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백목약리이용방법

申请号 KR1020030009989 申请日 2003-02-18 公开(公告)号 KR1020030019548A 公开(公告)日 2003-03-06
申请人 김영일; 发明人 김영일;
摘要 PURPOSE: Provided are the daily products using the pharmacological functions of turpentine and phytoncide components enriched in a cypress, such as cypress firewood, a domestic cutting board, a spoon case and a knife holder. CONSTITUTION: The pharmacological usage of a cypress includes daily products such as firewood, a domestic cutting board, a spoon case and a knife holder. A cypress is cut in a diameter of 10 centimeters, and a length of 30 centimeters by a general saw, and the skin of the cypress is peeled by a cleaver, and then the peeled cypress(100) is quartered by an ax to obtain a cypress firewood. The cypress firewood is used as an interior element for emitting a turpentine oil and phytoncide contained in cypress into the air.
权利要求
  • 수목직경10㎝, 길이30㎝로 일반톱으로 베어낸후 낫으로 수피를 벗긴 편백목 (100)을 도끼를 사용해 4등분으로 빠개 실내인테리어를 위한 편백장작(100a)으로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목약리이용방법.
  • 편백목(100)을 도마(200)로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목약리이용방법.
  • 편백목(100)을 수저통(300)으로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목약리이용방법.
  • 편백목(100)을 칼꽂이(400)로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목약리이용방법.
  • 说明书全文

    편백목약리이용방법{a Chamaecyparis obtusa wood medical properties utilization method}

    본 발명은 편백목약리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백나무의 유용성을 활용하여 각종 생활용품으로 이용하고자 한 것이다.

    편백나무는 일본 원산의 상록침엽교목으로서 수고 40m, 직경 2m에 이르며, 잎은 인엽, 둔두, 이면에 Y형의 백분이 있으며, 꽃은 단성화, 4월에 개화하며, 자웅동주, 수꽃은 구형, 암꽃은 구형; 배주는 4개; 과실은 구과, 9-10월 성숙한다.

    1904년에 도입된 이래로 제주도 및 남해안 지방에 조림수종으로 식재해 왔다.

    음수이며 습기가 적당하고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염성이 약하나 대기오염에 대해서는 다소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주로 원예 및 조경용-조경수로 주로 심으며,목재는 재질은 굳고 치밀하며, 향기가 좋고 붉은 빛을 띄며,내후력(耐朽)이 뛰어나서 벌레가 먹지 않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또, 음향조절력이 있어서 음악당 내장재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또한 강도가 높고 보존성이 좋아 지금까지는 조각재, 불교기구재, 선박재 등으로 사용하며, 잎은 약용으로 토혈, 복통에 사용한다.

    또 가지에서 편백유(oil of cypress)를 채취하여 향료로 이용하며, 진해제로도 약용하며, 편백유의 향기는 공기를 맑게 하므로, 옛날에는 폐병에 좋다고도 했다.

    편백목에 포함된 물질중 테르펜(turpentine)이라는 휘발성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물질은 체내분비를 촉진하고, 감각계통의 조정이나 정신집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최근 삼림욕을 하면 머리가 맑아지고 기분이 상쾌해지는 것을 느낄수 있다. 이는 나무가 분비하는 '테르펜'이라는 향기 때문이다. 테르펜이 많이 발산되는 숲은 편백, 화백, 잣나무 소나무 등 침엽수로 된숲이다.

    테레펜은 톡 쏘는 듯한 향기성 성분으로서, 이것에 해당하는 것이 잘 알려진 알파-피넨을 비롯한 수십 가지의 물질이다.

    피톤치드(PHYTONCIDE)가 주로 식물이 미생물에 대항하기 위한 항균물질인 반면, 테르펜은 피톤치드의 역할도 하면서 식물 자신을 위한 활성물질인 동시에 곤충을 유인하거나 억제하고 다른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등의 복합적인 작용을 한다.

    이것은 신체에 흡수되면 피부를 자극해서 신체의 활성을 높이고 피를 잘 돌게 하며 심리가 안정되며 살균작용도 겸할 수 있다.

    국내산 침엽수 잎의 정유함량 (단위: ㎖/100g) 은 아래 표1과 같다.

    수 종 겨 울 여 름
    전나무 2.9 3.3
    구상나무 3.9 4.8
    소나무 1.7 1.3
    잣나무 1.6 2.1
    리기다소나무 0.7 0.8
    삼나무 3.6 4.0
    편백 5.2 5.5
    화백 3.1 3.3
    향나무 1.8 1.4
    측백나무 1.0 1.3

    출처자료: 박재철. 1991. {환경과 조경} 중에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상기 표 1과 같이 편백목에 특히 다량 함유된 정유성분의 테레펜과 피톤피드의 약리기능을 접하기 위하여, 매번 도시인근의 편백나무숲에 산림욕을 즐길수 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편백나무에 다량 함유된 테르펜은 인체에 흡수되면 신체를 활성화시키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살균·살충작용도 겸할 수 있다.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연필향나무(Sabina virginiana)의 톱밥을 깔았을 때와 깔지 않았을 때의 쥐의 마취시험을 한 결과, 톱밥을 깐 경우가 쥐가 마취에서 빨리 깨어났다고 한다. 이것은 톱밥에 들어 있는 정유에 의해 쥐의 간에서 마취약의 분해작용이 2∼3배 빨라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잠을 잘 때 알파-피넨(α-pinene)이 있는 상태와 없는 상태의 피로 회복도를 각각 비교하면, 알파-피넨이 있는 상태에서 수면을 취했을 때가 피로 회복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날 피로에 대한 자작 증세도 적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다. 이처럼 테르펜은 우리가 일정량을 취했을 때 우리 몸의 생리활성을 촉진할 수 있다.

    최근의 식물의 가진 독특한 향기성분을 이용해서 치료에 이용하는 '향기요법'이 유행하고 있다. 우울증·불안 해소, 각성, 식욕 억제 및 촉진 등 주로 정신적·정서적인 장애와 관련된 것들이다. 여기에 향기치료제로 쓰는 것의 상당수가 테르펜계 물질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편백목의 다양한 약리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생활응용 제품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목의 수피를 벗긴 원목토막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인테리어를 위한 편백장작으로 이용한 편백목사시도.

    도 3은 도마로 이용되는 편백목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4는 수저통으로 이용되는 편백목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5는 칼꽂이로 이용되는 편백목의 사용상태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편백목 100a:편백장작

    200:도마 300:수저통

    400:칼꽂이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목의 수피를 벗긴 원목토막사시도로, 수목직경 10㎝, 길이 30㎝로 손톱으로 베어낸후 낫으로 수피를 벗긴 편백목(100)이다.

    상기에서 일반톱으로 베어내는 이유는 전기톱등에 의한 오일이 절단부위가 묻지 않기 위함이며, 적갈색수피는 낫을 통한 수작업으로 껍질을 벗겨냄도 상기와 같은 의도이다.

    실시예2.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목(100)을 실내인테리어를 위한 편백장작(100a)으로 이용한 것으로, 실시예1 규격의 편백목(100)을 도끼를 사용해 4등분으로 빠갠 편백장작(100a)으로써,이는 기계적으로 빠갠 것보다는 도끼를 이용해 빠갠부위가 불규칙적으로 빠개지기 때문에 공기접촉면적을 증진시키기 위한 배려이다.

    상기와 같은 편백장작(100a)의 이용은 실내 또는 찜질방의 한켠에 쌓아 진열하면, 심미적으로도 친화감이 있으며, 편백장작에 함유된 치톤피드와 테레핀유의 공기중 향취발산이 자체 실험에 의하면 6개월 정도 유지됨을 알수 있었다.

    실시예3.

    도 3은 도마로 이용되는 편백목의 사용상태사시도이다.

    편백목에 함유된 피톤치드(PHYTONCIDE)가 미생물에 대항하기 위한 항균물질인 약리성분이 가해지게 하는 도마(200)로 형성함으로써, 항균성이 좋은 도마(200)로 이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4.

    도 4는 수저통으로 이용되는 편백목의 사용상태사시도로써, 실시예 3과 같이 편백목에 함유된 피톤치드(PHYTONCIDE)가 미생물에 대항하기 위한 항균물질인 약리성분이 가해지게 하는 수저통(300)을 형성함으로써,위생적인 수저통(300)으로 이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5.

    도 5는 칼꽂이로 이용되는 편백목의 사용상태사시도로써,실시예 3와 같은 편백목에 함유된 피톤치드(PHYTONCIDE)가 미생물에 대항하기 위한 항균물질인 약리성분이 가해지도록 통상적인 칼꽂이(400)를 형성하여 위생적인 칼꽂이(300)로 이용함으로써,편백목에 함유된 피톤치드(PHYTONCIDE)가 미생물에 대항하기 위한 항균물질인 약리성분에 의한 위생적인 칼꽂이(400)로 이용할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백목약리이용방법에 의한 각종 물품으로, 실내인테리어를 위한 편백장작(100a)은, 인공적인 가공을 가하지 않고 도끼로 빠갠 편백장작(100a)은 자연친화적으로 일반실내의 인테리어용이나, 최근 붐을 일고 있는 찔질방의 한켠에 쌓아두고, 편백장작에 함유된 피톤피드와 테레핀유의 공기중 향취발산용 인테리어 소품으로 유용히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목(100)을 일반 주방용품인 도마(200),수저통 (300),칼꽂이(400)로 이용해 편백목에 함유된 항균물질인 약리성분인 피톤치드 (PHYTONCIDE)에 의한 위생적인 주방용품으로 활용되도록 한 유용성이 발명인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