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申请号 KR1020160076371 申请日 2016-06-20 公开(公告)号 KR1020170142609A 公开(公告)日 2017-12-28
申请人 도파니 주식회사; 发明人 송찬혁;
摘要 본발명은놀이기구용개선된안전바장치에관한것으로서, 보다구체적으로는놀이기구용개선된안전바장치로서, 탑승의자에착석한놀이기구이용자의상체를커버하여고정지지하기위한좌우대칭형상의프레임구조로형성되는안전바와, 상기안전바의좌우대칭의안전바연결부에각각체결되는안전바클램프를구비하는안전바구성부; 기어박스의제1 격실을관통하여배치되는샤프트와, 상기샤프트의중심에체결고정되어상기제1 격실에위치하는기어와, 상기제1 격실을관통하여상기제1 격실의외부로돌출된샤프트의양단에각각체결되는베어링과베어링하우징으로구성된베어링부재를구비하며, 상기베어링부재가설치된샤프트의양단으로상기안전바클램프가고정설치되는안전바축 연결부; 및상기기어박스의제2 격실에위치되는스토퍼가이드부재와, 상기스토퍼가이드부재의내부를관통하여진입및 후퇴하는스토퍼와, 상기스토퍼가체결고정되고상기기어박스의후단에연결고정되어상기스토퍼의진입및 후퇴의구동력을인가하는구동부재를구비하는안전바스토퍼구동부를포함하는것을그 구성상의특징으로한다. 본발명에서제안하고있는놀이기구용개선된안전바장치에따르면, 안전바구성부와안전바축 연결부및 안전바스토퍼구동부를포함하는안전바장치를구성하되, 놀이기구의탑승의자에착석한놀이기구이용자의안전을위한안전바의회전및 단속고정을위해안전바스토퍼구동부에구비되는스토퍼에대한구동부를하나의단일형태의구조로구성함으로써, 안전바장치의안전성을확보하면서도, 기존방식의안전바장치에비해부품수를 1/2 이하로줄여주고, 개선된간단한구조를제공할수 있도록할 수있다. 또한, 본발명에따르면, 부품수를줄여주는개선된구조의제공을통해안전바장치의제작및 설계가간단하고, 그에따른시공설치의시간감소와함께비용이절감될수 있도록할 수있다.
权利要求
  •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100)로서,
    탑승의자에 착석한 놀이기구 이용자의 상체를 커버하여 고정 지지하기 위한 좌우 대칭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는 안전바(111)와, 상기 안전바(111)의 좌우 대칭의 안전바 연결부(112)에 각각 체결되는 안전바 클램프(113)를 구비하는 안전바 구성부(110);
    기어박스(101)의 제1 격실(102)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131)와, 상기 샤프트(131)의 중심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제1 격실(102)에 위치하는 기어(132)와, 상기 제1 격실(10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격실(102)의 외부로 돌출된 샤프트(131)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는 베어링(133)과 베어링 하우징(134)으로 구성된 베어링부재(135)를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부재(135)가 설치된 샤프트(131)의 양단으로 상기 안전바 클램프(113)가 고정 설치되는 안전바 축 연결부(130); 및
    상기 기어박스(101)의 제2 격실(103)에 위치되는 스토퍼 가이드 부재(151)와, 상기 스토퍼 가이드 부재(151)의 내부를 관통하여 진입 및 후퇴하는 스토퍼(154)와, 상기 스토퍼(154)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기어박스(101)의 후단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154)의 진입 및 후퇴의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재(155)를 구비하는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 축 연결부(130)는,
    상기 스토퍼(154)와 결합 및 이탈되는 기어(132)를 구성하되, 상기 기어(132)는 기어 이의 형상이 비대칭 기어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부재(151)는,
    상기 기어박스(101)의 제2 격실(103)에 위치되어 상기 스토퍼(154)의 진입 및 진출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 원통형상의 스토퍼 하우징(152)과 상기 스토퍼 하우징(152)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싱(153) 및 상기 스토퍼 하우징(152)의 상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토퍼 가이드 볼트(152a)의 체결 조립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55)는,
    상기 스토퍼(154)의 진입 및 후퇴를 위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는 에어(Air) 방식의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55)는,
    상기 스토퍼(154)의 진입 및 후퇴를 위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방식의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 장치(100)는,
    상기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의 스토퍼(154)에 대한 구동부재(155)를 단일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안전바 축 연결부(130)의 기어(132)에 상기 스토퍼(154)가 진입 또는 후퇴하여 상기 안전바(111)의 회전 및 구속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 장치(100)는,
    상기 안전바 축 연결부(130)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가 설치된 기어박스(101)가 탑승의자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 상기 안전바 구성부(110)의 안전바(111)가 상부 하향식으로 회전되고, 상기 기어박스(101)가 탑승의자의 하부에 설치된 경우 상기 안전바 구성부(110)의 안전바(111)가 하부 상향식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 장치(100)는,
    상기 기어박스(101)가 탑승의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바 구성부(110)의 안전바(111)가 상부 하향식으로 회전되는 경우, 탑승의자에 설치될 텅 플레이트(104)와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전바(111)의 하부에 버클(114)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 说明书全文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A IMPROVED SAFETY BAR DEVICE FOR PLAYGR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놀이기구의 탑승의자에 착석한 놀이기구 이용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바의 회전 및 단속 고정을 위한 스토퍼에 대한 구동부를 하나의 단일 형태의 구조로 구성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원시설에는 이용자들이 재미를 만끽하면서 즐거운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각종 놀이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놀이기구들은 흥미 위주의 단순한 놀이기구에서부터 공포와 짜릿한 스릴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있다. 예전에는 놀이기구의 이용자가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층에 편중되어 재미 위주의 단순한 놀이기구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이용자가 모든 연령층으로 확대되면서 복잡한 일상에서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조금은 격하고 짜릿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놀이기구들이 출현하여 젊은 층에 크게 각광받고 있다. 예를 들면, 롤러코스터, 바이킹, 고공낙하 및 번지점프 등이 그것인데, 이러한 놀이기구들은 대체로 정지상태의 정점에서 급작스럽게 자유낙하 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가슴이 철렁 내려않는 전율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전율에 의한 비명으로 스트레스 해소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놀이기구들은 탑승자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탑승자를 안전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한 안전바를 구비한 안전바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놀이기구의 탑승의자 부위에 설치되는 안전바 장치는, 통상적으로 안전바의 회전 및 단속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스토퍼가 안전바의 양 쪽 프레임 연결부에 각각 설치되고, 2개의 스토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역시 2개의 구성으로 구성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바 장치는 복잡한 구조로 부품 수가 증가하고, 작업의 어려움 및 제작 및 설치의 시간이 증가되며,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9805호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을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5784호는 실내용 회전 놀이기구의 안전장치를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안전바 구성부와 안전바 축 연결부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전바 장치를 구성하되, 놀이기구의 탑승의자에 착석한 놀이기구 이용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바의 회전 및 단속 고정을 위해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에 구비되는 스토퍼에 대한 구동부를 하나의 단일 형태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안전바 장치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기존 방식의 안전바 장치에 비해 부품 수를 1/2 이하로 줄여 주고, 개선된 간단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줄여 주는 개선된 구조의 제공을 통해 안전바 장치의 제작 및 설계가 간단하고, 그에 따른 시공 설치의 시간 감소와 함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로서,

    탑승의자에 착석한 놀이기구 이용자의 상체를 커버하여 고정 지지하기 위한 좌우 대칭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는 안전바와, 상기 안전바의 좌우 대칭의 안전바 연결부에 각각 체결되는 안전바 클램프를 구비하는 안전바 구성부;

    기어박스의 제1 격실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중심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제1 격실에 위치하는 기어와, 상기 제1 격실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격실의 외부로 돌출된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는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으로 구성된 베어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샤프트의 양단으로 상기 안전바 클램프가 고정 설치되는 안전바 축 연결부; 및

    상기 기어박스의 제2 격실에 위치되는 스토퍼 가이드 부재와, 상기 스토퍼 가이드 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진입 및 후퇴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후단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의 진입 및 후퇴의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축 연결부는,

    상기 스토퍼와 결합 및 이탈되는 기어를 구성하되, 상기 기어는 기어 이의 형상이 비대칭 기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 가이드 부재는,

    상기 기어박스의 제2 격실에 위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진입 및 진출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 원통형상의 스토퍼 하우징과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싱 및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토퍼 가이드 볼트의 체결 조립으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스토퍼의 진입 및 후퇴를 위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는 에어(Air) 방식의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스토퍼의 진입 및 후퇴를 위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방식의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장치는,

    상기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의 스토퍼에 대한 구동부재를 단일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안전바 축 연결부의 기어에 상기 스토퍼가 진입 또는 후퇴하여 상기 안전바의 회전 및 구속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장치는,

    상기 안전바 축 연결부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가 설치된 기어박스가 탑승의자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 상기 안전바 구성부의 안전바가 상부 하향식으로 회전되고, 상기 기어박스가 탑승의자의 하부에 설치된 경우 상기 안전바 구성부의 안전바가 하부 상향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장치는,

    상기 기어박스가 탑승의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바 구성부의 안전바가 상부 하향식으로 회전되는 경우, 탑승의자에 설치될 텅 플레이트와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전바의 하부에 버클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에 따르면, 안전바 구성부와 안전바 축 연결부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전바 장치를 구성하되, 놀이기구의 탑승의자에 착석한 놀이기구 이용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바의 회전 및 단속 고정을 위해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에 구비되는 스토퍼에 대한 구동부를 하나의 단일 형태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안전바 장치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기존 방식의 안전바 장치에 비해 부품 수를 1/2 이하로 줄여 주고, 개선된 간단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수를 줄여 주는 개선된 구조의 제공을 통해 안전바 장치의 제작 및 설계가 간단하고, 그에 따른 시공 설치의 시간 감소와 함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기어박스 부분의 요부 확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안전바 축 연결부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의 확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변형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변형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기어박스 부분의 요부 확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안전바 축 연결부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의 확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100)는, 안전바 구성부(110), 안전바 축 연결부(130),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전바 구성부(110)는, 탑승의자에 착석한 놀이기구 이용자의 상체를 커버하여 고정 지지하기 위한 좌우 대칭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는 안전바(111)와, 안전바(111)의 좌우 대칭의 안전바 연결부(112)에 각각 체결되는 안전바 클램프(113)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안전바 구성부(110)는 후술하게 될 기어박스(101)가 탑승의자의 상부에 설치되어 안전바 구성부(110)의 안전바(111)가 상부 하향식으로 회전되는 경우, 탑승의자에 설치될 텅 플레이트(104)와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안전바(111)의 하부에 버클(114)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바 구성부(110)의 안전바(1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기구 이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전바 축 연결부(130)는, 기어박스(101)의 제1 격실(102)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131)와, 샤프트(131)의 중심에 체결 고정되어 제1 격실(102)에 위치하는 기어(132)와, 제1 격실(102)을 관통하여 제1 격실(102)의 외부로 돌출된 샤프트(131)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는 베어링(133)과 베어링 하우징(134)으로 구성된 베어링부재(135)를 구비하며, 베어링부재(135)가 설치된 샤프트(131)의 양단으로 안전바 클램프(113)가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안전바 축 연결부(130)는 스토퍼(154)와 결합 및 이탈되는 기어(132)를 구성하되, 기어(132)는 기어 이의 형상이 비대칭 기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기어(132)는 비대칭 기어 구조의 기어 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후술하게 될 스토퍼(154)와의 결합 시에 안정된 구속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는, 기어박스(101)의 제2 격실(103)에 위치되는 스토퍼 가이드 부재(151)와, 스토퍼 가이드 부재(151)의 내부를 관통하여 진입 및 후퇴하는 스토퍼(154)와, 스토퍼(154)가 체결 고정되고 기어박스(101)의 후단에 연결 고정되어 스토퍼(154)의 진입 및 후퇴의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재(155)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의 스토퍼 가이드 부재(151)는 기어박스(101)의 제2 격실(103)에 위치되어 스토퍼(154)의 진입 및 진출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 원통형상의 스토퍼 하우징(152)과 스토퍼 하우징(152)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싱(153) 및 스토퍼 하우징(152)의 상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토퍼 가이드 볼트(152a)의 체결 조립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의 구동부재(155)는 스토퍼(154)의 진입 및 후퇴를 위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는 에어(Air) 방식의 실린더로 구성하거나, 또는 스토퍼(154)의 진입 및 후퇴를 위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방식의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안전바 장치(100)는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의 스토퍼(154)에 대한 구동부재(155)를 단일 형태로 구성하고, 안전바 축 연결부(130)의 기어(132)에 스토퍼(154)가 진입 또는 후퇴하여 안전바(111)의 회전 및 구속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전바 장치(100)는 안전바 축 연결부(130)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가 설치된 기어박스(101)가 탑승의자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 안전바 구성부(110)의 안전바(111)가 상부에서 회전되는 상부 하향식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바 장치(100)는 안전바 축 연결부(130)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가 설치된 기어박스(101)가 탑승의자의 하부에 설치된 경우 안전바 구성부(110)의 안전바(111)가 하부에서 회전되는 하부 상향식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의 변형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100)는, 안전바 구성부(110), 안전바 축 연결부(130),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바 축 연결부(130)와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과 동일한 작동원리가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각각 도시되는 안전바 장치(100)는 안전바 구성부(110)의 안전바(111)의 프레임 구조의 형상의 변형과, 안전바(111)가 하부에서 회전되는 하부 상향식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도 1 및 도 2는 안전바 축 연결부(130)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가 설치된 기어박스(101)가 탑승의자의 상부에 설치되어 안전바(111)가 상부에서 회전되는 상부 하향식을 나타내고, 도 5 및 도 6은 안전바 축 연결부(130)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150)가 설치된 기어박스(101)가 탑승의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안전바(111)가 하부에서 회전되는 하부 상향식을 나타내는 차이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는, 안전바 구성부와 안전바 축 연결부 및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전바 장치를 구성하되, 놀이기구의 탑승의자에 착석한 놀이기구 이용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바의 회전 및 단속 고정을 위해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에 구비되는 스토퍼에 대한 구동부를 하나의 단일 형태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안전바 장치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기존 방식의 안전바 장치에 비해 부품 수를 1/2 이하로 줄여 주고, 개선된 간단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부품 수를 줄여 주는 개선된 구조의 제공을 통해 안전바 장치의 제작 및 설계가 간단하고, 그에 따른 시공 설치의 시간 감소와 함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장치
    101: 기어박스 102: 제1 격실
    103: 제2 격실 104: 텅 플레이트
    110: 안전바 구성부 111: 안전바
    112: 안전바 연결부 113: 안전바 클램프
    114: 버클 130: 안전바 축 연결부
    131: 샤프트 132: 기어
    133: 베어링 134: 베어링 하우징
    135: 베어링 부재 150: 안전바 스토퍼 구동부
    151: 스토퍼 가이드 부재 152: 스토퍼 하우징
    152a: 스포터 가이드 볼트 153: 스토퍼 부싱
    154: 스토퍼 155: 구동부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