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관리기의 핸들 폭 조절장치

申请号 KR2020050026271 申请日 2005-09-13 公开(公告)号 KR200402206Y1 公开(公告)日 2005-11-29
申请人 박창현; 이기호; 노태균; 김동욱; 发明人 박창현; 이기호; 노태균; 김동욱;
摘要 본 고안은 농업용 관리기의 핸들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를 갖는 한 쌍의 핸들과, 상기 핸들 선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장공과 축공 및 개방부와, 상기 브라켓 개방부에 결합되는 핸들케이스와, 상기 핸들케이스 중앙에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핸들케이스 양측에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브라켓 축공 및 핸들케이스 축공에 결합되는 축부재와, 상기 브라켓 장공과 핸들케이스의 축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로 구성하여 작업환경 또는 작업여건에 따라 농업용 관리기의 핸들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权利要求
  • 핸들이 구비된 농업용 관리기에 있어서 ; 손잡이를 갖는 한 쌍의 핸들과, 상기 핸들 선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장공과 축공 및 개방부와, 상기 브라켓 개방부에 결합되는 핸들케이스와, 상기 핸들케이스 중앙에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핸들케이스 양측에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브라켓 축공과 핸들케이스 축공에 결합되는 축부재와, 상기 브라켓 장공과 핸들케이스 축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농업용 관리기의 핸들 폭 조절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 일측 브라켓에 단턱부를 형성하여서 된 농업용 관리기.
  • 说明书全文

    농업용 관리기의 핸들 폭 조절장치{ADJUSTING DEVICE OF HANDLE WIDTH FOR AGRICULTURAL VEHICLE}

    본 고안은 작업환경(또는 작업여건)에 따라 핸들 폭을 적절히 또는 임의로 조절(가변)할 수 있는 농업용 관리기의 핸들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관리기는 골내기 작업, 골타기 작업, 복토 작업, 김매기 작업, 하우스 묻기 작업, 인삼ㆍ대파ㆍ감자ㆍ콩밭 등의 북주기 작업(두둑 돋우기), 로터리 작업, 배수로 작업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며, 비교적 크기가 작으면서 핸들 폭이 넓은 경우에는 큰힘 들이지 않고 쉽게 다룰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적인 사용이나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농업용 관리기(1)는 도 1과 같이 본체(2) 부분의 폭(d1)은 약 40㎝이고, 핸들(3) 부분의 최대 폭(d2)은 이 보다 훨씬 넓은 55㎝~60㎝로 구성된다. 그리고 대부분 핸들 폭(d2)이 고정되어 있어 작업환경에 적합한 폭으로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두둑간의 간격이 넓은 일반 경작지나 노지의 경우에는 핸들 폭(d2)이 넓어서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지만, 도 2와 같이 북주기 작업이 필요한 인삼밭(인삼 경작지)의 경우, 두둑(9) 폭이 매우 좁은 편이므로 이에 부합하는 좁은 폭의 핸들을 필요로 한다.

    즉, 두둑(9)의 폭은 약 90㎝인 반면, 두둑(6) 사이에 형성되는 고랑(9)의 폭(d3)은 약 50㎝로 좁은 편이다. 따라서 통상 3년 주기로 북주기 작업을 할 때 농업용 관리기(1)의 핸들 폭(d2)은 고랑 폭(d3) 보다 좁아야 하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농업용 관리기(1)의 핸들 폭(d3)은 55㎝~60㎝로 고랑 폭(d3) 보다 넓은 편이어서 북주기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랑(9)의 양측에는 차양지주(7)까지 설치되어 있어 작업 공간이 더욱 좁아진 상태이므로 폭이 좁은 핸들로 교체해야 북주기 작업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삼밭 북주기가 가능하도록 좁은 폭의 핸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폭이 넓은 일반 핸들을 포함한 최소 2개 이상의 핸들을 구비해야 하므로 부대비용과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재고 관리가 불편하며, 인삼밭에서 사용한 후 작업환경이 바뀌면 폭이 넓은 핸들로 교체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핸들(3)을 교체할 때에도 핸들베이스(4)에 체결되어 있는 핸들을 분리 제거한 다음,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 대상 핸들(3)의 끝 부분(3a)(3b)을 핸들베이스(4) 양측부에 형성된 나사구멍 부분에 각각 접촉시킨 다음 볼트 또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5)으로 체결하고 있으므로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어 핸들(3) 교체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환경(또는 작업여건)에 따라 핸들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관리기의 핸들 폭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갖는 한 쌍의 핸들과, 상기 핸들 선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장공과 축공 및 개방부와, 상기 브라켓 개방부에 결합되는 핸들케이스와, 상기 핸들케이스 중앙에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핸들케이스 양측에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브라켓 축공과 핸들케이스 축공에 결합되는 축부재와, 상기 브라켓 장공과 핸들케이스 축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로 구성하여 작업환경 또는 작업여건에 따라 핸들 폭을 적절히 또는 임의로 조절(가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일측 브라켓 부분에는 단턱부를 형성하여 양측 브라켓이 핸들케이스 부분에 상하로 중첩 결합되어 견고한 체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하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 핸들 폭 조절장치(1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조립 상태 단면도로, 좌우 한 쌍의 핸들(11)(12)을 농업용 관리기(1)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그 폭(d4)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들 폭 조절장치(10)는 핸들베이스(13) 부분에 체결되고, 핸들베이스(13)는 농업용 관리기(1)의 엔진 또는 헤드 부분에 고정된다.

    핸들(11)(12) 후단부에는 손잡이(14)(15)가 각각 결합되고, 핸들(11)(12) 선단부에는 브라켓(20)(21)이 용접등의 방법으로 각각 고정되며, 브라켓(20)(21) 양측에는 장공(16)(17)과 축공(18)(19)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공(16)(17)과 축공(18)(19)은 체결부재(22) 및 축부재(23)(24)가 삽입될 수 있게 브라켓(20)(21)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장공(16)(17)은 핸들(11)(12)과 평행하거나 또는 ±10°범위내에서 조금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공(18)(19)은 핸들(11)(12) 폭을 조절할 때 축부재(23)(2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핸들(11)(12)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장공(16)(17)은 핸들(11)(1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장공(16)(16)에 삽입되는 체결부재(22)는 머리부(22a) 양측으로 나사부(22b)와 손잡이(22c)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축공(18)(19)에 삽입되는 축부재(23)(24)의 양측에는 머리부(23a)(24a)와 나사부(23b)(24b)가 각각 형성된다.

    브라켓(20)(21)은 일체형 또는 상하로 분리되는 구성이며, 핸들베이스(13) 부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부(20a)(21a)를 갖는 "⊂"자 형상이고, 절곡부분에는 핸들(11)(12)의 선단 외주면 일부가 밀착된 다음 용접등의 방법으로 견고히 고정된다.

    핸들베이스(13)에는 브라켓(20)(21)의 개방부(20a)(21a)가 결합되며, 일측 핸들(12)에 고정된 브라켓(21)은 타측 브라켓(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턱부(21b)가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베이스(13)에 결합되는 브라켓(20)(21)은 도 4와 같이 상하로 중첩하여 결합된다.

    상기 단턱부(21b)는 물론 생략될 수 있으며, 접촉면적이 확장되게 상기 단턱부(21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베이스(13)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축공(25)이 형성되고, 핸들베이스(13)의 양측면에는 수직 축공(26)(27)을 갖는 축관(28)(29)이 용접등의 방법으로 각각 고정된다. 상기 축관(28)(29)의 높이는 브라켓(20)(21)이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브라켓(20)(21)의 내측 간격과 같거나 조금 낮은 정도이다.

    물론, 상기 축관(28)(29) 대신 핸들베이스(13)의 양측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축공을 형성하여 핸들(11)(12)이 축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핸들(11)(12)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및 그 단면도로, 핸들베이스(13) 부분에 브라켓(20)(21)의 개방부(20a)(21a)가 결합되며, 일측 브라켓(21)의 축공(19)과 핸들베이스(13)의 축공(27)을 일치시킨 다음 축부재(24)를 끼워 너트(30)로 체결하고, 타측 브라켓(20)의 축공(18)과 핸들베이스(13)의 축공(26)을 수직으로 일치시킨 다음 축부재(23)를 끼워 너트(31)로 체결하고, 핸들베이스(13)의 축공(25)과 브라켓(20)(21)의 장공(16)(17)을 수직으로 일치시킨 다음 와셔(32)가 결합된 체결부재(22)를 끼워 너트(33)로 체결하면 핸들(11)(12)과 핸들베이스(13)가 3점 결합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고, 핸들(11)(12)은 유동이 방지된다.

    이때, 장공(16)(17)의 크기는 나사부(22b)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다소의 유격이 있으므로 핸들(11)(12)의 폭(핸들 각도)을 조정할 수 있게된다. 즉, 핸들 폭(d4)을 조절할 때 장공(16)(17)이 이동하는 구간에 비하여 핸들(11)(12)의 길이가 월등히 큰 편이므로, 장공(16)(17) 형상이 일자형이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된다.

    도 8은 상기 장공(16a)(17a)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로, 즉, 핸들 폭(d4)을 조절할 때 브라켓(20)(21)이 축부재(23)(2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점을 감안하여 장공(16a)(17a)의 평명형상을 축부재(23)(24)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이 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격을 보다 줄일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고랑의 폭(d3)이 좁은 인삼밭의 경우 도 5와 같이 핸들 폭(d4)을 좁히면 된다. 이러한 경우 축부재(23)(24)를 중심으로 핸들(11)(1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재(22)의 이완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도구(도시안됨) 등으로 너트(33)를 잡아 회전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22)의 손잡이(22c)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핸들(11)(12)이 축부재(23)(2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상태를 다소 이완시킨 다음 핸들 폭(d4)이 좁아지도록 적절히 회전시킨 후, 너트(33)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이완시켰던 체결부재(22)를 죄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죄임하면 도 4와 같이 브라켓(20)(21)이 핸들베이스(13)의 상하부 표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히 고정되고, 핸들 폭(d4)은 도 5와 같이 좁혀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인삼밭의 북주기 작업등에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일반 사용이나 필요에 의해 핸들 폭(d4)을 넓히고자 하는 경우, 도구(도시안됨) 등으로 너트(33)를 잡아 회전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22)의 손잡이(22c)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핸들(11)(12)이 축부재(23)(2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상태를 다소 이완시킨 다음 핸들 폭(d4)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적절히 회전시킨 후 이완시켰던 체결부재(22)를 죄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죄임하면 도 4와 같이 브라켓(20)(21)이 핸들베이스(13)의 상하부 표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히 고정되고, 핸들 폭(d4)은 도 6과 같이 넓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넓은 핸들 폭(d4)이 요구되는 일반 관리작업이나 노지작업등에서 보다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너트(33)가 핸들베이스(13)의 저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너트(33)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상기 도구가 불필요하며, 매우 바람직한 방법이기도 하다.

    본 고안에서 핸들 폭(d4)을 조절할 때, 핸들(11)(12)이 양측 축부재(23)(24)에 의해 축지지되고 있어 핸들(11)(12)을 핸들베이스(13)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폭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된다.

    미 설명부호 (34)는 조작핸들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작업환경에 따라 농업용 관리기의 핸들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좁은 핸들 폭이 요구되는 인삼밭등의 주기적인(통상 3년) 북주기 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넓은 핸들 폭이 요구되는 일반 관리작업(노지작업 등)도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여 핸들의 폭 조정이 쉬울 뿐 아니라, 넓은 폭과 좁은 폭의 핸들을 두루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핸들이 축부재에 의해 핸들베이스 부분에 축지지되고 있으므로, 핸들을 핸들베이스로부터 분리할 필요없이 그 폭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 종래 고안의 평면도.

    도 2 : 두둑 위에 차양지주가 설치된 인삼밭의 참고도.

    도 3 :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 :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

    도 5 : 본 고안에서 핸들 폭이 좁게 조절된 상태의 평면도.

    도 6 : 본 고안에서 핸들 폭이 넓게 조절된 상태의 평면도.

    도 7 : 본 고안에서 핸들 폭이 넓게 조절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브라켓 부분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농업용 관리기 (10)--핸들 폭 조절장치

    (11)(12)--핸들 (13)--핸들베이스

    (14)(15)--손잡이 (16)(16a)(17)(17a)--장공

    (18)(19)(25)(26)(27)--축공 (20)(21)--브라켓

    (20a)(21a)--개방부 (21b)--단턱부

    (22)--체결부재 (22a)(23a)(24a)--머리부

    (22b)(23b)(24b)--나사부 (22c)--손잡이

    (23)(24)--축부재 (28)(29)--축관

    (30)(31)(33)--너트 (32)--와셔

    (d1)--본체 폭 (d2)(d4)--핸들 폭

    (d3)--고랑 폭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