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변기시트커버

申请号 KR1020110095624 申请日 2011-09-22 公开(公告)号 KR1020130032001A 公开(公告)日 2013-04-01
申请人 황승규; 发明人 황승규;
摘要 PURPOSE: A portable toilet seat cover is provided to tear off a single tearing sheet, thereby preventing a seating part from being smeared with foreign materials, and cleanly using a cover several times. CONSTITUTION: A portable toilet seat cover(100) comprises a seating part(110) and a tearing sheet part(120). The flexible seating part is capable of being folded, and has a through-hole part(115) of which the center portion is penetrated. The tearing sheet part has a through-hole part(125)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part of the seating part, and is formed by laminating multiple single tearing sheets(121). The tearing sheet part is faced to, an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part so that at least one single tearing sheet cab be torn off from the seating part.
权利要求
  • 폴딩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부를 구비하는 착석부; 및
    상기 착석부의 관통부와 대응되는 관통부를 가지며 적어도 한 장 이상이 상기 착석부로부터 절취 가능하도록 상기 착석부의 하부로 대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절취시트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변기시트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시트부는,
    다수 장의 단위절취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휴대용 변기시트커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절취시트는,
    외력의 작용 시에는 분리가 가능하되 외력의 미작용 시에는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휴대용 변기시트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시트부는,
    상기 좌변기에 안착 후 상기 좌변기의 전방 측으로 절곡 하향되는 마진부가 구비되는 휴대용 변기시트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와 절취시트부를 폴딩한 후 수납이 가능한 포켓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용 변기시트커버.
  • 说明书全文

    휴대용 변기시트커버{Movable Toilet Stool Seat Cover}

    본 발명은 변기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이 간편하고 위생적이면서도 다수 회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변기시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사회 활동이 활발한 최근에는 용변 등의 생리적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무실이나 혹은 공공장소에 마련된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모든 공중화장실, 호텔, 병원, 대중음식점 및 숙박시설 등의 화장실에는 종래의 재래식 화장실보다 수세식 화장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생활습관이 서구화됨에 따라 아파트 및 주택에서도 서양식 양변기인 좌변기의 설치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공공장소에 마련된 화장실의 좌변기는 설치된 변기시트에 신체부위가 직접 접촉하여 사용하게 되고, 특히 다수의 여러 사람이 이용하게 될 경우 변기시트가 지저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공공장소의 화장실일 경우에는 질병의 감염 및 피부병 등이 변기시트를 통해 전염될 우려가 있으며 불결한 인상으로 사용이 기피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는 두루마리 휴지(또는 화장지)로 시트를 닦아준 후 착석하거나 혹은 두루마리 휴지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한 후 시트 위에 깔아놓고서 그 위에 착석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는 화장지의 낭비가 심하고, 시트에 정확하게 휴지를 놓을 수 없어 사용에 많은 불편함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그 중 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0331735호(명칭: 일회용 변기커버)(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일정길이 절단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단선과 절첩선을 형성한 시트 및 상기 시트의 일면에 미세하게 도포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선행기술은 좌변기 사용시 화장실에 마련된 시트하우징을 통해 단위시트를 일정 길이 취출한 후, 취출된 단위시트를 변기시트위에 올려 사용토록 함으로서 좌변기의 불결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기술의 시트는 화장실에 반드시 배치되어 있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개인이 휴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좌변기에 적용 시 사용자의 착석감을 좋게 하면서도 사용 후 좌변기로부터 위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회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한 변기시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딩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부를 구비하는 착석부 및 상기 착석부의 관통부와 대응되는 관통부를 가지며 적어도 한 장 이상이 상기 착석부로부터 절취 가능하도록 상기 착석부의 하부로 대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절취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절취시트부는 다수 장의 단위절취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절취시트는 외력의 작용 시에는 분리가 가능하되 외력의 미작용 시에는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취시트부는 상기 좌변기에 안착 후 상기 좌변기의 전방 측으로 절곡 하향되는 마진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와 절취시트부를 폴딩한 후 수납이 가능한 포켓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휴대용 변기시트커버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 휴대용 변기시트커버에 의하면 쿠션부가 구비된 착석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 휴대용 변기시트커버에 의하면 착석부 하부에 다수 장의 단위절취시트로 이루어진 절취시트부를 구비하여 단위절취시트의 절취를 통하여 착석부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변기시트커버를 다수 번 깨끗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본 발명 휴대용 변기시트커버에 의하면 절취시트에 마진부를 구비하여 착석부 전방 측으로 노출된 사용자의 다리가 좌변기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별도의 포켓부를 구비하고 본 발명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폴딩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좌변기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좌변기에 설치한 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에 있어서 한 장의 단위절취시트를 절취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폴딩하여 포켓부에 수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100)는 기본적으로 착석부(110)와 절취시트부(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착석부(110)는 폴딩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부(1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110)는 폴딩이 가능하면서 착석 시 사용자에게 편의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천 재질 또는 기타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쿠션재질로 구성된 쿠션부(미도시)의 외부를 별도의 포장재로 덮어 감싸는 형태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절취시트부(120)는 상기 착석부(110)의 하부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착석부(110)의 관통부(115)와 대응되는 관통부(125)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절취시트부(120)는 단위절취시트(121)가 다수 장 적층된 상태를 이루며, 단위절취시트(121)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110)와 함께 폴딩이 가능한 펄프 재질 또는 비닐 등과 같은 합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위절취시트(121)가 펄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위절취시트(121)에 있어서의 일측면이 방수 성질을 갖도록 하는 재질이 도포된 도포층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취시트부(120)에 있어서 외력의 작용 시에는 한 장의 단위절취시트(121)가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되, 외력의 미작용 시에는 단위절취시트(121)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부재(12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128)는 소정의 테이핑부재 또는 접착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호치키스 날과 같은 클램프 부재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단위절취시트(121) 각각은 상기 착석부(110)의 전방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마진부(12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착석부(110)와 절취시트부(120)를 동시에 폴딩한 후 수납이 가능하도록 상기 착석부(110)와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는 포켓부(19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휴대용 변기시트커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좌변기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좌변기에 설치한 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100)를 펼친 상태에서 좌변기의 상부에 절취시트부(120)가 대면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절취시트부(120)의 마진부(122)를 하향 절곡시키도록 위치시킨 후 착석부(110)의 상측에 착석하여 사용자는 용변을 보게 된다.

    이때, 상기 착석부(110)의 상측에 착석한 사용자는 직접 좌변기에 접촉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100)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착석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위생적으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다리 일부분이 좌변기의 전방 외측 일부에 접촉하여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된 상기 마진부(122)에 의해서 사용자의 다리와 좌변기가 접촉하는 것 또한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착석부(110)에 의해서 사용자는 위생적으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사용 후에는 좌변기와 맞닿았던 단위절취시트(121)만을 분리함으로써 재사용 시의 위생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시트커버를 폴딩하여 포켓부에 수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좌변기와 맞닿았던 상기 단위절취시트(121)가 제거된 본 발명 휴대용 변기시트커버(100)를 폴딩하고, 상기 포켓부(190)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및 보관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 휴대용 변기시트커버 110: 착석부
    115,125: 관통부 120: 절취시트부
    121: 단위절취시트 122: 마진부
    128: 결합부재 190: 포켓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