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용 키보드

申请号 KR1020120053196 申请日 2012-05-18 公开(公告)号 KR1020130128959A 公开(公告)日 2013-11-27
申请人 차진규; 发明人 차진규;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for a smart phone, an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for a smart phone which enables input of short keys in various kinds of operating systems when a user makes a key input using buttons while the keyboard is connected to a smart phone or a PC in which a certain operation program is installed. To do so, the keyboard for a smart phon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unit which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a communication unit which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keyboard and a smart phone or between the keyboard and a PC; a key input unit which is composed of multiple input buttons and through which a certain key input is inputted from a user; a memory unit which stores short ke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 systems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or in the PC; and a control unit which processes a certain key input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as a general key input or processes the key input as a short key input corresponding to a mode stored in the memory unit depending on the mode setting by the user and performs general control on the device such as power management or communication management. [Reference numerals] (12) Key input unit;(12a) Mode selection unit;(12b) Shortcut key;(12c) Ordinary key;(14) Memory unit;(16) Power unit;(16a) On/off switch;(16b) Display unit;(18) communication unit;(20) Control unit
权利要求
  • 키보드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부와;
    키보드 장치와 스마트폰 또는 키보드 장치와 PC 상호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다수 개의 입력버튼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로부터 소정 키입력이 행해지는 키입력부와;
    스마트폰 또는 PC에 설치되는 각종 운영체계와 대응되는 단축키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키보드 장치가 스마트폰 또는 PC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특정 키입력을 일반 키입력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모드 설정에 대응하는 단축키로 처리하며, 키보드의 전원 및 통신 관리를 비롯하여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키보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입력버튼에는 모드 선택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입력버튼 중 'F1', 'F2', 'F3' 버튼은 각각 특정 운영체계의 설정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드 선택버튼과 동시에 'F1', 'F2', 'F3' 중 한 개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해당 키보드가 특정 운영체계와 대응되는 단축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키보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 중 'F1', 'F2', 'F3' 버튼은 각각 'Iso' 운영체계, 'Android' 운영체계, 'Windows' 운영체계 설정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력버튼 중 'Esc' 버튼과 'F1' 내지 'F12' 버튼은 각 운영체계에 따른 특정 단축키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키보드.
  • 说明书全文

    스마트폰용 키보드{KEYBOARD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운영 프로그램이 내장된 스마트폰이나 PC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른 키입력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해당 운영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단축키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다양한 휴대용 단말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음성신호를 송수신 하는 전화 기능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문자 기능으로 이루어진 휴대폰의 개념을 탈피하여, WIFI 망이나 3G, 4G 등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함과 아울러, 각종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보급이 증대됨과 비례하여 이를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서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뉴스나 날씨 등을 검색하거나 지도 및 교통정보 등을 제공받는 등의 서비스를 넘어, 특정인과 상호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행하는 메신저 서비스 및 각종 SNS 서비스 등의 사용이 매우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터치패널 형태로 제공되는 스마트폰의 키입력부를 매개로 다량의 문자 및 숫자, 특수문자 등을 입력하게 되는데, 상기 스마트폰의 키입력부를 이용하는데 따른 불편함을 보완하고자 상기 스마트폰에 일반 키보드와 유사한 자판배열을 갖는 전용 키보드를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해당 스마트폰의 기기 제조사에 따라, Ios, Android 등과 같이 상이한 운영체계가 적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스마트폰용 키보드는 다양한 스마트폰 또는 PC에 연결될 시에 각각 상이한 운영체계가 적용됨에 따라, 한 개의 키보드를 매개로 다양한 운영체계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정 운영 프로그램이 내장된 스마트폰이나 PC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른 키입력 시 다양한 종류의 운영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단축키의 입력이 모두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용 키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는, 키보드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부와; 키보드 장치와 스마트폰 또는 키보드 장치와 PC 상호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다수 개의 입력버튼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로부터 소정 키입력이 행해지는 키입력부와; 스마트폰 또는 PC에 설치되는 각종 운영체계와 대응되는 단축키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키보드 장치가 스마트폰 또는 PC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특정 키입력을 일반 키입력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모드 설정에 대응하는 단축키로 처리하며, 키보드의 전원 및 통신 관리를 비롯하여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입력부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입력버튼에는 모드 선택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입력버튼 중 'F1', 'F2', 'F3' 버튼은 각각 특정 운영체계의 설정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드 선택버튼과 동시에 'F1', 'F2', 'F3' 중 한 개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해당 키보드가 특정 운영체계와 대응되는 단축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버튼 중 'F1', 'F2', 'F3' 버튼은 각각 'Iso' 운영체계, 'Android' 운영체계, 'Windows' 운영체계 설정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력버튼 중 'Esc' 버튼과 'F1' 내지 'F12' 버튼은 각 운영체계에 따른 특정 단축키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또는 PC 상호간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어 키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키보드에 다양한 종류의 운영체계와 모두 대응되도록 단축키를 저장한 후, 연결되는 기기의 운영체계에 따른 모드 설정을 통해 해당 운영체계에 적용되는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한 개의 키보드를 다양한 스마트폰 또는 PC 등의 기기에 적용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에, 종래의 블루투스 방식의 키보드를 다양한 스마트폰 또는 PC 등에 적용시킬 시에 단축키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가 스마트폰이나 PC 등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가 스마트폰이나 PC 등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는, 해당 기기에 따라 특정 운영체계가 내장되는 스마트폰 또는 PC(100) 등에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키보드(10)에서, 상기 키보드(10) 내에 다양한 종류의 운영체계에 대응되는 단축키 정보를 모두 저장하여 연결되는 특정 기기의 운영체계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후 사용자가 해당 운영체계의 단축키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기기에 있어서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패드(태블릿 PC)도 포함됨은 물론이며, 넷북 및 노트북 컴퓨터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는, 대략 사각패널 형태를 갖는 키보드(10)의 몸체 상면에 다수 개의 입력버튼이 배열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에는 전원부(16)와 통신부(18)와 키입력부(12)와 메모리부(14) 및 제어부(20)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6)는 해당 키보드(10)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되되, 충전용 커넥터와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지를 내장하거나 또는 별도의 건전지 수납부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가 있으며, 상기 키보드(10)의 몸체 일측에는 상기 전원부(16)로부터의 전원이 키보드 제어회로(도시안됨)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16a)가 구비됨과 아울러, 키보드(10)의 몸체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전원부(16)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6b)가 엘이디 소자를 매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18)는 해당 키보드(10)가 스마트폰 또는 PC(100) 등의 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는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통신 수단이 적용된다.

    상기 키입력부(12)는 다수 개의 입력버튼으로 이루어져 상기 키보드(10)와 연결된 스마트폰 또는 PC(100) 등의 기기 측으로 사용자가 소정 문자나 숫자, 특수문자 등의 입력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키입력부(12)의 입력버튼에는 해당 키보드(10)가 연결되는 스마트폰이나 PC(100) 등에 설치된 운영체계에 따라 키보드(10)의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키보드(10) 몸체의 좌측 하부에 모드 선택버튼(12a)이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입력버튼 중 키보드(10) 몸체의 좌측 상부에 구성되는 'F1', 'F2', 'F3' 버튼은 각각 특정 운영체계의 설정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F1' 버튼은 'Iso' 운영체계, 'F2' 버튼은 'Android' 운영체계, 'F3' 버튼은 'Windows' 운영체계와 대응되는 설정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모드 선택버튼(12a)과 동시에 'F1', 'F2', 'F3' 중 한 개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해당 키보드(10)가 특정 운영체계와 대응되는 단축키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또, 상기 입력버튼 중 키보드(10) 몸체의 상측에 배열되는 'Esc' 버튼과 'F1' 내지 'F12' 버튼은 각 운영체계에 따른 특정 단축키(12b)로 사용되게 되며, 그 하측으로는 주지된 바와 같은 일반키(12c)가 배열 형성되어 구성된다.

    각 운영체계에 따른 단축키(12b)는 하기와 같다.

    * 'Ios' 운영체계에서의 단축키 작동

    홈 - 홈으로 이동

    키보드 보이기/감추기

    찾기-찾기 화면으로 이동

    사진 슬라이드

    백 라이트 끔

    화면 잠금

    음악 정지

    이전 곡

    재생/일시 정지

    다음 곡

    볼륨 다운

    음소거

    볼륨 업


    * 'Android' 운영체계에서의 단축키 작동

    이전

    작동 안 됨

    찾기 - 찾기 화면으로 이동

    작동 안 됨

    작동 안 됨

    화면 잠금/켬

    음악 정지

    이전 곡

    재생/일시 정지

    다음 곡

    볼륨 다운

    음소거

    볼륨 업


    * 'Windows' 운영체계에서의 단축키 작동

    ESC

    F1

    F2

    F3

    F4

    F5

    F6

    F7

    F8

    F9

    F10

    F11

    F12

    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부(14)에는 상기 스마트폰 또는 PC(100) 등의 기기에 설치되는 각종 운영체계와 대응되도록 'Esc' 버튼과 'F1' 내지 'F12' 버튼의 단축키 정보가 저장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 장치가 소정 스마트폰 또는 PC(100) 등의 기기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키보드(10)의 전원부(16) 및 통신부(18)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키보드(10)와 연결되는 해당 기기의 운영체계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특정 입력버튼의 조작을 일반키(12c) 입력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입력버튼 중 'Esc' 버튼, 또는 'F1' 내지 'F12' 버튼의 조작을 상기 메모리부(14)에 저장된 해당 모드 설정에 대응하는 단축키(12b)로 처리하는 등 키보드(10)의 동작을 위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를 상술한 실시예 이외의 보다 다양한 운영체계에 적용시킬 시에는 각 운영체계의 설정 기능을 갖는 입력버튼을 'F1' 내지 'F3'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모든버튼에 추가로 설정하여, 상기 모드 선택버튼과 함께 조작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른 각각의 운영체계에 대응하는 단축키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4)에 추가로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키보드(10) 몸체 일측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16a)를 온(On) 상태로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16)로부터의 전원이 키보드 제어회로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키보드(10)와 연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이나 PC (100)등의 블루투스 설정을 조작하여, 해당 기기가 상기 키보드(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스마트폰 또는 PC(100) 등의 블루투스 모드를 온(On) 상태로 조작하고, 이에 따라 해당 키보드 장치가 검색되면, 해당 기기의 화면 안내에 따라 소정 코드번호를 키보드(10)의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하므로서, 상기 키보드(10)와 스마트폰이나 PC(100) 등의 기기가 상호 페어링 되게 된다.

    상술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각 장치간의 페어링은 해당 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가 스마트폰이나 PC(100) 등의 기기와 연결되면, 사용자는 연결된 해당 기기에 설치된 운영체계에 따라 키보드(10)의 모드를 설정한다.

    즉, 상기 키보드(10)의 키입력부(12)에 구비된 모드 선택버튼(12a)을 누른 상태에서, 해당 기기에 설치된 운영체계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 중 'F1', 'F2', 'F3' 버튼 중 하나를 동시에 누른다.

    상기 키보드 장치와 연결된 스마트폰에 'Iso' 운영체계가 적용된 경우, 상기 모드 선택버튼과 함께 'F1' 버튼을 조작하고, 해당 스마트폰에 'Android' 운영체계가 적용된 경우, 상기 모드 선택버튼과 함께 'F2' 버튼을 조작하며, 상기 키보드 장치와 'Windows' 운영체계가 적용된 PC가 연결된 경우, 상기 모드 선택버튼과 함께 'F3' 버튼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는 그와 연결되는 해당 기기의 운영체계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입력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특정 기기와 연결된 키보드(10)의 키입력부(12)를 조작함에 따라, 해당 데이터는 통신부(18)를 매개로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된 기기 측으로 전송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상기 키보드(10)의 제어부(20)는 상기 키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 키입력이 'Esc' 버튼 또는 'F1' 내지 'F12' 버튼 중 하나로서 특정 운영체계와 대응되는 단축키(12b)의 조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부(14)에서 해당 키입력에 대응하는 단축키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통신부(18)를 통해 해당 기기 측으로 전송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되며, 이에 상기 키보드(10)와 연결된 해당 기기는 특정 단축키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키보드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폰이나 PC(100)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되, 연결되는 각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운영체계에 대응하여 단축키(12a)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폰용 키보드에 'Iso' 운영체계와 'Android' 운영체계 및 'Windows' 운영체계를 적용시켜 구현하였지만, 그 이외에 '블랙베리폰'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에서도 단축키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확장하여 적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10: 키보드, 12: 키입력부,
    14: 메모리부, 16: 전원부,
    18: 통신부, 20: 제어부,
    100: 스마트폰 또는 PC.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