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키 시트

申请号 KR1020117013530 申请日 2009-10-21 公开(公告)号 KR1020110087319A 公开(公告)日 2011-08-02
申请人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사와이,수수무;
摘要 키탑이나 탑 커버를 키 베이스에 고착시킬 때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또한, 인접하는 키탑과 탑 커버와의 사이 또는 인접하는 키탑 간의 인접 부재 거리를 좁히는 것을 실현한 저렴한 키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키 시트를 제공한다.
키탑(1)과 키 베이스(6)를 포함하는 키 시트(4)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 형상의 키 부재(3)를 공급하는 공급 단계와, 공급된 키 부재(3)의 일방의 면을 키 베이스(6)에 고착시키는 고착 단계와, 고착 후, 키 베이스(6)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으로부터, 키 부재(3)에 레이저광(8)을 조사하여 키 부재(3)을 절단하여 개개의 키탑(1)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키 시트를 제공한다.
权利要求
  • 키탑과 키 베이스를 구비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키 부재를 공급하는 공급 단계,
    공급된 상기 키 부재의 일방의 면을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고착 단계 및
    상기 고착 후, 상기 키 베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키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키 부재를 절단하여 개개의 상기 키탑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단계에서,
    공급된 상기 키 부재의 일방의 면을 중간층이 되는 시트에 고착시키고, 고착된 상기 시트의 상기 키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을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키탑과 키 베이스를 포함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키 부재를 공급하는 공급 단계,
    공급된 상기 키 부재의 일방의 면을 유지 시트에 접착시키는 접착 단계,
    상기 접착 후, 상기 유지 시트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키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키 부재를 절단하여 개개의 상기 키탑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상기 레이저광 조사 후, 상기 키탑의 상기 유지 시트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면을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고착 단계, 및
    상기 고착 후, 상기 유지 시트를 상기 키탑으로부터 벗기는 박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단계에서,
    인접하는 상기 키탑간의 위치에, 상기 키탑과 상기 키 베이스 사이에 마스크 시트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키탑을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베이스 또는 상기 중간층이 되는 시트에의 고착, 또는 상기 유지 시트에의 접착 단계 이전에, 공급된 상기 키 부재에 가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에서,
    상기 키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키 부재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키 부재를 상기 키탑 및 탑 커버로 더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부재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 단계에서,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키탑이 되는 부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키 부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분리된 인접하는 상기 키탑의 절단면간의 거리가 0.1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베이스가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키 시트로서,
    상기 키탑과 상기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중간층이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
  • 说明书全文

    키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키 시트{METHOD FOR MANUFACTURING KEY SHEET, AND KEY SHEE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소위 PHS도 포함), 휴대 정보 단말(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 휴대 오디오, 가전제품용 리모컨, 키보드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키 시트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 등에 있어서는, 경량화, 소형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들에 사용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 시트(이하, 간단히 "키 시트"라고 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요구되고 있다. 키 시트는 주로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고무형상 탄성체를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키 베이스에, 경질 수지제의 키탑(이하, "키"라고도 함) 및 탑 커버로 이루어진 키 부재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종래, 키 시트의 제조 공정에서는, 키 부재를 구성하는 키탑 및 탑 커버를 각각 개별적으로 성형해 가식(加飾)하고, 지그(冶具)에 키탑 및 탑 커버를 삽입해서 키 베이스와 접합시켰다. 이 경우, 지그의 클리어런스(clearance)등에 의해 키 베이스와 접합시킬 때에 키탑이나 탑 커버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위치 어긋남을 해소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복수의 키탑 간의 경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키탑의 상부측에 필름을 붙이고, 필름을 붙인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오목부에 레이저광을 집광시켜, 상기 필름을 남긴 채로 복수의 키탑으로 분리하고, 복수의 키탑의 이면측에 키 베이스를 접착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개 제2008-117651호 공보(청구항 1, 도면 등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복수의 키탑을 분리한 후에 키탑의 이면 측에 키 베이스를 접착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키탑과 탑 커버와의 절단면의 거리(이하, "인접 부재 거리"라고 함) 또는 인접하는 키탑간의 인접 부재 거리를 좁게 하는 것이, 예를 들면, 0.2 mm 이하로 하는 것이 실현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키탑이나 탑 커버를 키 베이스에 고착(固着)시킬 때에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또한, 인접하는 키탑과 탑 커버와의 사이 또는 인접하는 키탑간의 인접 부재 거리를 좁힐 수 있는, 저렴한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을 이용한 키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키탑과 키 베이스를 구비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 형상의 키 부재를 공급하는 공급 단계와, 공급된 상기 키 부재의 일방의 면을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고착 단계와, 상기 고착 이후에 상기 키 베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키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키 부재를 절단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키탑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 부재와 키 베이스를 고착시킨 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키 부재를 절단하기 때문에, 종래에 키탑이나 탑 커버 각각을 키 베이스에 고착시킬 때 발생되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각각의 키탑으로 분리되므로, 인접하는 키탑 간의 인접 부재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고착 단계에서, 공급된 상기 키 부재의 일방의 면을 중간층이 되는 시트에 고착시키고, 고착된 상기 시트의 상기 키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을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령, 키탑과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틈이 없는 구조의 키 시트라도 키탑과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중간층이 존재하므로, 키 베이스에 절단 흔적을 남기지 않고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키 부재를 각 키탑으로 분리할 수 있어 품질이 우수한 키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키탑과 키 베이스를 구비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 형상의 키 부재를 공급하는 공급 단계와, 공급된 상기 키 부재의 일방의 면을 유지 시트에 접착시키는 접착 단계와, 상기 접착 후, 상기 유지 시트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키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키 부재를 절단함으로써 개개의 상기 키탑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레이저광 조사 후, 상기 키탑의 상기 유지 시트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을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고착 단계와, 상기 고착 후, 상기 유지 시트를 상기 키탑으로부터 벗겨내는 박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 부재가 유지 시트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분리된 각 키탑의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레이저광 조사시에 키 부재가 키 베이스에 고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키 베이스에 절단 흔적이 남을 우려가 없어, 품질이 우수한 키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개개의 키탑으로 분리되므로 인접하는 키탑 간의 인접 부재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키 부재를 유지 시트에 접착시키는 상기 실시예의 상기 고착 단계에서, 인접하는 상기 키탑간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키탑과 상기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마스크 시트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키탑을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 부재를 유지 시트에 접착시키고, 키 베이스에 접합하기 전에 레이저광 조사하므로,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마스크 시트의 손상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인접하는 키탑간에 마스크 시트가 배설(配設)된 키 시트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키 베이스 또는 상기 중간층이 되는 시트에의 고착, 또는 상기 유지 시트에의 접착 단계 이전에, 공급된 상기 키 부재에 가식층(加飾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탑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가식층에 형성된 모양, 예를 들면, 키탑과 탑 커버를 통일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다수의 도트(dot)로 이루어진 도트 패턴에 의한 모양, 다수의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라인 모양(헤어-라인 모양 등)이나 그래디에이션(gradation)에 의한 모양을 일체감 있게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분리 단계에서, 상기 키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키 부재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키 부재를 상기 키탑 및 탑 커버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키탑 간에 탑 커버가 배치된 키 시트를 위치 어긋남이 없이 형성할 수 있고,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키탑 및 탑 커버로 분리되므로 인접하는 키탑 및 탑 커버 사이의 인접 부재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키 부재를 공급하는 공급 단계에 있어서, 상기 키 베이스에 고착되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키탑이 되는 부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키 부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하는 두께의 키탑을 가지는 키 시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보강판을 구비하는 이른바 협(狹)피치의 키 시트에 대해서도 일정 두께의 키탑을 가지는 키 부재를 이용할 수 있고,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분리된 인접하는 상기 키탑의 절단면 간의 거리가 0.1 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탑과 탑 커버의 사이 또는 인접하는 키탑간의 절단면의 거리(인접 부재 거리)가 0.1 mm이하이므로, 키 시트를 보다 일체감이 있는 외관이 우수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으며, 더욱 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키 베이스가 보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 베이스가 보강판을 구비하므로, 탑 커버를 형성하지 않고 키 부재를 키탑만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소형의 이른바 협피치의 키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키 시트를 보다 일체감이 있는 외관이 우수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는, 상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키 시트로서, 상기 키탑과 상기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중간층이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령, 키탑과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틈이 없는 구조라 하더라도, 키탑과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중간층이 존재하므로, 키 베이스에 절단 흔적을 남기지 않고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키 부재를 각각의 키탑으로 분리할 수 있어서, 품질이 우수한 키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의 일체감을 가지는 디자인적으로 뛰어난 키 시트로서, 더욱 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조작성도 향상시킨 키 시트를 간단하고 쉬운 제조 공정으로 저렴하게 제조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을 이용한 키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시트를 실장한 휴대 전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른바 협피치의 키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키탑(1)과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틈이 있는 구조 및 틈이없는 구조의 키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휴대 전화기에 이용되는 키 시트의 일례로 한 경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동일한 것이나 대응되는 것, 총칭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 동일한 것이나 대응되는 것, 총칭할 수 있는 것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그 일부에 대해서만 부호를 붙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시트를 실장한 휴대 전화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키 시트 중에서 휴대 전화 조작자의 조작 부분인 키탑(1)과 탑 커버(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시트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전화로부터 키 시트(4)를 떼어내어 키 시트(4) 단독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시트(4)는 숫자 키나 기능 키 등의 복수개의 키탑(1) 및 탑 커버(2)로 이루어진 키 부재(3)와, 키 부재(3)의 이면에 배치되는 시트 형상의 키 베이스(6)을 포함한다. 상기 키 시트(4)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상에 배치된다.

    키 부재(3)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나 PC(polycarbonate)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각종 유리 등 투광성을 가지는 유색 투명 또는 무색 투명의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키 부재(3)에는, 가식층(加飾層)(5)으로서, 키 베이스(6)와 접착되는 면에 각종 착색층이 형성되어 있다. 가식층(5)으로서의 착색층에는, 문자층, 채색층 및 백색층이 순서대로 인쇄 또는 도장(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문자층은 각 키탑(1)에 고유 문자나 도형 등을 적절한 색으로 표시한 것이고, 채색층은 다수의 키탑(1)의 집합으로, 또는, 키탑(1)의 집합과 탑 커버(2)로 하나의 모양을 구성하기 위해, 적절히 모양, 색상, 채도 등을 바꾸어 인쇄 또는 도장한 것이다. 모양은, 예를 들면, 동일 간격으로 배치한 도트 패턴, 다수의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라인 패턴이나 그라데이션 패턴 등이 있다.

    백색층은, 상기 문자층 및 채색층의 위로부터, 전체면을 백색 잉크로 덮은 듯이 이루어진 층으로, 키탑(1)을 윗면에서 볼 때 또는 미도시된 광원에 의해 조광될 때에, 문자층이나 채색층의 모양 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층이다.

    또한, 상기 문자층은 상기 문자나 도형 등을 소위 포지티브 이미지로 형성할 수도 있고, 소위 네가티브 이미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포지티브 이미지로서 표현하는 문자층을 인쇄 또는 도장에 의해 형성하는 대신에, 채색층을 문자나 도형 등의 형상으로 제거한 네가티브 이미지로 하고, 채색층에 겹쳐서 문자나 도형 등에 착색하기 위한 착색층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키 베이스(6)는 키탑(1)을 누름에 따라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배선 기판상의 접점을 가압하여 작동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탄력성이 있고 연질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우레탄 고무 등의 투광성을 가지는 유색 또는 무색 투명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의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키 베이스(6)는 복수의 누름자(7)를 구비한다. 복수의 누름자(7)는 각각 상기 키탑(1)에 대응되는 원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키 베이스(6)의 이면에, 즉, 회로 기판 위에 키 베이스(6)와 일체화시켜 형성된다. 누름자(7)를 형성할 때에, 키 베이스(6)의 이면의 누름자(7) 이외의 영역 전체면에는 누름자(7)와 일체인 박육부(薄肉部)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키 베이스(6) 이면의 복수의 누름자(7) 이외의 영역 전체면이 박육(薄肉)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영역의 일부에 박육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회로 기판은 실장된(미도시) 전자소자나 메탈 돔 등에 의해서 단락되는 접점 등을 가진다. 메탈 돔 및 접점은, 폴리 돔 및 접점,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다른 스위치부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키탑(1)과, 누름자(7)와, 메탈 돔은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키탑(1)을 누름으로써 누름자(7)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누름자(7)가 메탈 돔을 가압 변형시킨다. 그리고, 가압 변형된 메탈 돔에 의해 메탈 돔의 바로 밑의 접점이 단락된다. 이 단락에 의해 전기적인 스위칭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탈 돔에 의해 키탑(1)을 누를 때의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키 부재(3)의 소정의 위치에 가식층(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부재(3)를 키 베이스(6)에 접착제로 고착시킨다. 이 때, 적어도 키 부재(3)에 있어서의 각각의 키탑(1)이 되는 부분과 그에 대응되는 키 베이스(6)의 부분이 고착되고, 그리고, 탑 커버(2)가 되는 부분과 그에 대응되는 키 베이스(6) 부분이 고착된다. 고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인 고착일 수도 있고, 키 부재(3)를 키 베이스(6)의 전체면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키탑(1)과 탑 커버(2)가 레이저광(8)의 조사에 의해 절단되어 분리되더라도 개개의 키탑(1)과 탑 커버(2)는 각각 키 베이스(6)에 접착되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부재(3)에서의 키탑(1)과 탑 커버(2)에 해당하는 영역의 경계선에 레이저광(8)을 집광시켜, 레이저광(8)을 주사하면서 키 부재(3)를 절단하여 키탑(1)이 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키 부재(3)를 절단할 때에는 레이저광(8)의 출력을 적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아랫방향에 존재하는 키 베이스(6)에 절단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한다. 부호 14는 레이저광에 의한 절단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키 부재(3)의 두께는 0.25 mm로 하고 있다. 레이저광(8)의 집광지름은 직경 0.1 mm이다. 또한, 레이저광(8)의 주사 속도는 약 500 mm/sec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광(8)은 동일 경로에 1~3회 주사된다. 따라서, 키 부재(3)의 두께에 따라 주사 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광 발생 장치는 최대 출력 20 W(최대 출력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의 탄산 가스 레이저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조작 속도나 출력의 수치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 사용된 수치로서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절단하는 재료의 종류, 두께, 형상 등의 제 요소에 의해서 최적인 값이 결정되는 것이다. 레이저광 발생 장치는, 예를 들면, YAG 레이저 등 다른 방식의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이저광(8)의 열에 의해 발생된 수지의 미세분진(微紛)은 흡인기 등에 의해 흡인된다.

    다음으로, 키 베이스(6)의 크기에 맞추어 키 부재(3)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여, 원하는 크기로 형성된 키 시트(4)가 완성된다. 키 베이스(6)는 사전에 성형틀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4)의 일례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키 부재(3)와 키 베이스(6)를 고착시킨 후에 레이저광(8)을 조사하여 키 부재(3)을 절단하기 때문에, 키탑(1)과 탑 커버(2)의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8)의 집광지름을 적절히 조정하여 레이저광(8)을 조사하여 키 부재(3)를 절단함으로써 분리된 키탑(1)과 탑 커버(2)의 인접하는 절단면의 거리(인접 부재 거리)를 0.1 mm 이하로 할 수 있다.

    종래의 방법과 같이, 키탑(1)과 탑 커버(2)를 별도로 절단한 후에 키 베이스(6)에 접합하는 공정에 의해 작성된 키 시트(4)에서는, 지그의 성형상의 문제로 인해 절단면의 거리(인접 부재 거리)를 0.2 mm이하로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상기 절단면의 거리(인접 부재 거리)를 0.1 mm 이하로 함으로써, 보다 일체감이 있는 외관이 우수한 키 시트(4)를 실현할 수 있고, 키 시트(4)의 한층 더 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키의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탑재하는 휴대 전화 등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키탑(1)을 사출 성형 등으로 형성하고, 탑 커버(2)를 수지판을 펀칭 성형함으로써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출 성형 및 펀칭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이 양쪽 모두 불필요하게 되어, 저렴하게 키 시트(4)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인접 부재 거리를 0.1 mm이하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가식층에 형성된 모양, 예를 들면, 키탑(1)과 탑 커버(2)를 통일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서, 다수의 도트로 이루어진 도트 패턴에 의한 모양, 다수의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라인 패턴이나 그래디에이션에 의한 모양을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일체감 있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전화 등의 소형화가 진행된 결과 및 디자인상의 요구로부터, 키탑간을 이격시키는 탑 커버를 생략하고 키탑을 직접 인접시키는 이른바 협피치의 키 시트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협피치의 키 시트에서도, 키탑 간의 인접 부재 거리를, 예를 들면, 0.2 mm 이하의 좁은 치수로 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른바 협피치의 키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키 시트(13)에서는, 종래의 키 시트에 형상 유지성을 부여하는 탑 커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고무 형상 탄성체로 이루어진 키 베이스(9)의 유연성을 제한하여 키탑(1)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키 베이스 구조를 갖출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키탑(1)이 이른바 협피치 키를 채용하는 키 시트(13)의 경우에는, 키 베이스(9)에 형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실리콘 고무나 우레탄 고무 등의 투광성을 가지는 고무 형상 탄성체(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의 엘라스토머) 만으로 키 베이스(9)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경질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보강판(11)과 실리콘 고무와의 복합체에 의해서 키 베이스(9)가 형성된다. 즉, 이 복합체의 키 베이스(9)는, 키탑(1)과 키 베이스(9)의 접합 부분 및 그 주위의 부분으로,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하로 움직이는 키탑(1)의 동작에 수반하여 동작(상하로 움직이는)하는 부분(가동부) 만을 패드부(15)로서 탄성체인 실리콘 고무로 형성하고, 그 이외의 부분(비가동부)이 보강판(11)으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이나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경질 수지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판(11)을 가지는 키 베이스(9)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의 성형시에 보강판(11)을 삽입하여 성형된다. 보강판(11)이 플라스틱제의 경우는 사출 성형, 금속제의 경우는 금속판에의 판금 가공, 펀칭 가공 등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조 공정에서는,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가식층(5)을 포함하는 키 부재(3)와 보강판(11)을 포함하는 키 베이스(9)를 접착제에 의해서 고착시킨다. 이 때, 키 부재(3)에서의 모든 키탑(1)이 되는 부분과 그에 대응되는 키 베이스(9)의 부분이 고착된다. 여기서, 키탑(1)이 되는 부분에 있어서 키 베이스(9)와의 고착은, 전체면에 고착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고착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키탑(1)이 각각 분리되어도 개개의 키탑(1)은 각각 키 베이스(9)와 고착되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키탑(1)을 분리하기 위해서, 레이저광(8)이 키 부재(3)에 조사된다. 레이저광(8)의 조사는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키 베이스(9)의 크기에 맞추어 키 부재(3)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여,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하는 크기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13)의 일례가 완성된다. 키 베이스(9)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사전에 성형틀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키 부재(3)와 키 베이스(9)를 고착시킨 후에 레이저광(8)을 조사하여 키 부재(3)를 절단하기 때문에, 키탑(1)의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광(8)의 집광지름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레이저광(8)에 의한 절단 부분(11)에서의 인접하는 키탑(1) 간의 인접 부재 거리를 0.1 mm이하로 할 수 있으며, 좁은 인접 부재 거리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키 시트(13)을 탑재함으로써, 보다 일체감이 있는 외관이 우수한 키 시트(13)을 실현할 수 있고, 이를 탑재하는 휴대 전화 등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접 부재 거리를 0.1 mm이하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의 키 시트(4)와 같이, 가식층에 형성된 모양, 예를 들면, 다수의 도트로 이루어진 도트 패턴에 의한 모양, 다수의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라인 모양이나 그래디에이션에 의한 모양을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키탑(1)의 금형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렴하게 키 시트(13)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좁은 인접 부재 거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어서, 보다 일체감이 있는 외관이 우수한 키 시트(13)을 실현할 수 있고, 이를 탑재하는 휴대 전화 등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키 부재 상에 미리 일정 두께의 키탑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일정 두께의 키탑을 가지는 키 부재와 키 베이스를 고착시킨 후, 레이저광에 의해 상기 키탑 부분을 분리하여 키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키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일정 두께의 키탑(21)과 탑 커버(20)를 가지는 키 시트(16)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b)은 탑 커버를 생략하고 일정 두께의 키탑(25)을 직접 인접시킨 이른바 협피치의 키 시트(2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키 부재(31, 32)에 일정 두께의 키탑 부분(18, 22)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원하는 위치에 오목부를 가지는 성형틀에 비가열 경화형 재료를 공급한다. 비가열 경화형 재료는 상온에서 액체로, 가열하지 않고도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경화시킬 수 있는 재료이며, 예를 들면, UV(자외선) 경화 수지, 가시광선 경화 수지, 전자파 경화 수지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가열 경화형 재료로서 UV 경화 수지를 이용한다.

    오목부를 가지는 성형틀에 UV 경화 수지(18, 22)를 공급하여 균일화하고, 균일화된 UV 경화 수지(18, 22) 위에 수지 필름(19, 23)을 공급한다. 이 때, 키 부재(31, 32)의 면 중 UV 경화 수지(18, 22)와 접하는 면은 키 베이스(6, 9)와 고착되는 면의 반대측의 면이 된다.

    다음으로, UV 경화 수지(18, 22)를 경화시키기 전 또는 도중에 UV 경화 수지(18, 22)및 수지 필름(19, 23)을 두께 방향으로부터 가압함과 동시에 UV 경화 수지(18, 22)를 경화시켜 상기 수지 필름(19, 23)과 키탑(21, 25)이 되는 UV 경화 수지(18, 22)를 일체화시켜 형성한다. UV 경화 수지(18, 22)의 경화는, 예를 들면, 성형틀을 유리 등으로 하고, 이 유리에 UV램프를 설치하여 UV 경화 수지(18, 22)에 자외선을 쐬어서 UV 경화 수지(18, 22)를 경화시킨다. 가압 중에 UV 경화 수지(18, 22)에 자외선을 쐬어서 UV 경화 수지(18, 22)를 경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가식층(5)은 수지 필름(19, 23)의 어느 면이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중에 비가열 경화형 재료를 경화시키는 경우, 비가열 경화형 재료의 종류(UV 경화 수지를 포함)에 따라서는 가압하는 것에 의해 재료의 경화(경화 반응)가 저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재료에 따라서는 가압 후에 재료를 경화시키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

    UV 경화 수지(18, 22)가 경화됨에 따라, 상기 오목부 내의 UV 경화 수지(18, 22)가 일정 두께의 키탑 부분(18, 22)이 되고, 상기 키탑 부분(18, 22)는 수지 필름(19, 23)과 일체화되어 키 부재(31, 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일정 두께의 키탑 부분(18, 22)을 가지는 키 부재(31, 32)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두께를 가지는 키 부재(31, 32)와 키 베이스(6, 9)를 접착제로 고착시킨다. 고착은, 도 7(a)에 도시된 키 시트(16)를 제조할 경우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착시키고, 도 7(b)에 나타내는 키 시트(24)를 제조할 경우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착시킨다.

    다음으로, 도 7(a)에 도시된 인접하는 키탑(21)과 탑 커버(20), 및 도 7(b)에 도시된 인접하는 키탑(25) 간을 분리하기 위해, 레이저광(8)이 키 부재(31, 32)에 조사된다. 레이저광(8)의 조사는 제1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키 베이스(6, 9)의 크기에 맞추어 키 부재(31, 32)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여,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하는 크기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16, 24)의 일례가 완성된다. 키 베이스(6, 9)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사전에 성형틀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 일정 두께의 키탑(21, 25)을 가지는 키 부재(31, 32)를 이용하더라도, 키 베이스(6, 9)와 고착시킨 후에 레이저광(8)을 조사하여 키 부재(31, 32)를 절단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키탑(21)과 탑 커버(20), 및 인접하는 키탑(25) 간의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8)의 집광지름을 적절히 조정하여 레이저광(8)을 조사하여 키 부재(31, 32)를 절단함으로써 분리된, 인접하는 키탑(21)과 탑 커버(20), 및 인접하는 키탑(25) 간의 절단면의 거리(인접 부재 거리)를 0.1 mm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접 부재 거리를 0.1 mm이하로 함으로써, 보다 일체감이 있는 외관이 우수한 키 시트(16, 24)를 실현할 수 있고, 이를 탑재하는 휴대 전화 등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탑 부분(18, 22)의 두께는, UV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성형성을 얻기 위해서 0.4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 부재 거리를 0.1 mm 이하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3 실시예의 키 시트(16, 24)에 대해서도, 제1~2 실시예의 키 시트(4, 13)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키탑(21)과 탑 커버(20), 또는 키탑(25) 간을 통일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다수의 도트로 이루어진 도트 패턴에 의한 모양, 다수의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라인 모양이나 그래디에이션에 의한 모양을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일체감 있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제1~3 실시예에서는, 키탑과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기 때문에, 키 부재를 절단하여 각각의 키탑으로 분리할 때에 레이저광의 출력을 적정하게 제어함으로써 키 베이스에 절단 흔적을 남기지 않고 각 키탑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키 시트 중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탑(1)과 키 베이스(9)와의 사이에 틈이 없는 구조의 키 시트(4)도 존재한다. 이 경우에는, 키 부재를 키 베이스(9)에 고착시킨 후, 레이저광 조사를 실시하여 키 부재를 절단 할 때에, 설령 레이저광의 출력을 조정했다고 하더라도 키 베이스(9)에 절단 흔적을 남길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탑(1)과 키 베이스(9)와의 사이에 중간층(25)이 삽입된 구조의 키 유닛(4)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중간층(25)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키탑 및 키 베이스와 충분한 접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레이저광 조사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임의의 수지 재료, 고무 재료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상기의 키탑(1)과 키 베이스(9)와의 사이에 중간층(25)이 삽입된 구조의 키 유닛(4)의 제조 방법(제4 실시예)을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이른바 협피치의 키 시트(4)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보강판을 가지는 키 베이스(9)를 이용한다. 다만, 중간층(25)이 삽입된 구조는, 협피치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탑과 키탑의 사이에 탑 커버 부분을 가지는 경우나, 제3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정 두께의 키탑을 가지는 키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우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인쇄를 비롯한 임의의 가식(加飾) 방법으로 키 부재(3)의 원하는 위치에 가식층(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키 부재(3)의 가식층(5)이 형성된 면을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중간층(25)에 고착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키탑(1)과 중간 시트(25)와의 사이에 가식층(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레이저광에 의한 절단시의 강도를 고려하면, 중간층(25)은 적어도 0.1~0.15 mm의 두께 치수를 가지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 부재(3)와 중간층(25) 간의 고착은, 전체면에서 고착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고착될 수도 있다. 키탑과 키 베이스를 틈 없이 고착시킨 타입의 키 시트에 대해서는, 가압 조작시에 키탑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각 키탑의 주변 영역에는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레이저광에 의한 절단선의 두께가 0.1 mm 인 경우에, 그 양측 약 0.5 mm씩의 영역은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실시예 뿐만이 아니라 그 외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처음에 키 부재(3)에 가식층(5)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키 부재(3)의 가식층(5)이 형성된 면을 중간 시트(25)에 고착시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처음에 키 부재(3)와 중간층(25)을 고착하고 다음으로 고착된 중간층(25)에 가식층(5)을 형성할 수도 있고, 처음에 중간층(25)에 가식층(5)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키 부재(3)와 중간층(25)을 고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25)의 가식층(5)이 형성된 면과 키 베이스(9)의 누름자(7)를 갖지 않는 측의 면을 접착제로 고착시킨다. 고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인 고착일 수 있고, 중간층(25)을 키 베이스(6)의 전체면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c)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키 부재(3)에서의 각 키탑(1)의 경계선에 레이저광(8)을 조사시켜서 각 키탑(1)으로 분리한다. 레이저광(8)의 조사는 제1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레이저광(8)의 출력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할 필요가 있지만, 특별히 중간층(25)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부에 존재하는 키 베이스(9)에 절단 흔적을 남기지 않고 각 키탑(1)으로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베이스(9)의 크기에 맞추어 키 부재(3) 및 중간층(25)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여, 원하는 크기로 형성된 키 시트(4)가 완성된다. 키 베이스(9)는, 사전에 성형틀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키탑(1)과 키 베이스(9)와의 사이에 틈이 없는 구조의 키 시트(4)일 경우에도, 키탑(1)과 키 베이스(9)와의 사이에 중간층(25)이 존재하므로, 키 베이스(9)에 절단 흔적을 남기지 않고 레이저광 조사로 키 부재(3)와 각 키탑(1)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품질이 우수한 키 시트(4)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제1~4 실시예에서는, 가식층을 가지는 키 부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고(제3 실시예에서는 중간층을 개재하고), 그 후,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키 부재를 절단하여 각 키탑으로 분리함으로써, 분리된 키탑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와 같이, 키 부재를 다른 유지 시트에 접착시킴으로써,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기 전에 레이저광 조사로 키 부재를 절단하여 키탑으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와 같은 제5~6 실시예에서는, 우선, 가식층을 가지는 키 부재를 유지 시트에 접착시키고, 다음으로,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키 부재를 절단하여 각 키탑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키탑을 유지 시트에 접착된 상태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키 베이스에 고착시키고, 다음에, 유지 시트를 벗겨서 키 시트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유지시트에 고정됨으로써 분리된 키탑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상기와 같이 키 부재를 유지 시트에 접착시킨 후 레이저광 조사를 실시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이른바 협피치의 키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상기와 동일하게 보강판을 가지는 키 베이스(9)를 이용한다.

    제5 실시예의 제조 공정에서는, 우선,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인쇄를 비롯한 임의의 가식방법으로 키 부재(3)의 원하는 위치에 가식층(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부재(3)의 가식층(5)이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의 유지 시트(30)에 접착시킨다. 여기서 이용되는 접착제로는 임의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벗긴 후에 키 부재 측에 잔류하지 않는 범위에서, 비교적 벗기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 점착 시트 등을 유지 시트(30)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유지 시트(30)는 최종적으로 키 시트로부터 제거되므로, 그 재질로서는, 수지, 목재, 종이, 금속 등을 비롯한 임의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강도를 가지고 또한 쉽게 얻을 수 있는 시트재로서, 전자 부품의 포장 등에 이용되는 이른바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일례로 들 수 있다.

    후술할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키 부재의 절단 공정에서, 레이저광의 강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유지시트(30)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유지 시트(30)는 레이저광에 의해 다소 손상되더라도 파단(破斷)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 치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0.1 mm~0.2 mm의 두께 치수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키탑이나 탑 커버가 되는 부분의 시트재의 두께는, 통상 0.25 mm 정도이다. 이 때문에, 레이저광에 의한 절단 과정은, 실제로는 한 번의 레이저광의 조사(절단 형상 외형의 주사)에 의해서 절단되는 것은 아니고, 절단 부분을 여러 차례 주사하여 조금씩 절단해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피절단 부분 0.25 mm를 절단한 시점에서 레이저광의 조사를 중지시키면 되나, 실제로는 이러한 조정이 어려워서, 과잉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유지 시트는 이러한 과잉의 레이저광의 조사에 견딜만한 최저한의 두께만을 가지면 되며, 과하게 두꺼울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광(8)을 키 부재(3)에 조사하여 절단하여 각 키탑(1)으로 분리한다. 레이저광(8)의 조사 형태는, 제1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키 부재(3)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고 유지 시트(30)에 접착된 상태로, 원하는 크기의 키탑(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 시트(30)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키탑(1)의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시트(30)에 접착된 가식층(5)을 가지는 키탑(1)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강판을 가지는 키 베이스(9)에 고착시킨다. 여기서, 키탑(1)과 키 베이스(9)와의 고착은, 전체면에서 고착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고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시트(30)를 키탑(1)으로부터 벗겨내어, 키탑(1)과 키 베이스(9)가 고착된 키 시트(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레이저광(8)의 집광지름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레이저광(8)에 의한 절단 부분(14)에서의 인접하는 키탑(1) 간의 절단면 간의 거리(인접 부재 거리)(11)를 0.1 mm 이하로 할 수 있고, 좁은 인접 부재 거리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키 시트(4)를 탑재함으로써, 인접 부재 거리를 좁게 한 만큼 키탑을 크게 할 수 있고, 키 시트(4)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 부재 거리를 0.1 mm 이하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의 키 시트와 같이, 가식층에 형성된 모양, 예를 들면, 다수의 도트로 이루어진 도트 패턴에 의한 모양, 다수의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라인 모양이나 그래디에이션에 의한 모양을,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키탑(1)의 금형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렴하게 키 시트(4)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좁은 인접 부재 거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어서, 키 시트(4)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인접 부재 거리를 좁게 한 만큼 키탑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레이저광 조사시에 키 부재(3)가 키 베이스(9)에 고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키 베이스(9)에 절단 흔적을 남길 우려가 없고, 품질이 우수한 키 시트(4)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제4 실시예와 같은 중간층을 설치할 필요도 없다.

    (제6 실시예)

    키 부재를 유지 시트에 접착시킨 후 레이저광 조사를 실시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6 실시예에서는, 제4 실시예와 같이, 이른바 협피치의 키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키탑과 키 베이스와의 사이에 마스크 시트가 배설되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6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마스크 시트란, 백 라이트를 이용하여 기판측으로부터 키탑을 조광하는 백 라이트 키에 적용되어, 인접하는 키탑과 키탑의 사이에서 빛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해서 배설(配設)된다.

    도 11(a)에 도시된 키 부재(3)에 가식층(5)을 형성하는 공정, 도 11(b)에 도시된 키 부재(3)를 유지 시트(30)에 접착시키는 공정 및 도 11(c)에 도시된 레이저광 조사로 키 부재(3)을 절단하여 각 키탑(1)으로 분리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10(a)~(c)에 도시된 공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키탑(1)간의 위치에, 키탑(1)과 키 베이스(9) 사이에 마스크 시트(40)를 삽입하고, 키탑(1)과 키 베이스(9)를 고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키 베이스(9)의(키탑 측의) 인접하는 키탑(1)간의 위치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스크 시트(40)를 접합한다. 그리고, 마스크 시트(40)가 접합된 키 베이스(9)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유지 시트(30)가 접착된 키탑(1)을 고착시킨다. 이 경우, 키탑(1)과 마스크 시트(40)의 사이는 접착제로 접합될 수도 있고, 접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처음에 마스크 시트(40)를 키탑(1) 측에 접합하고, 마스크 시트(40)가 접합된 키탑(1)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키 베이스(9)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키 베이스(9)와 마스크 시트(40)의 사이는 접착제로 접합될 수도 있고, 접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시트(30)를 키탑(1)으로부터 벗겨서, 키탑(1)과 키 베이스(9)가 고착되고, 인접하는 키탑(1)간의 위치에 마스크 시트(40)가 더 배설된 키 시트(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제1~3 실시예와 같이, 키 부재(3)를 키 베이스(9)에 고착시킨 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키부재(3)와 키 베이스(9)의 사이에 삽입된 마스크 시트(40)가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키 부재(3)를 유지 시트(30)에 접착시키고, 키 베이스(9)에 접합하기 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마스크 시트가 손상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인접하는 키탑(1)간에 마스크 시트(40)가 배설된 키 시트(4)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5~6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른바 협피치의 키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탑과 키탑 사이에 탑 커버 부분을 가지는 경우나, 제3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두께의 키탑을 가지는 키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일정 두께의 키탑을 가지는 키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처음에 성형틀에 UV 수지를 공급하고, 균일화한 UV 경화 수지상에 수지 필름을 공급하여, 양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UV 경화 수지를 경화시켜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a),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부재에 가식을 행하는 공정을 실시하고, 그 다음의 공정은 기본적으로 도 10(b)~(e) 또는 도 11(b)~(e)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의 키 시트가 조광식 키 시트인 경우, 상기 키 부재, 키 베이스 및 접착제는 적당한 투광성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탑 커버는 디자인상의 관점에서 투광성이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차광성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마스크 시트 뿐만이 아니라, 임의의 치수, 형상의 차광층(소정의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불필요한 부분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빛을 차광 하는 것으로서, 키 베이스에 직접 인쇄 등으로 형성하는 것 또는 키 베이스와 별개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함)을 적절히 필요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1, 17, 21, 25 키탑
    2, 20 탑 커버
    3, 31, 32 키 부재
    4, 13, 16, 24 키 시트
    5 가식층
    6, 9 키 베이스
    7 누름자
    8 레이저광
    10 휴대 전화
    11 절단면의 거리(인접 부재 거리)
    12 보강판
    14 레이저광에 의한 절단 부분
    15 패드부
    18, 22 UV 경화 수지(키탑의 두께)
    19, 23 수지 필름
    25 중간층
    30 유지 시트
    40 마스크 시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