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 공구

申请号 KR1020157002387 申请日 2014-10-21 公开(公告)号 KR1020150102926A 公开(公告)日 2015-09-09
申请人 도호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마츠시타노부오;
摘要 본 발명은 제1 핸들을 안정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제2 핸들을 파지하여 절단 재료를 절단할 수 있는 데다가, 제1 핸들을 안정 설치 상태로부터 제2 핸들과 동일한 파지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절단 공구를 제공한다.
제1 핸들(5)의 기단부측에 횡방향 돌출되는 돌출구(29)를 갖는 절단 공구이며, 상기 돌출구(29)가 제1 핸들(5)의 핸들 본체(11)에 대해, 상기 지지축(17)의 축심 방향을 대략 따르는 횡방향 자세(X)와 핸들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신장 자세(Y)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돌출구(29)와 핸들 본체(11) 사이에 돌출구(29)를 각 자세(X, Y)로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45)가 설치되어 있다.
权利要求
  • 지지축(17)을 통해 연결된 제1 핸들(5)과 제2 핸들(6)의 선단측에 절단용 날체(3, 4)를 연결하고 있고, 제1 핸들(5)의 기단부측에 횡방향 돌출되는 돌출구(29)를 갖는 절단 공구이며,
    상기 돌출구(29)가 제1 핸들(5)의 핸들 본체(11)에 대해, 상기 지지축(17)의 축심 방향을 대략 따르는 횡방향 자세(X)와 핸들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신장 자세(Y)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돌출구(29)와 핸들 본체(11) 사이에 돌출구(29)를 각 자세(X, Y)로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4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5)은 핸들 본체(11)의 기단부에 돌출구(29)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29)는 신장 자세(Y)일 때에 핸들 파지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29)는, 핸들 본체(11)의 기단부에 설치한 본체 연결 부재(30)에 피봇축(31)을 통해 연결된 구 연결 부재(33)와, 이 구 연결 부재(33)에 외부 끼움되고 또한 피봇축(31)을 통과하여 본체 연결 부재(30)에 끼워 맞추어 신장 자세(Y)가 되는 통 부재(3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구(29)는, 통 부재(34)를 본체 연결 부재(30)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피봇축(31) 주위의 회전이 허용되고, 횡방향 자세(X)일 때에 통 부재(34)의 선단이 본체 연결 부재(30)에 접촉하여 피봇축(31) 주위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유지 기구(45)는, 돌출구(29)를 신장 자세(Y)로 했을 때에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한 통 부재(34)의 이동을 규제하는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과, 돌출구(29)를 횡방향 자세(X)로 했을 때에 구 연결 부재(33)에 대한 통 부재(34)의 이동을 규제하는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과, 돌출구(29)에 설치되어 있고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 및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조작 수단(4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29)의 통 부재(34)에는 걸림 결합 구멍(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은 본체 연결 부재(30) 내로부터 돌출되어 걸림 결합 구멍(43)과 걸림 결합하는 위치 결정 핀(51)을 갖고,
    상기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은 구 연결 부재(33) 내로부터 돌출되어 걸림 결합 구멍(43)과 걸림 결합하는 위치 결정 핀(55)을 갖고,
    상기 해제 조작 수단(49)은 걸림 결합 구멍(43) 내에 위치하고 있고 압박 이동함으로써 상기 각 위치 결정 핀(51, 55)을 걸림 결합 구멍(43)으로부터 압출하는 압박 핀(5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유지 기구(45)는, 신장 자세(Y)일 때에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통 부재(34)를 둘레 방향 이동하고 나서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횡방향 자세(X)일 때에 구 연결 부재(33)에 대해 통 부재(34)를 둘레 방향 이동하고 나서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안내 수단(6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63)은, 통 부재(34)에 설치된 걸림 지지 돌기(65)와, 이 걸림 지지 돌기(65)를 걸림 지지하고 있고 본체 연결 부재(30) 및 구 연결 부재(33)에 각각 형성된 제1 주위 홈(67) 및 제2 주위 홈(68)과, 제1 주위 홈(67)으로부터 본체 연결 부재(30)의 단부면까지 걸림 지지 돌기(65)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직선 홈(69)과, 신장 자세(Y)일 때에 제1 직선 홈(69)의 연장 위치로 되고 또한 구 연결 부재(33)의 단부면으로부터 제2 주위 홈(68)을 넘은 위치까지 걸림 지지 돌기(65)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직선 홈(7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说明书全文

    절단 공구 {CUTTING TOOL}

    본 발명은, 제1 핸들과 제2 핸들의 개폐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절단용 날체를 개폐하여 피절단 재료를 절단하도록 한 절단 공구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케이블, 봉재, 관재 등의 피절단 재료를 절단하도록 한 절단 공구에는, 한 쌍의 절단용 날체와 이들에 연결된 제1 핸들과 제2 핸들을 구비하고, 제1 핸들과 제2 핸들의 개폐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절단용 날체를 개폐하여 피절단 재료를 절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종래의 절단 공구에는, 제1 핸들의 선단측에 원판을 부설하거나, 횡전 방지판을 고정하고 있고, 이 원판 또는 횡전 방지판을 발로 밟아 제1 핸들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고, 제2 핸들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체중을 가하면서 제1 핸들에 대해 개폐 조작하고, 피절단 재료를 보다 강한 힘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09603호 공보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7-4257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경우, 원판 또는 횡전 방지판은 제1 핸들의 선단측에 후퇴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핸들과 제2 핸들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피절단 재료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원판 또는 횡전 방지판이 방해가 되고, 이로 인해 피절단 재료를 쉽게 절단할 수 없게 되어, 불편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1 핸들을 안정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제2 핸들을 파지하여 절단 재료를 절단할 수 있는 데다가, 제1 핸들을 안정 설치 상태로부터 제2 핸들과 동일한 파지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절단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수단은, 다음과 같다.

    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지지축(17)을 통해 연결된 제1 핸들(5)과 제2 핸들(6)의 선단측에 절단용 날체(3, 4)를 연결하고 있고, 제1 핸들(5)의 기단부측으로 횡방향 돌출되는 돌출구(29)를 갖는 절단 공구이며,

    상기 돌출구(29)가 제1 핸들(5)의 핸들 본체(11)에 대해, 상기 지지축(17)의 축심 방향을 대략 따르는 횡방향 자세(X)와 핸들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신장 자세(Y)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돌출구(29)와 핸들 본체(11) 사이에 돌출구(29)를 각 자세(X, Y)로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45)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제1 핸들(5)은 핸들 본체(11)의 기단부에 돌출구(29)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29)는 신장 자세(Y)일 때에 핸들 파지부로 되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돌출구(29)는, 핸들 본체(11)의 기단부에 설치한 본체 연결 부재(30)에 피봇축(31)을 통해 연결된 구(具) 연결 부재(33)와, 이 구 연결 부재(33)에 외부 끼움하고 또한 피봇축(31)을 통과하여 본체 연결 부재(30)에 끼워 맞추어 신장 자세(Y)가 되는 통 부재(3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구(29)는, 통 부재(34)를 본체 연결 부재(30)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피봇축(31) 주위의 회전이 허용되어, 횡방향 자세(X)일 때에 통 부재(34)의 선단이 본체 연결 부재(30)에 접촉하여 피봇축(31) 주위의 회전이 저지되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자세 유지 기구(45)는, 돌출구(29)를 신장 자세(Y)로 했을 때에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한 통 부재(34)의 이동을 규제하는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과, 돌출구(29)를 횡방향 자세(X)로 했을 때에 구 연결 부재(33)에 대한 통 부재(34)의 이동을 규제하는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과, 돌출구(29)에 설치되어 있고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 및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조작 수단(49)이 설치되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돌출구(29)의 통 부재(34)에는 걸림 결합 구멍(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은 본체 연결 부재(30) 내로부터 돌출되어 걸림 결합 구멍(43)과 걸림 결합하는 위치 결정 핀(51)을 갖고,

    상기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은 구 연결 부재(33) 내로부터 돌출되어 걸림 결합 구멍(43)과 걸림 결합하는 위치 결정 핀(55)을 갖고,

    상기 해제 조작 수단(49)은 걸림 결합 구멍(43) 내에 위치하고 있고 압박 이동함으로써 상기 각 위치 결정 핀(51, 55)을 걸림 결합 구멍(43)으로부터 압출하는 압박 핀(59)을 갖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자세 유지 기구(45)는, 신장 자세(Y)일 때에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통 부재(34)를 둘레 방향 이동하고 나서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횡방향 자세(X)일 때에 구 연결 부재(33)에 대해 통 부재(34)를 둘레 방향 이동하고 나서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안내 수단(63)을 갖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안내 수단(63)은, 통 부재(34)에 설치된 걸림 지지 돌기(65)와, 이 걸림 지지 돌기(65)를 걸림 지지하고 있고 본체 연결 부재(30) 및 구 연결 부재(33)에 각각 형성된 제1 주위 홈(67) 및 제2 주위 홈(68)과, 제1 주위 홈(67)으로부터 본체 연결 부재(30)의 단부면까지 걸림 지지 돌기(65)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직선 홈(69)과, 신장 자세(Y)일 때에 제1 직선 홈(69)의 연장 위치로 되고 또한 구 연결 부재(33)의 단부면으로부터 제2 주위 홈(68)을 넘은 위치까지 걸림 지지 돌기(65)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직선 홈(70)을 갖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핸들의 기단부측에 횡방향 돌출되는 돌출구가 제1 핸들의 핸들 본체에 대해,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대략 따르는 횡방향 자세와 핸들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신장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돌출구와 핸들 본체 사이에 돌출구를 각 자세로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핸들의 돌출구를 핸들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신장 자세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하고, 제1 핸들과 제2 핸들을 파지하여 피절단 재료를 쉽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돌출구를 지지축의 축심 방향을 대략 따르는 횡방향 자세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하고, 돌출구를 이용하여 제1 핸들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핸들을 안정 설치하여 발로 밟고, 제2 핸들만을 양손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강한 힘으로 절단 재료를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절단 공구를 도시하고, 도 1의 (a)는 돌출구를 신장 자세로 한 상태의 평면도, 도 1의 (b)는 돌출구를 횡방향 자세로 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핸들의 기단부측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돌출구를 신장 자세로 한 상태의 제1 핸들의 기단부측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돌출구를 횡방향 자세로 한 상태의 제1 핸들의 기단부측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체 연결 부재를 도시하고, 도 6의 (a)는 평면도, 도 6의 (b)는 정면도, 도 6의 (c)는 측면도이다.
    도 7은 구 연결 부재를 도시하고, 도 7의 (a)는 평면도, 도 7의 (b)는 정면도, 도 7의 (c)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절단 공구(1)는, 각각 선단에 날부(3a, 4a)가 형성된 한 쌍의 절단용 날체(3, 4)와, 이들에 각각 연결된 제1 핸들(5)과 제2 핸들(6)을 구비하고, 한 쌍의 절단용 날체(3, 4)는 한 쌍의 연결판(8)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끼움 지지됨과 함께, 연결판(8)을 관통하는 한 쌍의 지지축(9, 10)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핸들(5) 및 제2 핸들(6)은 파이프재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핸들 본체(11, 12)를 구비하고 있다. 각 핸들 본체(11, 12)의 선단부에 설치 부재(13, 14)가 각각 고정 설치되고, 양 설치 부재(13, 14)가 지지축(1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핸들 본체(11, 12)는 각각 설치 부재(13, 14)를 통해 대응하는 절단용 날체(3, 4)에 각각 연결축(19, 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제1 핸들(5)과 제2 핸들(6)의 지지축(17) 주위의 개폐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절단용 날체(3, 4)를 지지축(9, 10) 주위에 개폐하여 피절단 재료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17)의 축심은 절단용 날체(3, 4) 및 제1 핸들(5) 및 제2 핸들(6)의 회전 방향(회전면)과 직교되어 있다.

    제2 핸들(6)은 그 기단부측에 핸들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핸들 파지부(22)를 갖고 있다. 이 핸들 파지부(22)는 핸들 본체(12)를 연장하여 형성된 통부(23)에 합성 수지제의 피복 부재(24)가 외부 끼움 고착되어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제1 핸들(5)은 그 기단부측에 횡방향 돌출되는 돌출구(29)를 갖고 있다. 돌출구(29)에는, 핸들 본체(11)의 기단부에 설치한 본체 연결 부재(30)에 피봇축(31)을 통해 연결된 구 연결 부재(33)와, 이 구 연결 부재(33)에 외부 끼움되고 또한 피봇축(31)을 통과하여 본체 연결 부재(30)에 끼워 맞추어 신장 자세가 되는 통 부재(34)가 설치되고, 통 부재(34)에 합성 수지제의 피복 부재(35)가 외부 끼움되어 고착되어 있다.

    본체 연결 부재(30)는 제1 핸들(5)의 핸들 본체(11)의 기단부에 전반 부분이 내부 끼움되어 고착되고, 후반 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체 연결 부재(30)의 전반 부분에 끼워 맞춤 오목부(26)가 형성되고, 핸들 본체(11)의 기초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26)에 대응하는 끼워 맞춤 볼록부(27)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끼워 맞춤 오목부(26)와 끼워 맞춤 볼록부(27)의 끼워 맞춤에 의해 본체 연결 부재(30)가 핸들 본체에 대해 이탈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 연결 부재(30)의 후반 부분에는, 구 연결 부재(33)의 전방부가 피봇축(31)을 통해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피봇축(31)은 지지축(17)에 대해 대략 직교하고 있고, 구 연결 부재(33)는 절단용 날체(3, 4)의 절단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 연결 부재(30) 및 구 연결 부재(33)는 둥근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 연결 부재(30)의 구 연결 부재(33)측의 단부(후반 부분)에 절반 분할 둥근 봉 형상의 연결 돌기부(37)가 형성되고, 구 연결 부재(33)의 본체 연결 부재(30)측의 단부에 절반 분할 둥근 봉 형상의 연결 돌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돌기부(37)와 연결 돌기부(38)는 절반 분할된 평면이 대면되어 있고, 그 맞춤 면은 본체 연결 부재(30)의 축심에 대해 평행하지만 직경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피봇축(31)은 볼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서로 겹친 연결 돌기부(37, 38)끼리를 피봇축(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구 연결 부재(33)가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신장했을 때에 연결 돌기부(37, 38)끼리가 1개의 둥근 봉 형상으로 조합되도록 되어 있다.

    구 연결 부재(33)의 연결 돌기부(38)는, 구 연결 부재(33)를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신장시킨 상태에서, 본체 연결 부재(30)의 단차부 단부면(30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짧게 형성되어 있고, 구 연결 부재(33)는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피봇축(31) 주위에 화살표 a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의 화살표 b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핸들(5)은 핸들 본체(11)의 기단부에 돌출구(29)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돌출구(29)는 핸들 본체(11)에 대해, 상기 지지축(17)의 축심 방향을 대략 따르는 횡방향 자세(X)와 핸들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신장 자세(Y)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되어, 신장 자세(Y)일 때에 핸들 파지부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돌출구(29)는, 도 1의 (b)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본체(11)에 대해 화살표 a 방향으로 굴곡된 횡방향 자세(X)로 됨과 함께, 도 1의 (b)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본체(11)에 대해 화살표 b 방향으로 굴곡된 횡방향 자세(X)로도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 부재(34)는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고, 구 연결 부재(3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 유지됨과 함께, 본체 연결 부재(30)에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통 부재(34)의 핸들 본체(11)측의 단부이며 피복 부재(35)로부터 외측 돌출된 위치에, 걸림 결합 구멍(43)이 직경 방향으로 내외 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구(29)와 핸들 본체(11) 사이에, 돌출구(29)를 횡방향 자세(X)와 신장 자세(Y)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하고 또한 변경한 자세로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세 유지 기구(45)는, 본체 연결 부재(30)와 구 연결 부재(33)와 통 부재(34)에 걸쳐 구성되어 있고, 구 연결 부재(33)가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대략 직각 형상으로 굴곡되었을 때에, 통 부재(34)를 구 연결 부재(33)에 대해 본체 연결 부재(30)측으로 이동시켜 본체 연결 부재(30)의 돌출 단부[연결 돌기부(37)]에 접촉시킴으로써, 돌출구(29)가 핸들 본체(11)에 대해 대략 직각 형상으로 굴곡된 상기 횡방향 자세(X)로 위치 결정 유지되고, 그리고, 구 연결 부재(33)가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신장되었을 때에, 통 부재(34)를 본체 연결 부재(30)와 구 연결 부재(33)에 걸치도록 외부 끼움시킴으로써, 돌출구(29)가 상기 신장 자세(Y)로 위치 결정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출구(29)는, 통 부재(34)를 본체 연결 부재(30)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피봇축(31) 주위의 회전이 허용되고, 횡방향 자세(X)일 때에 통 부재(34)의 선단이 본체 연결 부재(30)에 접촉하여 피봇축(31) 주위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자세 유지 기구(45)는, 돌출구(29)를 신장 자세(Y)로 했을 때에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한 통 부재(34)의 이동을 규제하는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과, 돌출구(29)를 횡방향 자세(X)로 했을 때에 구 연결 부재(33)에 대한 통 부재(34)의 이동을 규제하는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과, 돌출구(29)에 설치되어 있고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 및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조작 수단(49)과, 신장 자세(Y)일 때에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통 부재(34)를 둘레 방향 이동하고 나서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횡방향 자세(X)일 때에 구 연결 부재(33)에 대해 통 부재(34)를 둘레 방향 이동하고 나서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안내 수단(63)을 갖고 있다.

    상기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은, 본체 연결 부재(30) 내로부터 돌출되어 통 부재(34)의 걸림 결합 구멍(43)과 걸림 결합하는 위치 결정 핀(51)을 갖고 있다. 이 위치 결정 핀(51)은 본체 연결 부재(30)에 직경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 유지 구멍(52) 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배출 및 후퇴 가능하게 수납 유지되고, 코일 스프링(가압 부재)(53)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돌출구(29)가 신장 자세(Y)로 되었을 때에 위치 결정 핀(51)이 걸림 결합 구멍(43)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고,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한 통 부재(34)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 및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돌출구(29)를 신장 자세(Y)로 유지(로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은, 구 연결 부재(33) 내로부터 돌출되어 걸림 결합 구멍(43)과 걸림 결합하는 위치 결정 핀(55)을 갖고 있다. 이 위치 결정 핀(55)은, 구 연결 부재(33)에 직경 방향으로 형성된 구 유지 구멍(56) 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배출 및 후퇴 가능하게 수납 유지되고, 코일 스프링(가압 부재)(57)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돌출구(29)가 횡방향 자세(X)로 되었을 때에 위치 결정 핀(55)이 걸림 결합 구멍(43)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고, 구 연결 부재(33)에 대한 통 부재(34)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 및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돌출구(29)를 횡방향 자세(X)로 유지(로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해제 조작 수단(49)은, 통 부재(34)에 설치된 지지판(61)과, 이 지지판(61)에 지지되어 있고, 걸림 결합 구멍(43) 내에 위치하고 있고 압박 이동함으로써 상기 각 위치 결정 핀(51, 55)을 걸림 결합 구멍(43)으로부터 압출하는 압박 핀(59)을 갖는다. 이 압박 핀(59)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59a)와 핀 축부(59b)를 갖고, 통 부재(34)로부터 헤드부(59a)가 외측 돌출된 상태에서 걸림 결합 구멍(43)에 직경 방향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구(29)의 외측으로부터 압박 핀(59)을 헤드부(59a)를 통해 가압 조작 가능하게 되고, 압박 핀(59)의 가압 조작에 의해, 걸림 결합 구멍(43)에 걸림 결합된 위치 결정 핀(51) 또는 위치 결정 핀(55)을 걸림 결합 구멍(43)으로부터 압출하여,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61)은 스프링판에 의해 구성되고, 피복 부재(35)와 통 부재(34) 사이에 핸들 본체(11)측에 외측 돌출 형상으로 끼움 지지 고정되고, 이 지지판(61)의 돌출 단부는 통 부재(34)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상하도록 굴곡되어 있고, 여기에 압박 핀(59)의 핀 축부(59b)의 헤드부(59a)측이 삽입 관통 유지되고, 이에 의해 지지판(61)은 압박 핀(59)을 걸림 결합 구멍(4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안내 수단(63)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부재(34)에 직경 방향 내측에 돌출 설치된 걸림 지지 돌기(65)와, 본체 연결 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주위 홈(67)과, 이 제1 주위 홈(67)으로부터 본체 연결 부재(30)의 단부면까지 형성된 축방향의 제1 직선 홈(69)과, 구 연결 부재(3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주위 홈(68)과, 구 연결 부재(33)의 단부면으로부터 제2 주위 홈(68)을 넘은 위치까지 형성된 축방향의 제2 직선 홈(70)을 갖고, 제1 주위 홈(67) 및 제2 주위 홈(68)은 걸림 지지 돌기(65)를 주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림 지지하고, 제1 직선 홈(69)은 걸림 지지 돌기(65)를 축방향으로 안내하고, 제2 직선 홈(70)은 신장 자세(Y)일 때에 제1 직선 홈(69)의 연통 위치로 되고 또한 구 연결 부재(33)의 단부면으로부터 제2 주위 홈(68)을 넘은 위치까지 걸림 지지 돌기(65)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구 연결 부재(33)가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신장되었을 때에, 통 부재(34)를 본체 연결 부재(30)측으로 이동시켜 본체 연결 부재(30)와 구 연결 부재(33)에 걸쳐지도록 외부 끼움시키면,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2 직선 홈(70)으로부터 제1 직선 홈(69)에 걸림 결합하고, 또한 통 부재(34)를 본체 연결 부재(30)측으로 이동시켜 핸들 본체(11)의 기단부에 접촉시키면,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1 직선 홈(69)과 제1 주위 홈(67)의 교점으로 이동하고, 이 교점으로부터 통 부재(34)를 둘레 방향(도 8에 도시하는 c 방향) 이동함으로써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1 직선 홈(69)으로부터 벗어나 제1 주위 홈(67)에 걸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 부재(34)를 주위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1 주위 홈(67)의 안측에 걸림 결합했을 때에, 위치 결정 핀(51)이 걸림 결합 구멍(43)에 걸림 결합하여 통 부재(34)의 둘레 방향 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돌출구(29)는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에 의해 로크된 신장 자세(Y)로 된다.

    또한, 통 부재(34)를 본체 연결 부재(30)와는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걸림 지지 돌기(65)를 제1 직선 홈(69)으로부터 제2 직선 홈(70)에 걸림 결합하면, 구 연결 부재(33)에만 외부 끼움하는 상태가 되고, 구 연결 부재(33)가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피봇축(31)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된다.

    구 연결 부재(33)를 대략 직각 형상으로 굴곡한 상태에서, 통 부재(34)를 구 연결 부재(33)에 대해 본체 연결 부재(30)측으로 이동시켜 접촉시키면,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2 직선 홈(70)의 도중의 제2 주위 홈(68)과의 교점으로 이동하고, 이 교점으로부터 구 연결 부재(33)를 둘레 방향(도 8에 도시하는 c 방향) 이동함으로써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2 직선 홈(70)으로부터 벗어나 제2 주위 홈(68)에 걸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 부재(34)를 주위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2 주위 홈(68)의 안측에 걸림 결합되었을 때에, 위치 결정 핀(55)이 걸림 결합 구멍(43)에 걸림 결합하여, 통 부재(34)의 둘레 방향 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돌출구(29)는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에 의해 로크된 횡방향 자세(X)로 된다.

    절단 공구(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핸들(5)의 돌출구(29)가 신장 자세(Y)로 로크되어 있을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1 주위 홈(67)의 안측에 걸림 결합하고, 위치 결정 핀(51)이 걸림 결합 구멍(43)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돌출구(29)를 횡방향 자세(X)로 로크하려면, 먼저, 압박 핀(59)을 가압하고, 위치 결정 핀(51)을 코일 스프링(53)의 가압에 저항하여 걸림 결합 구멍(43)으로부터 본체 연결 부재(30) 내에 압입된다. 그리고, 통 부재(34)를 화살표 c 방향으로 둘레 방향 이동하면,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1 주위 홈(67)으로부터 벗어나 제1 직선 홈(69)에 걸림 결합하고, 통 부재(34)가 본체 연결 부재(30) 및 구 연결 부재(3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통 부재(34)를 구 연결 부재(33)의 기단부측(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연결 부재(30)의 돌출 단부로부터 제거한다. 이때,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1 직선 홈(69)으로부터 벗어나 제2 직선 홈(70)에 걸림 결합되고, 또한 제2 직선 홈(70)의 후단부까지 이동한다. 그 후, 구 연결 부재(33)[돌출구(29)]를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피봇축(31) 주위에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핸들 본체(11)에 대해 돌출구(29)를 직각 형상으로 굴곡한다.

    그리고, 통 부재(34)를 구 연결 부재(33)에 대해 본체 연결 부재(30)측(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켜 본체 연결 부재(30)의 돌출 단부에 접촉시킨 후에, 통 부재(34)를 구 연결 부재(33)에 대해 화살표 d 방향으로 둘레 방향 이동하면,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2 직선 홈(70)의 도중으로부터 제2 주위 홈(68) 내에 들어가고, 또한 제2 직선 홈(70)의 안측에 걸림 결합하고, 그리고 위치 결정 핀(55)이 걸림 결합 구멍(43)에 걸림 결합하여 돌출구(29)가 횡방향 자세(X)로 로크된다.

    도 5의 제1 핸들(5)의 돌출구(29)가 횡방향 자세(X)로 로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신장 자세(Y)로 자세 변경하려면, 먼저, 압박 핀(59)을 가압하면서 통 부재(34)를 도 8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둘레 방향 이동하고, 위치 결정 핀(55)을 걸림 결합 구멍(43)으로부터 제거함과 함께 걸림 지지 돌기(65)를 제2 주위 홈(68)으로로부터 제거하여 제2 직선 홈(70)에 걸림 결합시키고, 그리고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2 직선 홈(70)의 안측에 걸림 결합할 때까지, 통 부재(34)를 연결 돌기부(37)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구 연결 부재(33)를 피봇축(31) 주위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고, 돌출구(29)를 신장 방향으로 배치시킨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부재(34)를 본체 연결 부재(30)측(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켜 핸들 본체(11)에 접촉시키고, 그 후, 통 부재(34)를 화살표 d 방향으로 둘레 방향 이동하여, 걸림 지지 돌기(65)를 제1 주위 홈(67)의 안측에 걸림 결합함과 함께, 위치 결정 핀(51)을 걸림 결합 구멍(43)에 걸림 결합하여 돌출구(29)를 신장 자세(Y)로 로크한다.

    따라서, 돌출구(29)는 자세 변경할 때에, 압박 핀(59)의 누름 조작, 둘레 방향 이동, 축방향 이동, 회전, 축방향 이동, 둘레 방향 이동을 필요로 하고, 둘레 방향 이동하지 않으면 축방향 이동을 할 수 없고, 축방향 이동하지 않으면 회전할 수 없으므로, 3스텝 조작을 필요로 하여, 예측할 수 없는 자세 변경이 방지되고, 또한 각 자세로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다.

    이로써, 피절단 재료가 딱딱하거나 또는 굵은 등의 경우에는, 제1 핸들(5)의 돌출구(29)를 핸들 본체(11)에 대해 횡방향 자세(X)로 로크하면, 이 돌출구(29)를 이용하여 제1 핸들(5)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1 핸들(5)을 안정 설치하여 발로 밟고, 제2 핸들(6)만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절단 재료를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피절단 재료가 부드럽거나 또는 얇은 등의 경우에는, 제1 핸들(5)의 돌출구(29)를 핸들 본체(11)에 대해 신장 자세(Y)로 로크하면, 제1 핸들을 안정 설치 상태로부터 제2 핸들과 동일한 파지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제1 핸들(5)과 제2 핸들(6)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피절단 재료를 빠르고 쉽게 절단할 수 있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구 연결 부재(33)의 절단 분할 둥근 봉 형상의 연결 돌기부(38)의 선단을 본체 연결 부재(30)의 단차부 단부면(30a)에 접촉시키고, 그 선단의 한쪽의 각을 피봇축(31)을 곡률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모따기(72)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구 연결 부재(33)는 본체 연결 부재(30)에 대해 신장 상태로부터 피봇축(31) 주위로 화살표 a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 수단(63)은 본체 연결 부재(30)에 제1 직선 홈(69)이, 구 연결 부재(33)에 제2 직선 홈(7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주위 홈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통 부재(34)에 설치한 걸림 지지 돌기(65)는 제1 직선 홈(69) 내와 제2 직선 홈(70) 내를 축방향 직선 이동만 행하고,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1 직선 홈(69)의 안측에 걸림 결합했을 때, 신장 위치 결정 수단(47)이 작동되어 돌출구(29)를 신장 자세(Y)로 위치 결정하고,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2 직선 홈(70)의 안측에 걸림 결합하고 있을 때, 돌출구(29)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걸림 지지 돌기(65)가 제2 직선 홈(70)의 도중에 위치할 때, 통 부재(34)는 연결 돌기부(37)에 접촉하고, 또한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48)이 작동되어 돌출구(29)를 횡방향 자세(X)로 위치 결정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절단 공구(1)에서는, 해제 조작 수단(49)의 해제 조작과 돌출구(29)의 직선 이동으로 돌출구(29)의 자세 변경을 할 수 있고, 2스텝 조작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핸들 본체(11)에 구 연결 부재(33)를 삽입 가능한 후방 방향의 구멍과 횡방향의 구멍을 형성해 두고, 돌출구(29)를, 핸들 본체(11)에 대해 착탈함으로써, 지지축(17)의 축심 방향을 대략 따르는 횡방향 자세(X)와 핸들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신장 자세(Y)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돌출구(29)를 횡방향 자세(X)와 신장 자세(Y)로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45)는,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구조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볼트 너트 등의 체결구나 착탈 가능한 끼워 맞춤 구조 외의 것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1 : 절단 공구
    3 : 절단용 날체
    4 : 절단용 날체
    5 : 제1 핸들
    6 : 제2 핸들
    11 : 핸들 본체
    17 : 지지축
    29 : 돌출구
    30 : 본체 연결 부재
    31 : 피봇축
    33 : 구 연결 부재
    34 : 통 부재
    43 : 걸림 결합 구멍
    45 : 자세 유지 기구
    47 : 신장 위치 결정 수단
    48 : 횡방향 위치 결정 수단
    49 : 해제 조작 수단
    51 : 위치 결정 핀
    55 : 위치 결정 핀
    59 : 압박 핀
    63 : 안내 수단
    65 : 걸림 지지 돌기
    67 : 제1 주위 홈
    68 : 제2 주위 홈
    69 : 제1 직선 홈
    70 : 제2 직선 홈
    X : 횡방향 자세
    Y : 신장 자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