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핑 나이프

申请号 KR1020087004181 申请日 2006-06-01 公开(公告)号 KR1020080031439A 公开(公告)日 2008-04-08
申请人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发明人 마이어스매튜얼; 퐁,스코트;
摘要 A handle for a taping knife having a blade with a working edge and an attachment edge opposite the working edge, the handle including a handle core with distal and proximal ends, the proximal end associated with the attachment edge, the core defining a recess, and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sert insertable into the handle core recess.
权利要求
  • 작업 에지와, 이 작업 에지의 반대편에 있는 부착 에지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테이핑 나이프(taping knife)용 핸들에 있어서,
    말단부와 근접 단부를 갖는 핸들 코어로서, 상기 근접 단부는 상기 부착 에지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는 홈부를 형성하는, 상기 핸들 코어; 및
    상기 핸들 코어의 홈부 내에 삽입가능한 식별 삽입체;를 포함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코어는 내부 코어와, 이 내부 코어 위에 성형된 외부 코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비교적 강성인 부분 및 탄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은,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융기된 로고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감 외관(inlaid appearance)을 형성하도록 상기 융기된 로고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돌기와 탭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코어의 홈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대응하는 하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홈부 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융기된 로고와 상기 탄성부는 상기 핸들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은 상기 융기된 로고에 따른 측벽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탄성부의 핑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갤러리(galleries)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
  • 작업 에지, 이 작업 에지의 반대편에 있는 부착 에지를 갖는 블레이드; 말단부와 근접 단부를 갖는 핸들; 및 코어;를 구비한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로서, 상기 근접 단부는 상기 부착 에지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는 홈부를 형성하는, 상기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코어 홈부 내에 개별적으로 삽입가능한 복수의 구별가능한 식별 삽입체를 포함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입체 각각은 상이한 색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입체 각각은 비교적 강성인 부분과 탄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은,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융기된 로고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감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융기된 로고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돌기와 탭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코어의 홈부는 상기 복수의 삽입체 중 하나 내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대응하는 하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은 상기 융기된 로고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탄성부의 핑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갤러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
  • 작업 에지와, 이 작업 에지의 반대편에 있는 부착 에지를 갖는 블레이드;
    말단부와 근접 단부, 및 내부 코어와, 이 내부 코어 위에 성형된 외부 피복부를 구비한 코어를 갖는 핸들로서, 상기 근접 단부는 상기 부착 에지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는 홈부를 형성하는, 상기 핸들; 및
    상기 핸들의 코어 홈부 내에 개별적으로 삽입가능한 복수의 삽입체를 구비한 식별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삽입체 각각은 상이한 색상을 구비한, 상기 식별 시스템;을 포함하는 테이핑 나이프.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입체 각각은 비교적 강성인 부분과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은,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융기된 로고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감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융기된 로고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은 상기 융기된 로고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탄성부의 핑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갤러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
  • 작업 에지와, 이 작업 에지의 반대편에 있는 부착 에지를 갖는 블레이드; 말단부와 근접 단부를 갖는 핸들; 및 내부 코어와, 이 내부 코어 위에 성형된 외부 피복부를 구비한 코어;를 구비한 테이핑 나이프에 사용되는 식별 삽입체로서, 상기 근접 단부는 상기 부착 에지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는 홈부를 형성하는, 상기 테이 핑 나이프용 식별 삽입체에 있어서,
    융기된 로고를 갖는 비교적 강성인 부분; 및
    상감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융기된 로고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코어 홈부 내에 삽입가능한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삽입체.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은, 상기 비교적 강성인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융기된 로고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탄성부의 핑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갤러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삽입체.
  • 说明书全文

    테이핑 나이프{TAPING KNIFE HANDLE WITH IDENTIFICATION INSER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수공구(hand tools)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월보드 공사(wallboard contruction) 계획을 마무리하는데 이용하는 테이핑 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블레이드 폭을 변화시키는 테이핑 나이프 또는 공구(용어는 상호교환적임)는 월보드 공사 계획을 마무리하는데 이용되며 인접하는 월보드 표면 사이의 매끄러운 전이부를 형성한다. 월보드 패널이 소정 위치에 위치된 후에, 보다 작은(예컨대, 4-6인치) 테이핑 나이프는 일반적으로 인접하는 월보드 표면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에 경성 조인트 혼합물 및 드라이월 테이프를 도포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월보드 및 지지 스터드 내에 비안착형 네일(unseated nailds)을 설치할 수도 있다. 조인트 혼합물이 건조된 후에, 조인트 영역에 보다 많은 혼합물을 도포하는데 점진적으로 커지는 테이핑 나이프(예컨대, 8 내지 14인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단계는 조인트가 충분히 평탄해지고 매끄러워질 때까지 간헐적인 샌딩 단계(intermittent sanding steps)와 함께 반복된다.

    현재의 테이핑 나이프는 종종 핸들용으로 목재 혹은 유리 충전식 나일론 또는 폴리올레핀 등의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들의 매끄러운 외부면 상의 낮은 마찰계수는, 특히 핸들이 땀 또는 조인트 혼합물에 의해 적셔지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서 나이프가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보다 작은 손을 가진 사용자는 지속적인 사용시에 종래의 테이핑 나이프를 잡기가 어렵다.

    못 또는 다른 대상을 고정하기 위해 핸들의 단부에서 테이핑 나이프가 해머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 다수의 종래 나이프는 이러한 해머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고, 해머 요소를 갖는 나이프는 일반적으로 핸들을 캡오프(cap off)한다. 종래의 테이핑 나이프를 사용하는 다수의 작업자는 공구를 사용할 때 핸들에 대해 축방향으로 못을 가격하는 대신에 못에 수직방향인 핸들의 측면으로 목을 가격함으로써 조인트 혼합물을 인가하기 전에 못을 설정할 것이다. 이와 같이 부적절한 사용은 핸들을 균열시키므로, 나이프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해머링 작업시에 사용자의 손이 핸들 상에서 미끄러지며 공구와 벽 사이에 끼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월보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몇 개의 테이핑 나이프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설계의 크기에 따라서 몇몇의 드라이월 작업자의 고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숙련공의 경우에서와 같이, 월보드 테이핑하는 사람은 종종 그들의 공구를 소유하고 싶어한다. 다수의 테이핑하는 사람들이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테이핑 나이프는 작업장에서 사용자에 의해 식별되어 어려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서로 유사해 보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특히 지속적인 사용 후에, 그들의 유사성 때문에 테이핑 나이프의 제조사를 식별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집 개량 및/또는 실내 장식업에서 개선된 파지 특성 및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는 식별 시스템을 갖는 개선된 테이핑 나이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에 의해 상기한 필요성이 만족되는데, 이는 식별 목적을 위해 테이핑 나이프의 핸들 내에 삽입가능한 식별 삽입체를 특징으로 한다. 삽입체는 사용자가 특정의 테이핑 나이프를 쉽게 식별하도록 사전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에지와 이 작업 에지 반대편에 있는 부착 에지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용 핸들은, 말단부와 근접 단부를 갖는 핸들 코어를 구비하며, 상기 근접 단부는 부착 에지, 홈부를 형성하는 코어, 및 핸들 코어 홈부 내로 삽입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삽입체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용 식별 키트는 복수의 식별 삽입체를 갖는 나이프를 구비하며, 삽입체 각각은 핸들 코어 홈부 내로 개별적으로 삽입가능하다.

    도 1은 핸들 내에 식별 삽입체를 갖는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2-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해머 요소의 사시도,

    도 5는 핸들 내에 식별 삽입체를 갖는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6-6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의 핸들 내로 삽입가능한 삽입체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삽입체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의 변형 실시예의 핸들 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도 7의 삽입체의 평면도.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테이핑 나이프(10)는 평탄한 금속 블레이드(12), 보강 배면판(14), 핸들(16) 및 해머 요소(1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12)는 작업 에지(20)와, 이 작업 에지(20)의 반대편에 있는 부착 에지(22)를 갖는다. 다른 재료가 고려되지만, 블레이드(12)는 블루드 스틸(blued steel)로 제조되고, 보강 배면판(14)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12)의 형상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지만, 핸들(16)은 만곡된 부착 에지(22')를 가지며 당해기술에 잘 공지된 바와 같이 보강 배면판(14)이 없는 보다 짧은 블레이드(12')와 함께 사용가능하다. 또한, 보강 배면판(14)의 유무에 따라 다른 블레이드 형상이 고려된다.

    핸들(16)은 적어도 하나의 직경(D)을 가지며 말단부(26), 근접 단부(28) 및 본체(30)를 구비하며, 근접 단부(28)는 부착 에지(22)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나 이프(10)의 특징은 말단부(26)와 결합되는 해머 요소(18)의 구성이며, 핸들(16)에 대해 보다 강성인 재료로 반드시 제조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결합(associated with)"는 해머 요소(18)가 말단부(26)에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해머 요소(18)와 말단부(26)가 직접적으로 접촉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예견가능하다.

    해머 요소(18)의 주변부(32)는 핸들 본체(30)의 적어도 하나의 직경(D) 보다 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드라이월 파스너를 가격하기 위한 보다 많은 표면적, 또는 월보드 테이핑하는 사람 또는 다른 숙련공 등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해머링 업무를 제공한다. 아울러, 과대 크기의 해머 요소(18)는 벽을 가격할 때 사용자의 손을 완충하는 기능을 하므로 손이 낄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야구 배트 형상의 핸들 및 해머 구성은 특정 적용에 적합하도록 크기를 변화할 수 있다.

    도 1에 달 도시된 핸들(16)은 말단부(26)로부터 근접 단부(28)로 연장되는 각종 크기의 복수의 직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경(D)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점은 복수의 직경의 가장 큰 직경(D)이 해머 요소(18)의 주변부(32)보다 작은 점이다. 해머 요소(18)는 몇 가지의 상이한 강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되며, 그 특성으로는 강도, 내구성 그리고 낮은 전성 및 연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해머 요소(18)는 금속, 바람직하게 아연으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머 요소(18)의 축방향 길이(H)는 핸들(16)의 축방향 길이(L)의 20-25%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해머 요소(18)의 축방향 길 이(H)는 핸들(16)의 축방향 길이(L)의 대략 15-30%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6)은 보다 편안함을 위해 대체로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테이핑 나이프(10)의 대체로 타원형 단면은 블레이드(12)의 부착 에지(22)에 바로 인접한 지점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블레이드(12)에 보다 근접하게 손을 위치시켜 보다 제어 및 사용을 잘 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근접 단부(28)는 핸들 본체(30)의 폭보다 측방향으로 크게 벌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블레이드(12)를 갖는 핸들(16)의 접촉 및 지지를 증가시켜서, 종래의 테이핑 나이프의 결함 지점을 강화시킨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접 단부(28)는 블레이드(12)의 작업 에지(20) 쪽으로 두께가 좁아지는 2개의 립(36)을 구비한다. 립(36)은 부착 에지(22) 위로 그리고 배면판(14)의 일부 위로 연장되거나, 또는 보다 좁은 블레이드에 있어서 블레이드(12)의 웨브(37) 위로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부 코어(40)와 외부 코어(42)(도 3 참조)로 이루어진 코어(38)(도 2 참조)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외부 코어(42)는 말단부(48)와 근접 단부(50)를 갖는다. 다른 종래의 제조 기술이 고려되지만, 내부 코어(40)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코어(42)는 내부 코어(40) 위에 오버몰드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 파지 영역(52)은 외부 코어(42) 위에 오버몰드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오버몰드 기술은 당해기술에 잘 공지되어 있다. 내부 코어(40)는 외부 코어(42)를 수용하기 위한 홈 형성부(54)를 가짐으로써 내부 코어(40)와 외부 코어(42) 사이의 접착 강도를 증가시킨다. 내부 코어(40)와 외부 코어(42) 양자는 강도, 비용 및 작업성을 위해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숙련공에 공지된 다른 동등 재료가 고려될 수 있다. 파지 영역(52)은 산토프렌(Santoprene) 브랜드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당해기술에 공지된 다른 성형가능하고 탄성 있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또한, 탄성의 파지 영역(52)은 개선된 파지 특성을 위한 주름부 또는 리브로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부분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직조된 표면은 땀 또는 다른 액체에 의해 손이 적셔질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본체(30)는 근접 단부(28)로부터 말단부(26)로 직경이 증가한다. 아울러, 근접 단부(28)는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해 또 사용자에 추가적인 파지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핸들(16)의 목부(56)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벌어진다. 또한, 해머 요소(18)는 테이핑 나이프(10)를 비사용시에 공구 랙, 후크 또는 다른 돌기 상에 걸거나, 또는 사용 후에 건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걸기 위해 비교적 큰 작은 구멍(58)을 갖는다.

    해머 요소(18)는 말단부(26)에 인접한다. 본 발명의 나이프(10)의 특징은, 특히 사용자가 비안착된 못을 설정하는 등의 충격 공구로서 핸들 및 해머 요소의 측면을 이용하는 경우 해머 요소(18)가 핸들을 더욱 보호하게 하는 말단부(26)와 상호결합되는 부분을 갖는다는 점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해머 요소(18)는 축방향 및 측방향으로의 충격력을 분산하기 위해 말단부(26)의 끝에 대해 적어 도 하나의 둔각(α)으로 말단부(26)를 접한다. 아울러, 각도 설계는 핸들(16)의 측부(59)를 비각도 설계에 비해 핸들의 길이를 더욱 아래로 보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해머 요소(18)의 하부 에지(60)(도 3에 도시함)는 3개의 세그먼트(도 4에 도시함)를 가지며, 중앙 세그먼트(62)는 핸들의 종축에 거의 수직이고, 2개의 단부 세그먼트(64, 66)는 중앙 세그먼트(62)와 각도(α)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α는 대략 135°이지만, 다른 각도도 고려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단부(44, 58)는 해머 요소(18)의 하부 에지(60)의 상술한 각도 구성을 실제적으로 결합하도록 대응하는 대향 표면(44a-c, 48a-c)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해머 요소(18)는, 해머 요소(18)를 내부 코어(40)에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바브(barb)형 펙(peg)(68)을 구비한다. 펙(68)의 바브는 코어(40) 내의 대응하는 바브(도시하지 않음) 내에 해머 요소(18)를 고정 유지하며 충격시에 내부 코어로부터 해머 요소가 충격받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내부 코어(40)는, 내부 코어(40)의 말단부(44)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 2개의 바브 형상이 아닌 러그(lugs)(70)를 구비한다. 2개의 바브 형상이 아닌 러그(70)는 해머 요소(18) 내에 대응하는 구멍(71)과 맞물리며 해머 요소(18)가 단일의 바브 형상의 펙(68) 둘레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3, 5, 7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10)의 또다른 특징은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 후에도 제조사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핸들(16)은 융기된 로고(76)를 갖는 비교적으로 강성인 부분(74) 과, 이 비교적으로 강성인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77)를 구비한 식별 삽입체(72); 및 상감 외관을 형성하도록 융기된 로고(76)를 둘러싸는 탄성부(78)를 갖는다. 탄성부(78)는 조립시에 파지 영역(52)에 대해 기술한 바와 같은 고무 재질로 제조도리 수 있으며, 로고(76)의 상부면(80)과 동일 평면이다. 비교적 강성 재료로 로고(76)를 구성하면, 로고를 보다 길게 지속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핸들(16)에 그리거나 인쇄하는 것보다 일체로 형성된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사용시에 로고(76)가 문질러져서 마모되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 결과, 사용자는 종래의 테이핑 나이프보다 장시간 동안 공구를 제조사와 연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로고(76)를 둘러싸는 탄성부(78)는 테이핑 나이프(10)를 보유할 때 사용자의 손에 편안함을 제공한다. 강성부(74)를 탄성의 고무 부분(78)으로 둘러싸면, 식별 삽입체(72)가 전체적으로 강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보다 편안하다. 탄성부(78)는 산토프렌 브랜드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으로 제조되고, 강성부(74)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술한 재료에 대한 동등한 대체물과 친숙하다.

    조립시에, 부착 에지(22)는 보강 배면판(14) 내에 삽입되며, 그 다음 소정 위치에 주릅 및/또는 고정된다. 다음으로, 블레이드(12)가 주형 내에 배치되며, 내부 코어(40)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제조 기술이 고려될 수 있다. 성형 시에, 내부 코어(40)의 근접 단부(28)는 보강 배면판(14)과 부착 에지(22) 위를 지나므로, 리벳 또는 다른 파스너를 사용하지 않고 이들 부분을 서로 고정한다. 또한, 이러한 플로잉(flowing)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핸들(16) 과 금속 블레이드(12) 사이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종래의 테이핑 나이프에 결함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리벳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다음, 내부 코어(40)와 블레이드(12)는 주형 내에 함께 배치되고, 외부 코어(42)는 내부 코어(40) 위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유사하게 형성된다. 그 후, 탄성 재료의 외부 피복부(82)는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파지하는 표면을 제공하도록 외부 코어(42) 위에 형성된다. 산토프렌 브랜드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다른 성형가능한 고무 재질의 재료는 외부 피복부(82)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피복부(82)는 내부 코어(40)를 블레이드(12) 및 선택적으로 보강 배면판(14)에 용이하게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피복부(82)가 외부 코어(42)를 피복하도록 일 단계에 제공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립공정에서의 다음 단계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의 파지 영역(52)을 주입하는 것이다. 파지 영역(52)은 외부 코어(42) 위에 도포되어 외부 피복부(82)와 상호결합된다.

    식별 삽입체(72)는 로고(76)와 복수의 돌출부(77)를 갖는 비교적으로 강성인 부분(74)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되고, 그 다음 탄성부(78)는 바람직하게 오버몰드함으로써 그 둘레에 형성된다. 그 후, 식별 삽입체(72)는 화학 접착제, 초음파 접착 또는 유사한 기술로 예컨대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핸들 코어(38)에 의해 형성된 삽입체 수용 영역 또는 홈부(86) 내에 고정된다(도 3). 마지막으로, 해머 요소(18)는 핸들(16)의 말단부(26)에 고정되어 바브형 펙(68)의 삽입에 의해 보유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식별 삽입체(72)를 핸들 내에 확실히 결합하기 위해, 복수의 돌출부(77)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돌기(88)와, 적어도 하나의 탭 형상의 돌기(90)를 구비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돌기의 수 및 형태는 당해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코어 홈부(86)는 복수의 돌기(77) 중 대응하는 하나와 정합하게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 복수의 개구(92)를 구비한다. 핸들 홈부(86) 내에 강제 끼워맞춘 후에, 융기된 로고(76)와 봉입형 탄성부(78)의 상부면은 로고의 상부면(80)과 핸들(16)의 외부면(94)과 동일 평면에 있다(도 9). 일단 설치되면, 식별 삽입체(72)는 핸들(16)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거가능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적으로 강성인 부분(74)은 융기된 로고(76)에 따른 측벽(96)을 더 구비한다. 측벽(96)은 오버몰드 시에 탄성부(78)의 핑거(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갤러리(galleries)(98)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비교적으로 강성인 부분(74)과 탄성부(78) 사이에 강한 접착을 제공하여, 테이핑 나이프(10)의 연속적인 사용 후에 비교적으로 강성인 부분으로부터 탄성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화학 접착제 등의 다른 종래의 접착 기술은 탄성부(78)를 비교적으로 강성인 부분(74)에 고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삽입체의 변형 실시예는 참조번호(102)로 도시하며 변형된 테이핑 나이프(104) 내에 삽입된다. 나이프(104)는 공구(10) 및 동일 구성요소가 동일 참조번호로 지칭되는 동일한 유형의 핸들 구성을 포함한다. 나이프(104)에서, 핸들(106)의 윤곽은 핸들(16)과는 변경된다. 또한, 해머 요소(108) 는 해머 요소(18)에 비해 외관면에서 능률적이며 핸들(106) 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삽입체(102)에 대해서는, 삽입체(72)와의 주요 차이점은 대응하는 홈부(112)[홈부(86)에 대응함]를 정합하게 결합하는 대체로 원호형 또는 만곡형 단부(110)를 가지는 점이다. 삽입체(7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114)는 대체로 우측으로 각을 이룬 코너부를 구비한다.

    테이핑 나이프(10)의 제조원 식별을 위해, 식별 삽입체(72, 102)는 융기된 로고(76)가 탄성부(78)와 다른 색상이 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고려된다. 색상이 있는 탄성부(78)는 파지 영역(82)과는 다른 색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월보드 테이핑하는 사람이 테이핑 나이프를 보다 쉽게 식별 또는 개인화하기 위해, 복수의 식별 삽입체(72)를 구비한 식별 키트를 제공하며, 각각의 식별 삽입체는 핸들 코어 홈부(86) 내에 개별적으로 삽입가능하고, 각각의 삽입체(72)는 상이한 색상으로 제공된다. 삽입체(72) 각각을 특히 탄성부(78)와 상이한 색상으로 제공하면, 특정의 테이핑 나이프(10)의 사용자에 의해 식별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에 따라, 테이핑 나이프(10)의 개인화가 보다 강화되고, 작업장에서 테이핑 나이프의 혼동이 방지된다. 또한, 키트는 삽입체(72)(교체 키트)만 또는 테이핑 나이프(10)와 삽입체 양자, 즉 식별 시스템으로 판매될 수 있다.

    식별 삽입체를 갖는 본 발명의 테이핑 나이프의 특정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을 벗어남이 없이 그리고 하기의 청구범위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보다 광범위한 관점에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