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받기

申请号 KR2020050032549 申请日 2005-11-17 公开(公告)号 KR200408110Y1 公开(公告)日 2006-02-07
申请人 김태원; 发明人 김태원;
摘要 본 고안은 집안에서 먼지 쓰레기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쓰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함체(1)
의 배면판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쓰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가 형성되어 있는
배면판에 상부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3)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3)의 주위로 처리봉투
(5)를 착탈하기 위한 적어도 4개의 걸고리(4)가 형성되고, 손잡이(2)는 끼움홈(21)과 끼움돌
기(22)에 형성된 통공(24)를 관통하여 결합핀(23)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
레받이를 제공한다
함체, 손잡이, 도어
权利要求
  • 함체(1)의 배면판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쓰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가 형성되어 있는 배면판에 상부가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3)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3)의 주위로 처리봉투(5)를 착탈하기 위한 적어도 4개의 걸고리(4)가 형성되고, 손잡이(2)는 끼움홈(21)과 끼움돌기(22)에 형성된 통공(24)를 관통하여 결합핀(23)에 의하여 결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이.
  • 说明书全文

    쓰레받기 {a dustpan}

    도 1은 본 고안 쓰레받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쓰레받이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쓰레 받이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3의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체 2 : 손잡이

    21 : 끼움홈 22 : 끼움돌기

    23 : 결합핀 24 : 통공

    3 : 도어 4 : 돌기

    5 : 처리봉투 6 : 쓰레기 처리

    본 고안은 집안에서 먼지 쓰레기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쓰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먼지 쓰레기 등을 쓸어 담고자 할 때 편리하게 사용이 될 수 있도록 개량된 구조를 갖는 쓰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받이는 먼지 등과 같이 미세한 입자의 쓰레기와 작은 입자의 형태로 되어 있는 쓰레기 및 액체가 혼합되어 있는 쓰레기 등을 방바닥 등의 바닥으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아주 오래전 부터 사용되어 왔다.

    종래로부터 사용되던 쓰레받이는 빗자루 등을 이용하여 쓰레받이의 함체 내로 방 바닥 등에 떨어져 있는 먼지 등의 쓰레기를 이동시킨 다음, 이를 폐기장소로 이동하여 쓰레기통에 버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나, 쓰레기를 폐기하기위하여 일정한 거리를 이동할 때, 먼지 등이 바람에 날려서 다시 청소한 장소를 어지럽히는 일이 생기기도 하며, 쓰레기 통에 쓰레기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떨어져 다시 오염을 시키는 경우도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쓰레받이의 상면에 덮개를 형성한 것이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이와같은 쓰레받이는 대체로 도로, 운동장 등과 같이 많은 량의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사용되고, 그 내부에 담겨져 있는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 바람 등으로부터 쓰레기가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은 있으나, 쓰레기를 쓰레기통에 버리고자 할 때, 쓰레기 통의 입구가 작은 경우에는 역시 쓰레기가 쓰레기 통의 밖으로 쏟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 쓰레받이의 함체 내부로 모아진 쓰레기를 재오염을 유발하지않도록 폐기할 수 있도록 한 쓰레받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함체(1)의 배면판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쓰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가 형성되어 있는 배면판에 상부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3)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3)의 주위로 처리봉투(5)를 착탈하기 위한 적어도 4개의 걸고리(4)가 형성되고, 손잡이(2)는 끼움홈(21)과 끼움돌기(22)에 형성된 통공(24)를 관통하여 결합핀(23)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이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제시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도면으로 제시된 본 고안은 일 실시예일 뿐, 본 고안이 제시된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 쓰레받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로서 도시된 본 고안 쓰레받이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쓰레 받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으로 도시된 본 고안 쓰레받이의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로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쓰레받이는 쓰레받이의 함채(1)의 배면판에 손잡이(2)가 형성되어 있으며,배면판의 손잡이(2)의 아랫쪽으로는 도어(3)이 힌지결합에 의하여 배면판에 설치되어 있고, 도어의 주위로 걸고리(4)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2)는 끼움홈(21)과 끼움돌기(22)에 형성된 통공(24)를 관통하여 결합핀(23)에 의하여 결합됨을 도시하고 있다.

    도 1로서 도시되어 있는 쓰레받이를 결합시키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게 되며, 함체(1)의배면판의 도어(3)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 에 쓰레기 처리공(6)이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로서 도시된 쓰레받이는 배면판에 걸고리(4)가 적어도 4개이상 형성이 되어 있어 쓰레기 처리봉투(5)를고정시킬수 있으며, 그 고정방법은 봉투의 개구부에 고무밴드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구부의 고무밴드를 확장시켜 걸고리(4)에 걸어주고, 개구부에 고무밴드 등이 없는 봉투의 경우에는 별도의 고무밴드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ㅇ는 단면 형상으로 되는 것 이다.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판의 걸고리(4)에 처리봉투(6)가 부착이 된 상태에서 먼지등의 쓰레기를 빗자루 등을이용하여 함체(1)내로 수거한 후, 본 고안의 쓰레받이의 앞부분이 상방을 향하도록 들어 올려주면 배면판에 형성된도어(3)의 회전운동으로 쓰레기 처리공(6)이 열리면서 먼지등의 쓰레기는 처리봉투(5)로 담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4에서는 본 고안의 필수적인 요건만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함체(1)의 측면판 또는 손잡이(2) 등에 처리봉투(5)를 넣어두기 위한 함체를 마련하여 두면 더욱 편리하게 사용될 수있다.

    또한 본 고안의 쓰레받이는 송잡이가 끼움홈(21)과 끼움돌기(22)가 결합핀(23)에 의하여 힌지 형태로 결합됨으로서사용자에 따라서 임의로 각도를 조절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쓰레받이는 쓰레받이의 함체의 내부에 담겨있는 먼지 등의 쓰레기를 조기에 처리봉투의 내부로 이동시켜 줌으로서 이동시 날리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또 쓰레기 용기에 폐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그 주변으로 분산이 되어 주변을 어지럽히는 일이 없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