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人类生活必需 / 其他类不包含的食品或食料;及其处理 / 食品或食料的制备中使用的涉及乳酸菌或丙酸菌的引得系统 / 明串珠菌属 / .柠檬明串珠菌 /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160103715 申请日 2016-08-16 公开(公告)号 KR101715163B1 公开(公告)日 2017-03-10
申请人 농업회사법인(주) 현진; 发明人 신태희;
摘要 본발명은구취제거를목적으로한 구취제거용식품조성물에관한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솔잎및 솔방울추출물을김치유산균으로발효한것을주요성분으로사용함으로써구취제거또는구치개선효과를가지는식품조성물및 이의제조방법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솔잎 및 솔방울을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사이트리움(Leuconostoc citreum) 및 바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김치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은 1:4 내지 1:16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을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자몽씨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
  • 1) 솔잎 및 솔방울의 중량을 기준으로 1 : 4(솔방울 : 솔잎) 내지 1 : 16(솔방울 : 솔잎)의 함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여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제조된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사이트리움(Leuconostoc citreum) 및 바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김치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3)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30 내지 40℃에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김치유산균은 1x10 3 내지 1x10 20 CFU/ml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 说明书全文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ood composition for eliminating halitosis comprising kimchi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solution of pine cone and pine needles extract}

    본 발명은 구취제거를 목적으로 한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을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것을 주요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구취 제거 또는 구치 개선 효과를 가지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취란 숨을 쉬거나 말할 때 입을 통해 나오는 불쾌한 냄새를 말하며, 구취를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진성구취증, 타인에게는 인식되지 않고 자신에게만 인식되는 가성구취증, 그리고 구취에 대해 염려하는 구취공포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취의 발생 원인은 대부분이 구강 자체 내 원인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며, 특히 구취 환자의 87%가 구강 질환인 치주염, 치은염, 설태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구강 내부에서의 주요 발생인자는 혐기성 세균에 의한 휘발성 황화합물 생성이 가장 크며, 그 외 충치와 치주염 등과 같은 구강질환을 발생시키는 세균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상기 휘발성 황화합물(Volatile Sulphur Compounds, VSCs)은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인 시스테인과 메치오닌으로부터 VSCs의 주요성분인 Hydrogen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가 생성되며,

    구강 내 상피세포, 혈청 단백질, 음식물 찌꺼기의 구성요소를 분해하는 박테리아 대사과정과 타액 및 타액 침전물 등이 원인이다. 구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구취의 주성분인 휘발성 황화합물을 생성하는 혐기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에, 스케일링(scaling)이나 혀로부터 세균의 증식기질을 제거하기 위해 혀 세정기(tongue scraper)를 사용하여 설태를 제거하거나, 혐기성세균의 증식이나 혐기성세균에 의한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염화아연(zinc chloride)과 같은 금속염 또는 알코올이나 클로르헤시딘(chlorhexidine)과 같은 소독제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사용되는 방법은 향균치약, 구강청결제, 자일리톨껌, 에티켓 캔디 등이 있으나, 치약이나 구강청결제 등은 일정 장소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껌이나 캔디 같은 식품류는 그 효과가 단기적이며 경미한 구취에만 효과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구강청결제와 같이 강력한 효과를 지니면서 껌이나 캔디와 같이 식품으로 용이하게 섭취가능한 액상형 음료로 제조할 수 있는 구취제거용 식품이 요구되고 있으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구강청결제는 먹을 수 없는 화합물들의 조합에 의해 실수로라도 섭취할 경우 부작용이 우려되어 노약자나 임산부 등의 사용에 제약이 있고 소량의 화합물의 섭취는 어쩔수 없이 수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20117387

    A

    KR

    100638851

    B1

    상기와 같은 화합물의 첨가없이 천연물 성분으로 유효성분을 구성하여 음료와 같이 마실수 있으면서 구강청결제와 유사하거나 또는 월등한 구취제거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천연물 소재로서 솔잎과 솔방울 추출물을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다양한 식품 제형으로 제공함으로써, 마실수 있는 천연소재의 구취제거 효과가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은 1:4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고 , 상기 김치유산균에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사이트리움(Leuconostoc citreum) 및 바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중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치유산균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한 종 이상이 포함될 수도 있으나 바이셀라 시바리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유기용매로 추출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유기용매는 저급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몽씨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1) 솔잎 및 솔방울의 중량을 기준으로 1 : 4(솔방울 : 솔잎) 내지 1 : 16(솔방울 : 솔잎)의 함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여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 준비 단계; 2)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에 김치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3)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30 내지 40℃에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상기 2)단계에서 김치유산균은 1x10 3 내지 1x10 20 CFU/mL로 첨가하고,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하고 이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구강내 청결에 의해 구취제거가 가능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과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사용하였기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배제되었으며 필요시 간편하게 복용이 가능하고 오랜 기간 사용 또는 섭취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할 뿐아니라 영양소 공급과 동시에 구치제거 또는 구취개선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솔잎은 소나무의 잎을 의미하고, 상기 솔방울은 소나무 열매의 송이를 의미한다. 상기 솔방울은 공처럼 둥그스름한 모양으로 여러 개의 잔비늘 같은 조각이 겹겹이 달려있고 그 사이에 씨가 들어 있는 형태로, 송자, 송구 또는 송실이라고도 한다.

    상기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소나뭇과에 속하는 상록침엽 교목으로서, 솔나무, 송목, 적송, 육송 등으로 부르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전역에 자생하고 있다. 상기 소나무는 일 예로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for. erecta Uyeki), 금송(Sciadopitys verticillata), 반송(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해송(Pinus thunbergii Parl.) 등일 수 있다.

    상기 솔잎 및 솔방울 혼합물의 추출물은 솔잎 및 솔방울을 각각 유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건조한 후,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을 특정 함량으로 혼합하고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점에서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의 추출액은 용매 추출액일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액의 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액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상기 알코올 수용액 일 수 있고,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는 물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용매 추출액의 제조방법은 열수 추출법일 수 있다.

    상기 솔잎 및 솔방울 혼합물은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을 각각의 중량을 기준으로, 1 : 4(솔방울 : 솔잎) 내지 1 : 16(솔방울 : 솔잎)의 함량비, 바람직하게는 1 : 8(솔방울 : 솔잎) 내지 1 : 14 (솔방울 : 솔잎)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솔방울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최종 제조된 조성물이 색깔이 진한 색깔 즉, 검은색이나 갈색 또는 솔방울 특유의 색깔이 있어 최종 제품의 사용에 제한이 되고, 상기 솔잎의 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최종 제조된 조성물의 구취 제거 효과가 낮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솔잎 및 솔방울 혼합물의 혼합비는 각각의 중량을 기준으로, 1 :4(솔방울 : 솔잎) 내지 1 : 16(솔방울 : 솔잎)이 바람직하다.

    상기 김치유산균 발효물은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에 김치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것을 의미한다.

    상기 김치유산균은 김치 안에서 발견되는 미생물로서, 크게 3개의 속에 속하는 20여 종의 다양한 세균이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유산균,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유산균, 바이셀라(Weissella) 속 유산균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김치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사이트리움(Leuconostoc citreum) 및 바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일 수 있으며, 상기 김치유산균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한 종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바이셀라 시바리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취 제거용 조성물은 구취 제거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자몽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몽씨는 자몽의 씨를 의미한다. 상기 자몽(Citrus paradisi)은 감귤속(Citrus)에 속하는 그레이프프루트 나무의 열매로서, 포도와 비슷한 향이 있고 포도송이처럼 달린다. 상기 그레이프프루트 나무의 원산지는 서인도제도의 자메이카로 여겨진다. 상기 자몽은 구형 또는 부채구형으로 크기는 하귤 정도이며, 과피는 매끈매끈하고 담황색을 띈다. 장뇌 막은 엷고, 과육은 회황색이나 핑크색으로 즙액이 풍부하고 맛은 시면서도 단맛이 강하며 쓴맛이 조금 있다. 주로 주스, 에피타이저, 샐러드, 가니쉬, 디저트로 이용되며, 현재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전 세계 생산량의 60% 가량이 생산되고 있다.

    상기 자몽씨 추출물은 통상적으로 판매하는 나린진이 다량 함유된 자몽씨의 용매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액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상기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자몽씨 추출물은 상기 자몽씨 추출물과 식물성 글리세린의 혼합액일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자몽씨 추출물과 식물성 글리세린의 혼합비율은 7 : 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솔잎 및 솔방울을 특정 함량으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 준비 단계;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에 김치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표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솔잎 및 상기 솔방울의 중량을 기준으로 1 : 4(솔방울 : 솔잎) 내지 1 : 16(솔방울 : 솔잎), 바람직하게는 1 : 8(솔방울 : 솔잎) 내지 1 : 14(솔방울 : 솔잎)로 혼합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2(솔방울 : 솔잎)의 함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11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20℃에서 가열한 후, 10℃ 내지 50℃ 또는 15℃ 내지 30℃로 냉각하여 솔잎 및 솔방울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솔잎 및 상기 솔방울을 각각 유수에 세척하고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상기 솔잎 및 상기 솔방울을 각각의 중량을 기준으로 1 : 4(솔방울 : 솔잎) 내지 1 : 16(솔방울 : 솔잎), 바람직하게는 1 : 8(솔방울 : 솔잎) 내지 1 : 14 (솔방울 : 솔잎)로 혼합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2(솔방울 : 솔잎)의 함량비로 혼합한 후, 분쇄하여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11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20℃에서 가열하여 솔잎 및 솔방울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열수 추출물을 10℃ 내지 50℃ 또는 15℃ 내지 30℃로 냉각하는 공정이 포함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공정은 상기 유수에서 세척한 솔잎 및 솔방울을 통풍이 가능하고, 햇빛이 직접적으로 조사되지 않는 응달에서 4시간 내지 48시간 또는 6시간 내지 24시간 건조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분쇄는 통상적인 방법, 일 예로 분쇄기 또는 마쇄기를 이용하여 식물을 분쇄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의 혼합물 100 g에 물 0.1 L 내지 5 L, 일 예로 물 0.5 L 내지 2 L를 첨가하고, 110℃ 내지 13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가열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에 김치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는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에 김치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사이트리움(Leuconostoc citreum) 및 바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두 종 이상의 혼합물을 1 x 10 3 내지 1 x 10 20 CFU/mL로 가하여 pH 6 내지 pH 7을 유지하고 25℃ 내지 40℃에서 24 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는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에 김치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발표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여과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의 중량을 기준으로 1 : 4(솔방울 : 솔잎) 내지 1 : 16(솔방울 : 솔잎)의 함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110℃ 내지 130℃에서 가열한 후, 10℃ 내지 50℃로 냉각하여 솔잎 및 솔방울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열수 추출물 및 김치유산균을 1 x 10 3 내지 1 x 10 20 CFU/mL로 혼합하여 pH 6 내지 pH 7을 유지하고 30℃ 내지 40℃에서 24 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발효시켜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조예 1: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상기 솔잎 및 솔방울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소재 야산에서 2015년부터 2016년 4월 사이 수득하였고, 상기 수득한 솔방울 및 솔잎은 흐르는 물에서 깨끗이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응달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각각 솔잎 분쇄물 및 솔방울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자몽씨 추출액(Citrus paradisi seed extract)은 pH가 2.0 내지 pH 3.5인 자몽씨 추출액(Biochem Research, USA)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김치유산균은 (주)메디오젠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은 상기 솔방울 분쇄물 1 kg에 상기 솔잎 분쇄물 12 kg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각각의 혼합물 100 g에 물 1 L를 첨가하고 12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법을 통하여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25℃로 냉각시킨 후, 뚜껑으로 완전 밀폐할 수 있는 밀폐용기에 집어넣은 후, 10℃ 내지 25℃에서 2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발효물을 와트만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은 상기 솔방울 분쇄물 1 kg에 상기 솔잎 분쇄물 12 kg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각각의 혼합물 100 g에 물 1 L를 첨가하고 12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법을 통하여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25℃로 냉각시킨 후,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citreum 및 Weissella cibaria 혼합물을 1 x 10 8 CFU/mL를 가하여 pH 6 내지 pH 7을 유지하고 30℃ 내지 40℃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발효물을 와트만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4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은 상기 솔방울 분쇄물 1 kg에 상기 솔잎 분쇄물 12 kg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각각의 혼합물 100 g에 물 1 L를 첨가하고 12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법을 통하여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25℃로 냉각시킨 후, Lactobacillus plantarum(실시예 2), Leuconostoc citreum(실시예 3) 및 Weissella cibaria(실시예 4)를 각각 1 x 10 8 CFU/mL를 가하여 pH 6 내지 pH 7을 유지하고 30℃ 내지 40℃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발효물을 와트만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은 상기 솔방울 분쇄물 1 kg에 상기 솔잎 분쇄물 12 kg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각각의 혼합물 100 g에 물 1 L를 첨가하고 12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법을 통하여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25℃로 냉각시킨 후, 상기 열수 추출물과 상기 자몽씨 추출액을 부피비를 기준으로 98 : 2(솔잎 및 솔방울 열수 추출물 : 자몽씨 추출물)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혼합물에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citreum 및 Weissella cibaria 혼합물 1 x 10 8 CFU/mL를 가하여 pH 6 내지 pH 7을 유지하고 30℃ 내지 40℃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발효물을 와트만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의 소취 효과 측정

    시험예 1 황화합물에 대한 소취 효과 측정

    본 발명인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의 구취 억제에 대한 임상학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 구취 원인 물질인 휘발성 황화합물(VSCs)의 농도를 할리미터(Halimeter, Interscan Co.)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의 구취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할리미터를 이용한 분석 방법은 임상시험에서 구취 측정을 위해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서, 성인남녀 4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고, 시판하는 마늘분을 물에 분산시켜 희석한 용액을 30초간 입에 머금다가 뱉은 후 할리미터와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입에 물고 구강 내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물,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물을 30초간 입에 머금은 후 뱉고 구강 내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발효물의 음용 전과 음용 후의 휘발성 황화합물 농도차를 구하여 발효물의 소취 효과를 비교하였다.

    할리미터를 이용한 휘발성 황화합물에 대한 소취 효과

    구분 휘발성 황화합물 농도(ppb) 소취율(%)
    음용 전 음용 후
    847 813 4.0
    비교예 1 836 432 48.3
    실시예 1 831 129 84.5
    실시예 2 840 185 78.0
    실시예 3 852 201 76.4
    실시예 4 834 164 80.3
    실시예 5 842 117 86.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강 내 휘발성 황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로 구강을 세척하였을 때는 전체 휘발성 황화합물의 4.0%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었으나, 상기 비교예 1로 구강을 세척하였을 때는 휘발성 황화합물의 48.3%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로 구강을 세척한 경우에는 휘발성 황화합물이 76% 이상 제거되는 것을 보아 김치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이 소취 효과가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관능평가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휘발성 황화합물의 주요 성분인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을 물에 용해시켜 구취 유발원 용액으로 사용하고, 물,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발효물을 상기 구취 유발원 용액에 희석하여 후각으로 느끼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메틸머캅탄 수용액은 메틸머캅탄 표준액(1 μg/mL) 1 mL를 99 mL의 물에 용해시킨 후 1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관능평가 방법은 30인의 관능평가 대상자가 후각에서 느끼는 최고점수를 9점으로 하고 최소점수를 1점으로 하였을 때 30인의 관능평가 대상자 각각이 채점한 점수의 합을 30으로 나누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관능평가를 통한 메틸머캅탄에 대한 소취 효과

    구분 냄새 강도
    9
    비교예 1 5.1
    실시예 1 2.4
    실시예 2 3.2
    실시예 3 3.5
    실시예 4 2.8
    실시예 5 2.1

    상기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틸머캅탄이 물에 녹아 있을 때는 냄새에 차이가 없고, 상기 비교예 1에서는 냄새 강도가 5.1로 관능적으로 느끼는 메틸머캅탄의 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틸머캅탄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 용해되어 있을 경우, 냄새 강도가 현저히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항균 효과 측정

    구취를 유발하는 구강 내 혐기성 세균의 일종인 Fusobacterium nucleatum에 대한 항균 작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과 대조시료 1로 알코올계 구강세정제 및 대조시료 2로 액상의 무설탕 민트 각각 10 mL를 BHI(Brain Heart Infusion) 액상배지에 일정 농도 간격으로 도포한 후 Fusobacterium nucleatum을 접종하여 일주일간 배양한 후, 각 시료별 균체의 성장 정도를 관찰하여 균 성장을 억제하는 최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Fusobacterium nucleatum에 대한 항균 효과 측정

    구분 MIC(ppm)
    대조시료 1 447
    대조시료 2 482
    비교예 1 102
    실시예 1 41
    실시예 2 52
    실시예 3 58
    실시예 4 47
    실시예 5 38

    상기 표 3의 측정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시료들의 Fusobacterium nucleatum균에 대한 항균력의 비교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김치유산균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항균력이 뛰어나며 대조시료 1과 2에 비하여도 월등히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메틸머캅탄에 대한 소취 효과 측정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의 구취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GC 분석법을 이용하여 구취의 주요 원인 물질인 메틸머캅탄에 대한 소취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 1 mL와 0.2 M 인산칼륨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1mL를 바이알에 넣고 pH를 7.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상기 시험예 3에서 제조한 메틸머캅탄 수용액 1 mL를 가하여 즉시 실리콘 캡으로 밀봉한 후 voltex mixer로 5초간 교반한 뒤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바이알의 headspace에 포집된 메틸머캅탄을 gas tight syringe로 200μL를 뽑아 FPD(flame photometric detector)가 장착된 GC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메틸머캅탄 억제 활성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메틸머캅탄 억제 활성(%) = (CS)/C x 100

    (C: control의 메틸머캅탄 피크 면적, S: 시료 첨가시 메틸머캅탄 피크 면적)

    GC 분석 조건은 하기 표 4와 같다.

    GC 분석조건

    Column HP-VOC (60m, 0.320mm, 1.8μm)
    Carrier gas He
    Flow rate 1.0 mL/min
    Injector Temperature 200℃
    Ionization mode SIM mode
    Oven Temperature 35℃(7min) → 5℃/min → 50℃(3min) → 10℃/min → 150℃(3min)

    메틸머캅탄 억제 활성 측정

    구분 피크 면적 억제 활성(%)
    control 133325.8 -
    비교예 1 71195.9 46.6
    실시예 1 29198.4 78.1
    실시예 2 37064.6 72.2
    실시예 3 38931.1 70.8
    실시예 4 31464.9 76.4
    실시예 5 26398.5 80.2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5는 메틸머캅탄에 대한 억제 활성이 7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김치유산균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메틸머캅탄에 대한 억제 활성도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