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 기구

申请号 KR1020067012533 申请日 2004-09-30 公开(公告)号 KR1020060135675A 公开(公告)日 2006-12-29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발레오 재팬; 发明人 후쿠다게이; 야하타노리아키;
摘要 A switch mechanism in which a plurality of functions can be integrated even in such a system that air conditioning is operated manually and an excellent operability is available to a driver. The manual type switch mechanism (1,3) is a dial system mechanism comprising at least a tubular dial component (4) opened on the opposite sides, a first gear (5) fitted over the dial component (4) to rotate integrally therewith and having gear teeth (5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face, and a second gear (6) having gear teeth (6a) that is formed on the arcuate circumferential surface to receive the rotation of the dial component (4) transmitted from the first gear (5) through a relaying component (7) and driving an air conditioning door through a wire (20). A push system switch mechanism, comprising at least a slide component (8) contained in the dial component (4) slidably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and having a push part (11) on the bottom part side, and a substrate (9) having a switch part (10) touching the push part (11), is also built in.
权利要求
  • 회전 조작이 가능한 다이얼 부품과, 이 다이얼 부품에 외부 삽입되어서 상기 다이얼 부품과 일체로 회동하는 동시에 외주측면에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된 제 1 기어와,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피구동 부재와 결선되어서 이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제 2 기어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제 1 기어로부터 중계 부품을 거쳐서 상기 다이얼 부품의 회전이 상기 제 2 기어에 전달되는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부품을 양측이 개구된 통형상체로 하고, 상기 다이얼 부품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서 바닥부측에 푸쉬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품과, 상기 푸쉬부와 접하는 스위치부를 갖는 기판을 적어도 구비한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품 속에 점등 표시용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구.
  • 说明书全文

    스위치 기구{SWITCH MECHANISM}

    본 발명은 매뉴얼로 공기 조절 장치, 특히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의 공기 조절을 컨트롤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안정된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구동식의 스위치 기구에서는 슬라이드식의 것과 손잡이형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를 참조). 그리고, 조작성이 좋게 운전할 때에 안전하다라는 이유로 슬라이드식보다도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쪽이 주류가 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3을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54245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72925 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41164 호 공보

    그러나, 슬라이드식 및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의 구조에서는, 스위치 본체 속에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를 받아들일 수 없으므로, 이 스위치 기구의 주변에 고쳐서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를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스위치가 별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에서는, 드라이버가 해당 스위치의 손잡이부를 가져서 회전시킬 때에, 상대적으로 크게 비틀지 않으면 안되고, 손목이나 팔을 돌리는 각도에 무리가 생길 경우가 있고, 조작시의 자세가 나빠지므로, 조작성이 불량하고, 드라이버에 있어서 조작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반드시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매뉴얼로 공기 조절을 조작하는 형식에서도, 복수의 기능을 집약시킬 수 있고, 또 드라이버에 대한 조작성에도 우수한 스위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구는, 회전 조작이 가능한 다이얼 부품과, 이 다이얼 부품에 외부 삽입되어서 상기 다이얼 부품과 일체로 회동하는 동시에 외주측면에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된 제 1 기어와,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피구동 부재와 결선되어서 이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제 2 기어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제 1 기어로부터 중계 부품을 거쳐서 상기 다이얼 부품의 회전이 상기 제 2 기어에 전달되는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청구항1). 여기에서, 피구동 부재로서는, 공기 조절 도어, 보다 상세하게는, 흡출 모드 전환 도어나 에어믹스 도어가 예시된다. 제 2 기어는, 예컨대 원호 원주면에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된 선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제 2 기어와 공기 조절 도어(흡출 전환 도어·에어믹스 도어)는, 예컨대 케이블로 결선되어서, 해당 공기 조절 도 어의 개폐를 실행하는 매뉴얼의 케이블 구동식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구는, 상기 디이얼 부품을 양측이 개구한 통형상체로 하고, 이 다이얼 부품내에 대하여, 해당 다이얼 부품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서 바닥부측에 푸쉬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품과, 상기 푸쉬부와 접하는 스위치부를 갖는 기판을 적어도 구비한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부품 속에 점등 표시용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3).

    그리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손끝을 이용하여 돌리는 것만으로 조작이 가능한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채용하므로, 팔을 크게 비틀 필요가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 및 손목이나 오버 아암부를 비틀 필요가 있는 손잡이형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 기구에 비해, 조작시에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고, 조작성이 우수하여, 드라이버가 운전할 때에 한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채용할 뿐만 아니라, 다이얼 부품에 외부 삽입되는 제 1 기어에 기어 치형부를 형성하고, 다이얼 부품의 회전을 공기 조절 도어에 전달하기 위한 중계 부품에 대해서, 다이얼 부품의 외측에 오프셋 배치함으로써, 다이얼 부품을 양측이 개구된 중공의 통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청구항 2의 발명으로서, 다이얼 부품의 원통형의 공간내에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품을 수용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공기 조절 기능을 각 스위치 기구에 집약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 슬라이드 부품도 내부에 공동부를 갖는 것으로, 청구항 3의 발명으로서, 내부에 점등 표시용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장치에 대하여 스위치 기구나 점등 표시용 부재가 차지하는 비율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조작 장치의 패널상의 레이아웃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도 1은 공기 조절의 조작 장치의 일부에 대해서 패널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a는 공기 조절의 조작 장치의 일부에 대해서 측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투시도,

    도 2b는 공기 조절의 조작 장치의 일부에 대해서 케이스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공기 조절의 조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구의 특히 슬라이드 부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투시 사시도,

    도 8은 오토 컨트롤 타입으로 FAN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스위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투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부품의 내부에 리드 램프를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스위치 기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예컨대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조작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위치 기구(1, 2, 3)가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 기구(1)는 흡출 모드를 디프로스트 모드(defrost mode), 디프로스트/풋 모드, 풋 모드(foot mode),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 벤트 모드(vent mode), 오토 모드(auto mode)로 설정하는 동시에 외기 도입 모드와 내기 도입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 기구(2)는 송풍 능력을 바꾸는 동시에 송풍기의 ON/OFF를 실행하는 것이다. 더욱이, 스위치 기구(3)는 자동차 실내의 설정 온도를 바꾸는 동시에 자동으로 공기 조절 제어를 실행하는 AUTO 제어의 ON/OFF를 실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위치 기구(1, 3)는 매뉴얼 타입의 것으로, 특히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구성하는 다이얼 부품(4), 제 1 기어(5), 제 3 기어(6) 및 중계 부품(7)과, 푸쉬 스위치의 기구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품(8), 기판(9)을 갖고 있고, 제 2 기어(6)를 제외하여 기본적으로 패널(15)과 케이스(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중, 다이얼 부품(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이 개구된 통형상체로서, 슬라이드 부품(8)이 끼워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한쪽의 개구 입구에 가까운 부위 중 패널(15)의 구멍(15a)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위에는, 손가락 등으로 집어서 회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요철면(4a)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얼 부품(4)의 다른쪽의 개구 입구에 가까운 부위는, 제 1 기어(5)와 끼워맞춰지기 위한 끼워맞춤 구멍(4b)이 직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노치(4c)를 갖는다.

    또한, 슬라이드 부품(8)은, 흡출 모드 또는 설정 온도 전환 등에 관한 표시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된 표시 부품(8a)과, 기판(9)상의 스위치(10)를 ON/OFF하기 위한 푸쉬부(11)를 갖는 기부 부품(8b)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다이얼 부품(4)내를 그 축방향을 따라 정반대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드 부품(8)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쪽측이 개방된 컵 형상의 표시 부품(8a)에, 한쪽이 개방된 컵 형상의 기부 부품(8b)을, 각각 개구부측을 갖는 위치로부터 끼워맞춤으로써,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동부(24)를 갖는 것으로서 조립된다. 또한, 기부 부품(8b)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6)에 형성된 구멍(18) 및 이 구멍(18)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통형상의 돌기부(19)내에 수용가능한 외경 치수를 갖는다.

    더욱이, 제 1 기어(5)는 다이얼 부품(4)의 외주면측에 끼워맞춰지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된 통형상체로 이루어지고, 다이얼 부품측의 개구 입구에 가까운 부위는 다이얼 부품(4)의 끼워맞춤 구멍(4b)과 끼워맞춰지기 위한 돌기부(5a)를 갖고, 반 다이얼 부품측의 개구 입구에 가까운 부위는 소정수의 기어 치형부(5b)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기어(5)의 개구부의 내경 치수는, 슬라이드 부품(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통과하고, 또 케이스(16)의 돌기부(19)에 외부 삽입하도록, 해당 슬라이드 부품(8)의 외경 치수 및 돌기부(19)의 외경 치수보다도 크게 채용되어 있다. 돌기부(19)는, 예컨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단부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서 결합 집게(19a)가 형성되어 있고, 기부 부재(8b)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계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어(6)는 상면으로부터 볼 때 선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원호 원주면에 소정수의 기어 치형부(6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원호 원주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부측에 회전축부(6b)가 돌출 형성되고, 이 회전축부(6b)를 도 2a에 도시하는 케이스(16)에 형성된 구멍(17)에 끼워 부착함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 2 기어(6) 중 제 1 스위치 기구를 구성하는 것은, 원호 원주면측에 연결된 와이어(20)를 거쳐서 흡출 모드 전환 도어(도시하지 않음)에 그 회전을 전달하고, 제 2 기어(6) 중 제 3 스위치 기구를 구성하는 것은, 원호 원주면측에 연결된 와이어(20)를 거쳐서 에어믹스 도어(도시하지 않음)에 그 회전을 전달한다.

    그리고, 중계 부품(7)은 대략 축막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일단부측에는 제 1 기어(5)의 기어 치형부(5b)와 맞물리는 기어(7a)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다른쪽 단부측에는 제 2 기어(6)의 기어 치형부(6a)와 맞물리는 기어(7b)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 1 기어(5)의 회전을 제 2 기어(6)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계 부품(7)은, 사용시에는, 케이스(16)에 형성된 구멍(2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부착되고, 기어(7b)가 케이스(16)의 반대측에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스위치 기구(2)는 오토 컨트롤 타입이 것이지만, 그 구성에 사용되는 부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식 스위치를 구성하는 다이얼 부품(4), 제 1 기어(5), 및 제 3 기어(13) 및 푸쉬 스위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품(8)으로서, 많은 부품(4, 5, 8)을 스위치 기구(1, 3)로 공통으로 하고 있다. 즉, 환언하면, 매뉴얼 타입의 스위치 기구(1, 3)에 있어서, 오토 컨트롤 타입의 스위치 기구(2)의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이로써, 스위치 기구(1, 2, 3)를 구성하는 부품의 제조 공정도 공통화되어서,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스위치 기구(2) 고유의 배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스위치 기구(1, 3)와 공통되는 부품 및 배치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위치 기구(2)는 주로 FAN 스위치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스위치 기구(1, 3)와는 달리 케이블 구동용의 것이 아니라, 전용의 제 3 기어(13)를 이용하고 있다. 이 제 3 기어(13)는 대략 축막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일단부측에는 제 1 기어(5)의 기어 치형부(5b)와 맞물리는 기어 치형부(1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어 치형부(13a)는 기어(13)의 원주면의 전체 원주가 아니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원주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기어(13)는 케이스(16)에 형성된 구멍(22) 및 이 구멍(22)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통형상의 돌기부(23)내에 수용가능한 외경 치수를 갖는다. 또한, 슬라이드 부품(8)의 표시 부품(8a)에는, 송풍 능력 전환에 관한 표시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 기구(1, 2, 3)는 예컨대 이하의 순서로 조립된다. 즉, 사전 표시 부재(8a)와 기부 부재(8b)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부재(8)를 다이얼 부재(4)내에 장착한 상태로 한 후, 제 1 기어(5)를, 다이얼 부재(4)에 돌기부(5a)가 구멍(4b)에 끼워맞춰질 때까지 외부 삽입한다. 이로써, 다이얼 부품(4)과 제 1 기어(5)는 일체로 회동하는 한편, 슬라이드 부재(8)가 다이얼 부품(4) 및 제 1 기어(5)에 의해 형성된 중공실내를 축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다.

    다음에, 스위치 기구(1, 3)에서는, 중계 부품(7)을 케이스(16)의 구멍(2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어(6)를 다른 부품(4, 8)과 치형 결합한 상태에서, 돌기부(19)에 회동가능하게 외부 삽입한다. 이로써, 제 1 기어(5)의 기어 치형부(5a)와 중계 부품(7)의 기어(7a)가 맞물린 상태에서, 다이얼 부품(4), 슬라이드 부품(8), 제 1 기어(5)의 조립체와 중계 부품(7)은 케이스(16)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중계 부품(7)은 제 1 기어(5) 및 다이얼 부품(4)에 대해 그 외주측에 오프셋된 위치에 있다.

    이에 대하여, 스위치 기구(2)는 제 2 기어(13)를 케이스(16)의 돌기부(22)의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어(6)를 다른 부품(4, 8)과 치형 결합한 상태에서, 돌기부(19)에 회동가능하게 외부 삽입한다. 이로써, 제 1 기어(5)의 기어 치형부(5a)와 제 3 기어(13)의 기어 치형부(13a)가 맞물린 상태에서, 다이얼 부품(4), 슬라이드 부품(8), 제 1 기어(5)의 조립체와 제 3 기어(13)는 케이스(16)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 3 기어(13)는 다이얼 부품(4)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그 직경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있어서, 제 3 기어(13)의 중심축(13b)을 FAN 스위치로서 이용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제 2 기어(6)의 회전축부(6b)를 케이스(16)의 구멍(17)에 슬라이드 부품(8) 등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끼워 통과시켜, 제 2 기어(6)의 원호면측에, 한쪽이 흡출 모드 전환 도어나 에어믹스 도어와 결선된 와이어(20)를 연결하는 동시에, 패널(15)을 각 구멍(15a)이 다이얼 부품(4)에 외부 삽입하도록 하여 케이스(16)와 끼워맞춰지고, 돌림 방지 등으로 고정하고, 또한 케이스(16)의 제 2 기어(6)측에 스위치부(10)를 갖는 기판(9)을 배치한다.

    이상에 의해, 스위치 기구(1, 3)에 따르면, 케이블 구동식의 매뉴얼 타입이어도, 다이얼 부품(4)을 이용하고, 또 이 다이얼 부품(4)에 제 2 기어(5)를 외부 삽입함으로써, 다이얼 부품(4) 및 제 1 기어(5)에 대하여 외주측으로 오프셋된 중계 부재(7)를 채용하는 것으로, 다이얼 부품(4)의 내부에 푸쉬 스위치의 기구를 이루는 슬라이드 부품(8)을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식 또는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에 비해, 어느 각도에서도 편안히 다이얼 부품(4)을 회전시킬 수 있고, 드라이버에 있어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식 또는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와는 달리, 주변에 푸쉬 스위치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또 스위치를 별개 위치에 배치하는 필요성도 없고, 더구나 1개의 스위치 기구(1 또는 3)에 대하여, 공기 조절 기기의 ON/OFF 기능이나 인디케이터(indicator)의 배치 등에 의해 기능을 집중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중계 부재(7)의 회전축을 제 1 기어(5)에 대하여 외접시키는 오프셋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 기구(1, 3)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품(8)은 공동부(24)를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서 리드 램프(25)(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고, 표시 부재(8a)에 표시부(26)를 설치함으로써, 스위치의 투입 상태를 도시하거나, 야간의 라이트 점등 시에 스위치의 장소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등시켜도 좋은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