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하는 쇼 도어

申请号 KR1020177000447 申请日 2015-06-05 公开(公告)号 KR1020170015489A 公开(公告)日 2017-02-08
申请人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发明人 반스에릭에이; 헌트에릭엘; 메이슨데일; 맥빈케이쓰;
摘要 라이드어트랙션시스템은로봇식작동시스템을이용하여만곡된인클로저벽의만곡된도어를복합궤적을통해제 1 위치와제 2 위치사이에서이동시킨다. 제 1 위치에서, 도어는벽과정합되고, 제 2 위치에서, 도어는벽 내의개구를떠난다. 도어및 벽은둘 모두벽을향해그리고개구를통해이동하는라이드의탑승자에게이미지가디스플레이되는것을가능하게하는디스플레이표면을포함할수 있다.
权利要求
  •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ride attraction system)에 있어서,
    경로를 따라 탑승자를 수송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비히클(ride vehicle);
    휴지 위치(resting position)에서 상기 경로를 점유하게 되는 스크린(screen)으로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경로의 일부를 따라 상기 라이드 비히클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의 휴지 위치로부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병진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포함하는 복합 궤적(compound trajectory)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시스템(actuation system); 및
    상기 작동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라이드 비히클이 상기 스크린에 접근하고 상기 스크린에 의해 비워진 상기 휴지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작동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의 휴지 위치로부터 상기 복합 궤적을 따라 그리고 상기 라이드 비히클의 클리어런스 엔벨로프(clearance envelope) 밖으로 이동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젝션 장치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상기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궤적은 상기 라이드 비히클이 상기 스크린을 지나갈 때까지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표면이 상기 라이드 비히클 쪽을 향한 상태로 있게 하고,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은 상기 복합 궤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스크린 상에 계속 투사함으로써 상기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서 상기 라이드 비히클 내로부터 관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 또는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가 상기 복합 궤적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스크린 상에 실질적으로 왜곡되지 않는 방식으로 재현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투사 이미지(projected image)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왜곡 또는 원근 보정 기능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만곡된 기하학적 구조(curved geometry)를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섹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만곡된 벽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된 벽은 상기 경로의 섹션의 실질적인 광학적 격리(optical isolation)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만곡된 벽 너머의 상기 경로가 전혀 관찰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만 관찰되게 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만곡된 벽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만곡된 벽의 나머지 영역과 정합하여서 상기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경로의 섹션의 실질적인 광학적 격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정합 기하학적 구조(mating geometry)를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벽은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추가의 디스플레이 표면을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투사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투사되는 이미지는 상기 복합 궤적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결정되는 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의 이동을 고려하도록 사전-처리되고, 사전-처리는 상기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스크린의 이동을 숨기기 위해 상기 스크린과 상기 벽의 각자의 에지 사이의 블렌딩(blending)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 및 상기 라이드 비히클에 통신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는, 상기 라이드 비히클이 상기 만곡된 벽을 향해 진행하게 하고,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및 상기 추가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투사되게 하고, 상기 라이드 비히클이 상기 경로를 따라 그리고 상기 만곡된 벽을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작동 시스템이 상기 스크린을 상기 복합 궤적을 따라 상기 경로 밖으로 이동시키게 하도록 상기 라이드 비히클, 상기 작동 시스템 및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의 작동을 조정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시스템은 2 이상의 제어가능한 자유도를 갖는 로봇식 아암(robotic arm)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식 아암은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의 반대측에 상기 스크린에 부착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식 아암은 3 내지 6의 제어가능한 자유도를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식 아암은 이동가능한 커플링을 통해 연결된 강성 부재(rigid member)의 집합을 포함하며, 상기 강성 부재 중 제 1 강성 부재는 제 1 이동가능한 커플링을 통해 플로어(floor)에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경로는 상기 플로어에 고정된 제 1 트랙(track)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라이드 비히클은 상기 트랙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강성 부재는 상기 제 1 트랙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가능한 커플링은 상기 제 1 강성 부재가 상기 플로어를 따라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제 1 강성 부재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가능한 커플링은 상기 플로어를 따른 그리고 상기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벗어난 로봇식 아암 전체의 병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트랙 또는 활주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경로를 따라 라이드 비히클을 이동시키는 단계;
    스크린을 사용하여 상기 라이드 비히클을 향해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경로를 따른 상기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제 1 부분 동안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경로의 전방 섹션을 점유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라이드 비히클이 상기 스크린에 접근하도록 상기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제 1 부분 동안 휴지 위치에 있는, 단계;
    상기 스크린에 결합된 로봇식 작동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 1 복합 궤적을 따라 상기 스크린을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복합 궤적을 따른 상기 스크린의 이동은 상기 라이드 비히클이 상기 스크린과 접촉함이 없이 상기 스크린을 지나가도록 상기 경로를 따른 상기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제 2 부분 동안 또는 상기 제 2 부분 전에 일어나며, 상기 제 1 복합 궤적은 적어도 하나의 병진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포함하는, 단계; 및
    일단 상기 라이드 비히클이 상기 스크린을 지나가면 제 2 복합 궤적을 따라 상기 스크린을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복합 궤적은 상기 스크린을 상기 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작동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식 작동 시스템의 회전 운동만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복합 궤적을 따라 상기 스크린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작동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드 비히클이 위치되는 상기 경로에 근접하게 위치된 추가의 경로를 따라 상기 로봇식 작동 시스템을 병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경로는 상기 경로의 일부에만 걸쳐 연장되어, 상기 스크린이 상기 경로를 따른 상기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일부 동안만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작동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사용하여 상기 라이드 비히클을 향해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션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경로를 따른 상기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제 1 부분 동안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섹션 시스템은 상기 제 1 복합 궤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작동 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는 적어도 부분 인클로저(partial enclosure) 내로 상기 라이드 비히클을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그 이동은 상기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제 1 부분 동안 일어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경로를 점유할 때 상기 적어도 부분 인클로저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부분 인클로저의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외견상 상기 라이드 비히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환경을 생성하도록 투사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제 2 부분 동안 상기 라이드 비히클이 통과해 이동하는 개구를 상기 적어도 부분 인클로저 내에 생성하도록 상기 제 1 복합 궤적을 따라 상기 스크린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작동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상기 제 1 복합 궤적을 따라 그리고 상기 라이드 비히클 위로 이동할 때 상기 이미지를 상기 스크린 상에 계속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가 실질적으로 왜곡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스크린에 의해 계속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스크린이 상기 라이드 비히클 위에 있을 때 보정이 적용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작동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복합 궤적은 상기 제 1 복합 궤적을 되돌아가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작동 방법.
  •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경로;
    상기 경로가 통과해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만곡된 벽;
    상기 경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만곡된 벽을 포함하는 인클로저 내로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비히클;
    상기 만곡된 벽 내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만곡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스크린으로서, 상기 스크린은 4 내지 6의 자유도를 포함하는 로봇식 액추에이터(robotic actuator)를 갖는 로봇식 작동 시스템에 결합되고, 상기 로봇식 작동 시스템은 상기 스크린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개구를 채워 상기 만곡된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라이드 비히클에 관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점유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개구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스크린이 상기 라이드 비히클에 관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점유하지 않는, 상기 스크린; 및
    하나 이상의 프로젝션 장치를 갖고, 상기 만곡된 벽의 표면 및 상기 스크린의 표면 상에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로봇식 작동 시스템 및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과 통신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로봇식 작동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을 사용한 상기 스크린 및 상기 만곡된 벽 상에의 이미지 투사와 동시에 상기 스크린을 복합 궤적을 따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
  • 说明书全文

    이동하는 쇼 도어{MOVING SHOW DOOR}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라이드 어트랙션(ride attraction)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이동가능한 도어(movable door) 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마 파크 또는 놀이 공원 라이드 어트랙션이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놀이기구 라이드(amusement ride)는 일반적으로 경로(예를 들어, 선로 또는 트랙)를 따라 이동하는 라이드 비히클(ride vehicle), 지면에 대해 고정된 라이드,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다. 이동하는 라이드에서, 라이드 비히클이 이동하는 경로는 상이한 환경에(예를 들어, 산꼭대기에, 터널 내에, 수중에) 위치될 수 있다. 경로를 따라, 시각 효과, 음향 효과, 물 효과 등과 같은 상이한 유형의 쇼 이벤트(show event)가 있을 수 있다.

    예로서, 이동하는 탑승자 플랫폼(passenger platform)(즉, 라이드 비히클)이 라이드와 관련된 맞춤-설계된 환경을 포함하는 경로(예를 들어, 레일)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탑승자 플랫폼은 전동식 동물 또는 생물(예를 들어, 공룡), 로봇, 다른 비히클 등과 같은 프로프(prop)를 갖는 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프는 라이드의 사실감 또는 몰입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 폭발 등과 같은 다른 효과와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몇몇 환경은 수중 생물이 있는 수족관, 나뭇잎과 동물이 있는 작은 정글-유사 환경, 또는 유사한 환경과 같은 실제 환경일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된 환경이 탑승자에게 즐거운 경험을 만들어 내는 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지만, 이러한 어트랙션은 추가 개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벽에 의해 섹션(section)으로 분할된 놀이기구 라이드의 섹션을 통과해 탑승자를 이동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의 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그 경험을 탑승자에게 더 즐겁게 만들기 위해 이러한 상이한 섹션 간의 전이(transitioning)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기구 라이드의 하나의 영역으로부터 다른 분리된 영역으로의 전이를 향상시킴으로써 탑승자가 마치 다른 세상으로 보내진 것처럼 느끼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최초에 청구된 주제와 범위가 상응하는 소정 실시예가 하기에 요약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정말로, 본 개시는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그것과는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ride attraction system)은 경로를 따라 탑승자를 수송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비히클(ride vehicle); 스크린(screen)으로서, 스크린은 스크린이 경로를 점유하는 휴지 위치(resting position)를 가지며, 스크린은 경로의 일부를 따라 라이드 비히클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스크린; 스크린에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스크린을 스크린의 휴지 위치로부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병진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포함하는 복합 궤적(compound trajectory)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시스템(actuation system); 및 작동 시스템과 통신하고, 라이드 비히클이 스크린에 접근하고 스크린에 의해 비워진 휴지 위치를 지나갈 때, 작동 시스템으로 하여금 스크린을 스크린의 휴지 위치로부터 복합 궤적을 따라 그리고 라이드 비히클의 클리어런스 엔벨로프(clearance envelope) 밖으로 이동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방법은 경로를 따라 라이드 비히클을 이동시키는 단계; 스크린을 사용하여 라이드 비히클을 향해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경로를 따른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제 1 부분 동안 스크린으로 경로의 전방 섹션을 점유하는 단계로서, 스크린은 라이드 비히클이 스크린에 접근하도록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제 1 부분 동안 휴지 위치에 있는, 단계; 스크린에 결합된 로봇식 작동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 1 복합 궤적을 따라 스크린을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제 1 복합 궤적을 따른 스크린의 이동은 라이드 비히클이 스크린과 접촉함이 없이 스크린을 지나가도록 경로를 따른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의 제 2 부분 동안 또는 제 2 부분 전에 일어나며, 제 1 복합 궤적은 적어도 하나의 병진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포함하는, 단계; 및 일단 라이드 비히클이 스크린을 지나가면 제 2 복합 궤적을 따라 스크린을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제 2 복합 궤적은 스크린을 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시스템은 이동 경로; 경로가 통과해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만곡된 벽; 경로 상에 위치되고, 만곡된 벽을 포함하는 인클로저 내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비히클; 만곡된 벽 내의 개구에 대응하는 만곡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스크린으로서, 스크린은 4 내지 6의 자유도를 포함하는 로봇식 액추에이터(robotic actuator)를 갖는 로봇식 작동 시스템에 결합되고, 로봇식 작동 시스템은 스크린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제 1 위치에서, 스크린은 개구를 채워 만곡된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라이드 비히클에 관하여 이동 경로를 점유하며, 제 2 위치에서, 스크린은 개구로부터 제거되어, 스크린이 라이드 비히클에 관하여 이동 경로를 점유하지 않는, 상기 스크린; 및 하나 이상의 프로젝션 장치를 갖고, 만곡된 벽의 표면 및 스크린의 표면 상에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을 포함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본 개시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 태양, 및 이점이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태양에 따른, 로봇식 작동 시스템을 통해 이동가능한 쇼 도어를 갖는 쇼 벽, 쇼 벽 및 쇼 도어 상에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 및 어트랙션 시스템의 다양한 특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태양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뒤의 관점으로부터의 도 1의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예시하는 도면 - 여기서, 로봇식 작동 시스템의 로봇식 메커니즘이 쇼 도어를 라이드 비히클의 경로 밖으로 이동시켰음 -,
    도 3은 본 개시의 태양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방의 관점으로부터의 도 1의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예시하는 도면 - 여기서, 로봇식 작동 시스템의 로봇식 메커니즘이 쇼 도어를 라이드 비히클의 경로 밖으로 이동시켰고, 쇼 도어 및 쇼 벽은 라이드 비히클의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음 -,
    도 4는 본 개시의 태양에 따른, 도 1의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공정 흐름도, 및
    도 5는 본 개시의 태양에 따른, 벽에 대한 도어의 병진 및 회전 후의 정합 관계 및 상대 위치를 포함한 쇼 벽과의 다양한 공간 관계에 있는 쇼 도어의 도면을 도시하는 스킴(scheme).

    소정의 놀이 공원 어트랙션에서, 이용객은 이미지, 프로프 등과 같은 다양한 쇼 피처(show feature)를 포함하는 영역을 통과해 걷거나 라이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태양에서, 그러한 영역은 집, 터널, 광산, 학교, 방, 또는 이용객이 입장할 수 있는 다른 구조물처럼 보이도록 테마화된 하나 이상의 벽을 갖는 완전 또는 부분 인클로저(enclosu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의 이용객의 몰입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객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는 복잡한(예를 들어, 불규칙) 표면 또는 표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벽은 "쇼 벽(show wall)"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벽의 적어도 일부분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벽은 이용객이 그 안에 위치할 수 있는 부분 또는 완전 돔을 형성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클로저는 몇 개의 선형 또는 불규칙 벽, 및 외견상 몰입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이용되는 만곡된 디스플레이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벽은 예를 들어 라이드 비히클 내의 탑승자의 시야 내에 있는 경로의 섹션을 덮는 부분 인클로저일 수 있거나, 모든 잠재적인 관찰 방향을 완전히 둘러싸는 완전 인클로저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벽이거나 완전 인클로저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벽과 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또한 쇼 벽이 만곡되지 않은(예를 들어, 곧은(straight)) 배열에 적용가능하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쇼 벽은 반드시 그 자체에 의해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인클로저의 일부일 수 있거나 독립된(freestanding) 벽일 수 있다.

    그러한 벽(예를 들어, 독립된 벽, 또는 부분 또는 전체 인클로저)이 이용객에 향상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이제 인식되지만, 소정 상황에서, 특정 라이드 어트랙션의 분리된 상이한 영역에서 벽의 효과를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벽의 만곡된 부분을 통한 도어 제어 이동이 주의 깊게 제어되어야 한다는 것이 또한 현재 인식된다. 예를 들어, 이용객이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 영역 내로 들어갈 때, 벽은 이용객을 벽의 다른 측에 있는 놀이기구 라이드의 다른 섹션으로부터 광학적으로 격리(예를 들어, 이용객이 놀이기구 라이드의 적어도 일부의 다른 섹션을 볼 수 없도록 차단하고, 벽의 다른 측으로부터의 광을 차단)시키도록 의도될 수 있다. 즉, 벽을 통한 임의의 시선(sight line)을 피하기 위해, 또는 이용객이 안에 위치한 동안 벽을 이용해 형성된 부분 또는 전체 인클로저 내로 임의의 광이 들어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벽이 외부 환경에 대해 가능한 한 연속적인(예를 들어, 폐쇄)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부분 인클로저를 형성하도록 만곡되는 벽, 또는 심지어 일부 실시예에서 곧은 벽이 예를 들어 경로의 전방 섹션(또는 라이드 비히클이 탑승자가 경로를 관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 - 그러나 반드시 경로의 후방 섹션(또는 라이드 비히클이 탑승자가 경로를 관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방향)은 아님 - 등의 광학적 격리를 생성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 점과 관련하여, "벽"의 개시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부분 또는 완전 돔, 또는 함께 연결된 다수의 벽(예를 들어, 함께 연결된 3개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곧은 또는 만곡된 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스듬할지라도, 비교적 곧은(평면의) 벽을 통한 포털(portal)을 위해, 라이드 어트랙션의 상이한 섹션은 전통적인 도어 메커니즘(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힌지를 통해 벽의 나머지 부분과 연결된 도어)을 사용하여 서로 충분히 격리될 수 있지만, 본 접근법은 이러한 배열에서도 향상된 격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태양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만곡된 구조에서, 그러한 힌지 메커니즘을 통한 폐쇄는 충분하거나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정말로, 도어와 벽 둘 모두가 만곡되거나, 불규칙적인(예를 들어, 곧지 않은) 에지 기하학적 구조(geometry)를 갖는 실시예에서, 그러한 힌지-기반 폐쇄 메커니즘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거나, 도어 및 벽의 다양한 부분에 기계적 응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벽(예를 들어, 전체 인클로저 또는 부분 인클로저)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도어 및 벽이 연속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는 실시예(예를 들어, "쇼 인클로저", "쇼 부분 인클로저", 또는 "쇼 도어"를 갖는 "쇼 벽")에서, 이미지에 있어서의 불연속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어와 벽 사이의 매우 엄격한 허용오차(tolerance)가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쇼 도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용어 "스크린"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쇼 도어가 이용객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거나 달리 그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쇼 도어"의 개시가 또한 "스크린"의 존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예를 들어, 벽을 완성하기 위한) 벽으로부터의 그리고 벽에의, 도어의 제거 및 재배치가 3차원 공간을 통한 도어의 하나 이상의 복합 궤적(complex trajectory)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제 인식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도어는 도어가 비교적 직선으로 벽의 개구로부터 이탈되고 개구에 접근하게 하는 궤적(제거 및 재배치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으로 제거 및 재배치되지만, 그 궤적은 또한 다른 방향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적어도 하나의 병진 및 도어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포함하는, 도어의 복합 궤적은 작동 시스템을 사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태양에서, 작동 시스템은 적어도 3, 예를 들어 4, 5, 6, 7, 또는 그 초과의 기계 자유도를 갖는 로봇식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로봇식 작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로봇식 액추에이터는 회전가능 베어링, 힌지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이동가능한 커플링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강체(rigid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로봇식 액추에이터는 상기에 언급된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2개 내지 6개의 강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로봇식 액추에이터는 2개 이상의 엘보우-유사(elbow-like) 힌지 메커니즘(예를 들어, 기계적 힌지 조인트), 및 2개 이상의 손목-유사(wrist-like) 완전 회전가능 메커니즘(예를 들어, 기계적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을 갖는 로봇식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도어를 이동시킴으로써, 도어와 벽을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 메커니즘에 의해서만 이동이 제약되는 구성과 비교해 고도로 재현가능한 방식으로 그리고 탁월한 정밀도로 도어가 제거 및 재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시스템을 사용하여 복합 궤적을 따라 도어를 이동시키는 것은 또한, 쇼 도어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도, 쇼 도어에 의해 추가의 시각 효과가 이용객에게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쇼 벽(예를 들어, 곧은 벽, 또는 전체 또는 부분 인클로저)이 쇼 도어를 포함하고 둘 모두가 이용객에게 몰입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많은 상이한 환경에 적용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용어 "쇼 도어"의 사용은 벽(예를 들어, 부분 또는 완전 돔을 형성하는 만곡된 벽)에 의해 분리된 놀이기구 어트랙션의 2개의 섹션 사이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도록 기능하는, 그리고 또한 동시에 이용객이 도어를 지나 이동함에 따라 이용객에게 이미지(예를 들어, 정적 이미지 또는 변화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기능하는 도어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접근법의 다양한 기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본 기술은 놀이 공원의 영역을 통해 이용객을 수송하는 하나 이상의 라이드 비히클을 포함하는 라이드 어트랙션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된다. 개략도인 도 1은 그러한 놀이 공원 라이드 어트랙션(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트랙션(10)은 어트랙션(10)을 통한 경로(14)를 형성하는 트랙(12)을 포함한다. 간략함을 위해, 트랙(12)은 어트랙션(10)의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걸치는 상이한 분할된 섹션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도 1에 명백하게 예시된 특징부와 유사하거나 그것과는 상이한 다른 섹션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류, 지지체 등과 같은 소정 특징부가 명료함을 위해 생략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특징부는 예시된 어트랙션(10)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도 1에 예시된 실시예는, 트랙이 존재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이드 비히클(16)이 그것을 따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정된 경로를 포함하는 구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경로는 환경 특징부, 전자 제어장치, 센서 등을 이용한 사전-프로그래밍된 작동,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라이드 비히클(16)이 트랙(12)에 결합(예를 들어, 트랙(12) 상에 배치되거나 그것에 매달림)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어트랙션(10)을 통해 경로(14)를 따를 수 있다. 라이드 비히클(16)은 이용객을 위한 안착(seating) 또는 다른 고정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경험(예를 들어, 시각, 가청 및/또는 촉각 효과)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이용객의 주의를 어트랙션(10)의 다른 영역으로 돌리기 위해 가청 단서를 제공하도록 스피커가 제공될 수 있다. 라이드 비히클(16)은 또한 라이드 비히클(16)을 트랙(12)을 따라 (예를 들어, 전방 및 후방 방향(18, 20)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기기계 및/또는 전자기 작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그러한 작동 시스템은 추가의 물리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예를 들어, 라이드 비히클(16)의 롤(roll), 피치(pitch) 또는 요(yaw)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의 이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라이드 비히클(16)은 자동화 제어기(예를 들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22)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통신은 유선 및/또는 무선일 수 있고, 제어 시스템(22)이 라이드 비히클(16)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비히클(16)이 정지, 이동 등을 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정말로, 라이드 비히클(16) 내에 수용된 임의의 하나의 기기 또는 기기의 조합이 제어 시스템(22)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어될 수 있다.

    라이드 비히클(16)의 이동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22)은 제어 시스템(22)이 트랙(12)의 다양한 시스템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트랙(12)에 통신 결합될 수 있으며, 제어 신호는 이어서 라이드 비히클(16)이 이동하게(또는 정지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22)은 라이드 비히클(16) 및/또는 트랙(12)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 신호는 다양한 전기기계 및/또는 전자기 액추에이터가 에너지를 공급받게 하고 이에 의해 라이드 비히클(16)을 이동 또는 정지시키거나, 추가의 시각, 가청 또는 촉각 효과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라이드 비히클(16)은 또한 모션 베이스(motion base)까지 트랙(12) 상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모션 베이스에서 라이드 비히클(16)은 멈춘다. 이 모션 베이스 상에 있는 동안, 제어 시스템(22)은 모션 베이스의 작동 시스템과 같은 추가의 시스템이 라이드 비히클을 다양한 피치, 롤 및 요-유사 운동으로 이동시켜 경로를 따른 이동을 시뮬레이션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것은 모션 베이스의 이동과 협력하여 라이드 비히클(16)에 시뮬레이션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벽 및/또는 인클로저와 조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정말로, 제어 시스템(22)은 라이드 비히클(16)의 이동을 라이드 어트랙션(10)의 일부인 다른 시스템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예를 들어, 협력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세서(26)(예를 들어, 협력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가 제어 시스템(22)이 그러한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메모리(24)는 예를 들어 트랙(12), 라이드 비히클(16), 및 라이드 비히클(16) 내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객을 즐겁게 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특징부의 작동을 조정하도록 프로세서(26)에 의해 실행가능한 저장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시스템(22)은 메모리(24)에 저장된 명령어 및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된 프로세서(26)에 의해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22)에 의해 수행되는 행위를 말할 때, 그러한 행위는 처리 회로가 적절한 명령어를 실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임의의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이, 그 장치가 제어 행위의 구현을 위한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회로 및 관련 기기를 포함한다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제어 행위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제어 시스템(22)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및 임의의 적절한 네트워킹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PLC는 재현가능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소정 세트의 행위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생산 라인(예를 들어, 조립 라인)에 이용되는 제어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어트랙션(10)의 상이한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정말로, 그러한 제어기가, 어트랙션(10)의 다른 특징부 중에서도, 쇼 벽(32)의 일부를 형성하는 쇼 도어(30)를 반복해서 제거 및 재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을 제어하는 데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 현재 인식된다. 쇼 벽(32)은 벽이 만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라이드 비히클(16)이 그 안으로 들어가는 부분 또는 완전 인클로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관련 개구를 갖는 블록(block)으로 예시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쇼 벽(32)이 곧은 실시예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제어 시스템(22)은, 예로서, 라이드 비히클(16)이 트랙(12)을 따라 그리고 쇼 벽(32)을 향해(예를 들어, 부분 또는 완전 인클로저를 향해) 전방 방향(18)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22)은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을 사용하여 이러한 이동을 쇼 도어(30)의 이동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드 비히클(16)이 (예를 들어, 벽(32)을 이용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 섹션에 들어가기 위해) 쇼 벽(32)에 접근할 때, 제어 시스템(22)은 쇼 도어(30)를 휴지 위치(resting position) - 여기서 쇼 도어(30)는 라이드 비히클(16)의 경로(14)(예를 들어, 경로(14)의 전방 섹션)를 점유함 - 에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경로(14)를 따른 라이드 비히클(16)의 이동의 제 1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여기서 쇼 도어(30)는 이동하지 않고 라이드 비히클(16)의 대체적인 방향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지 위치는, 소정 실시예에서,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모션 베이스 상에 있을 수 있다.

    경로(14)를 따른 라이드 비히클(16)의 이동의 제 2 부분 동안, 제어 시스템(22)은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쇼 도어(30)를 경로(14) 밖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라이드 비히클(16)이 쇼 벽(32)의 포털(34) 또는 개구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기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에 의한 쇼 도어(30)의 이동은 쇼 도어(30)가 (예를 들어, 벽(32)을 향한 그리고/또는 그것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병진(36)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38)(예를 들어, 정중선 축을 중심으로 한 쇼 도어(30)의 기울어짐)을 포함하는 복합 궤적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쇼 도어(30)의 추가의 또는 과장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은 또한 대체로 라이드 비히클(16)의 전방 및 후방 방향(18, 20)으로 변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은 경로(14)를 따른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의 병진에 의해 쇼 도어(30)를 전방 방향(18)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비록 트랙(12)의 길이의 일부(예를 들어, 라이드 비히클(16)의 1배 내지 5배 길이)에 대해서만이긴 하지만, 전방 방향(18)으로의 라이드 비히클(16)의 이동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쇼 도어(30)를 이러한 방식으로 변위시키는 것은 또한 라이드 비히클(16)이 완전히 인클로저를 빠져나가거나 벽(32)을 통과한 후에도 쇼 도어(30)가 라이드 비히클(16)을 향해 계속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경로(14)를 따른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의 병진 이동은 적어도 작동 시스템(28)의 로봇식 아암을 경로(14)를 따라 변위시킬 수 있는 임의의 메커니즘을 사용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의 로봇식 아암이 경로(14)를 따른 라이드 비히클(16)의 이동의 일부와 동시에 아암을 병진시키는 트랙 또는 슬라이드 메커니즘에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봇식 작동 아암(28)의 이동은 제어 시스템(22)을 사용하여 제어될 것이지만, 다른 제어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단일의 로봇식 작동 시스템(28)(또는 액추에이터) 또는 단일의 쇼 도어의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쇼 벽(32)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 인클로저 내로의 또는 그것 밖으로의 입구(40)(또는 상이한 방향에 대해 상이한 출구)를 형성하도록 다른 도어가 이동할 수 있다. 정말로, 쇼 벽(32)은 쇼 벽(32)에 대응하는 어트랙션(10)의 섹션을 통해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를 이동시킴으로써 입구(40)가 형성된다면, 쇼 도어는 (예를 들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 또는 다른 작동 시스템에 의해) 쇼 도어(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쇼 도어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입구(40)를 형성하는 추가의 도어는 또한 라이드 어트랙션(10)의 다른 섹션으로부터의 출구에 대응할 수 있고, 쇼 도어(30) 및 쇼 벽(32)과 비교해 상이한 테마 또는 상이한 세트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쇼 벽(30)이 만곡되지만 경로(14)의 섹션을 완전히 둘러싸지는 않는 때와 같은, 또 추가의 실시예에서, 입구(40)는 영구적인 개구일 수 있다.

    소정 구성에서, 예를 들어 라이드 어트랙션의 테마에 따라, (예를 들어, 쇼 벽(32) 및 쇼 도어(30)를 향한) 라이드 비히클(16)의 이동의 제 1 부분과 (예를 들어, 쇼 벽(32)을 통한) 라이드 비히클(16)의 이동의 제 2 부분은 지연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예로서, 라이드 비히클(16)은 쇼 벽(32)을 이용해 형성된 완전 또는 부분 인클로저 내에서 멈출 수 있다. 이러한 멈춤 동안, 쇼 벽(32)의 디스플레이 표면(42)으로부터 라이드 비히클(16)을 향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정말로, 라이드 비히클(16)이 쇼 벽(32) 내에서 또는 그것의 전방에서 멈추지 않는 상황에서도, 쇼 벽(32)은 그러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표면(42)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면(42)은 쇼 벽(32)의 내측 표면의 일부분(예를 들어, 만곡된 벽의 오목한 측의 표면)만일 수 있거나, 쇼 벽(32)의 내측 표면 전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쇼 도어(30)는 쇼 도어(30)가 그것의 휴지 위치에 있을 때 벽(3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표면(42)이 벽(32)과 쇼 도어(30) 사이의 정합부를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도록 디스플레이 표면(4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면(42)은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로젝터가 그 위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프로젝션 표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전자발광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 및/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서, 디스플레이 표면(42)은 투사 이미지(44)가 그것에 입사하는 프로젝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표면(42)과 동일측 또는 반대측일 수 있는 프로젝션 표면(46) 상에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50)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4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 시스템(22)의 제어하에서, 투사 이미지(44)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션 시스템(48)은 투사 이미지(44)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예를 들어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저장할 수 있거나, 단순히 제어 시스템(22) 또는 별개의 매체 저장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그것을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작동으로서, 제어 시스템(22)은 라이드 비히클(16)로 하여금 쇼 벽(32)에 의해 형성된 부분 인클로저에 들어가 멈추게 하고, 프로젝션 시스템(48)으로 하여금 투사 이미지(44)를 생성하여서 디스플레이 표면(42)을 통해 라이드 비히클(16)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정 시간 후에(또는 멈춤 없음), 제어 시스템(22)은 라이드 비히클(16)로 하여금 쇼 벽(32)의 포털(34)을 향해 진행하게 하고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으로 하여금 쇼 도어(30)를 복합 궤적을 따라 그리고 경로(14) 밖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라이드 비히클(16) 내의 이용객을 계속하여 즐겁게 하기 위해, 제어 시스템(22)은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젝션 시스템(48)으로 하여금 쇼 도어(30)가 이동하고 있고 (예를 들어, 쇼 도어(30)가 그것의 휴지 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해) 라이드 비히클(16)에 대해 상이한 배향에 있을 때에도 쇼 도어(30) 상에 이미지를 투사하게 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22)은, 투사 이미지(44)가 비스듬한 각도로 쇼 도어(30)에 입사할 때, 그것이 실질적으로 비-왜곡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디셔닝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 도어(30)가 라이드 비히클(16) 위에 또는 아래에 있고 쇼 도어(30)의 디스플레이 표면이 라이드 비히클(16)과 대면하고 있다면, 투사 이미지(44)는 그렇지 않으면 투사 이미지(44)와 쇼 도어(30) 사이의 큰 입사각에 의해 야기될 이미지의 스트레칭(stretching)을 보정하는 적용된 보정 계수(correction factor)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하는 것은 어트랙션(10)의 즐거움을 주는 특성(entertaining quality)을 향상시켜서, 라이드 비히클(16) 상의 이용객을 위한 더 즐거운 경험을 생성할 수 있다.

    라이드 어트랙션(10)의 더 구체적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 2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예시된 라이드 어트랙션(10)은 쇼 벽(32)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만곡된 구조물을 포함한다. 쇼 벽(32)은, 더 구체적으로는, 소정 실시예에서, 상부 섹션(60) 및 하부 섹션(62)과 같은, 상이한 정도의 곡률을 갖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돔-유사 구조물을 포함하는 부분 인클로저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섹션(60)은 벽(32)의 만곡된 부분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 반면, 하부 섹션(62)은 벽(32)을 위한 기부(base)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또한 프로젝션 시스템(48)의 부분, 케이블류, 벤트(vent)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쇼 벽(32)은,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부 섹션(62) 위의 영역에서, 전방 방향(18)으로 벽(32)의 반대측에서의 시선의 존재를 완화시킨다. 다시 말해서, 도 2의 실질적인 광학적 격리는 방향(18)을 따른 탑승자의 관찰을 차단하는 연속적인 프로젝션 표면(예를 들어, 쇼 도어(30)가 벽(32)과 제 위치에 있을 때 형성됨)의 존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또한 프로젝션 시스템(48) 이외의 외부 소스(source)로부터의, 벽(32)의 내부 부분의 실질적인 조명이 없을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프로젝션 표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쇼 도어(30)는 그것의 휴지 위치에서 도어(30)의 에지와 벽(32)의 에지 사이에 공간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도록 쇼 벽(32)과 정합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쇼 벽(32)과 마찬가지로, 쇼 도어(30)가 또한 만곡된다. 구체적으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쇼 도어(30)는 만곡된 에지(64)뿐만 아니라 (전방 방향(18)에 관하여 결정된 바와 같은) 오목 곡률을 포함한다. 쇼 도어(30)의 만곡된 에지(64)와 벽(32)의 대응하는 만곡된 에지(66) 사이의 허용오차(예를 들어, 쇼 도어(30)가 쇼 벽(32)에 정합될 때 이들 에지 사이의 거리)는 1 센티미터 이하, 예를 들어 0.1 내지 0.5 센티미터일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그러한 허용오차는 도어가 벽에 직접 힌지결합되는 단일 힌지식 클로저 메커니즘을 사용해서는 달성가능하지 않을 수 있거나, 적어도 연속적인 디스플레이 표면을 생성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재현가능하지 않다. 또한, 쇼 도어(30)와 쇼 벽(32) 사이의 정합은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을 형성하도록 그것의 에지(64, 66)를 점점 가늘어지도록(taper) 만드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가 도 5에 관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쇼 도어(30)의 디스플레이 표면(68)은 쇼 도어(30)가 개구(34)를 형성하기 위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에 의해 이탈될 때 대체로 후방 방향(20)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하기에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소정 실시예에서,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은 라이드 비히클(16)이 쇼 도어(30)를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디스플레이 표면(68)이 라이드 비히클(16) 쪽을 향하도록 쇼 도어(30)를 조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은 디스플레이 표면(68)이 라이드 비히클(16)의 전방 부분 쪽을 향하거나 그쪽으로 경사지도록 쇼 도어(30)를 조작할 수 있다. 라이드 비히클(16)의 전방 부분이 쇼 도어(30)를 지나간 때, 디스플레이 표면(68)은 이어서 (예를 들어, 쇼 도어(30)를 벽(32)과 정합된 관계로 재배치하기 위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에 의해 돌려질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은 쇼 도어(30)를 조작하기 위해 아암-유사 구조물을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은 쇼 도어(30)에 대한 단일 부착점(70)(그러나 더 많은 부착점이 존재할 수 있음)을 사용해 다수의 자유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은 쇼 도어(30)가 복합 궤적을 중심으로 벽(32)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그리고 그것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함께 가능하게 하는 6개의 상이한 회전축을 포함한다. 적어도 4 자유도, 예를 들어 4 자유도 내지 6 자유도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식으로 쇼 도어(30)의 고도로 재현가능하고 정밀한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이제 인식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6 회전 자유도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향상된 쇼 도어 효과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은 로봇식 메커니즘(74)(예를 들어, 로봇식 액추에이터/아암)이 부착되는 기부 부분(72)을 포함할 수 있다. 기부 부분(72)은 연산 기기(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메모리), 전력 공급 장치, 퓨즈, 서보메커니즘, 케이블류, 열 관리 기기, 신호 변환기, 외부 장치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를 수용할 수 있다. 연산 기기는 로봇식 메커니즘(74)의 복수의 강체 중 단일 강체의 독립적인 작동을 야기하여서, 다양한 축을 중심으로 한 또는 그것을 따른 쇼 도어(30)의 이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로봇식 메커니즘(74)은 기부 부분(72)에 고정식으로 고정된 제 1 강체(76)를 포함하며, 기부 부분은 이어서 라이드 어트랙션(10)의 플랫폼 또는 플로어(floor)(78)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봇식 메커니즘(74)의 부분이 회전가능할지라도, 제 1 강체(76)는 플로어(78)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예를 들어, 기부 부분(72))은, 예를 들어 전방 및 후방 방향(18, 20)으로의, 플로어(78)를 따른 로봇식 메커니즘(74)의 병진을 가능하게 하는 트랙 또는 활주 메커니즘,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진은 트랙(12)을 따른 라이드 비히클(16)의 1배 내지 5배 길이로 제한될 수 있다.

    전기기계, 공압, 유압, 전자기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에너지 전달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로봇식 메커니즘(74)의 다양한 이동가능한 부분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실시예에서, 기부 부분(72)은 전력 변환 장치, 압축기, 자석 등과 같은, 그러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적절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로봇식 메커니즘(74)의 상이한 강체의 작동이 전기기계적으로만 구동된다.

    이제 로봇식 메커니즘(28)의 다양한 부분을 참조하면, 제 1 강체(76)는 제 1 손목-유사 커플링 또는 손목 축으로 고려될 수 있는 제 1 회전 커플링(82)을 통해 제 2 강체(80)에 결합된다. 제 1 회전 커플링(82)은 일반적으로 플로어(78)로부터 그리고 제 1 강체(76)의 중심을 통하여(예를 들어, 전방 방향(18)에 관하여 수직) 한정된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완전 360도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제어 시스템(22)(도 1)은, 예를 들어 벽(32)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또는 쇼 도어(30)의 제거와 그것의 재배치 사이의 시간을 증가시킬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강체(80)의 회전을 제약하는 추가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러한 제약은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의 다양한 연산 기기(예를 들어, 기부 부분(72) 내의 연산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회전 커플링(82)은 로봇식 메커니즘(74)의 이동가능한 부분 전체 및 쇼 도어(30)를 벽(32)을 향해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정말로, 제 1 회전 커플링(82)은 쇼 도어(30)의 복합 궤적의 선형 부분, 즉 3차원 공간을 통하는 쇼 도어(30)의 병진에 대한 상당한 기여자일 수 있다.

    제 2 회전 자유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 2 강체(80)는 제 1 힌지 커플링(86)을 통해 제 3 강체(84)에 결합된다. 제 1 힌지 커플링(86)은 상기에 언급된 수직축에 대해 십자형으로 배향된 - 그러나, 그것으로부터 오프셋됨 -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힌지 커플링(86)을 중심으로 한 제 3 강체(84)의 회전은 쇼 도어(30)에 결합된 로봇식 메커니즘(74)의 나머지의 높이를 제어하고, 제 1 강체(76)의 수직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된 평면을 따라 쇼 도어(30)를 회전시킨다. 정말로, 제 1 힌지식 커플링(86)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쇼 도어(30)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3 강체(84)는 제 1 강체(76)의 수직축에 대해 90도 초과의 각도로 유지되어 쇼 도어(30)를 트랙(12) 위에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라이드 비히클이 트랙(12)에 매달린 때, 제 3 강체(84)는 제 1 강체(76)의 수직축에 대해 90도 미만의 사각(oblique angle)과 같은 소정 각도 미만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 2 힌지식 커플링(88)이 제 3 강체(84)와 제 4 강체(90)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힌지식 커플링(88)은 제 1 힌지식 커플링(86)과 동일한 평면 내에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제 2 힌지식 커플링(88)과 쇼 도어(30)에의 부착점(70) 사이의 더 짧은 거리는 쇼 도어(30)의 기울어짐의 더 큰 정밀도를 가능하게 한다. 즉, 제 1 힌지식 커플링(86)은 제 2 힌지식 커플링(88)에 비해 더 큰 원형 변위로 쇼 도어(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힌지식 커플링(86) 및 제 2 힌지식 커플링(88)은 일반적으로 로봇식 메커니즘(74)이 쇼 도어(30)를 라이드 비히클(16)의 경로(14) 밖으로 벗어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 부분(72)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질수록, 로봇식 메커니즘(74)의 더 미세한 제어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커플링은 라이드 비히클(16)에 대한 그리고 벽(32)에 대한 쇼 도어(30)의 미세 제어 및 위치설정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4 강체(90)는 제 2 회전 커플링(94)을 통해 제 5 강체(92)에 결합되며, 이는 제 4 회전 자유도를 가능하게 한다. 제 3 힌지식 커플링(96)이 제 5 강체(92)와 제 6 강체(98)를 연결하여 제 5 회전 자유도를 가능하게 하고, 제 3 회전 커플링(100)이 제 6 강체(98)를 쇼 도어(30)의 부착점(70)에 연결한다(예를 들어, 제 7 강체를 통해).

    예로서, 쇼 도어(30)를 (예를 들어, 벽(32)과 정합된) 그것의 휴지 위치로부터 예시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합 궤적은, 일반적으로 쇼 도어(30)를 방향(18)을 따라 만곡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로봇식 메커니즘(74)의 이동가능한 부분 전체를 제 2 강체(80)로부터 쇼 도어(30)로 아치형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회전 커플링(82)을 중심으로 한 제 1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로봇식 메커니즘(74)에 의한 추가의 회전은 이러한 이동을 쇼 도어(30)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만든다.

    제 1 힌지식 커플링(86)을 중심으로 한 제 2 회전은 쇼 도어(30) 및 제 3 내지 제 6 강체를 대체로 트랙(12) 및 경로(14)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킨다. 제 2 힌지식 커플링(88)을 중심으로 한 제 3 회전은 이러한 이동을 과장한다. 제 2 회전 커플링(94)을 중심으로 한 제 4 회전은 쇼 도어(30)의 하부 부분(102)이 트랙(12)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는 반면, 제 3 힌지식 커플링(96)을 중심으로 한 제 5 회전은 쇼 도어(30)의 좌측 에지(104) 및 우측 에지(106)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게 한다(예를 들어, 그렇게 하여 그것의 종방향 정중선을 중심으로 우측 에지(106)에 대해 좌측 에지(104)를 상승시킴). 이러한 제 3 힌지식 커플링(96)을 중심으로 한 제 5 회전은 또한 제 1 회전 커플링(82)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회전 운동의 일부가 쇼 도어(30)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선형이 되게 한다. 제 3 회전 커플링(100)을 중심으로 한 제 6 회전은 쇼 도어(30)의 좌측 에지(104) 및 우측 에지(106)가 그것의 중심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게 하여, 다시 우측 에지(106)에 대해 좌측 에지(104)를 상승시킨다.

    쇼 도어(30)를 재배치하기 위해 유사한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쇼 도어(30)를 벽(32)으로부터 제거하는 데 사용된 궤적이 쇼 도어(30)를 벽(32) 상에 재배치하기 위해 반전(예를 들어, 역전)될 필요는 없다. 정말로, 쇼 도어(30)를 재배치함에 있어서, 쇼 도어(30)는 제 1 복합 궤적과 비교해 동일한(즉, 동일한 경로) 또는 상이한(즉, 상이한 경로) 제 2 복합 궤적을 따라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쇼 도어(30)가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것의 디스플레이 표면(68)이 트랙(12) 및 이에 따라 라이드 비히클(16)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제어 시스템(22)은, 소정 실시예에서,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으로 하여금 쇼 도어(30)가 벽(32)으로부터 제거되는 때에도 디스플레이 표면(68)이 계속하여 라이드 비히클(16) 쪽을 향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정말로, 소정 실시예에서, 쇼 도어(30)는, 라이드 비히클(16) 위에 있을 때에도, 계속하여 이미지를 라이드 비히클(16)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로봇식 메커니즘(74)은 프로젝션 시스템(48)의 프로젝터(50) 및 라이드 비히클(16)에 대한 쇼 도어(30)의 적절한 위치 및 배향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쇼 도어(30)를 통한 라이드 비히클(16)에의 계속된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시스템(48)에 의해 이미지로서 재현되는 매체는 이미지 처리 기능을 사용하여 사전-컨디셔닝되어, 투사 이미지(44)의 영역의 스트레칭 및/또는 스퀸칭(squinching)을 생성할 수 있다. 쇼 도어(30)의 디스플레이 표면(68) 상에 투사될 때, 이미지는 실질적으로 왜곡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쇼 도어(30) 및/또는 쇼 벽(32) 상에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는 압축(스퀸칭) 및/또는 확장(스트레칭), 또는 이미지의 상이한 영역의 임의의 다른 왜곡 및/또는 원근 보정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알고리즘(예를 들어, 컴퓨터-기반 프로세스)을 통해 사전-컨디셔닝될 수 있다. 다양한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이 예를 들어 왜곡, 원근 등을 보정하기 위한 많은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프로세스는 쇼 도어(30)를 사용한 쇼 벽(32)의 개방과 폐쇄 간의 전이를 적어도 어느 정도 숨기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쇼 도어(30)가 쇼 벽(32)으로부터 정합-해제된 후에 쇼 도어(30)가 라이드 비히클(16) 내의 이용객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의 예시적인 표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비히클이 쇼 벽(32)을 빠져나갈 때 라이드 비히클(16) 내의 탑승자의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쇼 도어(30)는 벽(32)으로부터 제어되어 그것의 에지(64)뿐만 아니라 쇼 벽(32)의 에지(66)를 노출시킨다. 쇼 도어가 임의의 복합 궤적을 통해 라이드 비히클의 클리어런스 엔벨로프(clearance envelope)(예를 들어, 라이드 비히클이 접촉되지 않도록 라이드 비히클에 의해 점유된 공간) 밖으로 이동될 수 있지만, 예시된 실시예에서 쇼 도어(30)는 그 개략도에서 부분적으로 머리 위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고, 계속하여 그것의 디스플레이 표면(68) 상에 이미지 요소(100)(예를 들어, 구름)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벽(32)은 또한 그것의 디스플레이 표면(42) 상에 이미지 요소(100)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도 1에 관하여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표면(42, 68) 상에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투사 이미지(44)를 생성하는 프로젝터(50)를 포함할 수 있는 프로젝션 시스템(48)은 또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어 시스템(22)이 그러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데이터는 둘 모두 만곡된 디스플레이 표면(42, 68) 상에 실질적으로 비-왜곡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전컨디셔닝될 수 있다. 데이터는 또한 예를 들어 상이한 프로젝터(50)에 의해 생성된 투사 이미지(44) 간의 에지 블렌딩(edge blending)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리고/또는 상이한 깊이의 표면을 보정하도록 사전컨디셔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32)의 에지(66)와 디스플레이 표면(68) 사이의 경계(114)에 걸치는 제 1 이미지 요소(112)는 이들 2개의 구조 특징부 사이의 경계(114)(또는 전이부)를 손쉽게 알 수 없도록 사전-처리될 수 있다. 소정의 이미지 요소의 사전-처리는 예를 들어 시간의 함수로서의 쇼 도어(30)의 운동 경로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쇼 도어(30)가 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프로젝션 시스템(48)(및/또는 제어 시스템(22))은 이미지 요소를 생성하는 데이터를 컨디셔닝하거나, 투사 이미지 요소를 컨디셔닝하여, 예를 들어 그것의 프로젝션 세기가 프로젝터(50)와 도어(30) 사이의 증가된 거리를 고려하기 위해 증가하고, 데이터 및/또는 이미지 요소가 경사짐(angling), 이동 등을 고려하기 위해 컨디셔닝될 수 있다.

    이미지 요소 및/또는 그 이미지 요소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의 이러한 컨디셔닝의 하나의 결과는, 에지(66)가 뚜렷하지 않을 수 있고 이미지 요소(112)에 의해 숨겨진다는 것이다. 데이터의 그러한 사전-컨디셔닝은 이미지 발광(예를 들어, 상이한 세기에서의 프로젝션에 의한 상이한 거리에 있는 2개의 상이한 표면의 조명)에 있어서의 차이에 대한 보정, 상이한 디스플레이 표면(42, 68)의 상이한 입사각에 대한 보정, 라이드 비히클(16) 및/또는 도어(30)의 이동에 따른 색상 변화에 대한 보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개개의 이미지 요소(100)는, 또한 거리, 배향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그것이 어느 디스플레이 표면(42, 68)을 조명하는지에 따라 상이한 정도로 컨디셔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매체는 쇼 벽(32)의 폐쇄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상태로의 전이를 숨겨서, 상이한 환경 사이에서 수송되는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사전컨디셔닝될 수 있다. 라이드 비히클(16)이 벽(32)으로부터 빠져나가거나 그것을 통과한 후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벽(32)의 에지(66) 및 쇼 도어(30)의 점선 에지와 접하는 중첩 부분(116)에 대응하는, 쇼 도어(30)의 나머지 부분이 보일 수 있다.

    관찰자에 대한(예를 들어, 라이드 비히클(16)에 대한) 쇼 도어(30)의 특정한 배향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로봇식 작동 시스템(28)(예를 들어, 로봇식 메커니즘(74))의 관절운동 요소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병진(36)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38)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움직임은 복합 궤적(118)을 생성하며, 그것의 예가 쇼 도어(30)의 측에 예시된다(병진(36)은 그 방향이 페이지 내로임을 나타내기 위해 점으로서 도시됨). 복합 궤적(118)이 병진(36) 및 회전(38)을 포함하지만, 회전(38)은 실제로는 상이한 성분 회전을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회전(38)은 병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쇼 도어(30)의 추가의 회전(예를 들어, 기울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병진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발산하는 복합 회전이다. 따라서,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회전(38)은 다수의 축을 중심으로 한 복합 회전이다.

    다시, 제어 시스템(22)은, 단독으로 또는 라이드 비히클(16), 트랙(12), 로봇식 작동 시스템(28), 프로젝션 시스템(48) 등과 관련된 다양한 처리 장치/연산 기기와 조합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요소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것의 조합의 작동을 조정할 수 있다. 어트랙션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방법(130)의 예가 도 4에 블록 흐름도로서 도시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방법(130)의 실시예는 부분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벽 또는 전체 인클로저의 벽과 같은 벽을 향해 경로(예를 들어, 경로(14))를 따라 라이드 비히클(예를 들어, 도 1의 라이드 비히클(16))을 이동시키는 단계(블록 13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벽은 만곡된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경로는 라이드 비히클이 그 상에 위치되는 트랙에 의해 한정될 수 있지만, 다른 구성은 라이드 비히클에 의한 이동을 제약하기 위해 다른 특징부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드 비히클은 예컨대 환경 특징부에 의해 한정되는 경로를 따른 이동을 위한 사전-저장된 명령(command)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라이드 비히클은 탑승자 및 비히클을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 또는 다른 유형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라이드 어트랙션에서, 제어 시스템(22)은 블록 132에 의해 표현된 행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함에 있어서 라이드 비히클(16)이 트랙(12)을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방법(130)은 또한 쇼 도어(예를 들어, 쇼 도어(30))로 라이드 비히클의 경로를 점유하는 단계(블록 13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134에 의해 표현되는 행위는, 예로서, 쇼 도어로 벽을 완성(블록 136)하도록 쇼 도어를 벽과 정합된 관계로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쇼 도어 및 벽은, 예로서, 라이드 비히클 상의 탑승자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블록 138)하기 위한 연속 디스플레이 표면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쇼 도어 및 벽의 각자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별개의 비-연속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벽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정적일 수 있거나, 즉 변화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쇼 도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또한 변화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벽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와는 별개로 또는 그것과 협력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라이드의 사전결정된 시점에서, 방법(130)은 예를 들어 상기에 기술된 방식의 복합 궤적(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및 적어도 하나의 병진을 포함함)을 사용하여 쇼 도어를 라이드 비히클의 경로 밖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블록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동안, 라이드 비히클은 또한 쇼 도어를 향해 이동하여 벽을 통과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궤적을 따른 쇼 도어의 이러한 이동 동안, 방법(130)은, 소정 실시예에서, 쇼 도어를 사용하여 라이드 비히클에 계속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블록 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그러한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프로젝션 시스템(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젝션 시스템(48))에 의한 이미지 프로젝션, (예를 들어, 도 1의 작동 시스템(28)의) 로봇식 액추에이터에 의한 복합 궤적을 따른 쇼 도어의 이동, 및 시간의 함수로서의 라이드 비히클에 대한 쇼 도어의 위치 및 배향 관계, 경로를 따른 라이드 비히클의 위치, 또는 둘 모두를 고려하기 위한 이미지 사전-컨디셔닝/보정의 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쇼 도어(30)와 쇼 벽(32) 사이의 정합, 및 쇼 벽에 대한 쇼 도어(30)의 이동이 도 5에 관해서 추가로 인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어(30)가 벽(32)과의 정합된 관계(도면의 하부)와 벽(32)에 대해 대체로 십자형 방향에 있는 도어(30)에 의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사이에서 전이할 때의 쇼 벽(32) 및 도어(30)의 단면을 통한 도면을 도시하는 스킴(150)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쇼 도어(30) 및 벽(32)은 만곡될 수 있다. 이들 만곡된 표면 사이의 향상된 정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어(30)의 에지(64)와 벽(32)의 에지(66)는 점점 가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점 가늘어짐은 에지(64, 66) 사이의 정합된 관계(15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합된 관계는 광이 도어(30)와 벽(32) 사이의 접합부를 통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질적으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정합은 도어(30)와 벽(32)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끼워맞춤이 일어나기 위해, 도어(30)는 적어도 짧은 거리에 걸쳐 비교적 곧은 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다시, 그러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로봇식 작동 시스템(28)(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고도로 재현가능하다.

    에지에서의 점점 가늘어짐은 일반적으로 벽(32) 및 도어(30)에 대한 최내측 표면에 비해 더 작은 주연부(perimeter)를 갖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그것의 각자의 디스플레이 표면(42, 68)이 그것의 각자의 외측 표면(154, 156)의 주연부와 비교해 더 작은 주연부를 가질 것임을 의미한다. 각자의 외측 표면(154, 156)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표면 반대편의 표면, 또는 라이드 비히클의 이동 방향으로 멀어지는 쪽을 향하고 있는 표면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의 하부에서 시작하면, 벽(32)과 도어(30)가 정합된 관계로 도시된다. 도 1 및 도 4에 관하여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시스템(48)은 각자의 디스플레이 표면(42, 68)(또는, 구성에 따라, 반대편 표면) 상에 투사 이미지(44)를 투사할 수 있다. 투사 이미지(44)는 그것이 비교적 비-왜곡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표면(42, 68) 상에 표시되도록 픽셀-맵핑(pixel-mapping)될 수 있다.

    도어(30)가 복합 궤적(118)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도어(30)는 적어도 하나의 병진(36)을 따라 이동하며, 이는 도어(30)를 벽(32)에의 억지 끼워맞춤 결합으로부터 잡아당긴다. 다시, 그러한 끼워맞춤은 연속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프로젝션) 표면을 형성하고 라이드 어트랙션의 하나의 섹션을 다른 섹션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투사 이미지(44)는 쇼 벽(32)의 디스플레이 표면(42) 상에 여전히 투사될 수 있다. 그러나, 쇼 도어(30)가 계속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에서, 쇼 도어(30) 상에 투사되는 이미지는 깊이 보정을 갖는 투사 이미지(158)일 수 있다. 다시, 이러한 깊이 보정은 세기 보정(intensity correction), 픽셀 해상도 보정 등에 의한 프로젝터(50)(도 1)와 벽(32) 그리고 프로젝터(50)와 도어(30) 사이의 프로젝션 거리에 있어서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깊이에 있어서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에 관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도어(30)와 벽(32) 사이의 에지 전이를 숨기기 위해 소정량의 에지 블렌딩이 행해질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계속하여 그것의 복합 궤적(118)을 따름에 따라, 도어(30)는 계속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어(30)가 라이드 비히클(16) 아래(즉, 라이드 비히클과 플로어 사이)에 있는 위치로 전이하였고, 그것의 디스플레이 표면(6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 위치(즉, 라이드 비히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어(30)와 플로어 사이에 있음)되고 라이드 비히클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것과는 대조적으로, 상향으로 그리고 라이드 비히클(16)을 향해 경사진다. 디스플레이 표면(68)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요소는 이에 따라 물과 같은, 관찰자 아래에 위치될 수 있는 특징부에 대응할 수 있다.

    가장 위의 구성에서 도어(30) 상에 투사된 이미지는 깊이 보정 및 배향 보정 둘 모두를 갖는 투사 이미지(160)일 수 있다. 그러한 깊이 및 배향 보정은 상기에 언급된 것과 유사한 깊이 보정을 포함할 수 있고, 배향 보정은 입사각에 있어서의 차이, 휘도에 있어서의 추가의 차이 등을 고려하는 적용된 보정 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많은 수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모든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을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