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금 메카니즘이 구비된 조절 가능한 핸들 조립체

申请号 KR1020127029154 申请日 2011-03-30 公开(公告)号 KR1020130046397A 公开(公告)日 2013-05-07
申请人 쉐잎 더블유엘비 아이엔씨.; 发明人 밸리어스,찰스; 지라드,밀렌느;
摘要 본 발명은 지지체 위에 설치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립체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차단 , 상기 회전-차단부는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고, 열림 상태에서 지지체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으며, 잠금 상태에서는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회전-차단 부; 상기 회전-차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핸들; 및 누름-버튼과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는 잠금 메카니즘(mechanism);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잠금 위치에서 회전-차단 부을 잠그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누름-버튼(push-button)에 누름 동작을 가하여 잠금 위치에서 상기 회전-차단 부를 열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열림 위치는 중심축에 대해서 핸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权利要求
  • 지지체 위에 설치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차단부(rotation-blocking portion)는 회전축(pivot axis)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그리고 열림 위치(in the unlocked position)에 있을 때 지지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기 회전-차단부 그리고 잠금 위치(in the locked position)에 있을 때,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회전-차단부;

    상기 회전-차단 부에 결합 되어 있는 핸들; 및

    누름-버튼 및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는 잠금 메카니즘, 잠금 위치에서 상기 회전-차단부를 잠그기 위한 상기 잠금 메카니즘(locking mechanism) 그리고 잠금 해제부(lock release)를 작동하기 위해 누름-버튼(push-button)에 누름 동작(pushing motion)이 적용되면 잠금 위치에서 상기 회전-차단부를 열기 위한 상기 잠금 메카니즘,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상기 핸들이 회전 되도록 하는 상기 열림 위치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동작은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그리고 상기 지지체 쪽으로 수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잠금 위치에서 상기 회전-차단 부를 바이어싱(biasing)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장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누름 동작이 적용되면서 상기 회전-차단부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차단 부은 바이어싱 멈춤부(biasing stop)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장치는 누름-버튼과 바이어싱 멈춤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차단 부 안쪽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카메라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체(camera support)는 상부 설치를 위한 것이고, 어깨 위에 설치하기 위한 어깨 견착부(shoulder mount)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어깨의 앞쪽에서 접근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단부와 맞물리기(interlocking) 위한 맞물림 표면(interlocking surfac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단부는 표면(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잠금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 표면(interlocking surface)과 맞물리기 위한 틈(indentatio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표면은 상기 지지체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설치하기 위한 맞물림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는 상기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단부는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체로부터 움직이는 것이 자유로우며, 상기 회전-차단부의 표면이 상기 지지체의 맞물림 표면과 함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단부는 상기 지지체와 비교해서 고정된 내부 구멍(inner bore)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누름-버튼 근처의 첫 번째 단부(first end)를 포함하는 플런져(plunger)를 포함하고, 누름 동작이 누름-버튼을 통해서 상기 플런져의 첫 번째 단부에 전달되면서 잠금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상기 내부 구멍 안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부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구멍은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내부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볼 베어링은 내부의 홈(internal recess) 밖으로 움직이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플런져에 누름 동작이 적용되면 내부 구멍(inner bore)으로 내려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져는 상기 첫 번째 단부의 반대쪽의 안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는 상기 플런져에 누름 동작이 적용되면 상기 볼 베어링이 상기 내부의 홈 밖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는 원뿔 형태의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구멍은 두 개의 반대쪽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반대쪽 단부 중 하나는 상기 지지체에 멈춤부(stop)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반대쪽 단부 중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누름-버튼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멈춤부는 상기 내부 구멍 안쪽으로 더 움직이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플런져에 반작용의 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반작용의 힘은 상기 회전-차단부 및 상기 핸들이 지지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 说明书全文

    잠금 메카니즘이 구비된 조절 가능한 핸들 조립체{ADJUSTABLE HANDLE ASSEMBLY WITH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조절 가능한 핸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을 회전시켜 열릴 수 있는 잠금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회전할 수 있는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당한 위치에서 조절 가능하며 유용한 핸들은 단순성이라는 측면과 핸들을 조작할 수 있는 용이성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 사용되는 회전할 수 있는 핸들은 고정된 위치에서 핸들을 유지하는 초기 장력을 해제하기 위해 핸들을 풀어야 한다면 단지 그 위치에서만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핸들을 여는 것은 상기 예에서처럼 핸들을 열기 위해 고정된 막대를 핸들의 축에 대해서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핸들의 공간적 위치는 변하지않고 핸들 자체를 돌리는 방법)에 의해 수행하게 된다. 단지 이러한 경우만 핸들은 선택된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선택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일정한 장력을 가하여 핸들을 다시 열어야 한다,

    조절 가능한 종래의 다른 형태의 핸들은 핸들의 위치를 조작함에 있어서 충분히 수요자들의 요구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핸들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는 개선되고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완성하였고, 이러한 조절 가능한 핸들은 한 손으로 쉽고 단순하게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체 위에 설치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차단부(rotation-blocking portion)는 회전축(pivot axis)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그리고 열림 위치(in the unlocked position)에 있을 때 지지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기 회전-차단부 그리고 잠금 위치(in the locked position)에 있을 때,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회전-차단부;

    상기 회전-차단 부에 결합 되어 있는 핸들; 및

    누름-버튼 및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는 잠금 메카니즘, 잠금 위치에서 상기 회전-차단부를 잠그기 위한 상기 잠금 메카니즘(locking mechanism) 그리고 잠금 해제부(lock release)를 작동하기 위해 누름-버튼(push-button)에 누름 동작(pushing motion)이 적용되면 잠금 위치에서 상기 회전-차단부를 열기 위한 상기 잠금 메카니즘,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상기 핸들이 회전 되도록 하는 상기 열림 위치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체 위에 설치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차단부(rotation-blocking portion)는 회전축(pivot axis)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그리고 열림 위치(in the unlocked position)에 있을 때 지지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기 회전-차단부 그리고 잠금 위치(in the locked position)에 있을 때,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회전-차단부;

    상기 회전-차단 부에 결합 되어 있는 핸들; 및

    누름-버튼 및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는 잠금 메카니즘, 잠금 위치에서 상기 회전-차단부를 잠그기 위한 상기 잠금 메카니즘(locking mechanism) 그리고 잠금 해제부(lock release)를 작동하기 위해 누름-버튼(push-button)에 누름 동작(pushing motion)이 적용되면 잠금 위치에서 상기 회전-차단부를 열기 위한 상기 잠금 메카니즘,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상기 핸들이 회전 되도록 하는 상기 열림 위치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핸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되고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고, 이러한 조절 가능한 핸들은 한 손으로 쉽고 단순하게 조작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지지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이고, 편리한 핸들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회전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는 지지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는 도 1의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잠금 메카니즘의 단면도를 잠금 위치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잠금 메카니즘의 단면도를 열림 위치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두 개의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도 1의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중 어느 하나를 분해한 구성 요소에 대한 그림이다;
    도 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 기구의 예에 대한 그림이다;
    도 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 지지체의 예에 대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서 명확해지며, 특징들은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20 : 지지체
    22 : 핸들 조립체
    24 : 지지체 바
    26 : 회전-차단부
    28 : 핸들
    29 : 핸들 윗 부분
    30 : 핸들 조립체의 외측 단부
    31 : 핸들의 아랫 부분
    32 : 중심 축
    38 : 누름-버튼
    40 : 잠금 메카니즘
    42 : 맞물림 부
    44 : 맞물림 부
    46 : 맞물림 표면
    48 : 내부 구멍
    50 : 튜브
    60 : 플런져
    62 : 플런져의 외측 단부
    71 : 스프링
    72 : 잠금 해제부
    74 : 볼 베어링
    76 : 내부의 홈(internal recess)
    78 : 개구부(opening)
    82 :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84 : 틈(indentions)

    본 출원은 2010년 4월 9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2/757,453을 기초로 우선권 주장을 한다.

    일반적으로 적당한 위치에서 조절 가능하며 유용한 핸들은 단순성이라는 측면과 핸들을 조작할 수 있는 용이성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 사용되는 회전 할 수 있는 핸들은 고정된 위치에서 핸들을 유지하는 초기 장력을 해제하기 위해 핸들을 풀어야 한다면 단지 그 위치에서만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핸들을 여는 것은 상기 예에서처럼 핸들을 열기 위해 고정된 막대를 핸들의 축에 대해서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핸들의 공간적 위치는 변하지않고 핸들 자체를 돌리는 방법)에 의해 수행하게 된다. 단지 이러한 경우만 핸들은 선택된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선택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일정한 장력을 가하여 핸들을 다시 열어야 한다,

    조절 가능한 종래의 다른 형태의 핸들은 핸들의 위치를 조작함에 있어서 충분히 수요자들의 요구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핸들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는 개선되고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완성하였고, 이러한 조절 가능한 핸들은 한 손으로 쉽고 단순하게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한을 인식하고,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며, 또는 적어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체 위에 설치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조립체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차단부, 상기 회전-차단부는 회전 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고, 열림 상태에서 지지체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으며, 잠금 상태에서는 회전 축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회전-차단 부;

    상기 회전-차단 부에 결합 되어 있는 핸들; 및

    누름-버튼과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는 잠금 메카니즘(mechanism);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잠금 위치에서 회전-차단 부을 잠그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누름-버튼(push-button)에 누름 동작을 가하여 잠금 위치에서 상기 회전-차단 부을 열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열림 위치는 중심축에 대해서 핸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한 설명

    도1 은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두 개의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22) 및 핸들 조립체 (22')를 포함하는 지지체(20)를 나타낸다.

    상기 핸들 조립체 (22) 및 핸들 조립체(22')는 어떠한 바람직한 형태의 지지체 바(24)(support bar)에 설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핸들 조립체가 있을 필요는 없다. 필요에 따라 지지체 바(24)에 설치되는 핸들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핸들의 수만큼 지지체(2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 바(24)는 상기 지지체(20)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바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특별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보여 지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지지체 바(24)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바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체(20)는 카메라 장비와 같은 어떤 종류의 장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어느 정도 무게가 있어 지지가 요구되는 어떤 다른 부재가 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20)는 운동 기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기계 장치나 기계 부품 또는 조절 가능한 핸들 축이 요구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첨부된 그림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림에서 언급된 핸들 조립체(22) 및 핸들 조립체 (22')은 유사한 핸들 조립체를 나타내며,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핸들 조립체(2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핸들 조립체(22)는 회전-차 부(26), 잠금 메카니즘(locking mechanism)(미 도시) 및 상기 회전-차단부(26)의 외측의 단부 (30)에 결합 되어 있는 핸들(28)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차단부(26)는 중심축(32)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차단부(26)는 상기 조립체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지지체 바(2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차단부(26)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어떠한 회전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핸들 조립체(22)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차단부(26)는 상기 지지체 바(2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반대로,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회전-차단부(26)는 상기 지지체 바(24) 위에서 잠기며,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은 불가능하다.

    도 1에서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중심축(32)을 따라서 연장된 내부 튜브는 상기 지지체 바(24)를 상기 회전-차단 부(26)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반면에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반대 쪽에 있는 핸들과 비교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은 여전히 가능하다. 어떠한 나사못 또는 와셔(37)(washer)를 구비한 볼트(36)와 같은 고정 장치는 핸들 조립체(22)가 지지체 바(24)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서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회전-차단 부(26)안에서 정의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잠금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상기 핸들 조립체(22)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잠금 및 열림은 상기 핸들 조립체(22)의 외측 단부(30)에 위치한 누름-버튼(push-button)(38)을 작동시켜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름 버튼에 누름 동작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핸들(28)이 회전축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고, 지지체 바에 비교해서는 회전-차단 부(26)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버튼(38)은 상기 핸들 조립체(22)를 잠근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핸들(28)은 윗 부분(29)과 아랫 부분(31)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의 윗 부분(29)은 상기 외측 단부(30)와 연결되고, 반면에 아랫 부분(31)은 사용자가 상기 핸들(28)을 잡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핸들(28)이 상기 회전-차단 부의 외측 단부(30)에 반지름 방향으로 결합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는 상기 핸들이 원을 그리면서 회전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실시예는 보여 지지 않았지만, 상기 핸들(28)은 중심축(32)에 대해서 중심축을 원의 중심으로 하여 원을 그리는 형태로 상기 회전-차단 부(26)에 결합 되어 있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해서, 상기 지지체 바(24)는 잠금 위치일 때 회전-차단 부(26)과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표면(34)을 가지고 있다. 상기 회전-차단부(26)는 역시 표면을 정의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맞물림 표면은 지지체 바(24)에 설치된 맞물림 부에 의해서 제공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단 부(26)은 어떤 회전-차단 소재(element)(그림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를 포함하여 지지체 바(24)와 비교해서 상기 중심축(32)에 대해 어떠한 회전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는 고무 밴드일 수 있고, 그루브(grooves) 또는 예를 들어 상기 지지체 바(24)와 회전-차단 부(26)사이의 마주보는 면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통해서 발생하는 어떠한 회전력을 막을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는 소재가 될 수 있다. 이를 대신하여, 이러한 회전 차단 소재는 상기 맞물림 표면(34)에 의해서 제공된다.

    도 2를 참고 하면, 도 1의 상기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22) 또는 핸들 조립체(2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잠금 메카니즘(4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누름 버튼(38)의 누름/해제를 역시 참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보여준 것처럼, 도 1의 상기 회전-차단 부(26)은 두 번째 맞물림 부(42)에 의해서 제공되는 상기 맞물림 표면(46') 및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는 맞물림 부(44)로써 구체화된다. 상기 두 개의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44)는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 사이 마주보는 표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맞물린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 조립체(22)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는 각각의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이 함께 결합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핸들이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 중에서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움직임을 방지한다.

    상기 잠금 및 열림 위치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상기 잠금 메카니즘 (40)은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 사이에서, 그리고 여기서 부분적으로 상기의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에서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가 또 다른 하나와 맞물림 되도록 하기 위해 두 개의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 중 각각 하나 안에서 정의된다.

    이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잠금 메카니즘(40)은 중심축(32)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내부 구멍(48)을 포함하고, 연장되고 속이 비어 있는 튜브(50)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튜브(50)는 상기 맞물림 부(42)의 상기 내측 단부(34)에 고정되도록 부착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 바(24)의 부분으로 하나의 내측 단부(52)에서 연장된다(도 1). 와셔(37) 및 볼트(36)는 상기 지지체 바(24)에 상기 튜브(50)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튜브(50)의 반대쪽 단부(54)는 상기 핸들(28)의 윗 부분(29)으로 연장된다. 상기 튜브(50)는 상기 맞물림 부(42)에 고정되고, 반면에 상기 맞물림 부(44)은 상기 튜브(50) 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핸들(28)은 상기 맞물림 부(44)의 상기 외측 단부(30)에 고정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도 1), 상기 맞물림 부(44)은 핸들의 위쪽 부분(29)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에 나타냈다.

    상기 잠금 메카니즘(40)은 외측 단부(62) 및 반대쪽의 내측 단부(64)을 포함하는 플런져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져(60)는 상기 튜브(50)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구멍(48) 안으로 움직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런져(60)가 상기 구멍(48) 안으로 움직이는 것은 외측 단부(62)에서 플런져(60)에 측면 힘을 작용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한 힘은 상기 누름-버튼(38)에 사용자의 누름-동작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제공되고, 그것은 상기 적용된 누름 동작을 플런져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잠금 메카니즘과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버튼(38)은 상기 플런져(60)의 외측 단부(62) 위에 위치한다. 도 2에서 나타낸 잠금 위치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70)과 같은 바이어스 장치는 잠금 위치에서 차례대로 상기 잠금 메카니즘(40)을 바이어스 하기 위해 상기 튜브(50)의 바깥쪽 방향으로 상기 누름-버튼을 바이어스 한다. 상기 바이어스 장치(예를 들어, 상기 스프링(70))는 맞물림 부(44)에서 정의된 누름-버튼(38) 및 바이어스 멈춤부(71) 사이에 위치한다.

    누름 동작이 누름-버튼(38)에 적용되지 않았을 때, 상기 버튼(38)은 상기 튜브(50) 밖으로, 상기 맞물림 부(44)의 외부 및 바깥쪽으로 상기 플런져(60)를 당긴다.

    열림 위치로 바꾸기 위해서,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누름 동작이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버튼(38)에 적용된다. 유사하게, 상기 버튼(38)은 누름 동작을 상기 플런져(60)의 상기 외측 단부(62)로 전달하고, 차례대로 상기 구멍(48) 안으로 움직이고, 상기 맞물림 부(42)쪽으로(또는 지지체 바(24)), 그리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32) 움직인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잠금 메카니즘(40)은 잠금 해제부(72)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져(60)의 안쪽 및 바깥쪽으로 가해지는 누름 동작은 차례 대로 상기 핸들 조립체(22)를 열거나 잠그기 위해 두 개의 위치 중에서 하나의 위치로 상기 잠금 해제부(72)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잠금 해제부(72)의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조립체는 잠긴다: 상기 맞물림 부(44)(상기 핸들(28)이 결합 되어있는)은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에서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를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 사이에서 분리하기 위해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에서 상기 맞물림 부(42)로부터 멀리 당겨질 수 없다. 상기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이 모두 참여하기 때문에, 그것들은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 모두를 잠그고, 중심축(32)에 대해서 일어나는 어떠한 회전도 막는다.

    잠금 해제부(72)의 두 번째 위치에서,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기 핸들 조립체(22)는 열린다: 상기 핸들(28)이 구비된 상기 맞물림 부(44)은 상기 맞물림 부(42)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에서 맞물림 부 (44) 및 맞물림 부 (42)가 분리된다. 그러므로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상호 회전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설명된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해제부(72)는 볼 베어링(74)과 같은 고정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맞물림 부(44)의 내부의 홈(76)(internal recess)으로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내부의 홈(76)의 근처의 상기 튜브(50)에서 정의되는 구멍(78)을 통해서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튜브(50)의 상기 내부 구멍(48) 안으로 일부분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버튼(38)이 해제되면(즉, 누름 동작이 버튼에 적용되지 않으면), 도 2에서처럼, 상기 잠금 메카니즘(40)은 잠금 위치로 바이어스된다: 상기 플런져(60)는 중심 축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상기 맞물림 부(42)(또는 지지체 바(24))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바깥쪽으로의 동작은 상기 개구부(78)를 통해서 상기 볼 베어링(74)을 움직이게 하고, 내부의 홈(76)에서 부분적으로 볼 베어링을 유지한다.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볼 베어링(74)은 맞물림 부(44)이 상기 중심축(32)을 따라서 맞물림 부 (42)(또는 지지체 바 (24))의 멀어지는 방향 및 측면으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는 그것들의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에서 함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38)을 도 3에서처럼 누르면(누름 동작이 버튼에 적용된다면) 상기 잠금 메카니즘(40)은 잠금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움직인다: 상기 플런져(60)는 상기 중심축(32)을 따라서 맞물림 부(42)의 안쪽으로 움직인다. 이렇게 안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은 볼 베어링(74)을 내부의 홈(76)의 밖으로 개구부(78)를 통해서 움직이게 하고, 상기 볼 베어링은 부분적으로는 상기 튜브(50)의 상기 구멍(48)으로 움직인다. 상기 볼 베어링이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볼 베어링(74)은 맞물림 부(44)(결합 되어 있는 핸들(28)과 함께)이 상기 중심 축(32)을 따라서 측면 쪽으로 효과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맞물림 부(42)(또는 지지체 바 (24)의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는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각각의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이 멀어지도록 분리된다.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이 멀어지는 것은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가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중심축(32)에 대해서 핸들(28)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3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기 플런져(60)는 상기 내측 단부(64)의 가장 가까운 오목하게 들어간 곳(82)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단부(64)은 상기 플런져(60)의 외측 단부(62)쪽 및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82)은 상기 플런져(60)가 안쪽으로 움직일 때 상기 볼 베어링(74)이 내부의 홈(76)을 비우고, 상기 구멍(48)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82)은 상기 볼 베어링(74)이 상기 플런져(60)가 스프링(70)에 의해 바깥쪽으로 되돌아 가도록 하면서 상기 내부의 홈(76)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78)의 지름은 상기 잠금 메카니즘(40)에서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 베어링(74)의 지름 보다 약간 크다. 상기 내부의 홈(76)의 크기 역시 볼 베어링(74)의 크기에 따라서 맞추어져 있다.

    더욱이, 상기 튜브(50)는 다수의 개구부(78)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볼 베어링을 사용하기 위해서 다수의 내부의 홈(76)을 가진 맞물림 부(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볼 베어링 중에서 두 개만 도 2 및 도 3의 단면도에 나타냈지만, 상기 잠금 해제부(72)는 볼 베어링(74), 내부의 홈(76) 및 개구부(78)의 세 가지 구성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플런져(60)의 외측 단부(62)에 반대쪽에 정의되는 상기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82)은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져(60)의 원뿔형태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를 참고하면, 하나의 실시예로 표시하였으며, 멈춤부(80)는 상기 구멍(48) 안으로 상기 플런져(60)가 안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구멍(48)의 안쪽에 제공된다. 상기 멈춤부는 상기 구멍(48)의 안쪽 형태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튜브(50) 안에 고정된 내부 림(rim)의 형태에 따라서 제공된다. 이러한 멈춤부(60)는 상기 플런져(60)에 반작용 힘을 제공하고, 맞물림 부(44)은, 상기 핸들(28)과 함께, 상기 지지체 바(24)(맞물림 표면 (46')을 구비한 상기 맞물림 부(42))에 비교하여 움직임이 자유롭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는 각각의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에 의해 형성되는 틈(84)(indentations)을 포함한다. 이러한 틈은(84) 상기 맞물림 부 (42) 및 (44)를 잠그기 위해 잠금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 표면 (46) 및 맞물림 표면 (46')이 결합했을 때 또 다른 틈과 함께 협동한다. 이러한 틈은 돌출된 형태, 홈 또는 기어의 대체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위에서 설명한 잠금 메키니즘(40)은 철 및 플라스틱처럼 다른 물질의 부분들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상기 튜브(50), 상기 플런져(60) 및 상기 볼 베어링(74)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의 안쪽 부분은 상기 잠금 해제부(72)의 상기 내부의 홈(76)을 단단하게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형태 이외에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른 변형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50)는 상기 내측 단부(52)을 통해서 상기 플런져(60)에 접근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알란 키(alan key)는 상기 핸들 조립체(22)가 만들어지는 동안 수정하려는 목적으로 또는 상기 설치된 플런져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튜브(5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져(60)의 상기 조절 나사(81)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설명한 핸들 조립체 (22) 및 핸들 조립체 (22')과 유사하게 두 개의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구비한 지지체(20)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체(100)를 나타내었다.

    상기 지지체(20)는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기 지지체 바(24) 및 핸들 조립체 (22) 및 핸들 조립체 (22')을 포함한다. 조절 가능한 손잡이(104)를 구비한 조절 가능한 보조 지지체(102)는 추가된 지지체 및 조절 성능을 위하여 지지체 바(24)의 아래에 설치된다.

    카메라 플랫폼(110)은 카메라 장비를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체 바(24)위에 설치된다. 다양한 조절 성능과 카메라 유지 부품이 카메라 플랫폼에 제공된다.

    어깨 견착부(shoulder mount)는 상기 지지체 바(24) 및 핸들 조립체 (22) 및 핸들 조립체 (22')의 반대쪽에 상기 플랫폼(100)의 단부에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어깨 견착부(20)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는 카메라 장비를 안전하게 어깨로 지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핸들을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들(28)은 사용자의 앞쪽 부분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와 사용자에 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각각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핸들(28)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이 상기 핸들 조립체(22)를 열기 위해 상기 버튼(38)을 누르고, 반면에 남아있는 손가락으로 상기 핸들(28)을 감싸쥐며, 상기 핸들(28)을 바깥쪽으로 당기고, 바람직한 위치로 핸들을 회전시킨다.

    도 5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3의 상기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해된 부품의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부품들은 각각의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이번 케이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져(60)는 조정나사(81)를 사용하지 않았다.

    도 6은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보여 준 것처럼 지지기구의 예에 대한 그림이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지지체 바(24)위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장치는 어떠한 주어지는 장비 또는 지지를 요구하는 아이템(item)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 하면,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카메라 지지체의 예에 대한 그림이다. 이러한 예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기 카메라 지지체는 몇 가지 추가적인 조절이 가능 한 지지장치들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의 그림은 핸들 조립체들의 특별한 디자인 들을 나타냈으며, 이 그림에서 상기 맞물림 부 (42) 및 맞물림 부 (44)는 원통 형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고, 첨부된 도면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정도의 수정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가능한 변형으로써 고려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