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147023051 申请日 2012-06-29 公开(公告)号 KR101519506B1 公开(公告)日 2015-05-18
申请人 주식회사제이엔비바이오; 정종배; 发明人 정종배;
摘要 본발명은새우사료첨가제조성물및 그제조방법에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양식새우의생존율및 성장률을높이고해수오염을방지하기위한새우사료첨가제조성물및 그제조방법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은미생물인효모균, 바실러스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고초균), 유산균과천연물질인홍삼, 다시마, 우뭇가사리, 함초, 방풍, 파래, 민들레, 백출, 미나리, 갈근등과사과, 오렌지, 귤, 파인애플, 멜론등의과일을발효시킨것을혼합하고효소액을추출하여항바이러스, 면역력증강, 소화력증강, 성장촉진, 잔류사료분해등의효과를거둘수 있는새우사료첨가제의제조방법을개시한다.
权利要求
  • 홍삼과 천연약초로부터의 추출물에 3종의 균주를 각각 차례로 접종·배양하여 영양액을 만들고 동결건조하여 영양분말을 만드는 제1공정,
    생수에 상기 제1공정에서 생산된 영양액, 새우액젓, 멸치액젓과 다시마, 우뭇가사리, 함초의 탕전물을 넣어 배지를 조성하고, 8종의 유산균을 각각 배지에 넣어 배양하여 상기 균주 배양액을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유산균분말을 제조하는 제2공정,
    생수에 파래와 천연약초, 과일을 넣은 후 탕전하여 배지를 조성하고 균주 배양액을 접종한 후 발효시켜 얻은 효소액을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효소분말을 제조하는 제3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된 8종의 유산균분말을 혼합한 후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영양분말과 상기 제3공정에서 제조된 효소분말을 혼합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사용되는 천연약초는 민들레, 천궁, 당귀, 진피, 갈근, 백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종의 균주의 접종·배양은 효모균주 배양분 접종 후 배양,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균주 배양분 접종 후 배양, 락토코커스 락티스균 배양분 접종 후 배양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에서 사용되는 8종의 유산균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비피도박테리움 아스테로이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사용되는 천연약초는 함초, 방풍, 민들레, 백출, 미나리, 갈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사용되는 과일은 사과, 오렌지, 귤, 파인애플, 멜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사용되는 균주배양액은 효모균주 배양액,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균주 배양액, 비티도 박테리움 아스테로이데스 균주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유산균분말, 영양분말, 효소분말의 혼합은 유산균 분말50∼65중량%, 영양분말 17.5∼25중량%, 효소분말 17.5∼2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새우사료 첨가제
  • 说明书全文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DDITIVE COMPOSITION FOR SHRIMP FEE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새우의 생존율 및 성장률을 높이고 해수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새우양식 생산성 향상연구보고서"에 의하면 2003년 전국 새우양식장 실태조사 결과 폐사율 80.3%로 조사되었다.

    새우의 경우 양식면적이 꾸준히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생존율 자체가 매우 낮아 흰점 바이러스(WSSV : White Spot Syndrome Virus)등 병원균에 대항할 수 있도록 축산용 약품, 항생제, 화학소독제 등을 사용하여 생산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오염도는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새우양식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도 지목되고 있다. 새우양식 과정에서 사용되는 바닷물이 잔류 사료에 의해 오염되어 인근 연근해의 생태계를 파괴시켜 다른 어업마저 힘들만큼 다량의 환경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다.

    새우의 생존율 및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질병예방에 의한 생존율 제고, 항바이러스, 면역력 증강, 소화력 증강, 영양공급, 성장촉진 등을 도모해야 한다. 새우 양식 어민들은 검증되지 않은 수 십 가지의 약재들을 첨가하여 양식 새우에 급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면역력 증강을 위한 물질은 개발이 되었으나(예: 비타민C, 미생물제재, 한약 발효액 등) 항바이러스, 소화력 증강, 성장촉진, 잔류사료 분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물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는 미생물인 효모균,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고초균), 유산균과 천연물질인 홍삼, 다시마, 우뭇가사리, 함초, 방풍, 파래, 민들레, 백출, 미나리, 갈근 등과 사과, 오렌지, 귤, 파인애플, 멜론 등의 과일을 발효시킨 것을 혼합하고 효소액을 추출하여 항바이러스, 면역력 증강, 소화력 증강, 성장촉진, 잔류사료 분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새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발명하였다.

    효모는 빵·맥주·포도주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로, 곰팡이나 버섯 무리이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능이나 운동성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의 총칭이다. 당을 발효시켜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능력을 가진 것이 많다. 효모 자체는 값싼 지방·단백질원으로 사료에 사용된다. 비타민 B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또 비타민 D를 함유하는 것도 있으며, 의약품 공업에도 사용되고 있다(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고초균)는 호기성균의 일종으로 독성이 없으며 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이다. 마른 풀, 토양, 하수, 공기 속 등 자연계에 넓게 분포해 있다. 효소를 생산해 우유를 응고시키고, 전분을 당화하며 유지를 분해하므로 공업적인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생육의 최적 상태는 pH 7∼8.5, 온도 37∼40℃이다(출처 : 네이버지식사전).

    유산균은 젖산균이라고도 하는데,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락트산을 생성하는 세균의 총칭. 유산균의 정의에 적합한 것은 Lactobacillus, Lactococcus, Leuconostoc, Pediococcus, Bifidobacterium 등의 균속이다. 어느 것이나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 잘 발육하여 각종 당으로부터 락트산을 생성한다. 산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영양 요구성은 매우 복잡하여 당류 이외에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이나 비타민을 요구하며 균종, 균주에 따라 미량 영양소를 가하지 않으면 생육할 수 없는 것도 있다(출처 : 네이버지식사전)

    홍삼의 중요 성분으로는 백삼과 같이 배당체(glycosides)·인삼향 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과 혈당치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 및 항종양 작용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출처 : NAVER백과사전).

    민들레 전초는 이담작용이 있다. 또한 위액의 분비를 빠르게 한다. 오줌내기작용도 있어 문맥성 물고임에 치료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가래약으로 기침과 폐결핵, 오줌내기약으로 신석증, 염증약으로 대장염, 위궤양 등에 쓴다(출처 :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6. 일월서각, 750쪽).

    천궁에는 정유, 큐마린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진정작용이 있으며, 중추신경 활동의 장애가 온 때에도 그것을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또한 혈압을 내리며 말초핏줄에 대한 확장작용이 있다(출처 :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6. 일월서각, 529쪽).

    당귀 뿌리의 정유 성분은 동물실험에서 진정작용이 있고 떼낸 장에 대해서는 진경작용도 있다. 또한 뿌리의 달임약도 진정진경작용이 있다. 뿌리 정유의 수용액을 관절염에 쓰면 아픔멎이작용과 소염작용이 있다고 한다(출처 :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6. 일월서각, 516쪽).

    진피(귤의 껍질)의 향기성분과 쓴맛물질은 위액분비량을 늘리고 입맛을 돋우는 방향성 건위작용을 한다. 헤스페리딘을 비롯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비타민P 활성 가지며,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낮춘다(출처 :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6. 일월서각, 433쪽).

    갈근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은 진경작용이 있다. 진경작용은 파파베린과 항아세틸콜린 작용에 의한 것이다. 갈근에는 평활근 장기를 세게 수축시키는 물질이 있다(출처 :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6. 일월서각, 404쪽).

    백출의 정유는 적은 양에서 진정작용이 있다. 정유는 항진균(곰팡이) 활성이 세다(출처 :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6. 일월서각, 719쪽).

    함초는 퉁퉁마디라고도 하는데, 함초에는 콜린(Choline)과 비테인(Betain), 식이섬유 및 미네랄 등이 포함돼 간의 독소 해소와 지방간 치유, 면역기능 증강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출처 : 위키백과).

    방풍 뿌리의 알코올 추출액은 아픔멎이 작용이 있으며, 예로부터 풍을 치료하는 약효가 있어 방풍이라 하였다(출처 :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6. 일월서각, 534쪽).

    미나리 전초는 이담작용, 항콜레스테롤 혈증작용, 피멎이작용을 하며 밥맛을 돋우고 혈청의 빌리루빈 양을 줄인다. 전초에서 분리한 성분은 비만세포의 탈과랍화 과정을 억제하며 항알레르기성이 있다고 한다(출처 :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6. 일월서각, 531쪽).

    다시마에는 카로틴류·크산토필류·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비타민 B2·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성분은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수분 16%, 단백질 7%, 지방 1.5%, 탄수화물 49%, 무기염류 26.5% 정도이며, 탄수화물의 20%는 섬유소이고 나머지는 알긴산과 라미나린 등 다당류이다. 특히 요오드·칼륨·칼슘 등 무기염류가 많이 들어 있으므로, 다시마를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은 무기염류의 공급을 위해서 좋다. 다시마에 들어 있는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우뭇가사리는 체세포의 틈 사이에 10∼20%의 한천질이 함유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한천을 만든다. 한천은 창자의 연동운동에 도움을 주며,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각광받고 있으며 아이스크림이나 잼을 만들 때 점성을 주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파래는 향기가 많고 맛이 독특하여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즐겨 먹는 해산식물의 한 종류로서 단백질 20∼30 %, 무기염류 10∼15%, 비타민 500∼1,000IU를 포함하고 있는데 특히 알칼리성 원소가 많은 주요 무기질 식품이다(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사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단백질과 지방이 비교적 적고 비타민 C와 칼륨·나트륨·칼슘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다. 비타민 C는 피부미용에 좋고 칼륨은 몸속의 염분을 내보내는 작용을 하여 고혈압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준다. 또 섬유질이 많아서 장을 깨끗이 하고 위액분비를 활발하게 하여 소화를 도와주며 철분 흡수율도 높여 준다. 긴장을 풀어주는 진정작용을 하여 불면증에 좋고 빈혈·두통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오렌지는 성분으로 당분이 7∼11%, 산이 0.7∼1.2% 들어 있어 상쾌한 맛이 난다. 과육 100g중 비타민 C가 40∼60㎎이 들어 있고 섬유질과 비타민 A도 풍부해서 감기예방과 피로회복, 피부미용 등에 좋다.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전혀 없어서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귤은 비타민 A, C의 함량이 높고 기호도가 비교적 높은 과일이며 감기예방에 좋다. 비타민 E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동맥경화에 좋으며 소화 장애에도 효과가 있다(출처 : 네이버지식사전).

    파인애플은 당도가 높고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가 많이 들어 있다. 새싹은 카레에 들어가며, 나머지 찌꺼기는 식초를 만들거나 가축의 사료로 사용한다. 생리 불순, 소화 불량, 각기, 기생충, 신경성 피로 해소를 도와 준다. 효소는 부기를 빼고 항생물질을 강화시킨다. 섬유소, 단백질은 심장 쇼크나 발작증을 약화시키는 기능이 있다(출처 : 네이버지식사전).

    멜론의 주성분은 수크로오스, 포도당, 과당 등의 당류이며, 거기에 비타민 B1, B2, C, 카로틴, 칼륨이 함유되어 있다. 이뇨작용이 있으며, 부종, 고혈압, 신장병에 효과가 있다. 해열작용도 있어 구갈에도 도움이 된다.(출처 : 구글 검색자료, 멜론 무엇인가?,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효소(酵素, enzyme)란 생명체 내 화학 반응의 촉매가 되는 여러 가지 미생물로부터 생기는 유기화합물이다. 동물, 식물 등 모든 생물의 세포 속에는 여러 종류의 효소가 있으며, 효소의 촉매 작용에 의해 생명이 유지된다. 즉 효소는 세포 안에 널리 분포되어 생명체의 화학적 반응에 관여한다.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약 60조의 세포도 효소가 세포의 대사기능을 활성화시켜 늙은 세포를 새로운 세포로 교체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효소의 생리 작용에는 항염·항균 작용, 해독·살균 작용, 혈액정화 작용, 소화·흡수 작용, 분해 ·배출 작용 등이 있다. 신체 내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생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의 종류는 2,000여 가지가 넘는다(출처 : 네이버지식사전).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71331호 "갑각류 또는 어류용 사료첨가제 및 사료"(2001. 7. 28.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55357호 "기능성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2008. 8. 25. 등록)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4279호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CJ1021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어류용 사료첨가제"(2012. 5. 2. 등록)

    본 발명은 양식새우의 생존율 및 성장률을 높이고 해수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홍삼과 천연약초로부터의 추출물에 3종의 균주를 각각 차례로 접종·배양하여 영양액을 만들고 동결건조하여 영양분말을 만드는 제 1공정; 생수에 상기 제1공정에서 생산된 영양액, 새우액젓,멸치액젓과 다시마, 우뭇가사리, 함초의 탕전물을 넣어 배지를 조성하고, 8종의 유산균을 각각 배지에 넣어 배양하여 상기 균주 배양액을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유산균분말을 제조하는 제2공정; 생수에 파래와 천연약초, 과일을 넣은 후 탕전하여 배지를 조성하고 균주 배양액을 접종한 후 발효시켜 얻은 효소액을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효소분말을 제조하는 제3공정; 제 2공정에서 제조된 8종의 유산균분말을 혼합한 후 제1공정에서 제조된 영양분말과 제 3공정에서 제조된 효소분말을 혼합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정에서 사용되는 약초는 민들레, 천궁, 당귀, 진피, 갈근, 백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3종의 균주의 접종·배양은 효모균주 배양분 접종 후 배양,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균주 배양분 접종 후 배양, 락토코커스 락티스균 배양분 접종 후 배양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공정에서 사용되는 8종의 유산균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비피도박테리움 아스테 로이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공정에서 사용되는 천연약초는 함초, 방풍, 민들레, 백출, 미나리, 갈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공정에서 사용되는 과일은 사과, 오렌지, 귤, 파인애플, 멜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공정에서 사용되는 균주배양액은 효모균주 배양액,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균주 배양액, 비티도 박테리움 아스테로이데스 균주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공정에서 유산균분말, 영양분말, 효소분말의 혼합은 유산균 분말 50~65중량%, 영양분말 17.5~25중량%, 효소분말 17.5~2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한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식새우의 생존율과 성장률을 높이고 잔류 사료의 분해 등으로 해수오염을 방지하여 새우양식 사업의 소득증대와 환경개선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제1공정

    건조된 홍삼 1kg, 민들레 1.5kg, 천궁 1.5kg, 당귀 1.5kg, 진피 1.5kg, 갈근 1.5kg, 백출 1.5kg을 혼합한 후, 100ℓ의 물을 붓고 95℃ 이하에서 12시간∼20시간 탕전한다.

    상기 탕전된 물질이 25℃∼35℃가 되면 상기 탕전된 물질 1ℓ 당 효모균주 배양분{1×10 11 CFU(Colony Forming Unit)/g} 0.1g을 접종한 후 3∼4일 간 배양한다. 3∼4일 경과 후 상기 물질 1ℓ 당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균주 배양분(1×10 11 CFU/g) 0.1g을 넣고 재차 배양한다. 3∼4일 경과한 후 상기 홍삼, 민들레, 천궁, 당귀, 진피, 갈근, 백출 등의 추출액을 부직포에 담아서 유압기로 액상과 섬유박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홍삼, 민들레, 천궁, 당귀, 진피, 갈근, 백출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발효된 액상 영양액 1ℓ 당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균 배양분(1×10 11 CFU/g) 0.1g을 접종한 후 3∼4일 간 배양한다.

    그 후 동결건조기에서 - 30℃∼ - 80℃ 조건에서 60시간∼72시간 동결건조시킨 후 100mesh 정도로 분쇄하여 유산균을 함유한 영양분말을 얻는다.

    2. 제2공정

    다시마 4kg, 우뭇가사리 4kg, 함초 3kg을 100ℓ의 물에 넣고 8시간 탕전한 후, 다시마, 우뭇가사리, 함초의 탕전물을 부직포로 걸러서 다시마, 우뭇가사리, 함초의 섬유박을 분리한다. 탕전하여 분리된 액상을 40℃에서 200mesh로 거른다. 상기 액상이 40℃ 미만으로 내려가면 액상이 굳을 수 있다.

    제1공정에서 동결건조하기 전의 액상 영양액을 0℃∼2℃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하였다가 제2공정에서 생수 100ℓ에 제1공정에서 생산된 영양액 6.7ℓ∼10ℓ, 새우액젓(새우를 발효, 숙성시켜 달인 젓) 30cc, 멸치액젓(멸치를 발효, 숙성시켜 달인 젓) 30cc, 상기 다시마, 우뭇가사리, 함초 탕전물 5ℓ를 넣어 배지를 조성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8개의 배지를 조성한 후 배지의 온도는 25℃∼35℃로 설정하고 pH 5.5∼6.2가 되도록 한다. 8개의 배지에 각각 락토코커스 락티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시트리움(leuconostoc citre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asenteroide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비피도박테리움 아스테로이데스(bifidobacterium asteroides) 등 8종의 유산균을 배지 하나에 균주 한 종씩 넣고 3∼4일 간 배양한다. 상기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서 구입하였고 균주를 자체 배양하여 배양균주를 사용하였다.

    상기 각각의 균주 배양액을 진공농축기에서 50% 정도 진공농축 시키거나 또는 원액 상태 그대로를 동결건조기에 넣고 - 30℃∼ - 80℃에서 60시간∼72시간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mesh ∼ 200mesh 의 유산균분말을 제조하였다.

    3. 제3공정

    생수 100ℓ에 함초, 방풍, 파래를 각각 5.72kg씩, 민들레, 백출, 미나리, 갈근을 각각 5.71kg씩 총 40kg을 넣고 사과, 오렌지, 귤, 파인애플, 멜론 등의 과일을 각각 12kg씩 총 60kg을 넣은 후 6시간∼8시간 동안 95℃ 이하에서 탕전하여 약 200ℓ의 배지를 조성한다.

    상기와 같이 탕전한 후 2시간 정도 숙성시켰다가 다시 2∼3시간 정도 95℃ 이하에서 탕전한 후 부직포에 담아서 유압기로 액상과 섬유박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분리한 용액을 자외선을 통해 30분 정도 살균한 후 25℃∼35℃의 온도에서 효모균주 배양액,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균주 배양액, 비티도 박테리움 아스테로이데스 균주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배양액을 상기 용액 1ℓ당 0.1g∼0.2g을 접종한 후 4∼6일 간 발효시킨다. 이때 배지는 pH 5.5∼6.2로 한다.

    상기 발효를 통해 얻어진 효소액은 천연효소가 녹아있는 효소액으로서, 이를 진공농축기를 통해 50% 정도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기에 넣고 - 30℃∼ - 80℃의 조건에서 60시간∼72시간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mesh∼200mesh의 효소분말을 제조한다.

    4. 제4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된 락토코커스 락티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비피도박테리움 아스테로이데스 등 8종의 유산균분말을 같은 중량비로 혼합한 후 제1공정에서 제조된 홍삼, 민들레, 천궁, 당귀, 갈근, 진피, 백출 등의 영양분말과 제3공정에서 제조된 사과, 오렌지, 귤, 파인애플, 멜론, 함초, 방풍, 파래, 민들레, 백출, 미나리, 갈근 등에서 추출한 효소분말을 유산균분말 50∼65중량%, 영양분말 17∼25중량%, 효소분말 17∼25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실험예]

    1. 실험방법

    본 발명을 새우양식장에 적용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의 Kalimantan Balikpapan 근교에 위치한 2개의 양식장을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실험하였다.

    사용방법은 유산균 분말(1×10 11 CFU/g)과 효소분말을 6 : 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g씩 포장한 후 6g의 혼합분말(유산균분말, 효소분말 혼합)을 만들었다.

    첫날 10포를 투여하였으며 둘째 날부터 3일간 5포씩 총 15포를 살포하였다. 총 4일간 25포의 상기 6g의 혼합분말을 1포 기준 생수 1ℓ에 희석하여 양식조에 투여하였다. 상기 4일 동안은 새우사료를 급이하지 않았다.

    제5일째부터 유산균분말, 효소분말, 영양분말을 6 : 2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8g씩 포장하였다. 8g의 혼합분말(유산균분말, 효소분말, 영양분말의 혼합)을 생수 1ℓ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새우사료는 인도네시아 CP사의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8g의 혼합분말분 1포를 생수 1ℓ에 희석한 후 급이량과 급이횟수를 감안하여 1일 급이 횟수가 3회일 경우 희석된 용액을 3등분하여 2℃∼6℃로 냉장 보관하였으며, 사료에 유산균과 효소, 영양성분이 충분히 흡수 되도록 하기 위해 사료급이 1시간 전에 분무기로 골고루 살포한 후 1시간 경과 후 급이하였다. 상기 8g의 혼합분말에는 유산균과 영양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상온에서 부패의 위험을 없애고자 냉장보관 하였으며 급이 사료에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균등 분할하여 보관하였다.

    상기와 별도로 양식조에 남아 있는 잔류 사료와 기타 양식조 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A양식장의 경우 31일간의 양식기간 중 유산균분말, 효소분말의 혼합분말 6g을 2포씩 생수 2ℓ에 혼합하여 양식조에 2번 투여하였다{새우치하(어린 새우) 투입 후 15일째, 25일째에 투여하였다}. B양식장의 경우 총 60일 동안 유산균분말, 효소분말의 혼합분말 6g을 5포씩 생수 5ℓ에 혼합하여 양식조에 5번 투여하였다(새우치하 투입 후 15일째, 25일째, 35일째, 45일째, 55일째에 투여하였다). 양식조에 투여하는 6g의 혼합분말은 유산균분말 60∼80중량%, 효소분말 20∼40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2.1. 양식새우의 생존율 및 생산량

    본 실험에 의한 양식기간 동안 흰점 바이러스, 췌장 바이러스 등 양식 새우에 어떤 질병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60일 양식으로 96% 생존율과 1/3ha(3,300㎡)에서 2.8톤의 새우를 수확(이를 1ha 기준으로 환산하면 1ha에서 8.4톤의 새우를 수확)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새우양식 생산성 향상연구보고서"에 의하면 2003년 자연산 어미대하 바이러스 감염율 조사결과 흰점 바이러스 21.0%, 간췌장 바이러스 33.2%로 2년 동안 약 4배 증가된 수준이며, 전국 새우양식장 실태조사결과 양식 생산량은 2,727톤, 폐사율 80.3%, 단위 생산량 1.07톤/ha로 조사 되었는 바, 이에 비추어 보면 60일 양식으로 96% 생존율, 단위 생산량 8.4톤/ha는 현저하게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2.2. 잔류사료의 분해

    본 발명에 있어서 유산균분말은 유산균의 생존 활동을 통해 잔류사료를 분해시키며, 효소분말은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프로테아제(prote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등의 소화효소제가 잔류 사료에 존재하는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등을 분해시킨다.

    본 발명의 잔류사료 분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40ℓ의 양식장 물을 양동이에 담아 50g의 새우사료를 넣고 일주일에 한번씩 5ℓ의 물을 빼고 다시 생수 5ℓ를 보충하여 주는 방식으로 총 40일 동안 결과를 관찰하였다. 양식장에서와 같은 조건을 실시하기 위해 유산균분말, 효소분말의 혼합분말 6g을 1ℓ의 생수에 혼합한 후 사료 투입 후 5일째, 15일째, 25일째, 35일째 총 4회에 걸쳐 각 10cc씩 40ℓ의 양식장 물이 있는 양동이에 투여하고 결과를 관찰하였다. 7∼15일 동안에 25%∼30%의 잔류 사료가 분해되었으며, 20∼30일 동안에 70%∼80%가 분해되었고 40일 경과 시 90% 이상의 잔류 사료가 분해되어 양동이에 사료 잔류물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