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행용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변속조작 시스템

申请号 KR1020000011356 申请日 2000-03-07 公开(公告)号 KR1020010029585A 公开(公告)日 2001-04-06
申请人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发明人 마에자와기요시게; 나카니시기요카즈; 와다츠카사;
摘要 PURPOSE: To improve productivity of a working vehicle which has a running continuous transmission, both in the case that the vehicle has a running structure having a holding mechanism which can hol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at a desired transmission position and that the vehicle does not have the holding mechanism. CONSTITUTION: A transmission pedal 13 is interlocked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7 through a first interlocking mechanism 16. A holding mechanism can hold a desired transmission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device 7. The holding mechanism is operated by a transmission lever 26. The holding mechanism is mechanically interlocked with the transmission pedal 13 through second interlocking mechanisms 34, 36. By operating the transmission lever 26, therefore, the transmission pedal 13 is shifted to a desired transmission position and held there by means of the holding mechanism and second interlocking mechanisms 34, 36.
权利要求
  • 변속페달;
    무단변속장치의 변속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변속페달(13)의 밟기 변위를 상기 무단변속장치에 전달하는 제 1연계기구(16,18,19,20);
    상기 무단변속장치의 변속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속위치에 대응하는 유지위치를 만들어내는 유지기구(30,40,41,42);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위치를 설정하는 변속레버(26);를 포함하는 주행용 무단변속장치(7)를 구비한 작업차의 변속조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에 의해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된 유지위치에 대응하는 밟기 위치로 상기 변속페달을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 변속레버에 의한 조작변위를 상기 변속페달에 전달하는 제 2연계기구(34,35,3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변속조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와 유지기구와 제 2연계기구가 상기 제 1연계기구에서 독립하여 부착·해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계기구가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된 유지위치 보다 고속측으로의 상기 변속페달의 밟기 조작을 허용하는 융통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 융통기구에 의하여 유지수단에 따라 유지된 유지위치에서 고속측으로의 상기 변속페달의 밟기 변위가 자유롭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 시스템.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구, 변속레버 및 제 2연계기구가 상기 작업차의 기체에 부착·해체 자유로운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연계기구는 상기 변속페달에 연계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장치를 그 사이에 배열설치하고 있는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측의 기체프레임의 가로 외측에 상기 변속페달을 배치하고, 상기 우측의 기체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제 1연계기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우측의 기체프레임의 가로 외측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구 및 상기 변속페달을 상기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장치가 전진·후진 무단변속가능하고,
    상기 변속페달이 전방으로 뻗는 전진측페달부 및 후방으로 뻗는 후진측 페달부를 구비하고, 그때 상기 전진측 페달부를 밟기 조작하면 상기 무단변속장치가 전진측의 고속측으로 변속조작되고, 상기 후진측 페달부를 밟기 조작하면 상기 무단변속장치가 후진측의 고속측으로 변속조작되고, 또한
    상기 유지기구를 상기 변속페달의 후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2연계기구는 상기 유지기구와 상기 후진측 페달부를 연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 시스템.
  • 说明书全文

    주행용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변속조작 시스템{SPEED CHANGE OPERATION SYSTEM OF WORKING VEHICLE WITH STEPLESS SPEED CHANGE DEVICE FOR TRAVEL}

    본 발명은 주행용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변속조작시스템, 특히 변속페달과 상기 무단변속장치의 변속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변속페달의 밟기 변위를 상기 무단변속장치에 전달하는 제 1연계기구와, 상기 무단변속장치의 변속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속위치에 대응하는 유지위치를 만들어내기 가능한 유지기구와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위치를 설정하는 변속레버가 구비된 변속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작업차의 일예인 농업용 트랙터에서는 주행용으로 정유압식의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고,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연계기구(예를 들면 연계로드 등에 의해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연계하는 기계적 연계기구, 변속페달의 조작위치에 의거하여 무단변속장치를 전동모터나 유압액추에이터에 의해 변속조작하는 전기적이나 유압적 연계기구 등)를 통하여 연계하고, 변속페달을 밟아 조작함으로써 연계기구를 통하여 무단변속장치를 변속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농업용트랙터에 모터를 장비하여 잔디깎기 작업을 행할 경우, 일정속도로 주행하면서 잔디깎기 작업을 행할때가 많으므로 무단변속장치를 원하는 변속위치로 유지가능한 유지기구 및 유지기구를 조작하는 변속레버를 구비한 농업용트랙터가 있다. 이것에 따라, 변속레버에 의해 유지기구를 조작하고, 유지기구에 의해 무단변속장치를 원하는 변속위치로 유지해 놓으므로써 변속페달을 밟기 조작하지 않아도 일정속도에서의 주행이 행해진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크루징기능이라 한다.

    주행용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농업용트랙터 등의 작업차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과,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을 생산하는 경우가 있다.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의 경우, 유지기구 및 무단변속장치를 기계적으로 연계하여 유지기구에 의해 무단변속장치를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가능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을 생산할 경우,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의 구조(예를 들면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연계하는 연계기구 등)에 변경을 실시하여 유지기구 및 무단변속장치를 기계적으로 연계하도록 구성하면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과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을 생산할 때에 생산성 저하를초래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용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주행변속조작 구조에 있어서, 무단변속장치를 원하는 변속위치로 유지가능한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과,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 양쪽을 생산할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차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에 있다.

    도 1은 농업용 트랙터의 전체측면도,

    도 2는 변속페달부근의 측면도,

    도 3은 무단변속장치의 트러니언축 부근의 측면도,

    도 4는 무단변속장치의 트러니언축 부근의 종단정면도,

    도 5는 무단변속장치(트러니언축)과 변속페달을 연계하는 연계로드의 보스부재 부근의 종단측면도,

    도 6은 변속페달(무단변속장치)을 원하는 변속위치로 조작하여 유지하는 변속레버 부근의 종단측면도,

    도 7은 변속페달(무단변속장치)을 원하는 변속위치로 조작하여 유지하는 변속레버 부근의 종단배면도,

    도 8은 변속레버를 유지하는 캠판 부근의 사시도,

    도 9는 변속레버의 레버가이드 평면도,

    도 10은 우 및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 부근을 도시하고,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브레이크 양쪽을 밟기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우 및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 부근을 나타내고, 우측의 사이드 브레이크 만을 밟기 조작한 상태 및 좌측의 사이드 브레이크 만을 밟기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유지기구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유지기구를 도시하는 종단배면도,

    도 14는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따른 유지기구의 해제를 행하는 캠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술한 변속조작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변속레버에 의해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된 유지위치에 대응하는 밟는 위치에 상기 변속페달을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 변속레버에 의한 조작변위를 상기 변속페달에 전달하는 제 2연계기구가 구비되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면, 주행용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에 있어서,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제 1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하고, 변속페달을 밟기 조작함으로써 제 1연계기구를 통하여 무단변속장치를 변속조작자유로이 구성된 작업차에 크루징 기능을 추가할 경우,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가능한 유지기구 및 유지기구를 조작하는 변속레버를 구비할 경우, 유지기구 및 변속레버를 기체에 설치하고, 유지기구 및 변속페달을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한다. 이에 의해 변속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유지기구 및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변속페달을 원하는 변속위치에 조작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변속페달 및 제 1연계기구를 통하여 무단변속장치를 원하는 변속위치로 조작 유지할 수 있다.

    즉,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의 기체에 유지기구 및 변속레버를 구비한 경우, 유지기구 및 변속페달을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하는 것만으로 되고,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연계하는 제 1연계기구 등에 특히 개조를 실시할 필요 없이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크루징기능 부착기종)을 얻을 수 있다.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과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을 생산할 경우,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기종은 그대로 생산하면 되고,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은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기종의 기체에 유지기구 및 변속레버를 구비하고, 유지기구 및 변속페달을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변속레버와 유지기구와 제 2연계기구가 상기 제 1연계기구에서 독립하여 부착·해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언제라도 좋을 때에 옵션으로 유지기구를 붙여 크루징타입으로 하거나 이것을 해체하여 비크루징타입으로 하거나 하기가 간단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제 2연계기구가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된 유지위치 보다 고속측으로의 상기 변속페달의 밟기 조작을 허용하는 융통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 융통기구에 의해 유지수단으로 유지된 유지위치에서 고속측으로의 상기 변속페달의 밟기변위가 자유롭게 된다. 이에 따라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에 있어 유지기구에 의해 변속페달, 결과적으로는 무단변속장치를 원하는 변속위치로 유지하여 주행하고 있는 상태로 원하는 변위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고속 주행하고자 할 경우, 원하는 변속위치에서 변속페달을 고속측으로 밟기 조작하여 일시적으로 고속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에서는 유지기구, 변속레버 및 제 2연계기구가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유지기구, 변속레버 및 제 2연계기구가 지지부재에 의해 하나의 유니트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을 얻을 경우, 지지부재를 기체에 부착함으로써 유지기구, 변속레버 및 제 2연계기구를 기체에 구비할 수 있고, 유지기구, 변속레버 및 제 2연계기구 각각을 별도로 기체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 사이에 무단변속장치를 배치하여 우측의 기체프레임의 가로외측에 변속페달을 배치하고,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연계하는 제 1연계기구를 우측의 기체프레임을 통하여 배치하고 있는 작업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우측의 기체프레임 가로외측에 있어 유지기구 및 변속페달을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에 의해,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의 기체에 유지기구 및 변속레버를 구비한 경우, 우측의 기체프레임의 가로외측에 있어, 유지기구 및 변속페달을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쉽게 연계할 수 있고,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연계하는 제 1연계기구 등에 특히 개조를 실시할 필요 없이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을 얻을 수 있다.

    농업용트랙터 등의 작업차에서는 상기 무단변속장치가 전진·후진 무단 변속가능하고,

    상기 변속페달이 전방으로 뻗는 전진측 페달부 및 후방으로 뻗는 후진측 페달부를 구비하고, 그때 상기 전진측 페달부를 밟기 조작하면 상기 무단변속장치가 전진측의 고속측으로 변속조작되고, 상기 후진측 페달부를 밟기 조작하면 상기 무단변속장치가 후진측의 고속측으로 변속조작되는 것이 있다. 이같은 작업차의 경우, 상기 유지기구를 상기 변속페달 후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2연계기구는 상기 유지기구와 상기 후진측 페달부를 연계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 구성에서는 유지기구가 후진측 페달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게 되므로, 제 2연계기구에 의한 유지기구 및 후진측 페달부의 연계가 쉽게 행해져, 제 2연계기구도 짧은 것으로 좋게 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이용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 분명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도 1에 작업차의 일예인 농업용 트랙터가 도시되어 있다. 기체의 앞부에 좌우 한쌍의 전륜(1), 엔진(4) 및 클러치(6)가 배치되고, 기체후부에 한쌍의 후륜(2) 및 변속기케이스(9)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6)와 변속기케이스(9)는 세로설치 플레이트로 구성된 좌우 한쌍의 기체프레임(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3)에 천정판(도시생략) 및 저판(도시생략)이 연결되어 우측 및 좌측 프레임(3)이 단면사각형상의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운전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변속장치(7)가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3) 사이에 배치된 전진측(F) 및 후진측(R)에 변속자유로운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7)가 변속기케이스(9)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고, 동일하게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3)사이에 배치된 전동축(8)에 의해 클러치(6)의 동력이 무단변속장치(7)에 전달된다.

    다음에 무단변속장치(7)를 전진측(F) 및 후진측(R)으로 변속조작하는 변속페달(1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기체프레임(3)의 가로외측에 고정된 지지축(11)주위에 요동자유로이 변속페달(13)이 구비되어 있다. 이 변속페달(13)은 지지축(11)에 회전자유로이 외부끼움된 보스부재(13a)와 보스부재(13a)에 고정되어 기체의 전방으로 뻗어 나간 전진측 페달부(13f)와 보스부재(13a)에 고정되어 기체의 후방으로 뻗어 나간 후진축 페달부(13r)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3)사이에 있어, 무단변속장치(7)의 트러니언축(12)에 조작암(19)이 고정되어 있고, 조작암(19)의 조작축(22)이 우측기체프레임(3)의 개방구멍(3a)에서 가로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재(13a)에 조작암(14)이 고정되어 조작암(14)에 연계로드(16)가 접속되어 있다. 연계로드(16)의 단부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방진고무(15)가 부착되고, 방진고무(15)에 외부끼움된 보스부재(18)의 연결부(18a)가 조작축(22)에 접속되어 있다.

    도 3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3) 사이에 있어, 무단변속장치(7)의 횡축심(P1)주위에 암(21)이 요동자유로이 지지되고, 암(21)에 롤러(21a)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암(19)의 V자형상의 캠부(19a)에 롤러(21a)가 가압되도록 스프링(20)에 의해 암(21)이 도 3의 지면(紙面)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기체프레임(3)의 가로외측의 횡축심(P2)주위에 요동자유로이 브래킷(17)이 지지되고, 브래킷(17)과 조작암(14)에 걸쳐 댐퍼(23)가 접속되어 있다. 전진측 페달부(13f)의 밟기 조작의 한도를 결정하는 스토퍼(24) 및 후진측 페달부(13r)의 밟기 조작의 한도를 결정하는 스토퍼(25)가, 우측의 기체프레임(3)의 가로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전진측 페달부(13f)를 밟기 조작함으로써 연계로드(16)를 통하여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전진측(F)의 고속측으로 변속조작되고, 후진측 페달부(13r)를 밟기 조작함으로써 연계로드(16)를 통하여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후진측(R)의 고속측으로 변속조작된다. 이 경우, 전진측 및 후진측페달부(13f,13r)의 급격한 밟기 조작이 댐퍼(23)에 의해 완화된다. 암(21)에 의해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 및 변속페달(13)은 항상 중립위치(N)에 가압되어 있다.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의 진동이 방진고무(15)에 의해 변속페달(13)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무단변속장치(7)의 변속위치(트러니언축(12)의 회전각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변속페달(13)의 밟기 변위를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에 전달하는 제 1연계기구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계로드(16), 보스부재(18), 조작암(19), 조작축(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변속레버(26)에 의해 설정되는 전진측(F)의 원하는 변속위치에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를 유지하는 구조, 즉 유지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으로 평판형상의 지지부재(27)가 구비되어 있고, 지지부재(27)에 고정된 지지로드(27a)에 지지판(28)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재(27)의 보스부(27b)에 캠보스부재(29)가 후술하는 소정각도의범위로 회전자유로이 지지되고, 지지판(28)이 보스부(28a)에 조작축(30)의 단부가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고, 조작축(30)의 반대측 단부가 캠보스부(29)에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27)에 고정된 지지암(27c)의 횡축심(P4)주위에 연계암(34)이 요동자유로이 지지되고, 긴구멍(44a)을 구비한 브래킷(44)이 연계암(34)선단에 고정되어 있고, 조작축(30)에 조작암(35)이 상대회전 자유로이 외부끼움되고, 조작암(35)과 연계암(34)에 걸쳐 연계로드(36)가 접속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진측 페달부(13r)에 고정된 브래킷(13b)의 핀(13c)이 브래킷(44)의 긴구멍(44a)에 삽입되어어 연계암(34)과 후진측 페달부(13r)가 연계된다.

    정면에서 보아, L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31)가 조작축(30)에 외부끼움되어 스프링핀(32)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측면시 ㄷ자형상의 조작암(33)이 지지부재(31)상단부의 전후축심(P3)주위에 요동자유로이 지지되고, 지지부재(31)에 변속레버(26)가 고정되어 있다. 핀(37a)을 구비한 링부재(37)가 조작축(30)에 슬라이드자유로이 외부끼움되고, 조작암(33)의 핀(33a)의 링부재(37)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변속레버(26) 및 조작암(33)을 도 7의 지면 반시계방향(핀(37a)이 조작암(35)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9)이 구비되어 있고, 변속레버(26)를 레버가이드(38)(도 9참조)의 중립위치(N)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3)이 지지판(28)과 조작암(33)에 걸쳐 접속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9의 도시하는 상태는 레버가이드(38)의 중립위치(N)에 변속레버(26)가 조작되고 있는 상태이고, 핀(37a)이 조작암(35)에서 도 7의 지면 우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변속레버(26)를 레버가이드(38)를 따라 중립위치(N)에서 전진변속경로(38a)로 조작하면, 조작암(33)에 의해 링부재(37) 및 핀(37a)이 도 7의 지면좌측으로 조작되고, 핀(37a)이 조작암(35)에 하측에서 맞닿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변속레버(26)를 전진변속경로(38a)를 따라 조작하면 변속레버(26)에 의해 조작축(30) 및 핀(37a)이 일체로 회전조작되는 상태가 되고, 핀(37a)에 의해 조작암(35)이 조작축(30)과 일체로 회전조작되는 상태로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축(30)에 있어서의 도 7의 지면좌측부분에 스플라인부가 형성되어, 조작축(30)의 스플라인부에 복수의 제 1마찰판(41)이, 조작축(30)과 일체 회전하도록 외부끼움되어 있다. 제 1마찰판(41)사이에 복수의 제 2마찰판(42)이 조작축(30)에 대하여 상대회전자유로이 외부끼움되고, 캠보스부재(29)에 고정된 캠판(29a)의 핀(29b)에 제 2마찰판(42)의 일단이 걸어맞춤되어, 제 2마찰판(42)이 캠판(29a)에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고, 캠판(29a)을 가압하는 스프링(40)이 구비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부재(27)의 횡축심(P5)주위에 보스부재(45)가 회전자유로이 지지되고, 보스부재(45)의 제 1암(45a)이 캠판(29a)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캠판(29a)이 도 8표시의 위치에서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키는 스토퍼(46)가, 지지부재(27)에 구비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재(45)의 제 2암(45b)과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이 연계되는 것, 및 스토퍼(46)에 의해 캠판(29a)이 도 6 및 도 7표시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된다.

    도 2 및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기체프레임(3)의 열외측에 지지축(47)이 고정되고, 한쌍의 보스부재(48)가 지지축(47)에 회전자유로이 병렬하여 외부끼움되어 있고, 우 및 좌의 보스부재(48)각각에 우 및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이 고정되어 있다. 우 및 좌의 후륜(2)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동하는 우 및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도시생략)가 구비되어 우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과 우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기계적으로 연계되고,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과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우 및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을 복귀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4)이 구비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기체프레임(3)의 횡축심(P6)주위에 조작암(49)이 요동자유로이 지지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재(45)의 제 2암(45b)과 조작암(49)에 걸쳐 연계로드(50)가 접속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 및 좌의 보스부재(48)의 각각에 길이가 다른 암(48a)이 구비되어 있고, 조작암(49)에 접속된 링크(51)와, 우의 보스부재(48)의 암(48a) 및 좌의 보스부재(48)의 암(48a)의 한쌍의 링크(52) 및 핀(5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무단변속장치(7)의 변속위치(트러니언축(12)의 회전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 변속위치에 대응하는 유지위치를 만들어내는 유지기구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축(30), 스프링(40), 제 1 및 제 2마찰판(41,42)이 구성되어 있다. 또, 변속레버(26)에 의해 설정됨과 동시에 이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된 유지위치에 대응하는 밟기 위치에 변속페달(13)을 변위시키기 위하여 변속레버(26)에 의한 조작변위를 변속페달(13)에 전달하는 제 2연계기구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계암(34), 조작암(35), 연계로드(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6 및 도 7로부터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변속레버(26)와 유지기구와 제 2연계기구, 즉 변속레버(26), 조작축(30), 캠판(29a), 스프링(40), 제 1 및 제 2마찰판(41,42), 연계암(34), 조작암(35), 연계로드(36)등이 제 1연계기구에서 독립한 1개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고, 지지부재(27)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변속레버(26)에 의해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를 전진측(F)의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하는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을 생산할 경우는 상술의 유니트는 기체에 구비하지 않고, 또, 레버가이드(38)도 생략되므로 도 10a에 도시하는 조작암(49), 연계로드(50), 링크(51,52) 및 핀(53)은 구비하지 않는다(도 10a에 도시하는 보스부재(48)에 있어서는, 암(48a)을 구비하지 않는 보스부재(48)로 변경하는 일도 있다).

    다음에, 변속레버(26)에 의해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를 전직측(F)의 원하는 변위위치로 유지하는 기구, 즉 크루징기능을 구비한 기종을 생산할 경우에는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페달(13)의 후측에 유니트를 배치하여 볼트(55)에 의해 지지부재(27)를 기체에 고정하고, 레버가이드(38)를 구비하여 후진측페달부(13r)의 브래킷(13b)의 핀(13c)을 브래킷(44)의 긴구멍(44a)에 삽입하여 연계암(34)과 후진측 페달부(13r)를 연계한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암(49), 연계로드(50), 링크(51,52) 및 핀(53)을 구비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재(45)의 제 2암(45b)에 연계로드(50)를 접속한다.

    도 6,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상태는 레버가이드(38)의 중립위치(N)에 변속레버(26)를 조작하고 있는 상태이고, 스프링(40)의 가압력으로 제 1 및 제 2마찰판(41,42)이 가압되어서 변속레버(26)가 중립위치(N)에 마찰력으로 유지되어 있고, 조작암(33)에 의해 링부재(37) 및 핀(37a)이 도 7의 지면 우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되고, 핀(37a)이 조작암(35)에서 이격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전진측 페달부(13f)를 밟아 조작하면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전진측(F)의 고속측으로 변속조작되며, 후진측 페달부(13r)에 의해 연계암(34)이 횡축심(P4)주위에 상방으로 요동조작되고, 연계로드(36)에 의해 조작암(35)이 조작축(30)주위에 도 6의 지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된다. 후진측 페달부(13r)를 밟기 조작하면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후진측(R)의 고속측으로 변속조작되는 것으로, 후진측 페달부(13r)에 의해 연계암(34)이 횡축심(P4)주위에 하방으로 요동조작되고, 연계로드(36)에 의해 조작암(35)이 조작축(30)주위에 도 6의 지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된다.

    다음에, 변속레버(26)를 스프링(3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레버가이드(38)의 중립위치(N)에서 전진변속경로(38a)의 고속측으로 조작하면 조작암(33)에 의해 링부재(37) 및 핀(37a)이 도 7의 지면 좌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되고, 핀(37a)이 조작암(35)에 하측에서 맞닿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도 스프링(40)의 가압력으로 제 1 및 제 2마찰판(41,42)이 가압되어서 변속레버(26)에 마찰력이 걸려 있으므로 마찰력에 저항하여 변속레버(26)를 레버가이드(38)의 전진변속경로(38a)의 고속측으로 조작하면, 변속레버(26)에 의해 조작축(30) 및 핀(37a)이 일체로 도 6의 지면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되는상태가 되고, 핀(37a)에 의해 조작암(35)이 조작축(30)과 일체로 도 6의 지면 시계방향으로 조작된다. 이에 따라 연계로드(36)에 의해 연계암(34)이 횡축심(P4)주위에 상방으로 요동조작되고, 후진측 페달부(13r)가 상방으로 요동조작되어 전진측 페달부(13f)가 밟기 조작될 경우와 동일하게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전진축(F)의 고속측으로 변속조작된다.

    반대로 마찰력에 저항하여 변속레버(26)를 레버가이드(38)의 전진변속경로(38a)의 저속측(중립위치(N)측)으로 조작하면 핀(37a)이 도 6의 지면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조작되는 상태로 되고, 조작암(35)에서 이격하려 한다. 이경우, 도 3에 도시하는 암(21)에 의해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및 변속페달(13)이 중립위치(N)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마찰력에 저항하여 변속레버(26)를 레버가이드(38)의 전진변속경로(38a)의 저속측(중립위치(N)측)으로 조작하여도 핀(37a)을 추종하도록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전진측(F)의 저속측으로 변속조작된다.

    변속레버(26)에 의해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를 전진측(F)이 고속측 및 저속측으로 변속조작한 후, 원하는 변속위치에서 변속레버(26)에서 손을 떼더라도 스프링(40), 제 1 및 제 2마찰판(41,42)에 의거한 마찰력에 의해 변속레버(26)가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하는 암(21)에 의해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 및 변속페달(13)이 중립위치(N)로 가압되는 작용 및 핀(37a)에 의해 변속페달(3) 및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도 전진측(F)의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된다. 레버가이드(38)에 후진변속경로는 구비되지 않았고, 변속레버(26)에 의해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를 후진측(R)으로 변속조작할 수는 없다.

    이 상태로 일시적으로 고속주행할 경우, 전진측 페달부(13f)를 밟기 조작하기가 가능하고, 전진측 페달부(13f)를 밟기조작하면 조작암(35)이 도 6의 지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되어 핀(37a)으로부터 이격하게 되므로 전진측 페달부(13f)의 밟기 조작이 지장없이 행해진다. 전진측 페달부(13f)에서 발을 떼면 도 3에 도시하는 암(21)에 의해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 및 변속페달(13)이 중립위치(N)로 가압되는 작용에 의해 조작암(35)이 핀(37a)에 맞닿는 위치까지 복귀하고,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전진측(F)의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복귀한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판(29a)에 보스부재(45)의 제 1암(45a)이 걸어맞춤하고, 보스부재(45)의 제 2암(45b)이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에 연계로드(50)를 통하여 연계되어 있는 점, 캠판(29a)에 스토퍼(46)가 작용하고 있는 점에 의해 상술하는 바와 같이 마찰력에 저항하여 변속레버(26)를 조작하여도 캠판(29a)이 함께 회전하는 일은 없고, 변속레버(26)로 마찰력이 안정되게 작용한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전진측(F)의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우 및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양쪽을 밟기 조작했다고 하자.

    이같이 우 및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양쪽을 밟기조작하면, 도 10a에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링크(52) 및 핀(53)이 지면 우측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되어, 링크(51)에 의해 조작암(49)이 요동조작되고, 연계로드(50)가 조작암(49)측으로 당김 조작되어 보스부재(45) 및 제 1암(45a)이 도 6의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조작되고, 캠판(29a)이 도 6의 지면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조작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보스부재(29)에 긴구멍(29c)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스부(27b)의 핀(56)이 캠보스부재(29)의 긴구멍(29c)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캠판(29a)이 도 6의 지면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조작되면 보스부(27b)의 핀(56)과 캠보스부재(29)의 긴구멍(29c)과의 캠작용에 의해 스프링(40)에 저항하여 캠판(29a)이 제 1 및 제 2마찰판(41,42)에서 도 7의 지면 좌측으로 이격하여 변속레버(26)를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하는 마찰력이 소거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하는 스프링(43)의 가압력에 의해 변속레버(26)가 레버가이드(38)의 중립위치(N)로 복귀하는 것이며, 도 3에 도시하는 암(21)에 의해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 및 변속페달(13)이 중립위치(N)로 가압되는 작용에 의해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중립위치(N)로 복귀한다.

    변속페달(13) 및 무단변속장치(7)(트러니언축(12))가 전진측(F)의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우 또는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의 한쪽을 밟기 조작했다고 하자.

    이 경우, 우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을 밟기 조작하면 도 10a에서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의 보스부재(48) 및 암(48a)만이 지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51)및 한쌍의 링크(52)가 핀(53)주위에 상향으로 절곡되는 것같은 상태로 되는 것뿐이지, 조작암(49)이 요동조작되는 일은 없다.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을 밟기 조작하면 도 10a에서는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의 보스부재(48) 및 암(48a)만이 지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51)및 한쌍의 링크(52)가 핀(53)주위에 하향으로 절곡되는 것 같은 상태로 되는 것뿐이지, 조작암(49)이 요동조작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우 또는 좌의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 한쪽을 밟기 조작할 경우는, 변속레버(26)를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하는 마찰력이 소거되는 일은 없고, 원하는 변속위치에 변속레버(26)는 남는다.

    (상기 실시예의 변형양태)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우측의 기체프레임(3)의 개방구멍(3a)을 폐지하고, 연계로드(16), 댐퍼(23) 및 조작암(14)을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3)사이에 배치하고 우측의 기체프레임(3)의 가로외측에 배치된 변속페달(13)과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3)사이에 배치된 조작암(14)을 우측의 기체프레임(3)을 회전자유로운 상태로 관통한 연동축(도시생략)에 의해 연결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세로벽형상의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3)을 폐지하고, 복수개의 각 파이프형상의 프레임을 우측에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복수개의 각 파이프형상 프레임을 좌측에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우측 및 좌측의 기체프레임(3)을 구성하여도 된다. 이같이 구성하면 우측의 기체프레임(3)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 사이를 통하여 연계로드(16)등이 배치되는 것이 된다.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7)대신 벨트식 무단변속장치(도시생략)를 설치하여도 되고,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7)나 벨트식 변단변속장치를 기체앞부에 배치하여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

    다음에,변속레버(26)에 의해 설정된 전진측(F)의 원하는 변속위치에 변속페달(13)및 무단변속장치(7)를 유지하는 유지기구의 다른 구조에 대하여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하는데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 번호를 부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제 2마찰판(41,42)을 가압하는 스프링은 압축스프링(40)에서 인장스프링(140)으로 변경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27)에 부착된 브래킷(127d)에 형성된 하부개방 U자형상 노치주위에서 요동하는 요동핀(110)을 구비한 요동플레이트(100)가 배치되어 있다. 요동플레이트(100)에는 이 요동핀(110)에서 작은 거리를 두고 연결핀(111)이 그리고 요동핀에서 큰 거리를 두고 연결구멍(112)이 설치되어 있고, 연결핀(111)은 캠보스부재(129)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상기 개방 U자형상 노치부에 걸려 있고, 연결구멍(112)에는 캠보스부재(129)의 축심과 평행으로 뻗어 설치된 인장스프링(140)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이 인장스프링(140)의 타단은 지지판(28)에 볼트 고정된 스프링 부착부재(140a)의 구멍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제 2마찰판(41,42)은 캠보스부재(129)의 캠판(129a)을 통하여 인장스프링(140)에 의해 항상 가압되게 된다.

    요동플레이트(100)의 자유단측에는 캠보스부재(129)축심과 평행으로 뻗은 연장로드(101)가 고정되어 있고, 연장로드 선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조작암(33)이 축심(P3)주위에서 도 12에 관해 시계방향으로 약간 요동함으로써 이 절곡부는 조작암(33)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뻗은 푸쉬암(133a)과 맞닿고, 도면좌측방향으로 인장스프링(14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가압운동시킨다. 변속레버(26)를 레버가이드(38)의 전진변속경로(38a)를 따라 요동시킬 경우, 변속레버(26)를 약간 축심(P3)주위에서 요동시킨는 것만으로 제 1·제 2마찰판(41,42)의 마찰유지력이 저감되어 그 변속조작이 가벼워진다.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의 조작에 따른 상기 유지기구의 해제를 위한 구조는 이하와 같다. 지지부재(27)의 측면축심(P5)주위에 회전자유로이 지지된 보스부재(45)의 외주면에 측면축심(P5)에 대하여 경사로 뻗도록 캠로드(145a)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캠로드(145)의 주위면에 맞닿도록 연장로드(101)에 캠종동로드(102)가 하향으로 세워설치된다. 캠로드(145a)의 측면축심(P5)에 대한 경사도는 사이드브레이크페달(10)의 조작에 따른 보스부재(45)의 회전운동에 따라 캠로드(145a)가 캠종동로드(102)를 도 12에 관하여 좌방으로 변위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브레이크페달(10)을 조작하면 요동플레이트(100)가 도 12에 관해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결과적으로 캠보스부재(129)가 좌방으로 이동하여 제 1·제 2마찰판(41,42)을 해방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주행용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에 있어서,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제 1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하고, 변속페달을 밟기 조작함으로써 제 1연계기구를 통하여 무단변속장치를 변속조작자유로이 구성된 작업차에 크루징 기능을 추가할 경우, 원하는 변속위치에 유지가능한 유지기구 및 유지기구를 조작하는 변속레버를 구비할 경우, 유지기구 및 변속레버를 기체에 설치하고, 유지기구 및 변속페달을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한다. 이에 의해 변속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유지기구 및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변속페달을 원하는 변속위치에 조작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변속페달 및 제 1연계기구를 통하여 무단변속장치를 원하는 변속위치로 조작 유지할 수 있다.

    즉,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의 기체에 유지기구 및 변속레버를 구비한 경우, 유지기구 및 변속페달을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하는 것만으로 되고,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연계하는 제 1연계기구 등에 특히 개조를 실시할 필요 없이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크루징기능 부착기종)을 얻을 수 있다.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과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을 생산할 경우,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기종은 그대로 생산하면 되고,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은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기종의 기체에 유지기구 및 변속레버를 구비하고, 유지기구 및 변속페달을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연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변속레버와 유지기구와 제 2연계기구가 상기 제 1연계기구에서 독립하여 부착·해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언제라도 좋을 때에 옵션으로 유지기구를 붙여 크루징타입으로 하거나 이것을 해체하여 비크루징타입으로 하거나 하기가 간단하다.

    또한,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에 있어 유지기구에 의해 변속페달, 결과적으로는 무단변속장치를 원하는 변속위치로 유지하여 주행하고 있는 상태로 원하는 변위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고속 주행하고자 할 경우, 원하는 변속위치에서 변속페달을 고속측으로 밟기 조작하여 일시적으로 고속주행할 수 있다.

    또한,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을 얻을 경우, 지지부재를 기체에 부착함으로써 유지기구, 변속레버 및 제 2연계기구를 기체에 구비할 수 있고, 유지기구, 변속레버 및 제 2연계기구 각각을 별도로 기체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유지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기종의 기체에 유지기구 및 변속레버를 구비한 경우, 우측의 기체프레임의 가로외측에 있어, 유지기구 및 변속페달을 제 2연계기구를 통하여 쉽게 연계할 수 있고, 변속페달 및 무단변속장치를 연계하는 제 1연계기구 등에 특히 개조를 실시할 필요 없이 유지기구를 구비한 기종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유지기구가 후진측 페달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게 되므로, 제 2연계기구에 의한 유지기구 및 후진측 페달부의 연계가 쉽게 행해져, 제 2연계기구도 짧은 것으로 좋게 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