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어 프로세싱 장치

申请号 KR1019840003895 申请日 1984-07-05 公开(公告)号 KR1019850001041A 公开(公告)日 1985-03-14
申请人 에이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发明人 이께다유지; 아베히로오; 오사까다다시; 고무로가쯔미;
摘要 내용없음
权利要求
  • 베이스(50)와 베이스(50)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1차 및 2차 처리부서(60,80)와 1차 처리부서(60)에서 2차 처리부서(80)를 통해 와이어 공급통로(B)를 따라 병렬관계로써 다수의 와이어(1)를 운반하는 와이어 운반 셔틀(10)과 1차 처리부서(60)에서 와이어(1)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수단과 상기 처리 부서(60,80)에 와이어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통로(B)를 따라 왕복운동으로 셔틀(10)을 구동하는 수단과 셔틀에 의해 운반되기 위해 와이어원(WS)으로부터 와이어(1)를 공급하는 수단과 와이어(1)가 1차 처리부서(60)에서 안전하게 유지되어 있고 셔틀이 1차 처리 부서(60)에서 내부로 들어가 있을때 와이어(1)가 1차 및 2차 처리부서(60,80) 사이에서 별개의 길이로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2차 처리 부서(80)의 상단에 배치되어 셔틀(10)에 대해 와이어를 축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작용하는 와이어 신장수단(58,59)을 구비하는 와이어 제조장치에 있어서, 2차 처리부서(80)의 하단에 배치된 와이어 인장수단(91,104)은 와이어 인장수단(91,104)과 와이어 신장수단(58,59) 사이에서 와이어에 응력을 가하기 위하여 와이어 신장수단(58,59)에 의해 와이어가 전진하였을때 와이어(1)를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인장수단은 와이어 공급통로(B)의 한 측면에 배치된 1차 무용롤러(91)와, 와이어 공급통로(B)의 대향측면에 배치된 2차 피동롤러(104)와, 2차 피동롤러(104)를 위한 구동수단(107, 107a)과, 2차 피동롤러(104)와 구동수단(107,107a) 사이에 삽입된 미끄럼 클러치 수단(108)과, 와이어 신장수단(58,59)의 작동과 동시에 와이어(1)에 대해 롤러(91,104)를 폐쇄하는 수단(85,1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롤러(91,104)는 와이어를 위한 롤러를 구비하며, 와이어 유도부재(92)는 롤러세트(91,104)가 와이어(1)에 관해 폐쇄될때 2개의 인접한 와이어(1) 사이에 삽입되어 대향한 롤러 세트(91,104) 사이에서 와이어(1)를 유도하기 위해 인접한 1차 무용롤러(91)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 제1항 또는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셔틀은 와이어의 유도단부가 헤더(14)에 있는 통로(18)를 통해 연장하도록 와이어(1)를 수용하는 와이어 클램프(13)와 코일 스프링(20)에 의해 와이어 클램프(13)에 연결된 헤더(14)를 구비하며, 1차 와이어 처리부서(60)에서 헤더(14)의 통로(B)에 배치된 접합점(64a)은 헤더(14)에 연결되어 스프링(20)을 압축함으로써 와이어의 유도단부가 1차 처리부서(60)내에 헤더(14)에서 돌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코일스프링(20)은 와이어 클램프(13)를 향해 코일스프링(20)의 작용으로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며 와이어 클램프에 관해 편향이 가능한 봉(17)에 의해 지탱되어 있으며, 접합수단(65,95)은 상기 처리부서(60,80)에 와이어의 유도단부를 설치하고 와이어 클램프(13)에 관해 헤더(14)를 편향하기 위하여 와이어 처리부서(60,80)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1차 처리부서(60)는 전기 연결자(2)의 단자(2X)에 와이어(1)의 유도단부를 삽입하는 램(62)과 유도단부가 헤더(14)의 편향에 의해 설치되는 하단평판(68)을 가지며 유도단부를 단자(2X)로 유도하는 형판을 구비하며, 램(62)이 작동행정을 따라 이동할때 유도단부를 단자(2X)에 삽입하기 위해 하단평판(68)을 교체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 제1항 또는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셔틀(10)은 1차 레버(22)의 수단으로 이동하여 와이어 클램프(13)에서 와이어(1)를 조이며 2차 레버의 수단으로 와이어 클램프(13)에서 와이어를 해체하는 클램프 부재를 가진 와이어 클램프(13)와, 와이어를 조이고 1차 레버(22)에 연결하기 위해 2차 와이어 처리부서(80)에 제공되어 있는 수단(97)과, 셔틀(10)이 1차 처리부서(60)에서 2차 처리부서(80)까지 이동하도록 와이어를 해체하여 2차 레버(27)에 연결하며 1차 와이어 처리부서(60)에 제공되어 있는 수단(7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 제1항 내지 5항중 한 항에 있어서, 와이어 처리부서(60,80)는 와이어 삽입 압형기(61,81)와 작동관계에서 전기 연결자(2,2')를 지탱하는 수단(51)을 구비하며, 2차 처리부서(80)에 있는 압형기(81)는 와이어(1)가 압형기(81)에 의해 말단부를 이룰때 상기 처리부서(80)에서 연결자(2')의 상단에 있는 와이어를 절단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연결자 지탱수단(51)은 연결자 수용통로(51a)와 작동관계에서 연결자 저장 창고(52)로부터 통로(51a)를 따라 연결자(2,2')를 구동하는 수단(52b)을 가지며, 연결자 구동수단(52b)은 와이어(1)가 연결자(2,2')에서 말단부를 이룰때 장치로부터 연결자(2,2')를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 연결자 지탱수단(51)의 채널(51a)은 셔틀(10)의 이동통로(B)에 대해 직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창고(52)는 대응하는 채널(51a)의 한쪽 단부에 놓여 있고 셔틀(10)의 이동통로(B)와 동일한 측면으로 놓여 있으며, 연결자 배출 슈트(52c)는 채널(51a)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조장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 说明书全文

    와이어 제조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별개의 길이로 된 다수의 와이어를 가진 와이어 작업기구를 만드는 와이어 제조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장치 부품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셔틀장치의 측면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