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acket stringed by x type

申请号 KR20100114154 申请日 2010-11-16 公开(公告)号 KR20120052831A 公开(公告)日 2012-05-24
申请人 KIM HYOUNG JOO; 发明人 KIM HYOUNG JOO;
摘要 PURPOSE: A racket stringed in an X-shape is provided to reduce the polarity on the ball rotating force transfer and the batting power, and to set a virtual sweet spot surface toward the upper side of a head frame on the racket. CONSTITUTION: A racket stringed in an X-shape includes a handle unit(H), a head frame(20), and an X-shaped string net. The head frame includes a virtual head frame longitudinal axis(Y), a virtual head frame horizontal axis(X), and a virtual head frame center(C). The head frame includes virtual quadrants divided by the virtual head frame longitudinal axis and horizontal axis. The -shaped string net is supported by the head frame, and forms a mesh net in a lozenge shape.
权利要求
  • 손잡이 부(H);
    상기 손잡이 부(H)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부(H)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을 갖고, 양측의 헤드 프레임 측단부(23)를 가로지르며 헤드 프레임(20)내의 상기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 길이의 중간 부위에서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직각으로 교차되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을 갖고,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과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의 교차점인 가상의 헤드 프레임 중앙(C)을 가지며, 헤드 프레임(20)과 그 내외면으로 연장된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과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에 의해 분할되는 가상의 4개의 분면을 갖는데 가상의 헤드 프레임 중앙(C)을 기준으로 그 우상의 분면은 제1사분면이고, 그 우하의 분면은 제2사분면이고, 그 좌상의 분면은 제3사분면이고, 그 좌하의 분면은 제4� �분면을 갖는 헤드 프레임(20); 및
    상기 헤드 프레임(20)에 지지되며, 상기 헤드 프레임(20)의 내외측으로 형성된 상기 가상의 4가지 분면(제1사분면, 제2사분면, 제3사분면 및 제4사분면)중 3가지 분면에 걸치는 가상의 스트링 연장선(S14')이 적어도 제1사분면 및 제4사분면 모두를 지나는 S14스트링과 상기 가상의 4가지 분면(제1사분면, 제2사분면, 제3사분면 및 제4사분면)중 3가지 분면에 걸치는 가상의 스트링 연장선(S23')이 적어도 제2사분면 및 제3사분면 모두를 지나는 S23스트링이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고, 그 X"자 형태로 교차된 스트링(S14 그리고 S23)들은 마름모 형태의 그물망(31)을 만들고, 상기 "X"자 형태로 교차된 스트링(S14 그리고 S23)과 그로 인해 형성된 마름모 형태의 그물망(31)들로 형성되는 "X"자형 스트링 망(30);을 포함하고,
    상기 S14스트링 및 S23스트링은 상기 스트링 망(30)의 가상의 헤드 프레임 중앙(C)을 주위로 주 볼 타격부인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면을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라켓.
  • 청구항 1에 있어서,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이 "X"자 형태로 교차되면서 끼워지는 복수 개의 스트링 홀(60)이 헤드 프레임(20)의 둘레에 형성된 헤드 프레임(20)을 가지는 구기용 라켓(10).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에 있어서,
    주 볼 타격부인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하는 S14스트링들은 서로 평행하며 서로 간의 거리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프레임(20)을 가지는 구기용 라켓(10).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에 있어서,
    주 볼 타격부인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하는 S23스트링들은 서로 평행하며 서로 간의 거리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프레임(20)을 가지는 구기용 라켓(10).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에 있어서,
    주 볼 타격부인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의 교차로 이루어지는 그물망(31)의 각각의 면적의 크기는 가상의 스위트 스팟(SS)외의 각각의 그물망(31)의 면적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프레임(20)을 가지는 구기용 라켓(10).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있어서,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이 함께 하나의 스트링 홀(60)을 지나는 경우에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 또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평행하게 스트링 홀(60)이 헤드 프레임(20)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프레임(20)을 가지는 구기용 라켓(10).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있어서,
    S14스트링 또는 S23스트링이 단독으로 하나의 스트링 홀(60)을 지날 때는 그 단독으로 지나는 스트링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그 스트링 홀(60)이 헤드 프레임(20)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프레임(20)을 구비한 구기용 라켓(10).
  • 说明书全文

    X자형으로 스트링되는 라켓{THE RACKET STRINGED BY X TYPE}

    본 고안은 구기용 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배드민턴, 테니스, 스쿼시 또는 라켓볼 등에 사용되는 라켓에 있어서 "X"자형으로 스트링된 스트링 망(stringed web)을 가지는 헤드 프레임을 구비한 구기용 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종래 기술의 대표적인 것으로,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라켓 헤드를 가지는 배드민턴 라켓을 예로 들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셔틀콕(shuttlecock)을 일반적으로 "볼(ball)"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배드민턴 라켓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테니스 라켓, 스쿼시 라켓 및 라켓볼 라켓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라켓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고안의 개념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공지의 배드민턴 라켓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배드민턴 라켓(10)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립(50)으로부터 샤프트(40) 및 헤드 프레임 하단부(22)를 거쳐 일직선상으로 헤드 프레임 상단부(21)로 연장되어 있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헤드 프레임(20)내의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 길이의 중간 부위에서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양쪽의 헤드 프레임 측단부(23)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을 갖는 헤드 프레임(20)과, 상기 헤드 프레임(20)의 하단부(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샤프트(40), 샤프트(40) 하방으로 구비되어 있는 그립(50), 상기 헤드 프레임(20)내에 셔틀콕이 탄성 내지 반동에 의하여 타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트링 망(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20)은 손잡이 부(H)에 연결되는 헤드 프레임 하단부(22), 손잡이 부(H) 반대쪽의 헤드 프레임 상단부(21), 양쪽의 헤드 프레임 측단부(23), 헤드 프레임 하단부(22)로부터 헤드 프레임 상단부(21)로 연장되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 헤드 프레임(20)내의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 길이의 중간부위에서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직각되게 양쪽의 헤드 프레임 측단부(23)로 연장되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의 교차점인 가상의 헤드 프레임 중앙(C)을 가지며, 헤드 프레임(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스트링 홀(string hole)(60)을 관통하여 스트링이 끼워지며 이들 스트링들이 교차되어 구성된 스트링 망(stringed web)(30)이 지지된다.

    스트링 망(30)은 헤드 프레임(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스트링 홀(60)을 관통하며 내측으로 매설된 스트링들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되는데, 특히 종래의 스트링 망(30)은 도 1, 도 2, 도 4, 도 6 및 도 8에서와 같이 "+"자 형태로 스트링되어져 있다. 즉, 종래의 스트링 망(30)은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여러 개의 세로 스트링(Sy), 및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직각되게 양쪽의 헤드 프레임 측단부(23)로 연장되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여러 개의 가로 스트링(Sx)이 서로 "+"자형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여러 개의 격자형의 그물망(31)들로 형성된다. 세로 스트링(Sy) 및 가로 스트링(Sx)은 또한 스트링 망(30)의 실질적인 중앙 영역에 헤드 프레임 중앙(C) 주위로 주 볼 타격부인 가상의 스위트 스팟(sweet spot:SS)면을 형성한다. 또한,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면 내의 그물망(31)들의 각각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스위트 스팟(SS)면 이외의 그물망(31)들의 각각의 면적의 크기보다 대체로 작다. 한편, 일반적으로 볼을 타격하기 위해 동일한 힘이 인가될 때, 힘의 암(arm)이 클수록 커다란 토크가 형성된다. 즉, 손잡이 부(H)로부터 스트링 망(30)과 볼(ball)과의 타격지점 사이의 거리가 길수록 볼의 반발력이 크고 볼이 나아가는 속도인 비속(flying speed)도 크다. 반대로, 손잡이 부(H)로부터 스트링 망(30)과 볼(ball)과의 타격지점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볼의 반발력 및 비속이 감소된다.

    더불어,종래의 "+"자 형태로 스트링된 라켓을 사용하여 경기시에는, 볼에 강력한 타격력을 가하는 기술인 스매싱(smashing)시에는 일반적으로 라켓 휘두름의 방향과 볼의 진행과 회전 방향이 가상의 헤드 프레임의 종축(Y)의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볼을 스매싱 타격시엔 라켓의 세로 스트링(Sy)보다 가로 스트링(Sx)에 보다 많은 힘이 걸리게 되어 세로 스트링(Sy)은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의 평행관계가 유지가 되지만 가로 스트링(Sx)은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과의 평행관계가 일그러져 스트링이 아래로 미끄러지는 스트링 슬립(string slip) 현상이 가로 스트링(Sx)에만 주로 편향되게 발생한다. 또한, 볼을 타격시에 볼을 라켓의 스트링 망(30)으로 감듯이 쳐 볼에 회전을 강하게 주는 스핀(spin)기술을 사용하는 드라이브(drive)나 슬라이스(slice)도 자주 구사되는데 이때는 라켓 휘두름의 방향과 볼의 회전방향이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의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라켓을 휘둘러 공에 회전을 강하게 가하는 타격력의 대부분이 가로 스트링(Sx)보다는 세로 스트링(Sy)에 걸리게 되어 가로 스트링(Sx)은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과의 평행관계가 유지가 되지만 세로 스트링(Sy)은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의 평행관계가 일그러져 스트링이 좌우의 한쪽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스트링 슬립(string slip) 현상이 세로 스트링(Sy)에만 주로 편향되게 발생한다. 결국 경기 중에 볼 타격시에 세로 스트링(Sy) 및 가로 스트링(Sx)에 걸리는 볼 타격력의 편중 또는 불균형으로 인하여 스트링들이 볼 타격전의 정상위치에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스트링 슬립 현상이 한쪽 방향의 스트링에만 편중되게 발생되어 타격 후에는 플레이어가 스트링들을 볼 타격 전의 정상위치로 재조정해야 하는 불편함과 그물망(31) 형태의 일그러짐으로 인하여 볼 타격력 전달의 감소, 볼 제구력의 감소 및 볼 비속의 감소를 일으키는 단점들이 있었다.

    또한, 라켓으로 볼을 타격시에는 충격이 발생하는데, 이를 플레이어에게 보다 덜 전달되게 하기 위하여 라켓의 헤드 프레임(20) 및 손잡이 부(H) 등 여러 부분에 고무재질의 장치 부착 및 구조의 변경 등 특별한 장치들을 설정하고 있으나, 그 충격이 스트링을 타고 라켓 및 플레이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분산하거나 흡수하기 위한 스트링 망(30)의 개선은 없었다. 특히 종래의 라켓은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면에 공을 타격하더라도 그 충격을 가로로는 그 가로 스트링(Sx)에 의해 헤드 프레임의 측단부(23) 등에서 흡수하나, 그 충격이 세로로는 세로 스트링(Sy)을 타고 헤드 프레임의 상단부(21), 헤드 프레임의 하단부(22), 샤프트(40) 및 그립(50)을 포함한 손잡이 부(H)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바로 전달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3가지 큰 관점에서 종래의 일반적으로 라켓의 설계에 있어서 헤드 프레임(20)의 가상의 스위트 스팟(SS)의 면적을 보다 넓게 만들더라도, 손잡이 부(H)로부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면과 볼(ball)과의 타격지점 사이의 거리를 길게 만드는 데 한계가 있었고, 강력하게 볼을 타구하는 스매싱(smashing) 또는 볼에 강력한 회전을 거는 드라이브(drive)나 슬라이스(slice) 등의 기술을 구사하여 볼 타격 시에는 가로 스트링(Sx) 또는 세로 스트링(Sy)의 한쪽 방향의 스트링에만 편향된 타격력 및 볼 회전력이 대부분 걸리게 되어 스트링의 편향된 미끄러짐 현상으로 인하여 가상의 헤드 프레임의 횡축(X) 또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의 종축(Y)과의 평행이 편향되게 일그러지는 현상과 볼 타격기술의 종류에 따라 타격력과 볼 회전력이 한쪽 방향의 스트링에만 대부분 편�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그물망(31) 형태의 일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데 미흡하였으며, 세로 스트링(Sy)을 타고 전해지는 볼과의 타격에 의한 충격이 헤드 프레임 상단부(21), 헤드 프레임 하단부(22) 및 손잡이 부(H)를 거쳐 플레이어에게 직접 전달되는 반면에 헤드 프레임(20)의 다른 여러 부분으로 충격을 분산하고 흡수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플레이어가 라켓으로 볼을 타격시에 강력한 볼 타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라켓의 헤드 프레임 상단부(21)쪽으로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볼에 강력한 타격력을 가하는 스매싱(smashing) 또는 볼에 강한 회전을 거는 드라이브(drive) 또는 슬라이스(slice) 등 다양한 기술을 구사하여 볼 타격시 가로 스트링(Sx) 또는 세로 스트링(Sy)에 가해지는 타격력 및 볼회전력 전달의 편향성을 해소하여 가로 스트링(Sx) 또는 세로 스트링(Sy)의 한쪽 방향의 스트링만 편향되게 미끄러지는 스트링 슬립(string slip)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면에 볼이 타격되더라도 그 충격의 대부분이 헤드 프레임(20)의 여러 부분으로 분산되도록, 종래의 "+"자형 스트링 망(30)을 개선한 "X"자형 스트링 망(30)을 구비한 헤드 프 레임(20)을 가지는 라켓(10)을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를 가져다주는 "X"자형 스트링 망(30)을 구비한 헤드 프레임(20)을 가지는 라켓을 제공하기 위해서 만약에 종래의 라켓(10)의 가로 스트링(Sx)과 세로 스트링(Sy)의 "+"자형 교차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스트링 홀(60)의 스트링 홀간의 배치 간격 및 스트링 홀의 헤드 프레임내로의 관통방향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본 고안의 특징인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을 설정하고 그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을 "X"자 형태로 교차시켜 스트링 망(30)을 설정한다면,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14스트링 간의 평행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서로 간의 거리도 동일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23스트링 간의 평행도 이루어지지 않으며 서로 간의 거리도 동일하지 않으며 올바른 모양의 가상의 스위트 스팟(SS)이 형성되지 않아, 볼 타격시 강한 충격이 가� �지는 헤드 프레임의 내구성에 심각한 손상을 발생시키며 더불어 볼 타격력, 볼 제구력 및 비속 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새로이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을 설정하고, 그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이 "X"자 형태로 교차되며, 그 스트링이 헤드 프레임(20)내에 적합하게 매설되도록 스트링 홀(60)의 관통 방향과 간격을 새로이 설정한다.

    본 고안이 종래의 라켓과는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 도 5, 도 7 및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켓의 평면도로서 라켓(10)은 그립(50)과 그립(50)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40)를 포함한 손잡이 부(H), 복수 개의 스트링 홀(60)을 가지는 헤드 프레임(20), 헤드 프레임(20)에 지지되는 스트링 망(30) 및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면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배드민턴 라켓을 예로 들고 있지만, 본 고안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테니스 라켓, 스쿼시 라켓 및 라켓볼 라켓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라켓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고안의 개념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헤드 프레임(20)은 손잡이 부(H)에 연결되는 헤드 프레임 하단부(22), 손잡이 반대쪽의 헤드 프레임 상단부(21), 양쪽의 헤드 프레임 측단부(23), 손잡이 부(H)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의 헤드 프레임(20)내의 중간 부위에서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직각되게 양쪽의 헤드 프레임 측단부(23) 및 그 외부로 연장되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과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의 교차점인 가상의 헤드 프레임 중앙(C)을 갖고, 헤드 프레임(20)과 그 내외면으로 연장된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과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Y)에 의해 분할되는 가상의 4개의 분면을 갖는데 가상의 헤드 프레임 중앙(C)을 기준으로 그 우상의 분면은 제1사분면이고, 그 우하의 분면은 제2� �분면이고, 그 좌상의 분면은 제3사분면이고, 그 좌하의 분면은 제4사분면이며, 헤드 프레임(20)엔 스트링이 끼워지며 지지되는 복수 개의 스트링 홀(60)을 구비한다.

    특히, 본 고안의 특징인 "X"자형 스트링 망(30)은 헤드 프레임(20)의 내외측의 가상의 4가지 분면 중 3가지 분면에 걸치는 가상의 스트링 연장선(S14')이 적어도 제1사분면 및 제4사분면 모두를 지나는 여러 개의 S14스트링과 헤드 프레임(20)의 내외측의 가상의 4가지 분면 중 3가지 분면에 걸치는 가상의 스트링 연장선(S23')이 적어도 제2사분면 및 제3사분면 모두를 지나는 여러 개의 S23스트링이 서로 "X"자 형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여러 개의 마름모 형태의 그물망(31)들로 구성된다. 이들 여러 개의 S14스트링과 여러 개의 S23스트링은 또한 주 볼 타격부인 마름모 형태의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면(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형성한다. 스위트 스팟(SS) 영역을 지나가는 여러 개의 S14스트링은 서로 간에 평행하며 서로 간의 간격 또한 일정하며, 마찬가지로 스위트 스팟(SS)영역을 지나가는 여러 개의 S23스트링은 서로 간에 평행하며 서로 간의 간격 또한 일정하며, 이들 스트링의 교차로 형성된 그물망(31)들의 실질적인 면적과 형태는 동일하다. 스위트 스팟(SS)영역 이외의 스트링 망(30)을 지나가는 인접한 S14스트링은 서로 간에 대략 평행에 가까우며 서로 간의 간격은 스위트 스팟(SS) 영역내의 인접한 S14스트링의 간격보다는 일반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스위트 스팟(SS) 영역 이외의 스트링 망(30)을 지나가는 인접한 S23스트링은 서로 간에 대략 평행에 가까우며 서로 간의 간격은 스위트 스팟(SS) 영역내의 S23스트링의 간격보다는 일반적으로 넓게 형성되므로, 그 스위트 스팟(SS) 영역외의 교차되는 스트링들로 형성된 그물망(31)들의 각각의 면적은 스위트 스팟(SS) 영역 내의 그물망(31) 각각의 면적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즉,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14스트링간은 평행하며 서로 간의 거리가 동일하며 마찬가지로 그 스트링이 지나가는 헤드 프레임(20) 내의 인접한 그 스트링 홀(60) 또한 평행하며 서로 간의 거리도 동일하며 더불어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23스트링도 평행하며 서로 간의 거리가 동일하며 마찬가지로 그 스트링이 지나가는 헤드 프레임(20) 내의 인접한 그 스트링 홀(60) 또한 평행하며 서로 간의 거리도 동일하며, 이로 인하여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그물망(31)의 각각의 면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그물망(31)의 각각의 면적의 크기가 가상의 스위트 스팟(SS)외의 그물망(31)의 각각의 면적의 크기보다 작으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의 형태가 마름모 형태를 이룬다.

    즉, 헤드 프레임(20)을 관통하는 스트링 홀(60)의 방향성에 있어서, 종래의 라켓(10)은 도 2 및 도 8에서 보듯이, 스트링의 진행방향이나 스트링 홀(60)을 거쳐가는 스트링이 1개이든 2개이든 상관없이 헤드 프레임(20)의 스트링 홀의 헤드 프레임과의 가상의 외접선(70)과 스트링 홀(60)의 관통 방향이 직각을 이루는 스트링 홀(60)이 대다수이지만, 도 7 및 도 9에서 보듯이 본 고안 헤드 프레임(20)의 스트링 홀(60)의 관통 방향은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이 함께 하나의 스트링 홀(60)을 지나는 경우에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과 평행하거나 직각되게 스트링 홀(60)이 헤드 프레임(20)을 관통하지만 S14스트링 또는 S23스트링이 단독으로 하나의 스트링 홀(60)을 지날 때는 그 스트링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그 스트링 홀(60)이 헤드 프레임(20)을 � �통하며 그 인접한 스트링 홀의 간격 또한 일정하도록 설정하였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 및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시 및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레이어가 라켓(10)으로 볼을 타격시에, 라켓(10)을 동일한 힘으로 스윙할 때 힘의 암(arm)이 커지면 형성되는 토크도 커지므로 강력한 볼 타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주 볼 타격부인 가상의 스위트 스팟(SS) 영역을 라켓 헤드 프레임 상단부(21)쪽으로 설정할 수 있어 볼 타격시 매우 큰 타격력이 발생되어 볼의 반발력과 비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볼에 강력한 타격력을 가하는 스매싱(smashing) 또는 볼에 강한 회전을 거는 드라이브(drive) 또는 슬라이스(slice) 등 다양한 기술을 구사하여 볼 타격시에 본 고안의 두 스트링(Sx 그리고 Sy) 모두에 타격력이 고르게 전달되므로 종래의 한쪽 방향의 스트링(Sx 또는 Sy)만의 편향된 스트링 슬립(string slip) 발생의 문제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그물망(31)의 형태의 일그러짐의 발생 또한 억제할 수 있어 타격력이 두 스트링(S14 그리고 S23) 모두에 고르게 전달되어 타격력의 손실 방지, 볼 제구력의 향상 및 볼 비속의 증가를 기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스위트 스팟(SS)에 볼이 타격되더라도 그 충격의 대부분이 "X"자 형태의 스트링을 타고 분산되어 그 충격이 헤드 프레임 상단부(21), 헤드 프레임 하단부(22) 및 손잡이 부(H)를 거쳐 플레이어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헤드 프레임(20)의 다른 여러 부분으로 그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하여 볼 타격으로 인한 충격이 플레이어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드민턴 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라켓의 스트링 망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스트링 망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라켓의 스트링 망 구성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스트링 망 구성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라켓의 스트링 망의 스위트 스팟이 표시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스트링 망의 스위트 스팟이 표시된 평면도
    도 8은 도 2의 기호 "가"의 확대도
    도 9은 도 7의 기호 "나"의 확대도

    본 고안의 특징들인 상술한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을 설정하고, 그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을 상술한 방식으로 "X"자 형태로 교차시키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14스트링간은 평행하며 서로 간의 거리가 동일하며 더불어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23스트링도 평행하며 서로 간의 거리가 동일하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그물망(31)의 각각의 면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그물망(31)의 각각의 면적의 크기가 가상의 스위트 스팟(SS)외의 그물망(31)의 각각의 면적의 크기보다 작으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의 형태가 마름모 형태를 이루도록 헤드 프레임(20)에 스트링한다.

    본 고안의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해 헤드 프레임(20)내를 관통하는 스트링 홀(60)을 재배치 설정한다. 즉,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14스트링이 관통하는 스트링 홀(60)은 서로 간의 간격의 길이는 동일하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23스트링이 관통하는 스트링 홀(60)의 서로 간의 간격의 길이도 동일하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14스트링이 관통하는 스트링 홀(60)은 서로 평행하며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인접한 S23스트링이 관통하는 스트링 홀(60)도 서로 평행하며, S14스트링과 S23스트링이 함께 하나의 스트링 홀(60)을 지나는 경우에는 종래의 라켓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X) 또는 가상의 헤드 프레임의 종축(Y)과 평행하게 스트링 홀(60)이 헤드 프레임(20)을 관통하지만, S14스트링 또는 S23스트링이 단독으로 하나의 스트링 홀(60)을 지날 때는 그 스트링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스트링 홀(60)이 헤드 프� �임(20)을 관통하며, 일반적으로 스위트 스팟(SS)외의 스트링(Sx 및 Sy)이 관통하는 인접한 스트링 홀(60)의 간격의 길이는 가상의 스위트 스팟(SS)내의 스트링이 관통하는 인접한 스트링 홀(60)간의 간격의 길이보다 크며 그 간격의 길이는 불규칙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특징들을 모두 구비한 스트링 홀(60)의 배치 설정을 가지는 헤드 프레임(20)에 "X"자형으로 스트링된 라켓(10)을 제공한다.

    10: 배드민턴 라켓
    20: 헤드 프레임 21: 헤드 프레임 상단부
    22: 헤드 프레임 하단부 23: 헤드 프레임 측단부
    30: 스트링 망 31: 그물망
    40: 샤프트 50: 그립
    60: 스트링 홀
    70: 스트링 홀의 헤드 프레임과의 가상의 외접선
    H: 손잡이 부
    X: 가상의 헤드 프레임 횡축 Y: 가상의 헤드 프레임 종축
    C: 가상의 헤드 프레임 중앙
    Sx: 가로 스트링 Sy: 세로 스트링
    S14: 스트링의 가상의 연장선이 적어도 제1사분면 및 제4사분면 모두를 지나는 스트링
    S14': 헤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스트링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적어도 제1사분면 및 제4사분면 모두를 지나는 가상의 스트링 연장선
    S23: 스트링의 가상의 연장선이 적어도 제2사분면 및 제3사분면 모두를 지나는 스트링
    S23': 헤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스트링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적어도 제2사분면 및 제3사분면 모두를 지나는 가상의 스트링 연장선
    SS: 가상의 스위트 스팟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