설치해 놓은 형태로서, 상술한 운반손잡이(413)나 받침대(500)가 배제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때, 커버샤프트(200)에는 커버(210)와 간지(110)가 적층 되어 감겨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210)를 인출하여 이륜차의 차체를 덮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커버(210)를 당겨 인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샤프트(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버(210)가 풀려 나오는 동시에,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마련된 제1기어(310)가 회전하여 연결기어(330)는 그 역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제2기어(320)는 상기 제1기어(310)와 동일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간지샤프트(100)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감겨져 있던 간지는 간지샤프트(100)에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간지(110)가 간지샤프트(100)에 감겨질 때,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421)의 슬롯을 통과하면서 그 양면에 묻어있던 이물질이 제거되어 상기 하부케이싱(420)의 한 쪽에 모인 후, 이물질 배출구(4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400)의 하부케이싱(420)은 차체에 고정되어 있지만 상부케이싱(410)은 상기 하부케이싱(42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인출구(411)의 방향을 적절하게 하여 커버(210)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커버(210)를 당겨 차체를 덮어준 후에는 상기 상부케이싱(410)에 마련된 스토퍼(412)를 조작하여 상기 커버샤프트(200)가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케이싱(410)을 눌러 하부케이싱(420)에 닿도록 수평 하게 위치시키면 인출된 커버(210)는 적당한 텐션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차체를 덮은 커버(210)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후, 차체로부터 커버(210)를 벗길 때에는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양측 중 어느 일측 단부에 손잡이(220)를 연결하여 이 손잡이(220)를 돌리거나 구동모터가 적용될 경우 이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커버샤프트(2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버(210)를 커버샤프트(200)에 감아주게 된다.

    이때, 간지샤프트(100)는 고정 회전비를 갖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커버샤프트(200)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회전비를 유지하여 항상 회전하게 되어, 상기 간지샤프트(100)에 감겨져 있던 간지(110)가 풀려 나오면서 상기 커버(210)와 적층 되어 상기 커버샤프트(200)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다.

    하지만, 가변 회전비를 갖는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샤프 트(200)에 간지(110)가 감겨짐에 따라 상기 간지(110)에 작용하는 텐션에 의하여 간지샤프트(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간지(110)를 풀어주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착탈식 타입의 권취식 커버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400)의 하부케이싱(420)을 앞 범퍼 혹은 뒤 범퍼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다.

    상술한 고정식 타입과 동일한 기본적인 작동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커버(210)의 미사용 시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를 손쉽게 운반 할 수 있도록 몸체부(400)의 상부케이싱(410)에는 운반손잡이(4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차체의 전방 혹은 후방 범퍼에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400)의 하부케이싱(420)에는 받침대(500)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방 범퍼에 장착할 경우, 상기 몸체부(400)의 하부케이싱(420)으로부터 커버샤프트(200)를 중심으로 상부케이싱(410)을 회전시켜 범퍼의 하부와 전방을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받침대(500)의 브래킷(510) 및 다리(520)는 소정 경사를 이루고 있어 상기 몸체부(400)가 범퍼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는 것이다.

    이후, 받침대(500)의 브래킷(510)을 중심으로 다리(520)를 펼친 후, 상기 다리(520)의 길이를 탄력적으로 신장시키면 상기 다리(520)의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면서 몸체부(400)가 범퍼에 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버(210)를 인출하여 차체를 덮을 수 있으며, 커버(210)를 다시 권취 시킨 상태에서는 상기한 역순으로 다리(520)의 길이를 줄여 접은 뒤, 운반손잡이(413)를 이용하여 트렁크에 손쉽게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의 경우 고정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경우 탈착 타입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커버(210)가 커버샤프트(200)에 감길 때 그 사이에 간지(110)가 적층 되어 감겨짐으로써, 커버(210)의 외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내표면으로 옮겨져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이다.

    이와 더불어,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421)를 마련하여 간지(110)에 묻은 이물질을 별도의 조작 없이 이물질 배출구(422)로 배출시킬 수도 있으며, 상부케이싱(410)에 마련된 스토퍼(412)를 이용하여 차체를 덮은 커버(210)가 적절한 텐션을 유지할 수도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운반손잡이(413)나 받침대(500)를 마련하여 선택적으로 차체로부터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운반 또한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경사돌기(251)가 성형된 경사링(250)과 코일스프링(240)을 적용하는 것으로, 커버(210)가 풀려 나갈 때에는 간지샤프트(100)에 회전력이 작용하여 간지(110)를 감아주지만, 커버(210)가 감겨질 때에는 간지(110)에 작용하는 텐션에 의하여 간지샤프트(100)가 회전하기 때문에, 커버샤프트(200)와 간지샤프트(100)의 회전속도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간지(110)는 항상 간지샤프트(100)에 적절한 텐션을 유지하여 감기거나 풀려 나오게 되어 몸체부(400) 내부에서 간지(110)가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 또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에 대한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에 대한 이륜차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권취식 커버장치에 대한 자동차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간지샤프트 110 : 간지

    200 : 커버샤프트 210 : 커버

    220 : 손잡이 230 : 스톱링

    240 : 코일스프링 250 : 경사링

    251 : 경사돌기 300 : 동력전달수단

    310 : 제1기어 320 : 제2기어

    330 : 연결기어 400 : 몸체부

    410 : 상부케이싱 411 : 인출구

    412 : 스토퍼 413 : 운반손잡이

    420 : 하부케이싱 421 :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

    422 : 이물질 배출구 500 : 받침대

    510 : 브래킷 520 : 다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