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형 놀이기구

申请号 KR1020137033752 申请日 2012-05-25 公开(公告)号 KR101803597B1 公开(公告)日 2017-11-30
申请人 키친, 윌리엄 제이.; 发明人 키친,윌리엄제이.;
摘要 본발명은트랙을형성하는레일위에장착된걸려진차량이있는타워형놀이기구에관한것으로서, 상기트랙은차량을변경하거나트랙을변환할필요없이차량에대한완전한 2중나선경로이다. 차량은 4 트러스트랙으로부터걸려져있으며안정성을위해 2개의바닥레일위에서타게된다. 또다른실시예는타워위에장착된롤러코스터트랙이다.
权利要求
  • 롤러코스터에 있어서, 상기 롤러코스터는:
    지지 타워;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을 가진 지지 타워에 장착된 트랙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들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레일들 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탑승객 캐리지;
    지지 타워에 장착된 트랙의 제 1 섹션을 포함하되, 트랙의 제 1 섹션은 다양한 배열방향과 경사를 가지며, 트랙의 제 1 섹션은 하부 방향으로의 롤러코스터 트랙으로서 기능하고, 트랙의 하부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복수의 탑승객 캐리지는 중력에 의해 트랙의 제 1 섹션 밑으로 이동되며;
    트랙의 제 2 섹션을 포함하되, 트랙의 제 2 섹션은, 트랙의 제 1 섹션을 밑으로 이동시키는 탑승객 캐리지보다 더 느린 속도에서, 복수의 탑승객 캐리지를 트랙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올리기 위한 구동 시스템을 가지되;
    상기 트랙의 제 1 섹션은 탑승객 캐리지가 뒤집혀지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1 항에 있어서, 트랙의 제 2 섹션은 지지 타워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섹션은 나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트랙의 제 1 부분은 필라들의 외측 직경에 위치되고 트랙의 제 2 부분은 필라들의 내측 직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롤러코스터에 있어서, 상기 롤러코스터는:
    지지 타워;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을 가진 지지 타워에 장착된 트랙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들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레일들 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탑승객 캐리지;
    지지 타워에 장착된 트랙의 제 1 섹션을 포함하되, 트랙의 제 1 섹션은 다양한 배열방향과 경사를 가지며, 트랙의 제 1 섹션은 하부 방향으로의 롤러코스터 트랙으로서 기능하고, 트랙의 하부 방향으로 자유롭게 롤링 운동되는 복수의 탑승객 캐리지는 중력에 의해 트랙의 제 1 섹션 밑으로 이동되며;
    트랙의 제 2 섹션을 포함하되, 트랙의 제 2 섹션은, 트랙의 제 1 섹션을 밑으로 이동시키는 탑승객 캐리지보다 더 느린 속도에서, 복수의 탑승객 캐리지를 트랙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올리기 위한 구동 시스템을 가지되;
    적어도 트랙의 제 1 부분은 필라들의 외측 직경에 위치되고 트랙의 제 2 부분은 필라들의 내측 직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5 항에 있어서, 트랙의 제 2 섹션은 지지 타워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섹션은 나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5 항에 있어서, 구동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5 항에 있어서, 트랙의 제 1 섹션은 탑승객 캐리지가 뒤집혀지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롤러코스터에 있어서, 상기 롤러코스터는:
    지지 타워;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을 가진 지지 타워에 장착된 트랙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들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레일들 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탑승객 캐리지;
    지지 타워에 장착된 트랙의 제 1 섹션을 포함하되, 트랙의 제 1 섹션은 다양한 배열방향과 경사를 가지며, 트랙의 제 1 섹션은 하부 방향으로의 롤러코스터 트랙으로서 기능하고, 트랙의 하부 방향으로 자유롭게 롤링 운동되는 복수의 탑승객 캐리지는 중력에 의해 트랙의 제 1 섹션 밑으로 이동되며;
    트랙의 제 2 섹션을 포함하되, 트랙의 제 2 섹션은, 트랙의 제 1 섹션을 밑으로 이동시키는 탑승객 캐리지보다 더 느린 속도에서, 복수의 탑승객 캐리지를 트랙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올리기 위한 구동 시스템을 가지고;
    지지 타워에 장착된 트랙의 제 3 섹션을 포함하되, 트랙의 제 3 섹션은 다양한 배열방향과 경사를 가지며, 트랙의 제 3 섹션은 하부 방향으로의 롤러코스터 트랙으로서 기능하고,
    복수의 제 2 탑승객 캐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 2 탑승객 캐리지는 중력에 의해 트랙의 제 3 섹션 밑으로 이동되며;
    트랙의 제 4 섹션을 포함하되, 트랙의 제 4 섹션은 복수의 제 2 탑승객 캐리지를 트랙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올리기 위한 구동 시스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9 항에 있어서, 트랙의 제 2 섹션은 지지 타워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섹션은 나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9 항에 있어서, 구동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9 항에 있어서, 트랙의 제 1 섹션은 탑승객 캐리지가 뒤집혀지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트랙의 제 1 부분은 필라들의 외측 직경에 위치되고 트랙의 제 2 부분은 필라들의 내측 직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코스터.
  • 说明书全文

    타워형 놀이기구{TOWER RIDE}

    본 발명은 2011년 5월 26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번호 61/490,135호, 2011년 11월 2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번호 61/554,865호, 2012년 3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번호 61/616,585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 미국 특허출원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트랙을 형성하는 레일 위에 장착된 걸려진 차량이 있는 타워형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타워 위에 트랙이 있는 놀이기구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사실이다. 종래 기술이 가지는 놀이기구의 한 가지 문제점은 타워 위로 올라가는 놀이기구의 전체 길이가 타워 밑으로 내려오는 길이와 똑같지 않으며 타워가 놀이기구 탑승객의 전망 시야를 차단한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한 해결방법은 타워 위로 올라가는 트랙을 나선형으로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타워형 놀이기구에서, 차량(car)이 뒤집어지지 않고 차량을 타워 밑으로 다시 내려보내거나 트랙을 일직선으로 곧바로 내려보내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해결책은, 타워 위로 올라가고 밑으로 내려오는 트랙을 모두 나선 형태로 제작하여, 협소한 공간에서 트랙을 상대적으로 더 길게 만들 수 있으며, 올라가고 내려오는 놀이기구를 똑같은 길이의 개별 놀이기구로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롤러코스터가 가능한 최대한 작은 공간에 수용될 필요가 있다.

    위에서 기술한 관련 기술의 실시예 및 이에 관한 제한사항들은 배타적으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된다. 당업자들에게는, 관련 기술의 그 밖의 제한사항들은 본 명세서를 읽고 도면을 연구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는 타워(tower) 주위로 나선 형태의 상부를 향하는 트랙(track) 및 하부를 향하는 트랙 둘 다 가진 타워형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와 비슷한 타워형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과 이 실시예들의 형태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대표적이며 예시하고자 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들과 함께 기술되고 도시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위에 기술된 문제점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점이 줄어들거나 해결되었으며 그 밖의 실시예들은 그 외의 다른 개선예들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의 한 실시예는 트랙을 형성하는 레일(rail) 위에 장착된 걸려진 차량(suspended car)이 있는 타워형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랙은 차량을 변경하거나 트랙을 변환할 필요 없이 차량에 대한 완전한 2중 나선 경로이다. 차량은 4 트러스 트랙(truss track)으로부터 걸려져 있으며 안정성을 위해 2개의 바닥 레일 위에서 타게 된다. 나선 곡선의 강도는 설계자가 타워의 높이, 차량의 속도 및 놀이기구의 총 길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넓은 범위의 옵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타워형 놀이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는 코스터 타입의 타워형 놀이기구로서, 트랙의 한 섹션(section)은 탑승객 캐리지(rider carriage)를 타워의 상부로 올려 보내는 구동 섹션이고, 트랙의 다른 섹션은 종래의 코스터에서와 같이 탑승객 캐리지를 내려 보내는 하부를 향하는 섹션이다.

    위에서 기술된 대표적인 실시예 및 형태들 외에도,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 추가적인 실시예 및 형태가 자명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들 중 몇몇 도면들에서는 비슷한 도면부호가 똑같은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빌딩, 가령, 호텔의 외측면에 있는 타워형 놀이기구를 도시한 측면 입면도이다.
    도 2는 타워형 놀이기구의 베이스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3은 타워형 놀이기구의 베이스에 있는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타워형 놀이기구의 상부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5는 타워형 놀이기구의 상부에 있는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탑승객 캐리지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7은 트랙의 한 섹션에 있는 탑승객 캐리지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8은 트랙의 한 섹션에 있는 탑승객 캐리지를 도시한 측면 입면도이다.
    도 9는 랙 및 롤러 피니언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0은 롤러 피니언이 있는 탑승객 캐리지를 도시한 상부 투시도이다.
    도 11은 트랙 위에 있는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바닥 투시도이다.
    도 12는 자유 스탠딩 타워 위에 있는 타워형 놀이기구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3은 타워형 놀이기구의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입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상부를 도시한 상부 평면도이다.
    도 15는 대안의 타워형 놀이기구 실시예의 베이스를 도시한 측면 평면도이다.
    도 16은 대안의 가능한 상부를 도시한 측면 평면도이다.
    도 17은 필라에 결부된 트랙에 근접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타워형 놀이기구의 롤러코스터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9는 나선형 내부 트랙이 있는 타워형 놀이기구의 롤러코스터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20은 트랙 위에 있는 차량에 근접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하부 섹션과 상부 섹션 둘 모두 위에 차량이 있는 트랙의 또 다른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트랙 섹션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전망 플랫폼이 있는 타워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술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이 본 발명이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도시된 특정 장치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대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본 명세세에 기술된 실시예들과 도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예시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세어 사용된 용어도 제한하려는 것이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트랙(101)이 있는 타워형 놀이기구(100)를 도시한 투시도로서, 상기 트랙은 타워(200)의 본체(201) 주위로 2중 나선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타워의 본체(201)는 빌딩, 가령, 호텔 또는 그 밖의 고층 빌딩이다. 또한, 놀이기구(100)는 개방형 타워 구조에도 설치될 수 있다. 트랙(101)은 타워의 본체에서 한 방향 즉 윗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는 탑승객 캐리지(104)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나선 섹션(102) 및 타워의 본체에서 그 외의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탑승객 캐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나선 섹션(103)을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섹션(102)은 상부를 향하는 섹션이고 섹션(103)은 하부를 향하는 섹션이다. 하지만, 이것은 오직 예시적인 목적에 한한다. 추진 시스템의 디자인에 따르면, 원할 시에 탑승객 캐리지의 운동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섹션(102 또는 103) 중 어떤 섹션을 상부를 향하는 섹션으로 설정하고 어떤 섹션을 하부를 향하는 섹션으로 설정하는 지는 놀이기구의 작동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는데, 이는 종래 기술의 놀이기구와 상이한 점이다. 제 1 및 제 2 나선 섹션은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타워의 본체의 주 높이(H)에 대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나선 섹션(102) 및 제 2 나선 섹션(103)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배열되지만, 두 섹션 간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한, 탑승객 캐리지(104)가 탑승객 캐리지 밑의 트랙 섹션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는데, 그 밖의 형상, 가령, 평행하게 배열되지 않는 트랙 섹션도 가능하여, 놀이기구(100)를 전망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해 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트랙(101)은 4-코드 트러스(four-cord truss) 위에 형성된다. 4-코드 트러스는 4개의 레일(111, 112, 113 114)로 형성된다. 4개의 레일은 지지부(116)로 서로 연결된다. 대부분의 트랙(102) 도면에서, 레일이 서로 연결된 지지부들은 트랙의 레일을 좀 더 쉽게 보여주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트랙(101) 위에 있는 지지부의 공간배열과 개수는 표준 엔지니어링 고려사항, 가령, 탑승객 캐리지의 중량, 트랙(101) 위에 있는 탑승객 캐리지(104)의 개수 및 탑승객 캐리지에 허용될 수 있는 최대 하중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도 2 및 3을 보면, 타워의 베이스에서, 빌딩(120) 내부에 탑승 구역(loading area)이 있다. 레일(112, 113)은 각각 트랙(101)의 제 1 및 제 2 바닥 레일이며, 탑승객 캐리지(104)를 지지한다. 레일(111, 114)은 트랙(101)의 상부를 형성하며 각각 제 1 및 제 2 상부 레일이다. 레일(112, 114)은 트랙의 내측 레일이며 레일(113, 111)은 제 1 나선 섹션(102) 내에 있는 트랙의 외측 레일들이다. 외측 레일들은 내측 레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위치되며 내측 레일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타워의 바닥에서, 2개의 나선 섹션들은 4-코드 트러스의 배열방향을 변환시키는 트랙의 제 1 S 곡선(115)에 의해 결합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나선 섹션(103) 위에서 레일(112, 114)은 외측 레일이 되고 레일(113, 111)은 내측 레일이 된다. 제 1 바닥 레일(112)은 외측 바닥 레일이 되고 제 2 바닥 레일(113)은 내측 바닥 레일이 된다. 상기 S 곡선(115)은 2개의 나선 섹션(102 및 103)이 상이한 트랙으로 변환되지 않고도 그리고 각각의 레일(112, 113)과의 탑승객 캐리지의 배열방향을 변경하지 않거나 또는 종래 기술에 도시된 그 밖의 임의의 해결책 없이도 서로 결합될 수 있게 한다. S 곡선은 트랙의 배열방향을 변경하고 그 후 탑승객 캐리지의 배열방향을 변경시키는 트랙의 방향-변환 섹션(switch back section)이다. 이것은 탑승객 캐리지의 제 1 면(side)이 트랙의 제 1 나선 섹션 위에서 외부를 향하며 탑승객 캐리지의 제 2 면은 트랙의 제 2 나선 섹션 위에서 외부를 향하고, 놀이기구 캐리지의 제 1 및 제 2 면은 서로 맞은편에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2중 나선 형상으로 인해, 주어진 공간 내에 훨씬 긴 트랙(101)이 허용될 수 있으며, 탑승 시간이 훨씬 더 길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2중 나선 형상으로 인해 놀이 기구 탑승 시간이 더 길어지고 매우 협소한 지면 공간에서 훌륭한 수직 경사 낙하를 가능하게 하여, 협소한 지면 공간에서 가능한 최대로 많이 놀이기구 탑승을 원하는 놀이 동산 및/또는 도시에서 종종 매우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와 5를 보면, 제 2 S 곡선 섹션(130)이 타워의 상부에서 2개의 나선 섹션(102, 103)과 연결된다. 제 2 S 곡선은 다시 변경되어 제 1 S 곡선 섹션(115)에 대해 논의된 것과 같이 레일이 트랙(101)의 내측면과 외측면 위에 있으며, 필요한 트랙이 변경되지 않고도 부드러운 루프(loop)를 완료하고 나선 트랙이 양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탑승객 캐리지(104)가 움직이는 타워(110)의 상부 영역은 플로어(135)를 가진다. 원할 시에는, 놀이기구는 탑승객이 타워(110)의 상부에서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S 곡선 섹션의 결과, 탑승객 캐리지는 트랙의 제 1 나선 섹션(102) 위에서 외부를 향하는 제 1 면과 트랙(101)의 제 2 나선 섹션(103) 위에서 외부를 향하는 제 2 면을 가질 것이다.

    도 6, 7 및 8은 탑승객 캐리지(104)를 도시한다. L형 레일(117, 118)이 도 7과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일(112, 113)의 바닥으로부터 연장된다. 트러스의 2개의 레일이 두 레일(112, 113)의 바닥에 형성되며 세 번째 레일이 그 위에 형성되는 경우, 3-코드 트러스(도시되지 않음)도 사용될 수 있다.

    탑승객 캐리지는 L형 레일(117, 118)을 따라 움직이는 휠(301)이 있는 장착 섹션(300)을 가진다. 놀이기구의 디자인에 따라, 탑승객 캐리지를 레일에 장착하는 그 외의 다른 방법들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휠(301)이 있지만 놀이기구의 디자인에 따라 이보다 많거나 적은 휠이 선택될 수도 있다. 탑승객 캐리지(104)는 장착 섹션(300) 밑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pivotally mounted). 상기 실시예에서, 간단한 액슬 피벗(axle pivot) 디자인이 도시된다. 그 외의 가능한 장착 방법들도 사용될 수 있다. 놀이기구의 디자인에 따르면, 탑승객 캐리지(104)은 탑승객이 탑승하기 위해 충분히 느린 일정 속도로 움직일 수 있거나 탑승객 캐리지의 속도가 서서히 느려질 수 있으며 및/또는 탑승 구역에서 정지할 수도 있다. 탑승객 캐리지(104)는 연속 루프(continuous loop)에서 함께 결부될 수 있거나 탑승객 캐리지 사이에 연결부 없이 레일에 개별적으로 결부될 수도 있다. 탑승객 캐리지가 개별적으로 결부되는 경우, 탑승객 캐리지(104)가 서로 너무 가까이 위치되거나 및/또는 서로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메커니즘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탑승객 캐리지(104)는 트랙 주위에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체인(chain), 케이블 드라이버(cable driver), 랙-피니언 또는 그 외의 다른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탑승객 캐리지(104)는 탑승객 캐리지(104)의 양쪽 면 위에 도어(210)를 가지며, 탑승객이 탑승객 캐리지(104)의 한 면 안으로 들어가거나 및/또는 한 면으로부터 내릴 수 있게 한다. 탑승객 캐리지(104)가 놀이기구의 상부와 바닥에서 S 곡선을 통해 움직일 때 탑승객 캐리지(104)의 배열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탑승객이 항상 트랙의 외측 면 위에서 내릴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형상에서, 탑승객은 트랙의 외측 면 위에서 내릴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탑승객이 트랙을 가로질러 갈(crossing) 필요가 없어서 위험이 적은 것을 의미할 것이다. 몇몇 위치에서 탑승객이 트랙의 내측 면 위에 들어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탑승객이 탑승객 캐리지의 경로 내에 있어야 할 필요 없이 트랙의 내측 면에 위치되게 하도록, 빌딩 내에 상부도로(overpass) 또는 하부도로(under pass)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 10 및 11에는 구동 시스템의 타입의 한 예가 도시된다. 랙-롤러 피니언 구동 시스템(800)이 도시된다. 몇몇 도면에서는 3-코드 트러스 트랙이 도시된다. 이 시스템은 3-코드 트러스 또는 4-코드 트러스 중 하나로 작동될 수 있으며 어떤 제한도 발생 되어서는 안 된다. 랙(801)은 제 1 및 제 2 바닥 레일(112 및 113) 사이에 장착된다. 랙(801)의 톱니는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구동 롤러 피니언(802)은 랙(801)과 맞물리고 모터(804)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피니언(802)은 독립 플로팅 플레이트(803) 시스템 위에 장착된다. 이 모터는 인라인 기어 모터(inline gear motor)이지만 그 밖의 형상으로 장착된 그 외의 다른 모터도 사용될 수 있다. 제 2 롤러 피니언(805) 세트가 제 2 플레이트 세트 위에 장착되어 오버스피드 시스템(overspeed system)을 형성한다. 표준 피니언(도시되지 않음)도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롤러 피니언이 더 조용하고 윤활제(lubrication)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2를 보면, 타워 본체(200)는 접근 메커니즘, 가령, 래더(ladder) 또는 엘리베이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4개 이상의 중앙 필라(106)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탑승 구역(120)의 지붕(121)은 필라(122)들에 의해 지지된다. 접근 메커니즘은 정비를 위해 타워(110)의 상부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트랙(101)은 중앙 필라(106) 주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 지지 필라(109) 위에 장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중앙 필라(106) 주위에는 4개의 지지 필라(109)가 있다. 지지 필라의 개수는 트랙의 중량, 타워의 외주(circumference) 주위로의 회전 횟수, 놀이기구가 가진 탑승객 캐리지의 개수 및 그 밖의 디자인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트랙(102)은 브레이스(도시되지 않음)가 있는 지지 필라(109)에 결부된다. 레일, 지지부 및 브레이스의 중량과 크기는 주어진 설치 상태에 대한 수용가능한 안전 허용오차로 적재된 탑승객 캐리지의 중량을 견뎌내도록 선택된다. 타워의 상부는 엘리베이터(108)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전망 플랫폼(131)을 가질 수 있다. 이 영역은 사람들에게 개방되어, 원하는 설치 용도에 따라 오직 유지보수 접근 용도로 사용되거나 또는 개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트랙(501)이 타워(600)의 본체(601) 주위로 2중 나선을 형성하는 타워형 놀이기구(500)의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타워의 본체(201)는 3개의 칼럼(602, 603, 604)이다. 또한 놀이기구(500)는 개방된 타워 구조 위에 제작될 수 있다. 트랙(501)은 타워의 본체 위에서 상하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탑승객 캐리지(104)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나선 섹션(502)과 타워의 본체 위에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탑승객 캐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나선 섹션(503)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나선 섹션(502)이 칼럼 중 오직 하나(602) 주위로 감기면서 트랙(501)이 시작된다. 선택된 위치(607)에서, 제 1 나선 섹션(502)은 3개의 모든 칼럼들 주위로 끝까지 감기도록 변환된다. 이런 방식으로 트랙을 감기 위해 그 외의 다른 이유들 중에서, 이것은 (높이가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전망이 그다지 좋지 않은 트랙의 섹션을 더 짧게 만드는데, 그 이유는 트랙이 단일의 칼럼 주위로만 감기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탑승객들은 그들이 더 좋은 파노라마 전망을 더 빨리 볼 수 있는 트랙의 섹션으로 갈 수 있게 된다. 제 2 나선 섹션(503)은 위치(607) 밑의 칼럼(604) 주위로 감긴다. 원할 시에, 상기 트랙은 이 3개의 모든 칼럼들을 이용하여 타워(600)의 본체(601) 주위로 감기는 것과 단일의 칼럼 주위로 감기는 것 중에서 임의의 횟수대로 변환될 수 있다. 트랙(501)은 3개의 칼럼(602, 603 및 604) 주위로 감기는 것으로 변환하기 전에 상기 3개의 칼럼 중 임의의 칼럼 주위로 감길 수도 있다. 간결성을 위해, 트랙의 레일과 트랙을 칼럼에 결부하는 지지부들은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섹션(502)은 상부를 향하는 섹션이고 섹션(503)은 하부를 향하는 섹션이다. 하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이유에서 만이다. 추진 시스템의 디자인에 따라, 원할 시에는, 탑승객 캐리지의 이동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어떤 섹션(502 또는 503)이 상부를 향하는 섹션으로 설정되고 어떤 섹션이 하부를 향하는 섹션으로 설정되는 지는, 종래 기술의 놀이기구와는 다르게, 놀이기구의 작동에 아무런 차이를 끼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나선 섹션은 타워의 본체의 주 높이(H)에 대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제 1 나선 섹션(502)과 제 2 나선 섹션(503)은 상기 실시예에서 일정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며, 두 섹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한, 탑승객 캐리지(104)가 트랙 섹션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그 외의 다른 형상, 가령, 서로 평행한 트랙 섹션도 가능하여, 놀이기구(500)에 대해 여러 가능한 디자인의 전망이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놀이기구(550)의 상부의 형태는 보석과 비슷하게 형성된다. 도 16은 축구공 외형을 가진 대안의 상부를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놀이기구의 상부를 다수의 상이한 장식품 디자인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칼럼도 장식품 외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4 및 15를 보면, 제 2 S 곡선 섹션(530)이 타워의 상부에서 2개의 나선 섹션(502, 503)과 결합되고 제 1 S 곡선 섹션(515)은 위에서 논의된 것과 같이 S 곡선 섹션(115 및 130)과 함께 2개의 나선 섹션(502, 503)과 결합된다. S 곡선(515)은 필라(602, 603, 604)의 베이스 간에서 이동된다. 제 2 S 곡선은 다시 변경되어, 레일들은 제 1 S 곡선 섹션(115)에 관해 논의된 것과 같이 트랙(501)의 내측과 외측 위에 있고, 트랙이 변경될 필요 없이 부드러운 루프(smooth loop)를 종료하여 자선 트랙이 양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게 한다. 상부에서 탑승객 캐리지(104)가 움직이는 타워(500)의 상부 영역은 플로어(534)를 가진다. 원할 시에는, 놀이기구는 탑승객이 타워(500)의 상부에서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탑승객은 2개의 상이한 놀이기구를 탈 수 있도록 타워를 올라가고 내려올 수 있게 된다.

    도 17은 칼럼들 중 하나에 결부된 트랙의 한 세그먼트에 근접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한 세트의 가능한 트랙 브레이싱 형상(bracing configuration)이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는 3각형 교차 브레이싱(cross bracing)을 가지지만 그 외의 다른 브레이싱 패턴들도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논의한 도 1 및 9의 실시예들은 전망 놀이기구용 트랙(101, 501)을 사용하며, 탑승객 캐리지는 서서히 움직이며 다소 일정한 속도로 이동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트랙(101, 501)은 전망 놀이기구와 롤러코스터 타입의 놀이기구의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를 향하는 나선 섹션은 탑승객 캐리지가 전망을 볼 수 있도록 놀이기구의 상부까지 서서히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탑승객 캐리지가 상부 S 곡선의 끝부분에 도달하여 나선 섹션의 하부로 출발할 때, 탑승객 캐리지는 구동 수단(체인 드라이브 또는 그 밖의 이미 알려져 있는 구동 수단도 가능함)으로부터 결합해제되어(disengaged) 제 2 나선 섹션에서 밑으로 움직여 롤러코스터에서와 같이 트랙 밑부분으로 자유낙하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탑승객 캐리지는 대부분 캐리지의 연결 체인에 있을 것이다. 탑승객 캐리지는 위에서 논의된 것과 같이 트랙 밑에 걸려 있거나 혹은 표준 코스터에서와 같이 2개의 레일 상부 위에 레일이 장착되거나 혹은 밑에 논의되는 것과 같이 3-코드 트러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가능 실시예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스터 타워(700)를 형성하도록 보다 표준의 코스터 트랙을 지지하기 위해 타워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타워(700)의 도면들에서, 트랙의 레일들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레일들을 함께 타워에 연결하는 지지부들은 도시되지 않았다. 타워 코스터 실시예에서, 트랙(701)으로서 3-코드 트러스가 사용될 수 있거나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4개의 레일 트랙(도시되지는 않음)이 사용될 수 있다. 탑승객 캐리지(702)는 트레인(도시되지 않음) 내에서 함께 연결되거나 또는 트랙 위에서 단독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트랙(701) 위에 있는 지지부의 공간배열과 개수는 표준 엔지니어링 고려사항, 가령, 탑승객 캐리지(702)의 중량, 트랙(701) 위에 있는 탑승객 캐리지(702)의 개수 및 탑승객 캐리지(702)에 허용될 수 있는 최대 하중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타워는 8개의 필라(703)로 형성된다. 놀이기구에 필요한 엔지니어링 고려사항에 따라 이보다 많거나 적은 필라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필라(703)의 형태 또는 개수에는 어떠한 제한도 있어서는 안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트랙은 필라의 외측 직경 및 필라의 내측 직경 둘 모두 위에 배열되어, 트랙(701)의 섹션(704)이 뒤집혀질 수 있게 하고 트랙의 피치(pitch)와 각도를 변경시키도록 더 많은 공간과 옵션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트랙은 연속 루프(continuous loop)이며, 지면 레벨로부터 타워(700)의 상부로 차량을 올리도록 트랙(701)의 한 세그먼트가 트랙(701)의 구동 섹션이 될 수 있게 한다. 한 탑승객 캐리지(702)가 트랙을 올라가는 상태로 도시되고 또 다른 탑승객 캐리지는 내려가는 상태로 도시된다. 코스터 산업에서 이미 알려져 있는 공간배열 및 차단 기술을 사용하여, 동일한 트랙(701) 위에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탑승객 캐리지 트레인(train)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이 경우, 트랙의 하부 섹션은 위에서와 같이 자유낙하 섹션(free fall section)일 수도 있다. 타워(705)의 베이스에서, 승객을 태우고 내리기 위해 탑승 구역(706)이 제공된다.

    타워(710)의 대안의 형상에서, 캐리지를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고 구동된 트랙(711) 섹션은,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측 직경에 위치되며 단순한 나선 형태일 수 있다. 외측 섹션(712)은 루프일 수도 있고 도시된 것과 같이 타워(710) 밑에서 코스터 탑승 동안 피치(pitch)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0을 보면, 트랙(701)에 근접하여 도시하여, 트랙(701)을 내려가는 탑승객 캐리지(702)를 보여준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단일의 탑승객 캐리지(702) 만이 도시되며 트랙(701)의 레일 간의 연결부는 도시되지 않는다. 차량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알아야 한다.

    트랙(701)의 뒤집힌 섹션(704)에 근접하여 도시한 도면이 도 21에 도시된다. 2개의 탑승객 캐리지(702)가 내려가는 상태로 도시되며, 그와 동시에 트랙(701)의 2개의 섹션들도 도시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탑승객 캐리지(702)를 타워로 올리기 위해 엘리베이터(도시되지 않음) 또는 이와 비슷한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2개의 상이한 하부를 향하는 롤러코스터 트랙으로서 트랙의 2개의 개별 섹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놀이기구에서 시간당 더 많은 탑승객들이 탈 수 있게 하고 똑같은 공간을 점유하도록 탑승객들을 분리하는데 필수적일 것이다. 원할 시에, 2개의 트랙이 실제 타워 빌딩의 내측과 외측 위에 위치될 수 있어서, 2개의 트랙 간에 심지어 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게 하며, 한 트랙은 모든 가능성이 존재하는 내부 조절 환경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트랙은 전망이 가능한 외측 트랙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를 보면, 트랙(701)이 섹션(711) 내측에서 올라가고 섹션(712) 내의 외측 직경에서 내려가는 트랙(701)의 상부가 도시된다. 이는 롤러코스터 경우이고 탑승객 캐리지(702)의 배열방향을 비트는(twisting) 것도 수용가능하며, 심지어 원할 때에는 3-코드 트러스 트랙이 보다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롤러코스터 경우에서 상부 방향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의 트랙의 변환은 단순화되는데, 이는 타워의 내측 및 외측 직경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의 A 위치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랙은 중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원할 시에, 타워(700)의 상부는 엘리베이터/계단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수용 공간(75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750)은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망 플랫폼, 식당/쇼핑 구역 또는 그 외의 다른 소매 상점 공간일 수 있다.

    위에서, 다수의 대표적인 형태와 실시예들이 논의되었지만, 당업자는 특정 변형예, 대체예, 추가예 및 이들의 하위 조합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하기 청구범위는 이 모든 변형예, 대체예, 추가예 및 이들의 하위 조합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각의 장치 실시예는 다수의 균등예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고 사용되는 용어 및 표현들은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용어 및 표현들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본 명세서의 부분 또는 기술되고 도시된 특징들의 임의의 균등예들을 배제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특정적으로 기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사상의 선택적인 특징, 변형예 및 개선예들도 당업자가 잘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와 개선예들은 하기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대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명세서에서 특정 범위가 제공될 때, 모든 중간 범위 및 하위 범위들 뿐만 아니라 모든 개별 값들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공되는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및 표현들은 종래 기술에서 식별되는 의미를 가지는데, 이 의미는 당업자에게 공지인 표준 문맥, 저널 참조문헌 및 의미를 참조하여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특정 사용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위에서 언급한 정의가 제공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