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ing bank device for manual work

申请号 KR20100007641 申请日 2010-01-28 公开(公告)号 KR100957708B1 公开(公告)日 2010-05-14
申请人 JUNG MYOUNG HOON; 发明人 JUNG MYOUNG HOON;
摘要 PURPOSE: A machine for manually molding a levee is provided to form the levee of a semicircular shape which is smooth and is uniformly arranged while remarkably reducing work time and costs. CONSTITUTION: A machine for manually molding a levee included a levee frame(1) which is connected to a sack using a connection stick assembly(9) and a connection socket(10). The levee frame comprises: a levee frame body(3) having a plane of a semicircular shape; a front wing(4) consisting of an upward inclination surface; a front grapnel(5) of a sawtooth shape which is inclined to the downward; a rear wing(6) which is inclined to the upward; a rear sub wing(7); and a slick wing(8) which is formed by bending the end of the levee frame main body.
权利要求
  • 농작물 재배용 두둑을 성형하는 농기구에 있어서,
    두툭틀(1)을 연결대 조립체(9)와 연결소켓(10)으로 자루(2)와 연결하여 두둑 성형기를 형성하되,
    상기 두둑 틀(1)은,
    두둑의 상면과 수평이며 반원형의 평면을 가지는 두둑 틀 몸체(3),
    상기 두둑 틀 몸체(3) 앞쪽에 상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전방날개(4),
    상기 전방날개(4)의 앞쪽에 하향 경사진 톱니 형상의 전방 쇠갈퀴(5),
    상기 두둑틀 몸체(3)의 뒤쪽에 상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후방날개(6),
    상기 후방날개(6)의 양단 일부분에 상기 후방날개(6) 폭보다 길이가 길은 면을 갖는 후방 보조날개(7) 및
    상기 두둑 틀 몸체(3)의 양 단부에 상기 두둑틀 몸체(3)의 단부를 구부려 형성하는 미끄러짐 날개(8)를 포함하며,
    상기 두둑 틀(1)과 연결되는 자루(2)는 손잡이측을 두둑 틀(1) 중심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편심시켜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의 두둑 틀(1)과 상기 비대칭형의 자루(2)를 결합하는 연결대 조립체(9)와 연결소켓(10)은 상기 연결대 조립체(9)의 일측을 상기 두둑 틀 몸체(3)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연결소켓(10)과 결합하며, 상기 연결소켓(10)에 상기 비대칭형 자루(2)를 삽입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형 자루(2)는 2개의 직선부(11, 12)와 1개의 경사부(13) 및 T자형 손잡이(14)로 구성하되, 2개의 직선부 중 상기 두둑틀(1) 측 직선부(11)는 그 중심이 상기 두둑틀(1)의 중심과 일치시키고, 상기 T자형 손잡이(14) 측 직선부(12)는 상기 두둑틀(1)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경사부(13)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 조립체(9)는 복수개의 연결부(15)를 가로 바(16)로 연결하고, 상기 가로 바(16)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세로 바(17)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15)는 이격 파이프(18)로 두둑 틀 몸체(3)와 이격시켜 결합하고, 상기 세로 바(17)의 일측은 가로 바(16)에 결합하며, 타측은 연결소켓(1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형 자루(2)에 형성되는 T자형 손잡이(14) 측 직선부(12)가 두둑 틀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량은 두둑 틀(1) 중심에서 25~30cm로 형성하고, 두개의 직선부(11, 12)를 잇는 경사부(13)는 두둑 틀(1) 중심에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30~40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
  • 说明书全文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FORMING BANK DEVICE FOR MANUAL WORK}

    본 발명은 수작업용 두둑 성형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추나 가지 등 농작물을 재배하는 두둑을 수작업으로 손쉽게 성형할 수 있는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경작지에 형성되는 작물 재배용 두둑은 일반적으로 먼저 쟁기나 로터리 등으로 예비 두둑을 형성하고, 이를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가지며 상부가 둥근 모양을 가지는 본 두둑을 성형한다. 그리고 본 두둑의 보온과 수분증발을 방지하고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비닐을 덮어씌우고, 본 두둑의 상부에 농작물의 씨앗이나 모종을 심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농작물 재배가 가능한 본 두둑은 통상 이랑 바닥에서 높이가 15~25㎝, 폭이 50~60㎝이고, 상부는 거의 반원형으로 하여 경작지에 여러 개를 만들어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본 두둑을 성형하는 장비에는 작업여건에 따라 자동화된 기계 또는 괭이나 삽과 같은 다양한 수작업용 재래식 농기구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텃밭 또는 주말농장과 같은 소규모 영농이나 취미 영농, 고령자 영농 또는 경작지의 일부에만 특별히 두둑을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 자동화된 두둑 성형용 농기계를 이용하는 것은 그 사용방법을 모르거나, 자동화 장비의 투입에 따른 시간적, 지리적, 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다수의 경작자들은 삽이나 괭이 등의 다양한 재래식 농기구로 수작업에 의해 두둑을 성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래식 농기구는 농작물 재배에 적합한 반원형의 두둑 형상을 손쉽게 성형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본 두둑을 형성하는데 힘이 많이 들고, 미숙련자가 제대로 된 두둑을 성형하기가 어려우며, 작업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현상 때문에 그 기능이 한정된 재래식 농기구에 의해 높이와 폭이 균일하지 않고 고르지도 않은 본 두둑을 성형할 경우, 본 두둑에 비닐을 덮으면 비닐이 본 두둑에 밀착되지 않고, 바람에 날려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재래식 두둑 성형용 농기구는 손잡이에 해당되는 자루가 일직선이어서, 통상의 작업자는 두둑을 다리 사이에 두고 작업을 하거나, 두둑의 한쪽 편 이랑에 서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세가 불편하여 힘이 많이 드는 것은 물론, 본 두둑을 곧고 반듯하며 고른 반원형으로 만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삽이나 로터리 등에 의해 1차로 형성된 예비 두둑을 본 두둑으로 성형함에 있어,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힘과 시간이 덜 들며, 반듯하고 고른 두둑을 성형하여 농작물 경작이 쉽도록 하는 수작업용 농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가지는 기술적 특징은 농작물 재배를 위해 1차적으로 만들어지는 예비 두둑(A)을 농작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다듬어진 본 두둑으로 성형하는 수작업용 농기구에 있어서, 예비 두둑(A)을 가공하여 본 두둑(B)으로 성형하는 두둑 틀(1)을 형성하고 상기 두둑틀(1)의 중심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비대칭되는 부분이 형성된 자루(2)를 연결대 조립체(9)와 연결소켓(10)으로 연결하여, 작업자가 두둑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쪽 이랑에 서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해서 손쉽게 두둑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두둑틀(1)은 예비두둑(A)을 본 두둑(B)으로 완성하는 두둑의 상면과 수평이며 반원형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두둑틀 몸체(3)와, 상기 두둑틀 몸체(3)의 앞쪽에 상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전방날개(4)를 형성하고, 상기 전방날개(4)의 앞쪽에 하향 경사진 톱니형 이빨 모양의 전방 쇠갈퀴(5)를 형성하고, 상기 두둑틀 몸체(3)의 뒤쪽에 상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후방날개(6)와 상기 후방날개(6)의 양단 일부에 상기 후방날개(6)보다 경사부 길이가 길은 면을 갖는 후방 보조날개(7)를 형성하며, 상기 두둑틀 몸체(3)의 양 단부에 상기 두둑틀 몸체(3) 단부를 상 방향으로 구부려 미끄러짐 날개(8)를 형성한다.

    상기 두둑틀(1)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두둑틀 몸체(3)와 비대칭형 자루(2)는 연결대 조립체(9)와 연결소켓(10)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대 조립체(9)의 일측은 상기 두둑틀 몸체(3)에 용접 또는 볼트(19)로 연결하고, 타측은 상기 연결소켓(10)에 결합하며, 상기 연결소켓(10)에 상기 비대칭형 자루(2)를 삽입하여 볼트(20)와 너트(21)로 결합한다.

    상기 연결대 조립체(9)는 두둑틀 몸체(3)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부(15)를 가로바(16)로 연결하고, 상기 가로바(16)의 양 단부와 중앙부를 각각 세로바(17)로 연결하며, 상기 세로바(17)와 두둑틀 몸체(3)는 이격파이프(18)로 이격시켜 결합하고, 상기 세로바(17)의 타단은 연결소켓(10)에 결합시킨다.

    상기 비대칭형 자루(2)는 2개의 직선부(11, 12)와 1개의 경사부(13) 및 T자형 손잡이(14)로 구성하되, 2개의 직선부 중 두둑틀(1) 측 직선부(11)는 그 중심이 두둑틀(1)의 중심과 일치시키고, 상기 T자형 손잡이(14) 측 직선부(12)는 두둑틀(1)의 중심에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25~30㎝ 편심시켜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2개의 직선부(11, 12)를 잇는 경사부(13)는 두둑틀(1)의 중심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30~40도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는 예비 두둑의 흙을 고르고 정리하여 본 두둑으로 형성하는데 자동화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예비 두둑에 본 발명의 수작업용 농기구를 올려놓고 두둑 사이 이랑에 편안한 자세로 서서 손잡이를 당기면, 매끄럽고 균일하게 정리된 반원형의 본 두둑을 노력과 시간 및 비용을 줄이면서 형성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로 두둑을 형성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의 전체적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의 두둑 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의 두둑 틀의 세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의 연결대 조립체를 볼트로 결합하는 경우를 나타낸 세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의 연결대 조립체와 연결소켓을 볼트로 결합하는 경우를 나타낸 세부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작업용 농기구는 반원형의 두둑 틀(1)에 비대칭형 자루(2)를 연결한 것으로, 다듬어지지 않은 거친 흙으로 이루어진 예비 두둑(A)에 상기 반원형의 두둑 틀(1)을 올리고 작업자는 예비 두둑(A)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 이랑에 서서 비대칭형 자루(2)를 잡아당기면 농작물을 쉽게 재배할 수 있는 반원형을 가지는 다듬어진 본 두둑(B)이 성형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두둑(B)을 고르고 다듬어 반원형으로 성형하는 상기 두둑 틀(1)은 기본적으로 두둑 틀 몸체(3)를 두둑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반원형의 평면으로 형성하고, 그 전방에 전방날개(4)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전방날개(4)의 앞부분에 전방 쇠갈퀴(5)를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두둑틀 몸체(3)의 후방에는 후방날개(6)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후방날개(6)의 양 단부에는 상기 후방날개(6)보다 경사부 길이가 길은 후방보조날개(7)를 형성하고, 상기 두둑틀 몸체(3)의 양 단부에는 미끄러짐 날개(8)를 형성한다.

    상기 두둑 틀(1)에 구비되는 구성과 기능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반원형의 두둑 틀 몸체(3)는 본 두둑의 형상을 완성하는 구성으로, 강판을 일체로 하여 두둑의 상면과 수평이며 반원형의 평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구체적 형상은 도 3과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높이(h)는 15~25㎝, 전체 폭(b)은 45~55㎝, 상면(3-1)의 폭(c)은 3~5㎝가 되도록 형성하여, 농작물 재배, 특히 고추, 가지 등의 1년생 작물 재배에 가장 적합한 두둑이 반원형으로 매끄럽게 성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방날개(4)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두둑 틀 몸체(3)의 상면(3-1)을 기준으로 상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두둑 틀 몸체(3)와 일체로 형성하되, 두둑 틀 몸체(3)의 상면(3-1)에 대하여 140~160도 범위로 경사시키고, 두둑 틀 몸체(3)와 동일한 반원형의 평면이며, 두둑 틀 몸체(3)의 상면(3-1) 폭(c)의 2/3 정도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폭(d)으로 형성하여, 전방 쇠갈퀴(5)를 통과한 흙이 두둑 틀 몸체(3)로 쉽고 균등하게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 쇠갈퀴(5)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두둑 틀 몸체(3)의 전방 날개(4)의 앞부분에 톱니 모양을 가지는 복수개의 이빨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톱니 모양의 이빨은 도 3의 단면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방 날개(4) 단부와 70~80도가 되도록 하향 경사시키되, 하향 경사지는 이빨의 길이(e)는 두둑 틀 몸체(3)의 하부면 위치까지 내려오도록 설정하여 형성함으로써, 두둑 틀 몸체(3)를 예비 두둑(A)의 전방으로 당겨 두둑을 고를 때, 상기 이빨들에 의해 예비 두둑(A)에 널려있는 덩어리 흙이 잘게 부숴지고, 또한 예비 두둑(A)에 흙과 함께 존재하는 검불이나 돌들을 걸러서 이랑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전방 쇠갈퀴(5)의 이빨을 통과하면서 잘게 부서진 흙은 경사진 전방날개(4)에 의해 두둑 틀 몸체(3)로 들어가면서 울퉁불퉁하지 않고 매끈하게 다듬어진 본 두둑(B)이 만들어 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날개(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둑 틀 몸체(3)의 후방에 일체로 경사시켜 형성하되, 상기 후방날개(6)의 폭(f)은 상기 두둑 틀 몸체(3)의 상면(3-1) 폭(b)의 2/3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두둑 틀 몸체(3)의 상면(3-1)을 기준으로 140~160도가 되도록 경사시켜 형성한다.

    이처럼 상기 두둑틀 몸체(3)에 구비되는 후방날개(6)는 두둑 틀(1)을 예비 두둑(A)의 전방으로 잡아 당겼을 때, 전방 쇠갈퀴(5)와 전방날개(4)의 상부로 넘친 흙이 두둑 틀 몸체(3)를 지나서, 고르게 정리된 본 두둑(B)에 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또한 흙의 일부가 후방날개(6)를 넘쳐 완성된 본 두둑(B)에 뿌려졌거나, 본 두둑을 좀 더 정교하게 다듬을 필요가 있어서 두둑 틀(1)을 본 두둑(B)의 후방으로 밀게 되더라도, 경사진 후방날개(6)로 인해 본 두둑(B)에 정리가 필요한 흙을 다시 두둑 틀 몸체(3)로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두둑 틀 몸체(3)에 경사진 후방날개(6)를 형성함으로써, 두둑 틀 몸체(3)를 통과하는 흙이 본 두둑(B)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두둑 틀(1)을 후방으로 밀 경우에 본 두둑(B)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본 두둑(B)을 쉽게 다시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후방날개(6)는 그 경사각도가 두둑 틀 몸체(3)의 상면(3-1)에 대하여 160도를 초과하게 되면 두둑 틀 몸체의 상면(3-1)과 동일한 수준으로 나란하게 되어 전방 쇠갈퀴(5)와 전방날개(4)를 넘어온 흙이 본 두둑(B)으로 뿌려지는 것으로 막을 수 없으며, 경사각도가 140도 미만으로 형성하면 두둑 틀 몸체(3)의 상면(3-1)과 이루는 경사가 크게 되어 거의 직각에 이르기 때문에 두둑 틀(1)을 두둑의 후방으로 밀 경우 본 두둑(B)의 흙을 두둑 틀 몸체(3)로 원활하게 안내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 보조날개(7)는 도 4의 후방 보조날개 상세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날개(6)의 양단부에 연달아 일체로 형성하는 날개로서,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하되, 그 중심각을 120~150도로 형성하고, 상기 두둑틀 몸체(3)의 상면(3-1)과 이루는 경사는 후방날개(6)와 두툭 틀 몸체(3)의 상면(3-1)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후방보조날개(7)의 경사부 길이에 해당하는 부채꼴의 반경(g)은 상기 후방날개(6) 폭(f)의 4~6배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후방 보조날개(7)가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 인해 본 두둑(B) 성형 작업시 두둑 틀 몸체(3)에서 두둑의 좌우 이랑으로 떨어진 흙과 원래 이랑에 쌓여있는 정리되지 않은 흙을 긁어내고 다듬어서 이랑을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미끄러짐 날개(8)는 도 4의 상세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둑 틀 몸체(3)의 양 단부를 구부려서 형성하되, 그 높이(h')는 후방날개(6) 폭(f)과 동일하게 하여, 두둑 틀(1)을 당기거나 밀 때 두둑 틀 몸체(3)의 양단이 흙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것으로 방지함으로써 두둑 틀(1)의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반원형의 두둑 틀(1)과 상기 비대칭형 자루(2)는 연결대 조립체(9)와 연결소켓(10)으로 연결된다. 상기 두둑 틀 몸체(3)에 연결되는 연결대 조립체(9)는 두둑 틀 몸체(3)와 연결되는 5개의 연결부(15)를 가로 바(16)로 연결하고, 상기 가로 바(16)의 양단부와 중앙부를 각각 세로 바(17)로 연결하며, 각각의 연결부(15)는 두둑 틀 몸체(3)와 이격되는 이격 파이프(18)를 개재시키고, 상기 이격 파이프(18)와 두둑 틀 몸체(3) 및 가로 바(16)를 용접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볼트(19)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세로 바(17)의 연결 구성은, 상기 세로 바(17)의 일측 단부 각각을 자루(2)의 일단이 삽입되는 관통형 연결소켓(10)과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볼트(23)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연결대 조립체(9)를 두둑 틀 몸체(3)와 3개의 세로 바(17)로 연결함으로써, 연결부에 걸리는 하중이 분산되어 작업중 연결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원하는 본 두둑(B) 형상을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두둑 틀 몸체(3)에 연결대 조립체(9)를 볼트(19)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볼트 머리 삽입홈(19-1)을 두둑틀 몸체(3) 배면에 형성하고, 두둑틀 몸체(3)와 연결대 조립체(9)의 가로 바(16)와 이격 파이프(18)를 볼트(19)와 너트로 결합함으로써, 본 두둑(B)의 반원형 표면이 매끄럽게 성형되도록 한다.

    또한 도 4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소켓(10)은 관통형으로 형성하고 여기에 비대칭형의 자루(2)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20) 삽입용 관통 홀을 복수개 형성하며, 연결소켓(10)에 자루(2)를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20)와 너트(21)를 이용하여 비대칭형의 자루(2)를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비대칭형의 자루(2)를 180도 회전 결합하여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작업자가 두둑 사이 이랑에 발을 딛고 편리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 피로도를 낮출 수 있으며, 아울러 바르고 곧은 두둑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대칭형 자루(2)는 그 길이를 130~150㎝가 되도록 하여 성인이 작업하기 적합하도록 형성하되, 2개의 직선부(11, 12)와 1개의 경사부(13)를 가지도록 구부리고, 구부리는 부위는 완만한 곡선이 되도록 하며, 상기 2개의 직선부(11,12)는 반원형의 두둑 틀(1) 중심에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25~30㎝ 이격되어 편심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2개의 직선부(11, 12)를 잇는 경사부(13)는 연결소켓(10) 측과 가까운 곳 직선부(11)의 중심 또는 반원형의 두둑 틀(1) 중심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30~40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2개의 직선부(11, 12)와 1개의 경사부(13)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2개의 직선부가 이격되어 편심된 거리가 25㎝ 미만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발을 딛는 위치가 형성하려는 두둑의 중심 쪽에 있게 되어 예비 두둑(A)을 밟으면서 작업을 하게 되고, 30㎝를 초과하게 되면 작업자의 발은 다른 일측에 이미 성형된 두둑 또는 성형할 예비 두둑(A) 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두둑 사이 이랑에 편안하게 서서 작업하는 위치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루의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부(14)를 형성하되, 비대칭형 자루(2)와 T자를 이루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12)를 양손으로 잡고 두둑 성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1 : 두둑틀 2 : 자루
    3 : 두둑 틀 몸체 4 : 전방날개
    5 : 전방 쇠갈퀴 6 : 후방날개
    7 : 후방보조날개 8 : 미끄러짐 날개
    9 : 연결대 조립체 10 : 연결소켓
    11, 12 : 직선부 13 : 경사부
    14 : T자형 손잡이 18 : 이격파이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