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itary seat for toilet bowl

申请号 KR20100065179 申请日 2010-07-07 公开(公告)号 KR20100085006A 公开(公告)日 2010-07-28
申请人 HAM MYUNG SIK; 发明人 HAM MYUNG SIK;
摘要 PURPOSE: A sanitary sheet for toilet is provided to prevent the water bounce and the contamination around the inner wall of a toilet bowl and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sheet. CONSTITUTION: A sanitary sheet for toilet includes: a first sheet(110) for a cushion which is placed on a toilet seat and has an entrance in the center thereof; and a second sheet of water bounce prevention(120)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heet and is accepted to the gap within the toilet. The first sheet has the entrance in the center and can be used as a cushion placed on the supporting part of the toilet. Four edges of the first sheet are round-processed and include the front end, back end, and both side edges. An outer end cover part is extended to and protruded from the front end. The outer cover part is downwardly folded in the folding line marked as the dotted line and covers the front outer side of the toilet.
权利要求
  •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며 좌변기 좌대 상에 놓여지는 깔개용 제1시트; 및
    상기 좌변기 내의 수면 상에 수납되는 물 튀김 방지용 제2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시트는 일단이 상기 제1시트의 개구부 후방에서 제1시트와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타단이 상기 제1시트의 선단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좌변기 내측에 수납되어 수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위생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는
    제1시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시트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 내에 수납되고, 제1시트의 폭 보다는 좁은 폭을 가진 내측 후단 커버부; 및
    상기 내측 후단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좌변기 내의 수면 상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시트의 폭 보다는 작고 상기 연결부의 폭 보다는 큰 폭을 가진 수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위생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상기 개구부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 내에 수납되는 내측 선단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위생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선단에서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 외측 선단을 커버하는 외측 선단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위생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양측 에지에서 연장 돌출되어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 양측 외연부를 덮는 날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위생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는
    상기 제1시트의 개방부 후단과 제1시트 후단 사이의 저면에 일단이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위생시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의 일단은
    접착된 부위 후단에 손잡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위생시트.
  • 说明书全文

    좌변기용 위생시트 {Sanitary Seat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용 위생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대 커버용 시트와 튐 방지용 시트를 가진 좌변기 위생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제1시트와 제2시트를 가진 좌변기 시트를 등록특허 제959851호로 등록 받은 바 있다.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공용 건물 또는 공중 화장실까지 수세식 좌변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수세식 좌변기는 좌대에 앉아서 용변을 보기 때문에 좌대의 청결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 가정에서는 소수의 가족들끼리만 사용하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공용으로 이용하는 공공건물의 좌변기 또는 공중 화장실의 좌변기는 좌대의 청결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좌대에 소변이 튀거나 물을 내릴 때 수압이 셀 경우에는 좌변기 내부의 물이 튀어서 좌대에 묻게 된다.

    또한 좌변기 외주면에는 바닥 청소시 구정물이 튀어 묻게 되고 이를 닦아 내지 않으면 용변을 볼 때 바지 등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눈으로는 청결하게 보이더라도 누군가가 용변을 볼 때 피부가 닿았다는 생각에 접촉성 전염 등의 불안한 생각을 떨쳐버리지 못하여 항상 먼저 좌대를 휴지로 닦아 낸 다음에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좌변기의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1회용 수세식 좌변기용 위생시트가 판매되고 있다. 통상 위생시트는 좌대 상에 깔고 앉을 수 있게 좌대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1겹의 위생시트는 좌대를 덮어서 좌대 표면이 직접 피부에 닿는 것을 막아 준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수세식 좌변기는 정화조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구가 u자형으로 형성되고 u자형 토출구에 변기 물이 남겨져 냄새 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항상 일정 깊이의 잔류수가 좌변기 내측에 고여 있게 된다.

    그러므로 배설물이 좌변기 내측의 고인 물에 떨어지게 되면 낙하 충격에 의해 물이 튀어 올라 엉덩이에 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959851호에서 좌대도 덮고 좌변기 내의 고인물도 덮어서 용변시 고인물이 튀지 않도록 하는 위생시트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 튀김과 변기 내벽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 위생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연결부위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좌변기 위생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변후 좌변기 제1시트의 쓸려내림을 한층 강화한 좌변기 위생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한층 강화하여 좌변기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기만 해도 쉽게 장착되는 좌변기 위생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산성을 향상시키고 두루마리 형상으로 공급이 가능한 좌변기 위생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생시트는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며 좌변기 좌대 상에 놓여지는 깔개용 제1시트와, 좌변기 내의 수면 상에 수납되는 물 튀김 방지용 제2시트를 구비하고, 제2시트는 일단이 제1시트의 개구부 후방에서 제1시트와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타단이 제1시트의 선단 방향을 향하도록 좌변기 내측에 수납되어 수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2시트는 제1시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시트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 내에 수납되고, 제1시트의 폭 보다는 좁은 폭을 가진 내측 후단 커버부와, 내측 후단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좌변기 내의 수면 상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1시트의 폭 보다는 작고 내측 후단 커버부의 폭 보다는 큰 폭을 가진 수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시트는 개구부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 내에 수납되는 내측 선단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선단 커버부는 좌변기에 착석시 남성 요도 선단부가 좌변기에 직접 닿지 않게 커버링한다. 또한 제1시트는 선단에서 연장 돌출되어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 외측 선단을 커버하는 외측 선단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선단 커버부는 용변자의 하의가 좌변기 선단 외주연에 직접 닿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제1시트는 양측 에지에서 연장 돌출되어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 양측 외연부를 덮는 날개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시트는 제1시트의 개방부 후단과 제1시트 후단 사이의 저면에 일단이 접착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두루마리 형상으로 위생시트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케 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시트의 일단에는 접착된 부위 후단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커버부가 제1시트의 후방에서 연결되어 좌변기 내부로 설치되므로 대변 낙하시 확실하게 물튀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연결 부위가 제1시트의 일부를 절단하지 않고 확장 연결됨으로써 연결부의 찢겨짐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제1시트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생겨나는 등록특허 제959851호의 제1시트 전단부의 빈공간이 없어짐으로써 제1시트가 안정적이고 튼튼하다. 더구나 선단에서 연결할 경우에는 소변에 의해 연결부위가 쉽게 분리될 우려가 있으나 후방에서 연결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분리 염려가 없다. 따라서 용변 후 물을 내리게 되면 제2시트에 의해 제1 시트가 끌어 당겨지고, 제1시트의 내측 선단커버부도 함께 제1시트를 끌어 당겨서 이중으로 한꺼번에 배출되는 효과가 강화된다.

    또한, 제2시트에 의하여 좌변기 내측 후방 내벽이 커버링 되므로 인체구조상 그리고 좌변기 구조상 변기 후방에 집중되는 배설물이 변기 내벽에 묻지 않아 깨끗한 화장실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시트에 제2시트를 접착하기 때문에 자동화 생산과정이 단순해지고 그만큼 생산성이 향상되며 위생시트의 두루마리 형태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좌변기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5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6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좌변기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좌변기(10)는 좌대(20)와 덮개(30)를 가진다. 소변기로 사용할 때에는 덮개(30)와 좌대(20)를 동시에 상방향으로 젖힌 다음에 사용하고, 대변기로 사용할 때에는 덮개(30)만 상방향으로 젖힌 다음에 좌대(20)에 착석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위생시트(100)는 착석시 좌대(20) 상에 펼친 다음에 깔개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좌변기 위생시트(100)의 제1실시예는 제1시트(110)와 제2시트(120)가 일체로 구성된다. 제1시트(110)는 중앙에 개구부(111)를 가지며 좌변기(10) 좌대(20) 상에 놓여지는 깔개용도로 제공된다. 제1시트(110)의 네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고 선단(112), 후단(113), 양측 에지(114)를 포함한다. 선단(112)에는 외측 선단 커버부(115)가 연장 돌출 된다. 외측 선단 커버부(115)는 점선으로 표시된 접힘선(116)에서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10)의 선단 외측부를 커버링한다.

    제2시트(120)는 내측 후단 커버부(121)와 수면 커버부(122)를 포함한다. 내측 후단 커버부(121)의 폭은 개구부(111)의 폭 보다 좁고 제1시트(110)의 후단(113)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게 형성된다. 내측 후단 커버부(121)는 점선으로 표시된 접힘선(123)에서 하방으로 접혀서 전방으로 향하고 접힘선(124)에서 반대 방향으로 다시 한번 접혀서 좌대(20) 내측 후방 모서리에 걸쳐서 직하방으로 좌변기(10) 내측 공간부로 내려 뜨려진다. 수면 커버부(122)는 일단(128)이 내측 후단 커버부(121)와 일체로 연결되고 접힘선(125)에서 전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접혀지고 접힘선(126)에서 수평으로 접혀서 수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타단(129)이 좌변기(10) 내에서 전방을 향하게 배치된다. 수면 커버부(122)의 폭은 내측 후단 커버부(121)의 폭 보다는 넓고 제1시트(110)의 폭 보다는 좁게 형성되어 좌변기(10) 내부의 수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제2시트(120)의 내측 후단 커버부(121)가 좌변기(10) 내부 공간부의 후방을 가려주고, 수면 커버부(122)가 내부 공간부의 수면을 가려줌으로서 대변 낙하시 발생되는 물튀김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후단 커버부(121)는 배설물이 좌변기 후벽에 튀는 것을 방지하며 물 내림시 후방에서 전방으로 세차게 뿜어져 나오는 세척수의 물튀김도 방지한다. 제2시트(120)의 수면 커버부(122) 중앙에는 배설물이 자중에 의해 수면 커버부(122) 하방으로 빠지는 엑스자 절단선(12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시트(110)의 후단에서 제2시트(120)가 연장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등록특허 제959851호에 개시된 위생시트에 비하여 연결부위가 견고하므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연결부위가 찢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등록특허 제959851호에서는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연결부위가 절취선에 의해 제1시트 내측으로 절취되는 형상이므로 사용 중에 조그마한 힘만 주어도 이 절취선을 따라 계속하여 찢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1시트 전단부를 절단하였으므로 그 부분을 끄집어 당겨서 다시 변기통 안에 넣어 제2시트를 장착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장착 후 사용자가 자세를 조금 움직여도 절취선 부위가 찢어진다거나 소변에 의해 빨리 젖고 소변 줄기에 의해 젖은 부분이 쉽게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대변 낙하시 수면 커버부(122)의 일단이 내측 후단 커버부(121)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보다 안정되게 낙하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어서 완벽하게 물 튀김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959851호에서는 제2시트가 제1시트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후단이 자유단이므로 낙하 충격을 받게 되면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완벽한 물 튀김 현상을 방지하지 못한다.

    또한 용변 후에 물을 내리게 되면 본 발명에서는 견고하게 제1시트와 제2시트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시트가 쓸려 내려가면서 제1시트를 끌어 당겨서 같이 쓸려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959851호에서는 제2시트의 후단이 쓸려 내려가기 쉽지 않을뿐더러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연결부위가 소변에 젖게 되면 이 부분이 쉽게 분리되므로 제2시트만 쓸려내려가고 제1시트가 끌려서 내려가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므로 사용자가 제1시트를 손으로 집어서 내려보내거나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위생시트는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연결 부위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이 찢어지면서 제2시트만 쓸려 내려가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물 내릴 때 확실하게 제1시트까지 끌어 당겨서 쓸려 내려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는 내측 선단 커버부(130)가 더 구비된 점이 다르다. 내측 선단 커버부(130)는 제1시트(110)의 개구부(111) 부분을 완전하게 도려 내지 않고 절단선을 개구부(111)의 선단만 남겨두어 형성한다. 그러므로 접힘선(131)으로부터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10) 내측으로 내려져서 선단부를 가려준다. 그러므로 내측 선단 커버부(130)는 요도 선단부가 좌변기 내측에 직접 닿는 것을 막아주고 심리적으로 불결한 느낌을 차단시켜서 심리적으로 안정된 분위기를 조성해 줄 수 있다. 또한 제2시트와 더불어 내측 선단 커버부가 동시에 제1시트를 끌어내려 쓸려내림을 등록특허 제959851보다 강화한다.

    내측 선단 커버부(130)의 접힘선(131) 부위를 최대한 선단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외측 선단 커버부(115)의 폭(b)이 접힙선(131)의 폭(a)을 충분히 커버하도록 넓어서 에지와 에지 사이의 최단거리(c)가 충분히 확보되므로 찢어지거나 하는 등의 손상으로부터 방지되며 내측 선단 커버부(130)를 앞으로 당길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도 선단부에 직접 닿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외측 선단 커버부(115)가 새롭게 고안됨으로써, 기존 위생커버지의 문제점이자 등록특허 제 959851호의 남성 성기 보호부와 하의 보호부의 제작상의 문제점이던 내측 선단 커버부를 외측으로 길게 하면 쉽게 찢어져서 위생커버지가 약해지고 앞으로 당기면 사용자의 요도 선단부에 쉽게 닿을 수 있는 상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제1시트의 선단(112) 가까이까지 내측 선단 커버부(130)를 당겨도, 외측 선단 커버부(115)가 있으므로, 위생커버지가 안정적이고 튼튼하다. 또한 외측 선단 커버부(115)를 최대한 제1시트 선단(112)까지 늘리면 외측 선단 커버부가 길어져서 변기 내측 바닥에 닿는 길이가 길어져 쓸려내림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 959851호는 하의보호부를 장착하기 위해 제1시트 선단부 방향으로 덮는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불편하고 앞으로 덮는 과정 그 자체를 모르거나, 덮는 과정에서 제1시트의 절단선 부분과 제2시트의 연결 부분이 약해지고 구겨져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안정적인 장착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개선된 발명의 외측 선단 커버부는 사용자가 구태여 커버지를 인위적인 조작을 할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좌대에 얹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상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내측 커버부(130)의 후단과 개구부(111)의 후단 사이에 완전 절단되지 않고 가느다란 연결부(132)를 남겨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펼칠 경우에 바로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메달려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 연결부(132)를 절단시킨 다음에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제3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는 내측 선단 커버부(130)와 또 하나의 내측 후단 커버부(140)가 더 구비된 점이 다르다. 즉 제1시트(110)의 개구부(111) 부분을 완전하게 도려 내지 않고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H자 절단선(117)에 의해 개구부(111)의 선단의 접힘선(131)에 의해 연결된 부분이 내측 선단 커버부(130)로 제공되고 개구부(111)의 후단의 접힘선(141)에 의해 연결된 부분이 내측 후단 커버부(140)로 제공된다. 내측 선단 커버부(130)와 내측 후단 커버부(140)의 길이는 H자 결단선(117)의 중간 절단선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제4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별도로 연장된 제2시트(120) 없이 제1시트(110)의 개구부(111) 부분에 대응하여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개구부(111)에서 연결된 상태로 두어 제2시트(150)로 사용한다. 제2시트(150)는 접힘선(151)에서 하방으로 접혀져 좌변기(10) 내부 공간부로 내려지고 굽힘선(152, 153)에 의해 경사지게 전방으로 굽혀지고 굽힘선(153) 이하의 부분이 수면을 커버하는 수면 커버부(155)로 제공되고 굽힘선(152, 153) 사이의 부분이 내측 후단 커버부(154)로 제공된다.

    제4실시예는 수면 커버부(155)의 크기가 개구부 사이즈로 제한되지만 일단 제1시트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은 사이즈로도 충분히 배설물의 낙하 충격을 흡수하여 물튀김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원료를 1/2로 대폭 줄일 수 있어서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두루마리 형태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제품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5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제5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는 제1시트(110)의 양측 에지(114)에 날개 커버부(160)를 더 포함한다. 날개 커버부(160)는 양측 에지(114)에서 연장 돌출되고 접힘선(161)에서 하방으로 접혀서 좌변기 양측 외연부를 덮는다. 다라서 날개 커버부(160)는 좌변기 양옆의 외측부를 덮어서 심리적으로 불결감을 느끼지 않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6실시예의 좌변기 위생시트의 전개도이다.

    제6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6실시예는 제1시트(110)와 제2시트(170)가 일체형이 아니라 별도로 각각 제작된 다음에 접착된 것이다. 제2시트(170)는 폭이 좁은 내측 후단 커버부(172)와 폭이 넓은 수면 커버부(173)를 포함하고, 내측 후단 커버부(172)의 상단부분이 접착부(171)로 제공되어 제1시트(110)의 후단(113)과 개구부(111)의 후단 사이에 접착된다. 접착부(171)의 일단은 제1시트(110)의 후단 밖으로 돌출되거나 제1시트(110)의 후단(113) 길이 범위 내에서 손잡이(174)로 제공된다. 이 손잡이(174)는 두루마리 제품에서 위생시트를 잡아 낼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제6실시예는 제2시트(170)가 별개 시트로 제작 가능하므로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관계로 값이 저렴한 재생용지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두루마리 형태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제품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및 제5실시예는 접힘형이므로 두루마리 형태로는 제작이 곤란하고 낱개형으로 포장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두루마리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나 사용시에 사용자가 접어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제4실시예와 제6실시예는 제1시트 단위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두루마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제6실시에는 생산과정에서 제1시트와 제2시트를 연속공정에 의해 각각 재단하고 재단된 제1시트에 제2시트를 접착시키고 제1시트에 제2시트가 접착된 상태로 두루마리 형태로 감는 공정에 의해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내지 제6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이들의 선택적 조합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