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전력 절감 장치

申请号 KR1020080021922 申请日 2008-03-10 公开(公告)号 KR1020090096853A 公开(公告)日 2009-09-15
申请人 (주)지엠지시스템; 发明人 홍성훈;
摘要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are provided to completely block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evice by arranging a latching relay between a power input terminal and a first power supply part or a second power supply part. A first power supply part(150) and a second power supply part(160) are connected to a power input part(110). The first power supply par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part generate and supply a first power and a second power. A control par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signal input part(120) according to a present state of a driving mode or a standby mode. A latching relay(170) moves a contact point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part, and controls connection of the power input part, the first power supply par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part. The control signal input part deliver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n operation of user to the control part. A switch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by on/off operations of the user.
权利要求
  •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와 연결되고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을 각각 생성하여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부;
    상기 대기 모드 또는 구동 모드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접점을 이동하여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제어하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으로 발생된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온/오프 조작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상태가 대기 모드의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현재 상태가 구동 모드의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로 이동시켜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로 이동시켜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이 상기 제 1 제어부에 공급되고, 상기 제 2 전원이 상기 제 2 제어부에 공급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릴레이는 접점이 이동하는 동안에는 전류를 소모하고, 접점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전류를 소모하지 않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전원이 인가되어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제 1 위치로 초기화하는 단계;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상태가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구동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상태가 구동 모드인 경우 상기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켜 대기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교류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부;
    상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구동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동작의 종료를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 또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접점을 이동하여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제어하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출력부 사이의 전류 레벨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 또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접점을 이동하여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출력부의 연결을 제어하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전류 레벨이 설정된 레벨 이하의 경우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 说明书全文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래칭 릴레이(ratching relay)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첨단 기능이 구비된 전자 제품들이 각 가정과 업무 현장에서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특히 시간 및 작동 예약 등의 메모리 기능을 가진 전자 제품, 예를들어 전기 밥솥, 전자렌지, 냉장고 등과 메모리 기능과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진 전자 제품, 예를들어 TV, 오디오, 비디오, 에어컨 등이 일반 가정에 널리 보급되고 있다.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진 전자 제품은 사용자가 언제라도 원격 제어기, 즉 리모콘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전력을 항시 공급해야 하고, 또한 메모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도 전력을 항시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미사용시마다 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뽑아 전원을 차단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메모리 기능을 가진 전자 제품은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모든 메모리 기능이 소멸된다. 따라서, 메모리 기능을 가진 전자 제품은 미사용시에도 전력이 소모된다. 이렇게 전자 제품의 미사용시 메모리 기능 또는 리모콘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을 대기 전력이라 하며, 대기 전력은 전자 제품마다 다르지만 통상 4∼10W/h가 소모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대기 전력 소모는 메모리 기능이 없는 전자 제품, 예를들어 세탁기의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편의상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둔 채로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된다.

    이와 같이 전자 제품이 소모하는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해 종래에는 예약 여부, 예약 시간 또는 예약 시간 경과 여부에 따라 작동되도록 논리 회로를 채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전자 제품의 부분적이고 국부으로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나, 전자 제품의 미사용시 논리 회로가 대기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대기 전력을 크게 줄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한국공개특허 2004-0020344호(발명의 명칭 : 가전기기의 대기 전력 소모를 절감하는 절전기)가 제시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릴레이를 이용하고 릴레이가 TV의 사용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2 트랜스부와 접점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릴레이의 접점이 이동하는 동안과 릴레이가 접점을 유지하는 동안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그리고, TV 사용시에도 대기 전력이 계속 소모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없다.

    본 발명은 접점이 이동하는 동안에만 전류를 소모하고 접점을 유지한 후에는 전류를 소모하지 않는 래칭 릴레이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 입력단과 대기시 제 1 전원 공급부 및 구동시 제 2 전원 공급부 사이에 래칭 릴레이를 배치하고, 래칭 릴레이에 의해 제 1 전원 공급부와 제 2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제품의 구동시 대기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래칭 릴레이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 뿐만 아니라 수동 전자 제품 또는 멀티 탭에도 적용하여 대기 전력 소모를 차단할 수 있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와 연결되고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을 각각 생성하여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부; 상기 대기 모드 또는 구동 모드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접점을 이동하여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제어하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으로 발생된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의 온/오프 조작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상태가 대기 모드의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현재 상태가 구동 모드의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로 이동시켜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로 이동시켜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전원이 상기 제 1 제어부에 공급되고, 상기 제 2 전원이 상기 제 2 제어부에 공급된다.

    상기 래칭 릴레이는 접점이 이동하는 동안에는 전류를 소모하고, 접점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전류를 소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은 전원이 인가되어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제 1 위치로 초기화하는 단계;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상태가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구동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상태가 구 동 모드인 경우 상기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켜 대기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은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교류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부; 상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구동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동작의 종료를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 또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접점을 이동하여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제어하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은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출력부 사이의 전류 레벨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 또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접점을 이동하여 상기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출력부의 연결을 제어하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전류 레벨이 설정된 레벨 이하의 경우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 동작시에만 전류를 소모하고 접점을 유지한 후에는 전류를 소모하지 않는 래칭 릴레이를 이용하여 대기 전력 절감 장치를 구성한다. 래칭 릴레이를 전원 입력단과 대기시 제 1 전원 공급부 및 구동시 제 2 전원 공급부 사이에 배치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래칭 릴레이가 제 1 전원 공급부 또는 제 2 전원 공급부와 접점을 이루도록 하여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전원이 제 1 전원 공급부 또는 제 2 전원 공급부에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래칭 릴레이를 이용한 대기 전력 절감 장치를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 뿐만 아니라 수동 전자 제품 또는 멀티 탭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칭 릴레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릴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릴레이가 접점을 유지하는 동안 소모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어 대기 전력을 종래보다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제품의 구동 모드에서는 대기 전력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구동 모드에서도 대기 전력이 소모되는 종래에 비해 대기 전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 기 위한 블럭도로서,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에 이용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는 전원 입력부(110), 제어 신호 입력부(120), 제 1 제어부(130), 제 2 제어부(140), 제 1 전원 공급부(150), 제 2 전원 공급부(160) 및 래칭 릴레이(170)를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110)는 예를들어 220V의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교류 전원단, 예를들어 콘센트와 접속되어 교류 전압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전원 입력부(110)는 예를들어 플러그일 수 있다.

    제어 신호 입력부(120)는 리모콘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전자 제품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제 1 제어부(130) 또는 제 2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즉, 제어 신호 입력부(120)는 현재 전자 제품이 대기 모드인 경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 1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현재 전자 제품이 구동 모드인 경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 2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이렇게 제어 신호 입력부(120)는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 1 제어부(130) 및 제 2 제어부(140)에 번갈아 전달한다. 먼저, 전자 제품에 전원이 연결된 후 리모콘으로부터 처음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제 1 제어부(130)로 전달하여 전자 제품이 구동 모드가 되도록 하고, 전자 제품의 구동 모드에서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제 2 제어부(140)로 전달하여 전자 제품이 대기 모드가 되도록 한다.

    제 1 제어부(130)는 제 1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에 의 해 구동되며, 제어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래칭 릴레이부(170)를 구동시킨다. 즉, 제 1 제어부(130)는 전자 제품의 현재 상태가 대기 모드인 경우 제어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전원 공급부(160)와 전원 입력부(110)가 연결되도록 래칭 릴레이(17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140)는 제 2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제어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래칭 릴레이부(170)를 구동시킨다. 즉, 제 2 제어부(140)는 전자 제품의 현재 상태가 구동 모드인 경우 제어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전원 공급부(150)와 전원 입력부(110)가 연결되도록 래칭 릴레이(170)를 제어한다.

    제 1 전원 공급부(150)는 제 2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접점이 이동되는 래칭 릴레이(170)를 통해 전원 입력부(110)와 연결되어 전자 제품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제 1 전원을 생성한다. 이러한 제 1 전원 공급부(150)는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교류 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와,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전자 제품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트랜스퍼 등 다양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부(150)에서 생성된 제 1 전원은 제 1 제어부(130)에 공급되어 제 1 제어부(130)가 제어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전자 제품의 메모리부에 공급되어 전자 제품의 첨단 기능이 메인 전원이 종료된 이후에도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전원 공급부(160)는 제 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접점이 이동되는 래칭 릴레이(170)를 통해 전원 공급부(110)와 연결되어 전자 제품이 구동 모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제 2 전원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 2 전원은 제 1 전원보다 높은 레벨로 생성된다. 이러한 제 2 전원 공급부(160)는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와,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전자 제품의 동작시 필요한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트랜스퍼 등 다양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부(160)에서 생성된 제 2 전원은 제 2 제어부(140)에 공급되어 제 2 제어부(140)가 제어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전자 제품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자 제품이 구동 모드를 유지하도록 한다.

    래칭 릴레이(170)는 전원 입력부(110)와 제 1 전원 공급부(150) 및 제 2 전원 공급부(160) 사이에 배치된다. 래칭 릴레이(170)는 제 1 제어부(130) 또는 제 2 제어부(1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응답하여 제 1 전원 공급부(150)와 제 2 전원 공급부(160) 사이에 접점을 제어한다. 즉, 래칭 릴레이(170)는 제 1 제어부(1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그에 응답하여 제 2 전원 공급부(160)와 전원 입력부(110)의 접점을 설정한다. 또한, 래칭 릴레이(170)는 제 2 제어부(1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그에 응답하여 제 1 전원 공급부(150)와 전원 입력부(110)의 접점을 설정한다. 이때, 래칭 릴레이(170)는 접점을 이루기 위해 이동되는 순간에는 전류를 소모하지만 접점을 이루고난 이후에는 전류를 소모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 전력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를 이용한 대기 전 력 절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110 : 전원 입력부(120)가 예를들어 220V의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교류 전원단, 즉 콘센트와 접속되어 교류 전압을 공급받는다. 이렇게 전원 입력부(120)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으면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이 초기화되는데,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은 제 1 전원 공급부(150)로 이동하여 전원 입력부(120)와 제 1 전원 공급부(150)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전원 공급부(150)는 제 1 전원을 생성하고, 이를 제 1 제어부(130)에 공급하여 제 1 제어부(130)가 제어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생성된 제 1 전원은 전자 제품의 메모리에 공급되어 전자 제품의 메모리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S120 : 이후 제어 신호 입력부(120)는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입력한다.

    S130 :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제어 신호 입력부(120)에 입력되고, 제어 신호 입력부(120)는 전자 제품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제 1 제어부(130) 또는 제 2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S140 : 전자 제품에 전원이 인가된 후 전자 제품의 현재 상태가 대기 모드이기 때문에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전자 제품을 구동 모드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된다. 따라서, 제어 신호 입력부(120)는 제어 신호를 제 1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제 1 제어부(130)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이 제 2 전원 공급부(160)로 이동되도록 래칭 릴레이(170)를 제어한다. 즉, 제 1 제어부(130)는 제 1 전원 공급부(150)와 접점을 유지하는 래칭 릴레 이(170)를 밀어내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이 제 2 전원 공급부(160)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원 입력부(120)와 제 2 전원 공급부(160)가 연결되어 제 2 전원 공급부(160)에 전원이 입력된다. 제 2 전원 공급부(160)는 제 2 전원을 생성하고, 이를 제 2 제어부(140)에 공급하여 제 2 제어부(140)가 제어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생성된 제 2 전원은 전자 제품의 동작을 위해 구동부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 2 전원은 메모리부에 일부 공급되어 전자 제품의 메모리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S150 : 전자 제품이 구동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전자 제품을 대기 모드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된다. 따라서, 제어 신호 입력부(120)는 제어 신호를 제 2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제 2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을 밀어내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이 제 1 전원 공급부(150)로 이동되도록 래칭 릴레이(170)를 제어한다. 따라서, 전원 입력부(120)와 제 1 전원 공급부(150)가 연결되어 제 1 전원 공급부(150)에 전원이 입력된다. 제 1 전원 공급부(150)는 제 1 전원을 생성하고, 이를 제 1 제어부(130)에 공급하여 제 1 제어부(130)가 제어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생성된 제 1 전원은 전자 제품의 메모리에 공급되어 전자 제품의 메모리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어 신호 입력부(120)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제품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제 1 제어부(130) 또는 제 2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이후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즉, 전자 제품이 대기 모드이면 제어 신호를 제 1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전자 제품이 구동 모드이면 제어 신호를 제 2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1 제어부(130)는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을 밀어내 전원 입력부(110)와 제 2 전원 공급부(160)를 연결시켜 전자 제품이 구동 모드가 되도록 하고, 제 2 제어부(140)는 래칭 릴레이의 접점을 밀어내 전원 입력부(110)와 제 1 전원 공급부(150)를 연결시켜 전자 제품이 대기 모드가 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메모리 기능 및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에 이용되는 래칭 릴레이를 이용한 대기 전력 절감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런데, 제어 신호 입력부(20)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메모리 기능을 갖는 수동 제품에 래칭 릴레이를 이용한 대기 전력 절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 신호 입력부(20) 대신에 스위치를 구비하고 스위치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제 1 제어부(30) 및 제 2 제어부(40)가 구동될 경우 메모리 기능을 갖는 수동 전자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래칭 릴레이를 이용한 대기 전력 절감 장치는 상기 메모리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 뿐만 아니라 메모리 기능을 갖지 않는 세탁기 등이 수동 전자 제품 또는 멀티 탭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수동으로 동작되는 전자 제품과 멀티 탭에 이용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메모리 기능을 갖지 않고 수동으로 동작되는 전자 제품에 이용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는 전원 입력부(110), 스위치(220), 래칭 릴레이(170), 전원 공급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110)는 예를들어 220V의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교류 전원단, 예를들어 콘센트와 접속되어 교류 전압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전원 입력부(110)는 예를들어 플러그일 수 있다.

    스위치(220)는 수동 전자 제품을 구동시키기 위해 래칭 릴레이(230)의 접점을 이동시켜 전원 입력부(110)와 전원 공급부(240)가 연결되도록 한다.

    래칭 릴레이부(170)는 전원 입력부(110)와 스위치(220) 및 전원 공급부(230) 사이에 배치된다. 래칭 릴레이부(170)는 사용자의 스위치(220) 구동에 의해 접점이 이동되어 전원 입력부(110)와 전원 공급부(230)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래칭 릴레이(170)는 제어부(24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접점이 이동되어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이 스위치(220)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래칭 릴레이(170)는 수동 전자 제품의 동작시 사용자의 스위치(220) 동작에 의해 전원 입력부(110)와 전원 공급부(230)가 연결되도록 접점이 이동되고, 수동 전자 제품의 동작 종료시 제어부(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이 스위치(220)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래칭 릴레이(170)는 접점을 이루기 위해 이동되는 순간에는 전류를 소모하지만 접점을 이루고난 이후에는 전류를 소모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 전력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전원 공급부(230)는 사용자의 스위치(220) 구동에 따라 접점이 이동되는 래칭 릴레이(170)를 통해 전원 공급부(110)와 연결되어 수동 전자 제품이 동작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전원을 생성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30)는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와,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전자 제품의 동작시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트랜스퍼 등 다양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30)에서 생성된 전원은 제어부(240) 및 전자 제품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자 제품이 구동 모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전원 공급부(230)에서 생성된 전원에 따라 구동되며, 수동 전자 제품의 설정된 동작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동작 시간이 종료된 후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4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는 래칭 릴레이(170)로 전달되고,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래칭 릴레이(170)는 접점을 전원 공급부(230)로부터 스위치(220)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멀티 탭에 이용되는 대기 전력 절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는 전원 입력부(110), 스위치(220), 래칭 릴레이(330), 전류 감지부(340), 제어부(350), 전원 출력부(360)를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110)는 예를들어 220V의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교류 전원단, 예 를들어 콘센트와 접속되어 교류 전압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전원 입력부(110)는 예를들어 플러그일 수 있다.

    스위치(220)는 멀티 탭을 구동시키기 위해 래칭 릴레이(230)의 접점을 이동시켜 전원 입력부(110)와 전류 감지부(310)가 연결되도록 한다.

    래칭 릴레이(170)는 전원 입력부(110)와 스위치(220) 및 전류 감지부(310) 사이에 배치된다. 래칭 릴레이(170)는 사용자의 스위치(220) 구동에 의해 접점이 이동되어 전원 입력부(110)와 전류 감지부(310)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래칭 릴레이(170)는 제어부(32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이 스위치(220)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래칭 릴레이(170)는 사용자의 스위치(220) 동작에 의해 전원 입력부(110)와 전류 감지부(310)가 연결되도록 접점이 이동되고, 제어부(3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이 스위치(220)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래칭 릴레이(170)는 접점을 이루기 위해 이동되는 순간에는 전류를 소모하지만 접점을 이루고난 이후에는 전류를 소모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 전력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전원 출력부(330)는 멀티 탭 내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를 포함하고,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제품으로 출력한다.

    전류 감지부(310)는 사용자의 스위치(220) 구동에 따라 접점이 이동되는 래칭 릴레이(170)를 통해 전원 공급부(110)와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을 감지한다. 즉,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전원 입력부(110)와 전원 출력부(330)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전원 출력부(330)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연 결되어 전자 제품이 구동되는 경우 전원 입력부(110)와 전원 출력부(330) 사이에 소정 레벨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반대로, 전원 출력부(330)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었으나 전자 제품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전원 입력부(110)와 전원 출력부(330) 사이에는 소정 레벨 이하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류 감지부(310)는 이러한 소정 레벨 이하의 전류를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제어부(32)로 출력한다.

    제어부(320)는 전류 감지부(310)로부터 멀티 탭 내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레벨 이하일 경우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그에 응답하여 래칭 릴레이(170)를 제어한다. 즉, 래칭 릴레이(170)의 접점이 스위치(220)쪽으로 이동되도록 래칭 릴레이(170)를 제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절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전원 입력부 120 : 제어 신호 입력부

    130 : 제 1 제어부 140 : 제 2 제어부

    150 : 제 1 전원 공급부 160 : 제 2 전원 공급부

    170 : 래칭 릴레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