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

申请号 KR1020130113761 申请日 2013-09-25 公开(公告)号 KR1020150033906A 公开(公告)日 2015-04-02
申请人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发明人 이상혁; 김경래; 현정훈;
摘要 본발명은진수공기단축을위한셔터형드라이도크게이트에관한것으로, 드라이도크(100)의개방부(110) 양측에상하방향으로설치된한 쌍의게이트가이드(120); 판상으로된 다수의셔터(200)가힌지축(210)을매개로서로회전가능한구조를갖추고, 상기게이트가이드(120)에끼워져상하이동되면서상기개방부(110)를개폐하는셔터게이트(220); 상기개방부(110)의양측상면에고정설치되고, 상기셔터게이트(220)를감아올리거나풀어내리는구동모터(240); 상기셔터게이드(220)의하단에일체로고정되고, 내부에물을채우거나뺄 수있도록구비된밸러스트탱크(230);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하는진수공기단축을위한셔터형드라이도크게이트를제공한다. 본발명에따르면, 드라이도크의게이트를분절가능한셔터형으로구성하여감고펼칠수 있도록함으로써신속한설치및 해체가가능하고, 밸러스트탱크를응용하여안정성있는설치가가능하며, 오픈클로즈형태이기때문에배수시간을단축하는효과를얻을수 있다.
权利要求
  • 드라이 도크(100)의 개방부(110)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게이트가이드(120);
    판상으로 된 다수의 셔터(200)가 힌지축(210)을 매개로 서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상기 게이트가이드(120)에 끼워져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개방부(110)를 개폐하는 셔터게이트(220);
    상기 개방부(110)의 양측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셔터게이트(220)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구동모터(240);
    상기 셔터게이드(22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고, 내부에 물을 채우거나 뺄 수 있도록 구비된 밸러스트탱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40)는 개방부(110) 양측 상면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설치되고, 상호 동기화되어 구동되며, 상기 한 쌍의 구동모터(240) 사이는 권취드럼(250)으로 연결되며, 상기 권취드럼(250)에는 다수의 분절형 셔터(200)로 이루어진 셔터게이트(220)가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
  • 说明书全文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SHUTTER TYPE DRY DOCK GATE FOR REDUCING WORKING TIME OF SHIP'S LAUNCHING}

    본 발명은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크내 충,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국부적인 유지 보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는 방법은 선박을 여러개의 단위 블록으로 제작 후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을 사용하여 드라이 도크(Dry Dock)에서 조립한 후 드라이 도크에 물을 집어 넣어서 종방향으로 진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드라이 도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7-0044855호, 공개특허 제2012-0024036호, 공개특허 제2011-0083241호를 비롯하여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드라이 도크에 사용되는 게이트는 철 구조물로 되어 있어 해수 접촉면은 항상 부식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며, 방오 도료를 시공해야 하고, 유지 보수 관리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며, 국부적으로 교체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드라이 도크 게이트는 고하중물인 철 구조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충, 배수를 위한 개폐시 시간이 많이 들어 진수 공기가 증대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한계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드라이 도크에 구비된 게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쉽고 빠르게 펼치고 감을 수 있는 셔텨형으로 구성하여 생산성 향상 및 부분 교체가 가능토록 하여 유지 보수 비용도 줄일 수 있도록 한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드라이 도크(100)의 개방부(110)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게이트가이드(120); 판상으로 된 다수의 셔터(200)가 힌지축(210)을 매개로 서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상기 게이트가이드(120)에 끼워져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개방부(110)를 개폐하는 셔터게이트(220); 상기 개방부(110)의 양측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셔터게이트(220)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구동모터(240); 상기 셔터게이드(22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고, 내부에 물을 채우거나 뺄 수 있도록 구비된 밸러스트탱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40)는 개방부(110) 양측 상면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설치되고, 상호 동기화되어 구동되며, 상기 한 쌍의 구동모터(240) 사이는 권취드럼(250)으로 연결되며, 상기 권취드럼(250)에는 다수의 분절형 셔터(200)로 이루어진 셔터게이트(220)가 권취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 도크의 게이트를 분절가능한 셔터형으로 구성하여 감고 펼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고, 밸러스트탱크를 응용하여 안정성 있는 설치가 가능하며, 오픈 클로즈 형태이기 때문에 배수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의 작동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수 공기 단축을 위한 셔터형 드라이 도크 게이트는 드라이 도크(100)의 개방부(11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크 게이트는 상기 개방부(110)를 밀폐하면서 승,하강되는 구조를 갖되, 분절된 셔터형으로서 권취드럼에 감기고 풀릴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도크 게이트는 상기 개방부(110)를 신속하게 폐쇄하고, 개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부(110)의 양측에는 도크 게이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셔터(200)들이 승강 또는 하강할 때 특정위치로 한정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게이트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가이드(120)에는 러버라이닝(Rubber Lining)이 구비되어 있어 씰링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셔터(200)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균등한 것들 다수가 힌지축(210)을 매개로 상호 접어질 수 있도록 결속되어 하나의 셔터게이트(220)를 구성한다.

    이러한 셔터게이트(220)의 예는 방화셔터와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단순히 얇은 판형 셔터가 아닌 대형 프레임형 셔터를 의미한다.

    아울러, 셔터(200)들 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210) 주변에는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씰링 구조가 마련되는데, 이또한 상기 대형 프레임형 셔터 등에서 공지된 것일 뿐만 아니라, 그것은 필요에 따라 구현가능한 사항이며, 본 발명은 그러한 씰링 구조 자체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종래 드라이 도크 게이트의 구조를 개폐 가능한 셔터형으로 구성한 개념 자체에 있기 때문에 굳이 씰링 구조까지를 설명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셔터게이트(220)의 하단에는 밸러스트탱크(230)가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밸러스트탱크(230)는 통상 선박에서 밸러스트수를 채울 때 사용하는 탱크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셔터게이트(220)의 하부에 하중이 집중되게 하여 셔터게이트(220)가 들뜨지 않으면서 충실하게 바닥면까지 접하여 개방부(110)를 완벽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드라이 도크(100)의 개방부(110) 상면 양측에는 구동모터(24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40)에는 권취드럼(25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권취드럼(250)은 두 개의 구동모터(240)를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셔터게이트(22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두 개의 구동모터(240)는 서로 동기된 속도로 회전구동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드라이 도크(100)에 물을 채우는 충수 작업시에는 구동모터(240)를 회전시켜 셔터게이트(220)를 일정 높이 상승시킨다.

    동시에, 상기 셔터게이트(220)의 하단에 일체로 구비된 밸러스트탱크(230)는 부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로 물을 배수하여 준다.

    그러면, 개방부(110)를 통해 해수가 드라이 도크(100) 내부로 유입되고, 건조 중인 호선의 흘수까지 차오르면서 선박을 진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선박 진수에 필요한 조건이 충족되면 바지선(Tug Boat)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식으로 선박을 진수한다.

    이렇게 하여, 선박 진수가 완료되면, 구동모터(240)를 역회전시켜 셔터게이트(220)를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밸러스트탱크(230)에는 물을 만충하여 셔터게이트(220)의 자체 하중에 더하여 밸러스트탱크(230)에 만충된 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셔터게이트(220)는 원활하게 하강하여 개방부(110)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셔터게이트(220)는 게이트가이드(120)를 타고 하강하면서 밸러스트탱크(230)의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쉽고 빠르게 개방부(110)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셔터게이트(220)가 개방부(110)를 폐쇄하면 드라이 도크(100) 내부에는 채워져 있던 해수를 배수하고, 후속 선박 건조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 도크 게이트 구조는 셔터게이트(220)를 구성하는 셔터(200)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고, 교체작업도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분리,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쉽기 때문에 기존 대비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100: 드라이 도크 110: 개방부
    120: 게이트가이드 200: 셔터
    210: 힌지축 220: 셔터게이트
    230: 밸러스트탱크 240: 구동모터
    250: 권취드럼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