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방향 스위치장치

申请号 KR1020020011339 申请日 2002-03-04 公开(公告)号 KR1020020071462A 公开(公告)日 2002-09-12
申请人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고토가즈노리;
摘要 PURPOSE: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device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producing the operator a good feeling of click. CONSTITUTION: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device includes a case(1), a plurality of switches housed within the case, one operating member supported by the case so as to be able to incline in multi-directions, for operating any of the switches by means of an inclining operation in respective directions, a plurality of first rubber domes(3), any two of which are to be operated by means of inclining operations of the operating member in the respective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rubber domes(4) arranged in the vicinity of each of the first rubber domes any of which is to be operated concurrently with any two of the first rubber domes, wherein the structure is arranged such that during the inclin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the first rubber domes and the second rubber domes buckle, whereby a feeling of click is produced in the operating member, and wherein a movable distance of the second rubber dome is made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rubber dome.
权利要求
  •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 복수의 스위치와, 상기 케이스에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1개의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각각의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어느 것인가 2개가 조작되는 복수의 제 1 고무돔과, 각각의 상기 제 1 고무돔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고무돔과 동시에 어느 하나가 조작되는 복수의 제 2 고무돔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경도시에 상기 제 1 고무돔 및 제 2 고무돔이 좌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재에 클릭감을 생기게 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 2 고무돔의 이동 가능거리가 상기 제 1 고무돔의 이동 가능거리보다도 긴 거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고무돔은 각각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유지하는 원추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고무돔의 상기 원추형상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가압부의 하면과 상기 원추형상부의 하면과의 거리가 상기 제 1 고무돔의 상기 원추형상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가압부의 하면과 상기 원추형상부의 하면과의 거리보다도 긴 거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의 경도동작을 행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十자형상의 경도동작방향의 중간부에 있어서 十자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상기 제 1 고무돔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고무돔 각각의 사이에 1개씩 배치된 4개의 상기 제 2 고무돔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무돔과 상기 제 2 고무돔이 동일 원주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한쪽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2개의 상기 제 1 고무돔과 1개의 상기 제 2 고무돔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의 경도동작을 행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十자형상의 경도동작방향의 중간부에 있어서, 十자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상기 제 1 고무돔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고무돔 각각의 사이에 1개씩 배치된 4개의 상기 제 2 고무돔을 구비하고, 각각 상기 4개의 제 2 고무돔이 각각 인접하는 상기 제 1 고무돔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한쪽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2개의 상기 제 1 고무돔과 1개의 상기 제 2 고무돔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4개의 제 2 고무돔이 상기 4개의 제 1 고무돔 각각의 사이의 중간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 스위치와,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고, 각각의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1개의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경도동작에 의해 조작되는 고무돔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고무돔 사이에 시트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경도동작시에 상기 시트부재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시트부재 사이, 또는/ 및 상기 고무돔과 상기 시트부재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표면은 밀착방지용의 거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1매의 시트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고무돔과 상기 시트부재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说明书全文

    다방향 스위치장치{MULTI-DIRECTIONAL 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전동 윈드미러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7은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성스프링부재를 나타내는 도 7의 9-9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10-10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박스형의 케이스(51)는 상벽(51a)과, 상벽 (51a)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의 근방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주위를 둘러싸는 측벽(51b)과, 상벽(51a)의 좌측 위쪽에 설치된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51c)와, 오목부(51c)의 4 모서리에 설치된 홈부(51d)와, 오목부(51c)의 중앙부에 설치된 관통구멍(51e)을 가지고 있다. 또 이 관통구멍(51e)은 十자형상의 직사각형이도록 형성되고, 관통구멍(51e)의 외표면부에는 원호형상으로서, 반구형상의 받이부(51f)가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51) 내에는, 상벽(51a)으로부터 케이스(51)내에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칸막이판(51g)이 설치되고, 이 칸막이판(51g)에 의해 케이스(51) 내에는 제 1 수납부(51h)와 제 2 수납부(51i)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제 2 수납부(51i) 위에 위치하는 상벽(51a)에는 관통구멍(51j)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 고무재료로 이루어지고, 대략 사각형의 탄성스프링부재(52)는 十자형상의 4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4개의 고무돔(52a)과 중앙부에 설치된 원형의 관통구멍 (52b)을 가지고, 이 고무돔(52a)은 대략 원주형상의 가압부(52c)와, 가압부(52c)를 유지하는 원추형상부(52d)와, 원추형상부(52d)를 유지하고, 대략 사각형의 기초대부(52e)와, 기초대부(52e)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2f)를 가지고 있다. 또 가압부(52c)의 하면은 원추형상부(52d) 내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탄성스프링부재(52)는 케이스(51)의 오목부(51c) 내에 설치되고, 이 상태일 때 탄성스프링부재(52)의 돌출부(52f)가 케이스(51)의 홈부(51d) 내에 삽입·배치되고, 이에 의하여 탄성스프링부재(52)가 케이스(51)에 위치 결정된다.

    또 이 상태일 때, 탄성스프링부재(52)의 관통구멍(52b) 내에 케이스(51)의 관통구멍(51e)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이 고무돔(52a)의 가압부(52c)의 하면과 원추형상부(52d)의 하면 사이의거리(L3)는 비교적 짧은 거리이도록 형성되고, 고무돔(52a)의 가압부(52c)에 가압력이 가해지면 이 가압력에 의해 가압부(52c)가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그리고 원추형상부(52d)가 좌굴하여 가압부(52c)가 상벽(51a)에 맞닿는다. 그리고 거리(L3)가 비교적 짧은 거리이기 때문에 원추형상부(52d)는 작은 스트로크(行程)으로 이루어져 있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조작부재(53)는 대략 원형으로서, 조작부(53a)와, 조작부(53a)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둘레 가장자리부(53b)와, 조작부(53a)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근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十자형상 각각의 위치에 설치된 4개의 돌기부(53c)와, 조작부(53a)의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사각기둥형상의 구동부(53d)를 가지고 있다. 또 사각기둥형상의 구동부(53d) 중간부의 대향하는 면에는 1쌍의 오목부(53e)가 설치되고, 구동부(53d)의 밑동부에는 반구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지지부(53f)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53)의 구동부(53d)는 상기 케이스(51)의 관통구멍(51e) 내에 삽입되고, 케이스(51)의 받이부(51f) 위에 조작부재(53)의 지지부(53f)가 얹어 놓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일 때, 조작부재(53)가 4개 설치된 돌기부(53c)는 각각 4개의 고무돔(52a)의 가압부(52c)와 대향하고, 압접(맞닿음)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부재(53)는 그 구동부(53d)가 케이스(51)의 十자형상에 형성된 관통구멍(51e) 내에 삽입되어, 조작부재(53)의 중심을 지나는 제 1 직선(X1)과,중심을 지나 제 1 직선(X1)과 직교하는 제 2 직선(Y1)의 서로 직교하는 방향인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 경도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부재(53)가 케이스(51)에 삽입되었을 때, 4개의 고무돔(52a)은 조작부재(53)의 경도동작방향인 제 1 직선(X1) 및 제 2 직선(Y1) 사이에서 중간부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있어, 조작부재 (53)의 각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경도방향측에 설치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돌기부 (53c)가 맞닿은 2개의 고무돔(52a)의 가압부(52c)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리고, 이 밀어내림에 의해 2개의 원추형상부(52d)가 좌굴하고, 이 원추형상부(52d)의 좌굴에 의해 조작부재(53)의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생기게 하게 된다.

    또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재(53)의 돌기부(53c)의 평활한 하면과, 고무돔(52a)의 가압부(52c)의 평활한 상면은 항상 압접되어 밀착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도동작시 돌기부(53c)는 밀착상태에서 가압부(52c)를 가압하기 때문에 원추형상부(52d)가 화살표 Z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좌굴하여 클릭감이 나빠진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홀더(54)는 대략 반구형상의 기초부(54a)와, 기초부(54a)의 중앙부에 설치된 사각형의 관통구멍(54b)과, 기초부(54a)의 중앙부에 대향하는 1쌍의 탄성포올부(54c)를 가지고 있다.

    이 홀더(54)의 관통구멍(54b) 내에 조작부재(53)의 구동부(53d)가 삽입되어 탄성포올부(54c)가 구동부(53d)의 오목부(53e)에 스냅인 걸어맞춰지고, 이 스냅인걸어맞춤에 의해 조작부재(53)가 케이스(51)의 상벽(51a) 위에 고정되고, 또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53)는 케이스(51)의 상벽(51a)에 대하여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 경도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형의 스위치(55)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슬라이더(56)와, 슬라이더(56)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세트의 가동접점(57)과, 가동접점(57)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프린트 배선기판(58)과, 프린트 배선기판(58) 상에 형성되어 가동접점(57)이 접촉 이탈하는 복수세트의 고정접점(도시 생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55)의 슬라이더(56)는 중앙부에 사각형의 관통구멍(56a)과, 가동접점(57)과 코일스프링(63)을 수용하는 오목부(53b)를 가지고, 이 관통구멍(56a) 내에는 상기 조작부재(53)의 구동부(53d)가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프린트 배선기판(58)이 케이스(51)의 하부의 개방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53)의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슬라이더(56)가 프린트 배선기판(58)에 대하여 수평으로 十자형상의 4방향에 구동되고, 이 슬라이더(56)의 구동에 의해 고정접점(도시 생략) 위를 가동접점(57)이 접촉 이탈하여 스위치(55) 접점의 전환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위치(55)는 케이스(51)의 제 1 수납부(51h) 내에 수납·설치되어 있다.

    제 2 슬라이드형 스위치(60)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슬라이더(60a)와, 슬라이더(60a)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세트의 가동접점(60b)과, 가동접점(60b)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프린트 배선기판(58)과, 프린트 배선기판 (58) 위에 형성되어 가동접점(60b)이 접촉 이탈하는 복수세트의 고정접점(도시 생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60)의 슬라이더(60a)는 중앙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60c)와, 가동접점(60b)과 코일스프링(64)을 수용하는 오목부(60d)를 가지고 있다. 또 이 스위치(60)는 제 2 수납부(51i) 내에 수납·배치되어 있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조작손잡이(62)는 케이스(51) 상벽(51a)의 관통구멍(51j)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절한 방법에 의해 설치되고, 이 조작손잡이(62)의 조작에 의해 제 2 슬라이드형 스위치(60)가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바닥벽부재(59)는 바닥벽(59a)과, 바닥벽(59a)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의 소정의 개소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측벽(59b)을 가지고 있다. 이 바닥벽부재(59)의 바닥벽(59a)은 프린트 배선기판(58)의 하부에 얹어 놓여지고, 또 이 바닥벽부재(59)는 케이스(51)측벽(51b)의 개방단부에 스냅인 걸어맞춤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61)는 절연성의 유지체(61a)와, 이 유지체(61a)에 유지된 단자부 (61b)를 가지고, 이 단자부(61b)가 프린트 배선기판(58)의 고정접점(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케이스(51)에 설치되고, 스위치(55, 60) 접점의 전환동작이 커넥터(61)를 거쳐 외부의 전기장치에 출력된다.

    다음에, 이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내는 조작부재(53)의 제 2 직선(Y1) 상의 왼쪽방향(A점)의 위치를 가압하여 조작부재(53)를 경도동작하면, A점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고무돔(52a)의 각 가압부(52c)가 조작부재(53)의 각 돌기부(53c)에 의해가압되고, 이 가압부(52c)가 가압됨으로써 원추형상부(52d)가 좌굴하여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생기게 한다.

    또 원추형상부(52d)는 작은 스트로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클릭감은 나쁘게 되어 있다.

    또 이 조작부재(53)의 경도동작에 의해 조작부재(53)의 구동부(53d)가 스위치(55)를 구동하여 A점에의 가압에 있어서의 스위치(55)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때, 돌기부(53c)의 평활한 하면과, 가압부(52c)의 평활한 상면은 항상 압접되어 밀착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도동작시 돌기부(53c)는 밀착상태에서 가압부(52c)를 가압하기 때문에 원추형상부(52d)가 화살표 Z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좌굴하여 클릭감이 나빠진다.

    다음에, 조작부재(53)의 제 2 직선(Y1) 상의 A점에의 가압을 해제하면, 좌굴한 2개의 고무돔(52a)의 자기복귀력으로 조작부재(53)는 원래 케이스(51)의 상벽 (51a)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조작부재(53)의 제 2 직선(Y1) 상의 오른쪽 방향(B 점), 및 제 1 직선(X1) 상의 상·하 방향(C·D점)의 위치를 가압하였을 때의 동작은, 상기 왼쪽 방향(A점) 위치의 가압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제 2 슬라이드형 스위치(60)의 동작은 조작손잡이(62)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60)의 슬라이더(60a)가 프린트 배선기판(58) 상을 슬라이드하고, 이 슬라이더(60a)의 슬라이드에 의해 스위치(60) 접점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진다.

    또 이 스위치(60)는 전동 윈드미러장치의 좌우 윈드미러의 전환에 사용하고,상기 스위치(55)는 왼쪽 또는 오른쪽의 윈드미러의 상하. 좌우 방향으로의 전환동작에 사용된다.

    상기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2개의 고무돔의 원추형상부(52d)의 작은 좌굴에 의해 클릭감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충분한 클릭감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부재(53)의 돌기부(53c)의 평활한 하면과, 고무돔(52a)의 가압부(52c)의 평활한 상면은, 항상 압접되어 밀착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53)의 경도동작시 돌기부(53c)는 밀착상태에서 가압부 (52c)를 가압하기 때문에 원추형상부(52d)가 경사방향(화살표 Z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좌굴하여 클릭감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양호한 클릭감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 목적은 조작자에게 양호한 클릭감을 생기게 할 수 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성스프링부재와 시트부재를 나타내는 도 2의 5-5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작부재의 경도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성스프링부재를 나타내는 도 7의 9-9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10-10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탄성스프링부재

    2a : 관통구멍 3 : 제 1 고무돔

    3a : 가압부 3b : 원추형상부

    4 : 제 2 고무돔 4a : 가압부

    4b : 원추형상부 5 : 조작부재

    5d : 구동부 6 : 시트부재

    8 : 스위치 10 : 가동접점

    11 : 프린트 배선기판 12 : 고정접점

    13 : 바닥벽부재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 복수의 스위치와, 상기 케이스에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하나의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각각의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어느 것인가 2개가 조작되는 복수의 제 1 고무돔과, 각각의 상기 제 1 고무돔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고무돔과 동시에 어느 하나가 조작되는 복수의 제 2 고무돔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경도시에 상기 제 1 고무돔 및 제 2 고무돔이 좌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재에 클릭감을 생기게 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 2 고무돔의 이동 가능거리가 상기 제 1 고무돔의 이동가능거리보다도 긴 거리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 1 고무돔의 좌굴에 제 2 고무돔의 좌굴이 가해지기 때문에 충분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고, 또 이동 가능거리가 긴 제 2 고무돔으로 하였기 때문에 조작부재를 가압하여, 2개의 제 1 고무돔과 제 2 고무돔이 좌굴한 후 2개의 제 1 고무돔의 가압부의 하면이 케이스의 오목부의 바닥면에 맞닿기에 이르렀을 때에도 제 2 고무돔의 가압부의 하면은 오목부의 바닥면에 맞닿지 않기 때문에 조작부재는 2개의 제 1 고무돔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흔들리지 않고 양호한 클릭감을 구비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제 1, 제 2 고무돔은 각각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유지하는 원추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고무돔의 원추형상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가압부의 하면과 원추형상부의 하면과의 거리가 제 1 고무돔의 원추형상부내에 위치하는 가압부의 하면과 원추형상부의 하면과의 거리보다도 긴 거리를 가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 1, 제 2 고무돔 각각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삭감이 가능하여 저렴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부재는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의 경도동작을 행하고, 조작부재의 十자형상의 경도동작방향의 중간부에 있어서 十자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제 1 고무돔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고무돔의 각각의 사이에 1개씩 배치된 4개의 제 2 고무돔을 구비하고, 제 1 고무돔과 제 2 고무돔이 동일 원주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조작부재의 한쪽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2개의 제 1 고무돔과 1개의 제 2 고무돔이 조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 1, 제 2 고무돔의 배치가 조작부재의 지지부의 경사 이동범위를 피하면서, 또한 최소의 배치면적이 되도록 할 수 있어 전체로서 소형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부재는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의 경도동작을 행하고, 조작부재의 十자형상의 경도동작방향의 중간부에 있어서, 十자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제 1 고무돔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고무돔의 각각의 사이에 1개씩 배치된 4개의 상기 제 2 고무돔을 구비하고, 각각 4개의 제 2 고무돔이 각각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무돔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배치되어 조작부재의 한쪽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2개의 제 1 고무돔과 1개의 제 2 고무돔이 조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 1, 제 2 고무돔의 동작을 균둥하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한 저렴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각각 4개의 제 2 고무돔이 4개의 제 1 고무돔의 각각 중앙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구성에 의하여, 제 1, 제 2 고무돔의 좌굴위치가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력이 균등하고, 한층 안정된 양호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 스위치와,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여 각각의 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1개의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경도동작에 의해 조작되는 고무돔을 구비하고, 조작부재와 고무돔 사이에 시트부재가 설치되고, 조작부재의 경도동작시에 시트부재에 의해 조작부재와 시트부재 사이, 또는/ 및 고무돔과 시트부재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무돔의 좌굴이 수직으로 원활하게 행하여지고, 이 원활한 고무돔의 좌굴에 의해 클릭감이 양호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시트부재의 표면은 밀착방지용 거친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시트부재의 구성이 간단하고, 시트부재의 제조비용 삭감이 가능하여 저렴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시트부재는 1매의 시트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시트부재의 구성이 간단하여 시트부재의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저렴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시트부재는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시트부재의 설치가 간단하고, 조립비용 삭감이 가능하여 저렴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조작부재에 설치된 시트부재는 고무돔과 시트부재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무돔의 한층 원활한 좌굴에 의해 한층 양호한 클릭감을 구비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성스프링부재와 시트부재를 나타내는 도 2의 5-5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박스형의 케이스(1)는 대략 평판형상의 상벽 (1a)과, 상벽(1a)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의 근방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주위를 둘러싸는 측벽(1b)과, 상벽(1a)의 좌측 위쪽에 설치된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 (1c)와, 오목부(1c)의 4 모서리의 각각에 설치된 홈부(1d)와, 오목부(1c)의 중앙부에 설치된 관통구멍(1e)를 가지고 있다.

    또 이 관통구멍(1e)은 十자형상의 직사각형이도록 형성되고, 관통구멍(1e)의 외표면부에는 원호형상으로서, 반구형상의 받이부(1f)가 설치되어 있다.

    또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1c)의 4변의 각각의 중앙부에는 직사각형의 돌출 오목부(1g)가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1) 내에는 상벽(1a)으로부터 케이스(1)내에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칸막이판(1h)이 설치되고, 이 칸막이판(1h)에 의해 케이스(1) 내에는 제 1 수납부 (1i)와 제 2 수납부(1j)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제 2 수납부(1j) 상에 위치하는 상벽(1a)에는 관통구멍(1k)이 설치되어 있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조작부재(5)는 대략 원형으로서, 조작부(5a)와, 조작부(5a)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둘레 가장자리부(5b)와, 조작부(5a)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근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4개가 十자형상의 각각의 위치에 설치된 제 1 돌기부(5c)와, 제 1 돌기부(5c) 각각의 사이의 중앙의 위치에 설치된 4개의 제 2 돌기부(5h)와, 조작자(5a)의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사각기둥형상의 구동부(5d)를 가지고 있다. 또 사각기둥형상의 구동부(5d)의 중간부의 대향하는 면에는 1쌍의 오목부(5e)가 설치되고, 구동부(5d)의 밑동부에는 반구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지지부(5f)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5)의 구동부(5d)는 상기 케이스(1)의 관통구멍(1e) 내에 삽입되어, 케이스(1)의 받이부(1f) 상에 조작부재(5)의 지지부(5f)가 얹어 놓여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조작부재(5)는 조작부재(5)의 중심을 지나는 제 1 직선(X1)상과, 중심을 지나 제 1 직선(X1)과 직교하는 제 2 직선(Y1)상인 4방향(十자형상의 다방향) 각각의 방향으로 경도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재(5)의 각 제 1 돌기부(5c)는 각각 제 1, 제 2 직선(X1, Y1)으로끼워진 위치에 배치되고, 각 제 2 돌기부(5h)는 각각 제 1, 제 2 직선(X1, Y1) 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고무재료로 이루어지고, 대략 사각형의 탄성스프링부재(2)는 十자형상의 사각에 각각 설치된 4개의 제 1 고무돔(3)과, 인접하는 제 1 고무돔(2a) 각각의 사이의 중앙의 위치에 배치된 4개의 제 2 고무돔(4)과, 중앙부에 설치된 원형의 관통구멍(2a)과, 제 1 고무돔(3)을 유지하는 제 1 기초대부(2b)와, 제 2 고무돔(4)을 유지하는 제 2 기초대부(2c)를 가지고 있다. 또 제 1 기초대부(2b)와 제 2 기초대부(2c)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고, 관통구멍(2a)의 주위에 서로 연장 설치되어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제 1 고무돔(3)은 대략 원주형상의 가압부(3a)와, 가압부(3a)를 유지하는 원추형상부(3b)를 가지고, 제 2 고무돔(4)은 대략 원주형상의 가압부(4a)와, 가압부(4a)를 유지하는 원추형상부(4b)를 가지고 있다. 또 각 가압부(3a, 4a)의 하면은 각 원추형상부(3b, 4b) 내에 돌출하여 배치되고, 제 1 고무돔(3)의 가압부(3a)의 하면과 원추형상부(3b)의 하면과의 거리는 거리(L1)에 형성되고, 제 2 고무돔(4)의 가압부(4a)의 하면과 원추형상부(4b)의 하면과의 거리는 상기 거리 (L1)보다 긴 거리인 거리(L2)(L1 < L2)에 형성되어 있다.

    즉, 조작부재(5)의 경도동작에 의한 상기 제 2 고무돔(4)의 이동 가능거리 (L2)가 상기 제 1 고무돔(3)의 이동 가능거리(L1) 보다도 긴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 1, 제 2 고무돔(3, 4)의 가압부(3a, 4a)에 가압력이 가해지면 이 가압력에 의해 각 가압부(3a, 4a)가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그리고 각 원추형상부(3b, 4b)가 좌굴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고무돔(4)의 거리(L2)를 제 1 고무돔(3)의 거리(L1)보다 긴 거리이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2 고무돔(4)의 스트로크가 길고, 제 1 고무돔(3)의 클릭감보다도 양호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4개의 제 1 고무돔(3)과 4개의 제 2 고무돔(4)은 서로 엇갈리고,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동일 원주상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4개의 제 2 고무돔(4)이 4개의 제 1 고무돔(3)의 각각 중간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기초대부(2b)에는 제 1 기초대부(2b)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탄성스프링부재(2)는 케이스(1)의 오목부(1c) 내에 설치되고, 이 상태일 때 탄성스프링부재(2)의 돌출부(2c)가 케이스(1)의 홈부(1d) 내에 삽입·배치되고, 이에 의하여 탄성스프링부재(2)가 케이스(1)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일 때, 각각 4개의 제 2 고무돔(4)은 상기 제 1 직선(X1) 상과 상기 제 2 직선(Y1) 상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 4개의 제 1 고무돔(3)은 조작부재(5)의 경도동작방향인 제 1 직선(X1)과 제 2 직선(Y1) 사이의 각각의 중간부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스프링부재(2)의 제 1, 제 2 고무돔(3, 4)은 조작부재(5)의 제 1, 제 2 직선(X1, Y1) 상의 十자형상의 4방향의 경도동작에 의해 각 원추형상부(3b, 4b)가 좌굴하고, 이 좌굴에 의한 클릭감을 조작자에게 생기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좌굴은 2개의 제 1 고무돔(3)과, 1개의 스트로크가 긴 제 2 고무돔(4)이 좌굴함으로써 클릭감을 조작자에게 생기게 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PET) 재료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부재(6)는 평판형상이고, 둥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원형의 구멍 (6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시트부재(6)의 두께 치수는 대략 0.1 mm이고, 표면 거칠기는 대략 5㎛ 내지 120㎛ 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 거칠기에 의해 시트부재(6)의 표면은 밀착방지용의 거친면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부재(6)는 원형의 구멍(6a)이 조작부재(5)의 둥근 고리형상의 설치부 (5f)에 압입되어 시트부재(6)가 조작부재(5)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시트부재(6)는 조작부재(5)의 제 1, 제 2 돌기부(5c, 5h)와 상기 제 1, 제 2 고무돔(3, 4)의 가압부(3a, 4a)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재(5)와 상기 제 1, 제 2 고무돔(3, 4)에 의해 끼워져 상호간에 압접되어 있다.

    이 압접에 의해 조작부재(5)의 덜거덕거림이 방지되어 있다.

    이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시트부재(6)는 상기 조작부재(5)의 제 1, 제 2 돌기부(5c, 5h)의 선단면과 상기 제 1, 제 2 고무돔(3, 4)의 각 가압부(3a, 4a)의 표면에 의해 끼워져 상호간에 압접되고, 상기 제 1, 제 2 고무돔(3, 4)의 각 가압부(3a, 4a)의 표면과 시트부재(6)의 표면 사이에서 시트부재(6)의 표면이 거친면이기 때문에 밀착방지를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따라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재(5)가 시트부재(6)를 거쳐 각 가압부(3a, 4a)를 가압할 때에 각 가압부(3a, 4a)의 표면과 시트부재(6)의 표면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이 행하여지므로, 시트부재(6)에 의해 각 가압부(3a, 4a)를아래쪽으로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어 각 원추형상부(3b, 4b)의 좌굴이 원활하게 행하여지고, 이 좌굴에 의한 양호한 클릭감을 생기게 한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홀더(7)는 대략 반구형상의 기초부(7a)와, 기초부(7a)의 중앙부에 설치된 사각형의 관통구멍(7b)과, 기초부(7a)의 중앙부에 대향하는 1 쌍의 탄성포올부(7c)를 가지고 있다.

    이 홀더(7)의 관통구멍(7b) 내에 조작부재(5)의 구동부(5d)가 삽입되어 탄성포올부(7c)가 구동부(5d)의 오목부(5e)에 스냅인 걸어맞춰지고, 이 스냅인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부재(5)가 케이스(1)의 상벽(1a) 상에 탈락 방지되고, 또한 위치 결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재(5)는 케이스(1)의 상벽(1a)에 대하여 十자형상의 4방향인 제 1 직선(X1)상과, 제 2 직선(Y1)상에 있어서 경도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형의 스위치(8)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슬라이더(9)와, 슬라이더(9)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세트의 가동접점(10)과, 가동접점 (10)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프린트 배선기판(11)과, 프린트 배선기판(11) 상에 형성되어 가동접점(10)이 접촉 이탈하는 복수세트의 고정접점(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8)의 슬라이더(9)는 중앙부에 사각형의 관통구멍(9a)과, 가동접점 (10)과 코일스프링(17)을 수용하는 오목부(9b)를 가지고, 이 관통구멍(9a) 내에는 상기 조작부재(5)의 구동부(5d)가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프린트 배선기판(11)이케이스(1)의 하부의 개방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5)의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의 경도동작에 의해 구동부(5d)가 동작되고, 이 구동부(5d)의 동작으로 슬라이더(9)가 프린트 배선기판(11)에 대하여 수평이고,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 구동되고, 이 슬라이더(9)의 구동에 의해 고정접점(12) 상을 가동접점(10)이 접촉 이탈하여 스위치(8)의 접점의 전환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위치(8)는 케이스(1)의 제 1 수납부(1i) 내에 수납·배치되어 있다.

    제 2 슬라이드형 스위치(14)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슬라이더(14a)와, 슬라이더(14a)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세트의 가동접점(14b)과, 가동접점(14b)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프린트 배선기판(11)과, 프린트 배선기판 (11)상에 형성되어 가동접점(14b)이 접촉 이탈하는 복수세트의 고정접점(14c)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14)의 슬라이더(14a)는 상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14d)와, 가동접점(14b)과 코일스프링(18)을 수용하는 오목부(14e)를 가지고 있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조작손잡이(16)는 케이스(1) 상벽(1a)의 관통구멍(1k)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절한 방법에 의해 설치됨과 동시에, 스위치(14)가 제 2 수납부(1j)에 수납되고, 이 조작손잡이(16)의 조작에 의해 제 2 슬라이드형 스위치(14)가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바닥벽부재(13)는 바닥벽(13a)과, 바닥벽(13a)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의 소정의 개소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측벽(13b)을 가지고있다. 이 바닥벽부재(13)의 바닥벽(13a)은 프린트 배선기판(11)의 하부에 얹어 놓여지고, 또 이 바닥벽부재(13)는 케이스(1)의 측벽(1b)의 개방단부에 스냅인걸어맞춤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5)는 절연성의 유지체(15a)와, 이 유지체(15a)에 유지된 단자부 (15b)를 가지고, 이 단자부(15b)가 프린트 배선기판(11)의 고정접점(1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스위치(8, 14) 접점의 전환동작이 커넥터(15)를 거쳐 외부의 전기장치에 출력된다.

    다음에, 이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의 동작에 대한 도면을 설명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작부재의 경도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 나타내는 조작부재(5)의 제 2 직선(Y1) 상의 왼쪽 방향(A점)의 위치를 가압하여 조작부재(5)를 왼쪽 방향으로 경도동작하면, A점과 대향하는 조작부재(5)의 제 2 돌기부(5h)가 시트부재(6)를 거쳐 제 2 고무돔(4)의 가압부(4a)를 가압함과 동시에, A점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 1 고무돔(3, 3)의 각 가압부(3a, 3a)가 조작부재(5)의 각 제 1 돌기부(5c)에 의해 시트부재(6)를 거쳐 가압되고, 이 각각의 가압부(4a, 3a, 3a)가 가압됨으로써 각각의 원추형상부 (4b, 3b, 3b)가 좌굴하여 조작자에게 강하고 양호한 클릭감을 생기게 한다.

    또 이 좌굴은 2개의 제 1 고무돔(3)과, 1개의 스트로크가 긴 제 2 고무돔(4)이 좌굴함으로써 양호한 클릭감을 조작자에게 생기게 한다.

    이 동작시, 시트부재(6)의 표면이 밀착방지용의 거친면으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시트부재(6)의 표면과 각 가압부(3a, 4a)의 표면이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므로, 시트부재(6)에 의해 각 가압부(3a, 4a)가 아래쪽으로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어 조작자에게 한층 양호한 클릭감을 생기게 하게 된다.

    다음에, 조작부재(5)의 A점에의 가압을 해제하면 좌굴한 3개의 제 1, 제 2 고무돔(3, 4)의 자기복귀력으로 조작부재(5)는 원래의 케이스(1)의 상벽(1a)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로 자기복귀한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조작부재(5)의 제 2 직선(Y1) 상의 오른쪽 방향(B점), 및 제 1 직선(X1) 상의 상·하 방향(C·D점)의 위치를 가압하였을 때의 동작, 및 가압 해제하였을 때의 동작은 상기의 왼쪽 방향(A점)의 위치의 가압·해제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제 2 슬라이드형의 스위치(14)의 동작은 조작손잡이(16)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14)의 슬라이더(14a)가 프린트 배선기판(11) 상을 슬라이드하고, 이 슬라이더(14a)의 슬라이드에 의해 스위치(14)의 접점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진다.

    또 이 스위치(14)는 전동 윈드미러장치의 좌우 윈드미러의 전환에 사용하고, 상기 스위치(8)는 왼쪽, 또는 오른쪽 윈드미러의 상하·좌우방향의 각도전환조작에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十자형상의 4방향으로 경도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4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면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슬라이드형의 스위치와 4개의 제 1, 제 2 고무돔을 사용하였으나 각각 4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제 1 고무돔과 4개의 제 2 고무돔을 동일 원주상의 위치에 배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4개의 제 2 고무돔이 각각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무돔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제 2 고무돔이 4개의 제 1 고무돔의 각각 중간부의 위치에 배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고무돔이 중간부로부터 어긋나 제 1 고무돔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부재를 조작부재에 배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부재를 고무돔 상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고무돔과 시트부재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게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재와 시트부재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게 하여도 좋고, 또한 시트부재와 조작부재 사이와, 시트부재와 고무돔 사이의 양쪽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부재가 1매의 시트부재에 의해 구성되었으나 복수매로 분할된 시트부재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조작부재의 경도동작에 의한 제 2 고무돔의 이동 가능거리가 제 1 고무돔의 이동 가능거리보다도 긴 거리를 가지고, 조작부재의 경도시 제 1, 제 2 고무돔이 좌굴하도록 함으로써 제 2 고무돔의 좌굴에 의한 클릭감이 제 1 고무돔의 좌굴에 의한 클릭감보다도 양호하기 때문에 제 1, 제 2 고무돔의 거의 동시의 좌굴에 의한 양호한 클릭감을 구비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제 1, 제 2 고무돔은 각각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유지하는 원추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고무돔의 원추형상부내에 위치하는 가압부의 하면과 원추형상부의 하면과의 거리가 제 1 고무돔의 원추형상부 내에 위치하는 가압부의 하면과 원추형상부의 하면의 거리보다도 긴 거리를 가짐으로써 제 1, 제 2 고무돔 각각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삭감이가능하여, 저렴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각각 4개의 제 2 고무돔이 4개의 제 1 고무돔의 각각 중간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제 2 고무돔의 좌굴위치가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된 양호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조작부재와 고무돔 사이에 시트부재가 설치되고, 조작부재의 경도동작시에 시트부재에 의해 조작부재와 시트부재 사이, 또는/ 및 고무돔과 시트부재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고무돔의 좌굴이 수직으로 원활하게 행하여지고, 이 원활한 고무돔의 좌굴에 의해 클릭감이 양호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시트부재는 1매의 시트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시트부재의 구성이 간단하여 시트부재의 부품점수가 삭감 가능하고, 저렴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