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 장치 및 그의 천공 방법

申请号 KR1020140058327 申请日 2014-05-15 公开(公告)号 KR1020150131540A 公开(公告)日 2015-11-25
申请人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发明人 정홍실; 김상효; 김경중; 명세호; 김종환; 류대현; 장민;
摘要 천공장치가개시된다. 본천공장치는복수의열 및행로구성되어, 입력되는부호어비트들을상기복수의열에라이트하고, 부호어비트들이라이트된복수의열의각 행을리드하여인터리빙을수행하는인터리버및 인터리버에서출력되는비트들중에서기설정된개수의비트를천공하는천공부를포함한다.
权利要求
  • 천공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열 및 행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상기 복수의 열에 라이트(write)하고, 상기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각 행을 리드(read)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인터리버; 및,
    상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천공(puncturing)하는 천공부;를 포함하는 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는,
    상기 복수의 열 중 첫 번째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열의 마지막 행까지 상기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라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는,
    상기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한 후, 상기 순서가 재정렬된 복수의 열의 각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장치.
  • 천공 장치의 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열 및 행로 구성된 인터리버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상기 복수의 열에 라이트(write)하고, 상기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각 행을 리드(read)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천공(punctur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공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열 중 첫 번째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열의 마지막 행까지 상기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라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한 후, 상기 순서가 재정렬된 복수의 열의 각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방법.

  • 说明书全文

    천공 장치 및 그의 천공 방법 { PUNCTURING APPARATUS AND PUN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천공 장치 및 그의 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개수의 비트를 천공하는 천공 장치 및 그의 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극 부호(polar codes)는 2009 년 Arikan에 의해 개발된 오류정정부호(error correction codes)로, 이론적으로 이진 입력 이산 무기억 대칭 채널(binary-input discrete memoryless symmetric channel)에서 채널 용량을 달성하는 부호이다. 그러나, 극 부호는 2×2 커널(kernel) 행렬로 설계될 때, 부호의 길이가 2의 거듭제곱으로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극 부호는 채널 양극화(channel polarization) 현상에 기반하여 생성된 K×N 크기의 생성행렬(generator matrix) G를 통해 생성된다. 여기에서, G 행렬은 이진(binary) 값으로 구성된 행렬이며, N=2 n (n은 1 이상의 자연수)이고, K는 N이하의 자연수이다.

    이에 따라, 이진 값으로 구성된 길이 K의 행 벡터(row vector)인 u에 대응하는 극 부호어(polar codeword) x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진 값의 덧셈은 modulo-2 연산으로 수행되며, 극 부호어 x는 이진 값으로 구성된 길이 N의 행 벡터가 된다. 이때, u 값의 변화에 따라 극 부호어 x 또한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u와 x의 맵핑(mapping) 관계를 극 부호라 지칭한다.

    한편, 극 부호의 길이 N은 2의 거듭제곱 값만을 가지기 때문에, 부호의 길이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천공(puncturing) 기법이다. 천공은 부호의 길이 및 부호율(code rate)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부호어를 구성하는 비트 중 일부를 제거하여 전송하지 않는 방법이다. 이때, 천공되기 전의 부호를 모-부호(mother code)라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천공하는 비트들을 p라 할 때, K=4, N=8인 극 부호에 대하여 3 비트(=p)를 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성행렬 G를 통해 생성된 u에 대응하는 극 부호어 x가 x 0 , x 1 , x 2 , x 3 , x 4 , x 5 , x 6 , x 7 비트로 구성될 때, 8 개의 부호어 비트 중 x 1 , x 4 , x 7 비트를 천공하면, 나머지 x 0 , x 2 , x 3 , x 5 , x 6 비트만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은 천공기법은 한 비트 단위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N 보다 작은 모든 부호길이를 만들 수 있다. 한편, 천공을 수행할 때 N과 p에 따라 다양한 천공 패턴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같은 개수의 비트를 천공해도 천공 패턴에 따라 부호의 오율(error rate) 성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어떤 비트를 천공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극 부호를 위한 천공 방법 중 하나로 준-균일(quasi-uniform) 천공 기법이 있다. 준-균일 천공기법은 극 부호어 비트들의 인덱스를 비트-역순(bit-reversal)으로 정렬한 후, 해당하는 인덱스에 대응하는 부호어 비트들을 순서대로 천공하는 기법이다.

    비트-역순 정렬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호 길이 N=2 n 에 대하여 0,1,...,N-1의 비트 인덱스들을 n 비트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인덱스 0은 00...0, 인덱스 1은 00...1, ..., 인덱스 N-1은 11...1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n 비트들 각각을 모두 좌우 대칭 회전시킨 후 해당 비트들을 다시 십진수 인덱스로 바꾼다.

    이와 같은 방법의 일 예로 N=4 또는 N=8에 대하여 비트-역순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N=4 에 대하여 비트-역순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하였으며, 도 2(b)는 N=8에 대하여 비트-역순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길이 N에 대하여 비트 인덱스들을 비트-역순으로 정렬한 후,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p 개의 부호어 비트들을 천공한다. 예를 들어, 도 2(a)의 경우 N=4, p=2일 때 준-균일 방법으로 천공하게 되면 x 0 , x 2 비트가 천공되고, 도 2(b)의 경우 N=8, p=2일 때 준-균일 방법으로 천공하게 되면 x 0 , x 4 비트가 천공될 수 있다.

    한편, 준-균일 천공기법은 간단한 비트-역순 정렬 및 순차적 천공을 통해 다양한 길이의 극 부호 설계를 가능케 하지만, 천공 순서가 유일하게 결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천공되는 비트의 순서가 하나만 달라져도 다른 방법으로 천공을 수행한 것이 된다.

    이에 따라, 실제로 준-균일 천공 기법을 회피하면서, 비슷한 오율 성능을 갖는 천공 기법을 설계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기법 시 인터리버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극 부호 천공 패턴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공 장치는 복수의 열 및 행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상기 복수의 열에 라이트(write)하고, 상기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각 행을 리드(read)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인터리버 및 상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천공하는 천공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터리버는 상기 복수의 열 중 첫 번째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열의 마지막 행까지 상기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라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리버는 상기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한 후, 상기 순서가 재정렬된 복수의 열의 각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는 상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공 방법은 복수의 열 및 행로 구성된 인터리버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상기 복수의 열에 라이트(write)하고 상기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각 행을 리드(read)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열 중 첫 번째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열의 마지막 행까지 상기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라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한 후, 상기 순서가 재정렬된 복수의 열의 각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극 부호를 천공함에 있어 인터리버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인터리버의 구조 및 동작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극 부호에 대한 천공 패턴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극 부호에 대해 천공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비트-역순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리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리버의 인터리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천공 장치(100)는 인터리버(110) 및 천공부(120)를 포함한다.

    인터리버(110)는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에 대해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터리버(110)는 복수의 열(column) 및 행(row)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리버(110)를 구성하는 열 및 행의 개수는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의 비트 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비트들이 극 부호에 의해 생성된 N=2 n 비트의 부호어 비트들 x=[x 0 ,x 1 ,...,x N -1 ]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리버(110)는 N c =2 m (1≤m≤n-1) 개의 열들을 포함하며, 각 열은 N r =N/N c 개의 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리버(110)가 복수의 열 및 행으로 구성되는 경우, 인터리버(120)는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복수의 열에 라이트(write)하고,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각 행을 리드(read)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인터리버(110)는 복수의 열 중 첫 번째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열의 마지막 형까지 입력되는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라이트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리버(110)는 부호어 비트들 x=[x 0 ,x 1 ,...,x N-1 ]이 입력되면, 첫 번째 열의 첫 번째 행에 x 0 비트를 라이트하고, 다음 행부터 x 1 ,x 2 ,... 비트를 열 방향으로 라이트하여 N c 개의 부호어 비트를 첫 번째 열에 순차적으로 라이트할 수 있다.

    이후, 인터리버(110)는 첫 번째 열의 마지막 행에 라이트된 비트의 다음 비트는 두 번째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순차적으로 라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리버(110)는 이와 같은 동작을 세 번째 열, 네 번째 열,..., 마지막 열까지 반복하여, 모든 열의 각 행에 비트들을 열 방향으로 라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리버(110)는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비트들을 라이트하고, 해당 열의 모든 행에 비트들이 라이트되면 다음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비트들을 라이트하여 모든 열의 각 행에 비트들을 라이트할 수 있다.

    이후, 인터리버(110)는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리버(110)는 도 5(b)와 같이 비트-역순을 통해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리버(110)는 2 m 개로 이루어진 복수의 열 각각에 인덱스 0,1,...,2 m -1를 부여하고, 각 열에 부여된 인덱스를 n 비트로 표현하고, 각 열에 대응되는 비트들 각각을 좌우 대칭시킨 후 해당 비트들을 다시 십진수 인덱스로 변경하여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리버(110)가 4 개의 열로 구성되는 경우, 첫 번째 열부터 네 번째 열까지 순차적으로 인덱스 0,1,2,3가 부여될 수 있으며, 각 인덱스는 00,01,10,11 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열에 대응되는 비트들 각각을 좌우 대칭시키면 00,10,01,11이 되고 이를 다시 십진수로 변경하면 0,2,1,3이 된다. 이에 따라, 인터리버(110)는 기존의 첫 번째 열이 첫 번째가, 기존의 두 번째 열이 세 번째가, 기존의 세 번째 열이 두 번째가, 기존의 네 번째 열이 네 번째가 되도록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 복수의 열에 부호어 비트들을 라이트한 후,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천공 장치(100)에 인터리버(110)의 열들의 비트-역순에 따른 정렬 순서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다면, 인터리버(110)는 입력되는 비트들을 복수의 열에 순차적으로 라이트한 후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순서를 비트-역순에 따라 재정렬하는 방식이 아닌, 기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비트들을 비트-역순에 따른 정렬 순서에 대응되는 열에 차례로 라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인터리버(110)는 비트들이 라이트된 기존의 기존의 첫 번째 열이 첫 번째가, 비트들이 라이트된 기존의 두 번째 열이 세 번째가, 비트들이 라이트된 기존의 세 번째 열이 두 번째가, 비트들이 라이트된 기존의 네 번째 열이 네 번째가 되도록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되는 비트들을 기존의 첫 번째 열, 세 번째 열, 두 번째 열, 네 번째 열 순으로 라이트할 수도 있다.

    이후, 인터리버(110)는 순서가 재정렬된 복수의 열의 각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리버(110)는 순서가 재정렬된 복수의 열의 각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할 수 있다. 즉, 인터리버(110)는 도 5(c)와 같이, 모든 열의 첫 번째 행에 라이트된 비트들을 행 방향으로 리드하고, 모든 열의 두 번째 행에 라이트된 비트들을 행 방향으로 리드하고,..., 모든 행의 마지막 행에 라이트된 비트들을 행 방향으로 리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인터리버(110)로 부호어 비트들 x=[x 0 ,x 1 ,...,x 15 ]이 입력되며, 인터리버(110)는 각각 4 개의 행으로 구성된 4 개의 열을 이용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인터리버(110)가 N=16, N c =4인 경우에 대해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리버(110)로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 x=[x 0 ,x 1 ,...,x 15 ]은 첫 번째 열부터 네 번째 열 까지 순차적으로 라이트된다. 이후, 비트-역순 정렬에 의해 열들의 순서가 재정렬되어 도 6(b)와 같이 기존의 두 번째 열과 기존의 세 번째 열의 순서가 서로 변경된다. 즉, 기존의 첫 번째 열은 계속 첫 번째를 유지하고, 기존의 두 번째 열은 세 번째로 순서가 변경되고, 기존의 세 번째 열은 두 번째로 순서가 변경되고, 기존의 네 번째 열은 계속 네 번째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도 6(c)와 같이 4 개의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네 번째 행 순으로 비트들을 리드하면, 인터리버(110)에서는 [x 0 ,x 8 ,x 4 ,x 12 ,x 1 ,x 9 ,x 5 ,x 13 ,x 2 ,x 10 ,x 6 ,x 14 ,x 3 ,x 11 ,x 7 ,x 15 ]와 같은 순서를 갖는 부호어 비트들이 출력될 수 있다.

    천공부(120)는 인터리버(110)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천공(puncturing)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천공이라 함은 부호어 비트들 중에서 일부를 제거하여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천공 장치(100)는 천공되는 비트들의 개수 등에 대한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공부(120)는 인터리버(110)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천공할 수 있다. 즉, 천공부(120)는 인터리버(110)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순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x 0 ,x 8 ,x 4 ,x 12 ,x 1 ,x 9 ,x 5 ,x 13 ,x 2 ,x 10 ,x 6 ,x 14 ,x 3 ,x 11 ,x 7 ,x 15 ]와 같은 순서를 갖는 부호어 비트들이 인터리버(110)에서 출력되고, p 개의 비트가 천공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천공부(120)는 x 0 비트부터 순차적으로 p 개의 비트를 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호어의 길이가 N인 모-부호를 천공하여, T 개의 다른 길이를 갖는 극 부호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단, 가장 짧은 부호어의 길이는 N/2 보다 크며, 다른 길이를 갖는 T 개의 천공된 극 부호의 길이(L 1 ,L 2 ,...,L T )는 N/2<L 1 <L 2 <...<L T <N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극 부호를 천공함에 있어 인터리버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인터리버의 구조 및 동작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극 부호에 대한 천공 패턴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인터리버(110)를 통해 부호어 비트들을 직접 인터리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인터리버(110)는 부호어 비트들 자체가 아닌 부호어 비트들의 인덱스를 인터리빙하고, 천공부(120)는 인터리버(110)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인덱스를 갖는 부호어 비트들을 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 인터리버(110)는 복수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순차적으로 리드하여 복수 열에 라이트되었던 비트들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천공 장치(100)에는 경우에 따라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인터리버(110)는 천공되는 비트의 비트 수에 따라 메모리(미도시)를 이용하여 리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리버(110)가 메모리(미도시)를 이용하여 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인터리버(110)는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하는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L i 의 길이를 갖는 부호를 설계하기 위해 p i =NL i 개의 비트를 천공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p i 가 2 m 보다 크거나 같고 2의 거듭제곱 형태를 갖는다면, 인터리버(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순차적으로 리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p i 가 2 m 보다 작은 경우 또는, p i 가 2 m 보다 크거나 같지만 2의 거듭제곱 형태가 되지 않는 경우, 인터리버(110)는 메모리(미도시)를 이용하여 리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터리버(110)가 메모리(미도시)를 이용하여 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를 z 보다 큰 최소의 정수를 구하는 연산 기호로 정의하고, mod(a,b)를 a를 b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 기호로 정의한다.

    이 경우,

    과 같을 때, 인터리버(110)는 j-1 개의 행까지는 첫 번째 행부터 순차적으로 리드를 수행한다. 즉, 인터리버(110)는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첫 번째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리드하고, 복수의 열의 두 번째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리드하고,..., 복수의 열의 j-1 번째 행에 라이트된 비트들을 리드하여, 복수의 열의 첫 번째 행부터 j-1 번째 행까지 각 행에 라이트된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할 수 있다.

    이후, 인터리버(110)는 mod(p i ,N c ) 개의 천공될 비트가 라이트된 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미도시)를 이용하여, j 번째 행에 대한 리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미도시)에는 mod(p i ,N c ) 개의 천공될 비트들이 라이트되는 열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리버(110)는 j 번째 행에 대한 리드 시 기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천공될 비트들이 라이트된 열부터 리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16, N c =4이고, p i =6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j=

    =2이고, mod(6,4)=2가 된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인터리버(110)는 네 개의 열의 첫 번째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리드하여 x 0 ,x 4 ,x 8 ,x 12 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인터리버(110)는 두 번째 행에 대한 리드 시, 메모리(미도시)에 기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리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미도시)에 2=mod(6,4) 개의 천공될 비트가 라이트된 열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 천공될 비트가 라이트된 열의 인덱스 2,4가 기저장된 경우, 인터리버(110)는 기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두 번째 행에 대한 리드 시 천공될 비트들이 라이트된 열부터 리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인터리버(110)는 두 번째 행의 경우, 두 번째 열에 라이트된 x 5 를 리드하고 네 번째 열에 라이트된 x 13 을 리드하고, 나머지 열들에 라이트된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리버(110)에서 [x 0 ,x 4 ,x 8 ,x 12 ,x 5 ,x 13 ,...] 순으로 비트들이 출력될 수 있으며, 결국, 천공부(120)에 의해 인터리버(110)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 x 0 ,x 4 ,x 8 ,x 12 ,x 5 ,x 13 가 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미도시)에는 mod(p i ,N c ) 개의 천공될 비트들이 서로 인접한 열들에 라이트된 경우 이들 천공된 비트들 중에서 하나가 라이트되는 열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리버(110)는 j 번째 행에 대한 리드 시 기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천공될 비트들이 라이트된 열부터 리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16, N c =4이고, p i =6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j=

    =2이고, mod(6,4)=2가 된다.

    이 경우에도, 도 8과 같이 인터리버(110)는 네 개의 열의 첫 번째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리드하여 x 0 ,x 4 ,x 8 ,x 12 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인터리버(110)는 두 번째 행에 대한 리드 시, 메모리(미도시)에 기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리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미도시)에 2=mod(6,4) 개의 비트 중 하나가 라이트된 열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 천공될 비트가 라이트된 열의 인덱스 2가 기저장된 경우, 인터리버(110)는 기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두 번째 행에 대한 리드 시 천공될 비트들이 라이트된 열부터 2 개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리드할 수 있다.

    즉, 인터리버(110)는 두 번째 행의 경우, 두 번째 열에 라이트된 x 5 를 리드하고 두 번째 열과 순차적으로 인접한 세 번째 열에 라이트된 x 9 를 리드하고, 나머지 열들에 라이트된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리버(110)에서 [x 0 ,x 4 ,x 8 ,x 12 ,x 5 ,x 9 ,...] 순으로 비트들이 출력될 수 있으며, 결국, 천공부(120)에 의해 인터리버(110)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 x 0 ,x 4 ,x 8 ,x 12 ,x 5 ,x 9 가 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인터리버(110)가 메모리(미도시)를 이용하여 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메모리(미도시)에는 천공될 비트들에 대한 인덱스가 기저장된 경우, 천공부(120)는 인터리버(110)에서 출력되는 부호어 비트들 중에서 메모리(미도시)에 기저장된 인덱스를 갖는 비트들을 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열 및 행으로 구성된 인터리버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상기 복수의 열에 라이트하고, 상기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각 행을 리드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한다(S910).

    구체적으로, 복수의 열 중 첫 번째 열의 첫 번째 행부터 마지막 열의 마지막 행까지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라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어 비트들이 라이트된 복수의 열의 순서를 재정렬한 후, 순서가 재정렬된 복수의 열의 각 행에 라이트된 부호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리드할 수 있다.

    이후,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천공한다(S920). 이 경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비트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천공할 수 있다.

    한편, 입력되는 부호어 비트들을 인터리빙하고 이를 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천공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천공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천공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천공 장치 110 : 인터리버
    120 : 천공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