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튀기 제조기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rice popper manufacturing installation}
본 발명은 뻥튀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출되는 뻥튀기를 적절한 위치로 안내하는 커버가 열려 있을 때 제조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금형 관리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뻥튀기 제조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뻥튀기 제조장치는, 공급된 각종 곡물을 일정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부풀려진 뻥튀기 형태의 과자로 만드는 장치이다. 즉, 밀폐된 금형 안에 일정량의 곡물을 넣은 후 가열하면, 곡물 내부에서 수증기가 팽창하게 되며, 이때 금형 안에 압력을 급상승시킨 상태에서 밀폐된 금형을 순간적으로 개방하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곡물이 수 배 이상으로 급팽창하는 원리에 의해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뻥튀기 제조장치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 10-0774998호에 제시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종래의 뻥튀기 제조장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중앙에 마련되며, 곡물을 가열하여 뻥튀기하는 금형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 부에 마련되는 호퍼에 수용되는 곡물을 금형에 공급하는 곡물이송유닛과, 상기 곡물이송유닛 및 금형을 구동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금형에는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포함된다. 여기서, 금형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며, 하부금형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금형이 승강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뻥튀기 제조장치 동작은, 먼저 호퍼에 수용된 곡물은 구동유닛의 구동으로 곡물이송유닛이 곡물을 금형으로 공급하고, 이후 금형에 공급된 곡물은 금형이 마련된 가열유닛에 의해 일정온도로 가열되어 뻥튀기가 제조된다. 즉, 구동유닛의 구동으로 호퍼에 수용된 곡물이 일정량만큼씩 개방하여 금형에 공급하고, 상부금형이 상승한 상태에서 금형에 곡물을 공급한 후 하강하여 하부금형과의 사이에 있는 곡물을 가압함과 동시에 가열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온으로 가열된 곡물을 고압에 의해 원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부금형이 상승하여 압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면, 순간적으로 곡물이 일정 형상으로 팝핑되면서 전방으로 튀어나오고, 다음으로 뻥튀기할 일정량의 곡물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곡물을 가압하는 상부금형과 이에 대응되는 내부금형 및 외부금형은 반복되는 뻥튀기 제조 공정 중, 금형의 가압 면에 윤활유를 발라주는 작업과 금형의 내부에 이물질이 끼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시로 금형의 내부를 청소하는 작업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이때, 금형의 내부를 청소할 때에는 제조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금형의 가압 면을 일일이 손으로 닦아내야 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컨트롤박스의 전원 버튼이 온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금형이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사용자가 사고를 당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뻥튀기 제조장치는 금형에 높은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계 장치와 동일하게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형 관리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뻥튀기를 적절한 수용 위치로 안내하는 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커버가 열려 있을 때에는 제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뻥튀기 제조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전방으로 뻥튀기가 토출되는 뻥튀기 제조장치에 있어서, 닫힘과 열림 상태를 이루되, 닫힘 상태에서는 회동하는 상기 타측 단부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접속부재에 접속되어 전원 공급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튀는 뻥튀기를 하부로 안내하고, 열림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커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뻥튀기 제조용 금형 관리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뻥튀기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방 하부의 적절한 수용 위치로 뻥튀기를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기의 안전장치에 대한 실시예인 안전커버장치를 뻥튀기 제조장치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안전커버장치가 열린 상태에서 뻥튀기안내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커버장치를 뻥튀기 제조장치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안전커버장치가 열린 상태에서 고정후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기의 안전장치의 전원 온/오프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20)의 전방으로 뻥튀기가 토출되는 뻥튀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동하여 닫힘과 열림 상태를 이루되, 닫힘 상태에서는 회동하는 상기 타측 단부가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접속부재(22, 22')에 접속되어 전원 공급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튀는 뻥튀기를 하부로 안내하고, 열림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커버장치(100, 200)를 포함한다. 상기 뻥튀기 제조장치(10)는 본체프레임(20)의 상부에 구비된 곡물공급유닛(30)과, 곡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수단이 마련되며 공급된 상기 곡물을 상부에 수용하는 내부금형(40)과, 상기 내부금형(40)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금형(50)과, 상 기 곡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금형에 공급된 곡물을 팝핑시킬 수 있도록 가압하는 상부금형(6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공급유닛(30), 상부금형(60) 및 내부금형(40)을 작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구성들의 구동 제어용 컨트롤박스(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뻥튀기 제조장치(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기 안전커버장치(100, 2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전방 측부를 기준으로 수평 회동하여 닫힘과 열림 상태를 이루되, 상기 안전커버장치(100, 200)의 닫힘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은 물론 전방으로 튀는 뻥튀기를 하부로 안내하고, 상기 열림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커버장치(100, 200)는 닫힘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커버장치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타측 단부가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일측 전방에 구비된 접속부재(22, 22')에 접속되는 작동방식 가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커버장치(100, 200)의 닫힘 상태에서 전원이 온 되고, 열림 상태에서는 전원이 오프 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재(22, 22')가 콘트롤박스(70)로 인가되는 전원 라인 상에서 전원부의 전력을 강제로 연결 및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커버장치(100)에 대해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전커버장치(100)는, 하부지지체(110) 및 뻥튀기안내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110)는 일측이 본체프레임(20)의 힌지체결부(21)에 대응되게 힌지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고, 하부지지체(110)의 타측 단부에는 본체프레임(20)의 접속부재(22)와 대응되게 접속되는 접속돌기(1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프레임(20)의 접속부재(22)는 중앙에 돌기삽입홈(22a)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삽입홈(22a)의 상하에서 대응되는 방향으로 출몰하는 단자(22b)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지지체(110)의 접속돌기(111)가 상기 중앙 돌기삽입홈(22a)에 삽입되어 단자(22b)를 연결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삽입홈(22a)에 접속돌기(111)가 삽입되는 순간 전원부의 전력이 콘트롤박스(70)로 연결되어 뻥튀기 제조장치(10)의 장치들에 전력이 인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박스(70)의 조작에 의해 각 장치들이 구동하게 된다. 뻥튀기안내부(120)는 하부지지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금형(60)과 외부금형(50)의 뻥튀기 토출 위치에 입구를 위치시켜 뻥튀기를 하향 안내한다. 여기서, 본체프레임(20)의 접속부재(22)는 중앙에 돌기삽입홈(22a)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삽입홈(22a)의 상하에서 대응되는 방향으로 출몰하는 단자(22b)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접속돌기(111)가 상기 중앙 돌기삽입홈(22a)에 삽입되어 단자(22b)를 연결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재(22)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삽입홈(22a)을 통해 대응 삽 입되는 접속돌기(111)는, 상·하부의 단자(22b)에 가압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일정 힘 이상을 가하지 않고서는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접속부재(22)의 돌기삽입홈(22a)을 중심으로 내측 상·하부에 단자(22b)를 가압하는 스프링(미도시)을 삽입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은 안전커버장치(100)의 닫힘 구조는, 수시로 상부금형(60)과 외부금형(50) 및 내부금형(40)의 가압 면을 청소해야만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안전 커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안전커버장치(100)를 수시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체(110)의 회전하는 단부측에는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손잡이(112)가 형성될 수 있다. 뻥튀기안내부(120)는 하부지지체(110)의 상부에 하향 되도록 경사지게 판 형상으로 고정되되, 그 양측 단부가 상부로 절곡 연장되어 수용된 뻥튀기를 하부로 슬라이드 배출하는 안내판(121)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판(121)의 상부에는 상방을 덮어주기 위한 복수의 철선(122)이 배열된다. 상기 안내판(121)은 뻥튀기가 팝핑되는 위치 즉, 상부금형(60)과 외부금형(50) 사이에 해당하는 부위에 그 입구 부위가 위치되며, 상기 입구 부위를 통해 상부금형(60)과 외부금형(50) 사이를 통해 팝핑되는 뻥튀기가 상기 안내판(121)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드 안내된다. 즉 뻥튀기가 외부로 튀어나가 사용자가 주워 담을 필요 없이, 뻥튀기를 전방에 위치된 수용 용기 등의 위치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철선(122)은 상기 안내판(121)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용접하는 방식으로 구비되며, 하향하는 안내판(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팝핑되어 튀어나오는 뻥튀기가 안내판(121)의 상부를 통해 이탈하지 않게 되며, 철선(122)의 간격 사이로 뻥튀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커버장치(200)에 대해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전커버장치(200)는, 크게 뻥튀기안내커버(210) 및 철선커버(2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안전커버장치(200)는, 닫힘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커버장치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타측 단부가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일측 측부에 구비된 접속부재(22')에 접속되는 작동방식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재(22')는 상기 안전커버장치(200)가 닫힘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커버장치(20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타측 단부가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일측 벽부에 구비된 접속부재(22')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커버장치(200)의 닫힘 상태에서 전원이 온 되고, 열림 상태에서는 전원이 오프 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재(22')가 콘트롤박스(70)로 인가되는 전원 라인 상에서 전원부의 전력을 강제로 연결 및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뻥튀기안내커버(210)는 양측을 하향 절곡하되, 하향 절곡된 일측이 본체프레임(20)의 전방 측부에 구비된 힌지체결부(21)와 대응되게 힌지 체결되고, 타측 하향 절곡부의 회동 방향측 단부에는 접속부재(22')가 직각으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홈(2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접속홈(212) 내부에 접속부재(22')가 삽입되는 순간 전원부의 전력이 콘트롤박스(70)로 연결되어 뻥튀기 제조장치(10)의 장치들에 전력이 인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박스(70)의 조작에 의해 각 장치들이 구동하게 된다. 철선커버(220)는 상기 뻥튀기안내커버(210)의 전방 단부에 동일한 형상으로 고정되도록 복수의 철선을 연결하여 전방으로 연장 형성한다. 즉 상기 철선커버(220)의 간격 사이로 뻥튀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프레임(20)에는 접속부재(22')가 설치된 일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된 걸림돌기(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커버장치(200)의 회전되는 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23)가 대응 삽입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걸림홈(211)이 형성된다. 즉, 걸림돌기(23)가 걸림홈(211)의 상측 단부에 밀착되면서 걸림홈(211) 내부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므로, 손잡이(240)를 잡고 일정 힘 이상을 가하지 않는 이상 회동 되어 열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닫힘 구조는, 수시로 금형을 청소해야하는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안전 커버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안전커버장치(200)를 수시로 열고 닫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뻥튀기안내커버(210)의 양측 측면부 사이에는 지지 강성을 위한 고정봉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박스(70)를 본체프레임(20)의 측부에 설치하고, 상기 뻥튀기안내커버(210)의 회동 되는 일측 수직 면에 직각으로 축 고정되되, 상부로 절곡된 전후 양단이 상기 컨트롤박스(70)의 전방 하부 모서리부를 잡아주는 고정후크(2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230)는 콘트롤박스(70)의 하부를 잡아줌으로써 뻥튀기안내커버(210)의 회동되는 타측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된 손잡이(240)는 상기 뻥튀기안내커버(210)의 회전되는 일측 수직 면에는 직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240)는 내부에 형성된 금속 축 부분이 안전커버장치(200)의 측부에 직각으로 고정되고, 축 부분의 외부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커버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뻥튀기 제조용 금형 관리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뻥튀기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방 하부의 적절한 수용 위치로 뻥튀기를 안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뻥튀기 제조기의 안전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뻥튀기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기의 안전장치에 대한 실시예인 안전커버장치를 뻥튀기 제조장치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안전커버장치가 열린 상태에서 뻥튀기안내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커버장치를 뻥튀기 제조장치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안전커버장치가 열린 상태에서 고정후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기의 안전장치의 전원 온/오프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뻥튀기 제조장치 20: 본체프레임 21: 힌지체결부 22, 22': 접속부재 22a: 돌기삽입홈 22b: 단자 23: 걸림돌기 30: 곡물공급유닛 40: 내부금형 50: 외부금형 60: 상부금형 70: 콘트롤박스 100: 안전커버장치 110: 하부지지체 111: 접속돌기 112: 손잡이 120: 뻥튀기안내부 121: 안내판 122: 철선 200: 안전커버장치 210: 뻥튀기안내커버 211: 걸림홈 212: 접속홈 220: 철선커버 230: 고정후크 240: 손잡이 250: 고정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