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세 교정기구

申请号 KR1020110104226 申请日 2011-10-12 公开(公告)号 KR1020130039570A 公开(公告)日 2013-04-22
申请人 박송주; 发明人 박송주;
摘要 PURPOSE: A hand posture correcting device is provided to correct hand posture and manipulate an object to have correct hand posture. CONSTITUTION: A hand posture correcting device(100) includes a supporting unit(120) supporting a lower arm, a bent unit(140) extending from the supporting unit and maintaining the bent state of a wrist, and a curved unit(160) extending from the bent unit to support the central part of a palm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art of the palm.
权利要求
  • 아래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팔목이 구부러진 채로 유지되도록 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손바닥의 중앙부를 지지토록 연장 형성되며, 손바닥의 중앙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만곡부;
    를 포함하는 손자세 교정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손이 상부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샹향 절곡되는 손자세 교정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엄지손가락이 연결되는 손바닥측과의 간섭을 방지토록 만입 형성되는 만입홈이 형성되는 손자세 교정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절곡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절곡부의 반대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손자세 교정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일측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연결하는 손바닥의 일영역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손자세 교정기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일측 상면에는 하부측으로 만입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손자세 교정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손바닥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만곡부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더 포함하는 손자세 교정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 설치되어 상기 만곡부를 착용자의 손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자세 교정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아래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자세 교정기구.
  • 说明书全文

    손자세 교정기구{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of hand}

    본 발명은 손자세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녀에 대한 부모들의 교육열은 높아지게 되었고, 성장 발달 단계에 맞는 적기교육과 창의교육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적기교육과 창의교육은 한글이나 영어 등 어학 등의 학습 분야 뿐만 아니라, 예체능, 컴퓨터 등의 다양한 방면에까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피아노 또는 컴퓨터 학습에서 손의 자세는 매우 중요하다. 즉, 손자세가 바르지 않는 경우 피아노와 컴퓨터 학습은 손목이 쉽게 피로해져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피아노의 경우는 단계마다의 학습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피아노의 교습 시 손자세 교정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피아노의 조작시에는 손바닥이 건반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하며, 각 손가락은 손바닥에서 자연스럽게 떨어져 손가락의 첫 마디 관절이 꺽이지 않도록 주의해 건반에 놓이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바른 손자세의 피아노 연습은 수지근력의 조정능력을 향상시켜주어 어떤 소리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 좋은 연주를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손자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1:1 교습을 통해 손자세를 교정하도록 반복적으로 지도하지만, 혼자 연습을 하는 동안 자세는 쉽게 흐트러지게 된다. 이는 주의를 받게 되는 악순환을 박복하게 되므로 집중력과 인내심이 약한 어린 아동에게 힘겨운 학습이 된다.

    따라서, 피아노의 첫 입문 시기의 학습과 연습을 바른 자세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피대상체를 조작하는 경우 바른 손자세로 피대상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자세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는 아래팔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팔목이 구부러진 채로 유지되도록 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손바닥의 중앙부를 지지토록 연장 형성되며, 손바닥의 중앙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는 손이 상부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상향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에는 엄지손가락이 연결되는 손바닥측과의 간섭을 방지토록 만입 형성되는 만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절곡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절곡부의 반대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의 일측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연결하는 손바닥의 일영역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는 상기 만곡부에 설치되어 상기 만곡부를 착용자의 손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아래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는 지지부와, 절곡부 및 만곡부를 포함하며, 손바닥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만곡부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에 따르면, 일정한 손자세로 피대상체를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손자세를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에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100)는 일예로서, 지지부(120), 절곡부(140) 및 만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아래팔을 지지한다. 즉, 손자세 교정기구(100)가 인체에 장착되는 경우 지지부(120)는 아래팔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는 소정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0)의 각 모서리는 아래팔의 긁힘을 방지토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2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아래팔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절곡부(140)는 지지부(12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팔목이 구부러진 채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절곡부(140)는 손이 상부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상향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손가락을 사용하여 피대상체, 예를 들어 피아노 건반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절곡부(140)는 팔목이 소정각도로 구부러진 채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절곡부(140)는 팔목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채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절곡부(140)에는 엄지손가락이 연결되는 손바닥측과의 간섭을 방지토록 만입 형성되는 만입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곡부(140)의 일측면에는 엄지손가락의 반대편인 내측으로 만입 형성되는 만입홈(142)이 형성되어 절곡부(140)가 엄지손가락이 연결되는 손바닥측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가 예를 들어 피아노 건반의 조작시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 엄지손가락이 연결되는 손바닥측은 하부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엄지손가락이 연결되는 손바닥측이 절곡부(140)에 접촉되는 경우 팔목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채로 유지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곡부(140)에는 만입홈(142)이 형성되어 엄지손가락이 연결되는 손바닥측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만곡부(160)는 절곡부(140)로부터 손바닥의 중앙부를 지지토록 연장 형성되며, 손바닥의 중앙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만곡부(160)는 손바닥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팔목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채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만곡부(160)의 상면은 손바닥의 중앙부 형상에 대응되는 3차원의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만곡부(160)는 절곡부(14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절곡부(140)로부터 점차적으로 확장 형성된다. 즉, 만곡부(160)의 일측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연결하는 손바닥의 일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더하여, 만곡부(160)의 일측 상면에는 하부측으로 만입 형성되는 삽입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곡부(160)가 손바닥의 밀착된 상태로 손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 만곡부(160)의 일측 끝단부 측으로 손바닥의 돌출되는데 만곡부(160)의 일측 상면에 삽입홈(162)이 형성되므로 돌출되는 손바닥 부분이 삽입홈(162)에 삽입되어 만곡부(160)가 손바닥에 밀착된 상태로 손바닥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곡부(160)가 손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만곡부(160)가 손바닥에 밀착된 상태로 손바닥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자세가 보다 바람직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부(140)에 의해 팔목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손자세가 바른 자세로 유지되도록 하며, 더하여 만곡부(160)에 의해 손바닥의 중앙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손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국, 일정한 손자세로 피대상체, 예를 들어 피아노의 건반을 치도록 함으로써 피대상체의 조작시 손자세를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는 지지부(120)에 설치되어 지지부(120)를 아래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아래팔에 지지부(12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부(120)에는 고정부재(180)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는 고정부재(180)가 아래팔이 삽입되는 밴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부(120)를 아래팔에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즉, 고정부재(18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아래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폐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하는 피대상체는 피아노 뿐만이 아니라 손가락을 사용하여 조작하는 마우스, 키보드 등일 수도 있다. 즉, 마우스와 키보드의 조작시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100)를 통해 손자세를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200)는 일예로서, 지지부(220), 절곡부(240), 만곡부(260) 및 볼록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200)의 지지부(220), 절곡부(240), 만곡부(2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100)의 지지부(220), 절곡부(240), 만곡부(260)와 두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200)는 볼록부(270)를 구비하며, 볼록부(270)는 손바닥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도록 만곡부(260)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볼록부(270)는 만곡부(260)의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그립감을 인식하도록 하여 손자세를 보다 바른 자세로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손가락을 사용하여 피대상체, 예를 들어 피아노를 조작하는 경우 손바닥은 오므려지게 된다. 다시 말해 손바닥의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 경우 볼록부(270)의 측면이 손바닥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감을 통해 손자세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결국, 그립감을 기억하는 사용자는 기억된 그립감으로 손자세 교정기구(200)가 없어도 손자세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하여, 볼록부(270)를 통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볼록부(270)에 의해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되므로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블록부(270)는 내부에는 손바닥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내부에 리브(rib)살의 형상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한편, 손자세 교정기구(200)에는 아래팔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가 설치되기 위한 관통홀(29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관통홀(290)은 지지부(220)와 절곡부(24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관통 형성되어 고정부재, 예를 들어 밴드가 삽입 장착될 수 있는 관통홀(2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켜 손자세 교정기구(200)를 아래팔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손자세 교정기구(200)에는 엄지손가락이 연결되는 손바닥 측에의 고정을 위해 벨크로와 같은 장착부재가 장착될 수 있는 설치홀(29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자세 교정기구(200)는 관통홀(290)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설치홀(295)에 설치되는 장착부재에 의해 손과 아래팔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만곡부(260)에는 장착부재가 설치되어 만곡부(260)를 손바닥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도록 설치홀(29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설치홀(295)에 설치되는 벨크로와 같은 장착부재에 의해 만곡부(260)가 손바닥에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300)는 바디(310), 덮개부재(410), 접촉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재(410)는 바디(31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접촉부재(420)는 바디(3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덮개부재(410)와 바디(310), 그리고 접촉부재(420)의 결합을 위해 바디(310)에는 허브부(312)와 장착홈부(3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더하여, 장착홈부(314)에는 고정부재(180, 도 4 참조)의 고정 설치를 위한 가이드돌기(314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80)에는 가이드돌기(314a)가 삽입되는 가이드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80)는 가이드돌기(314a)가 가이드홀을 관통하도록 바디(310)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바디(310)는 지지부(320), 절곡부(340) 및 만곡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20), 절곡부(340) 및 만곡부(360)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100)에 구비되는 지지부(120), 절곡부(140) 및 만곡부(16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자세 교정기구(100)에 구비되는 지지부(120), 절곡부(140) 및 만곡부(160)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디(310)는 덮개부재(410)와의 결합을 위해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16)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316)는 지지부(320), 절곡부(340) 및 만곡부(36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316)의 저면에는 덮개부재(410)가 삽입되는 장착홈부(3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덮개부재(410)는 연장부(316)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착홈부(314)에 삽입되어 바디(3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2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16)에는 고정부재(180)의 설치를 위한 개구(316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316a)에 의해 바디(310)에 덮개부재(410)가 결합되는 경우 관통홀(29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만곡부(36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16)에도 벨크로와 같은 장착부재(미도시)의 설치를 위한 개구(316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316b)에 의해 바디(310)에 덮개부재(410)가 결합되는 경우 장착부재가 관통되는 설치홀(295)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만곡부(360)의 상면에는 접촉부재(42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36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부재(420)는 설치홈(366)에 삽입되도록 만곡부(36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만곡부(360)에는 접촉부재(420)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결합돌기(422)가 삽입되는 허브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부재(420)는 결합돌기(422)가 허브부(312)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만곡부(360)의 설치홈(366)에 안착 설치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한 장착부재에는 허브부(312)가 삽입되어 장착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허브부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접촉부재(4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접촉부재(4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0, 200, 300 : 손자세 교정기구 120, 220, 320 : 지지부
    140, 240, 340 : 절곡부 160, 260, 360 : 만곡부
    270 : 볼록부 310 : 바디부
    410 : 덮개부재 420 : 접촉부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