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변형 건조 도크 및 이러한 건조 도크에 의한 선박 블록의 탑재방법

申请号 KR1020120082993 申请日 2012-07-30 公开(公告)号 KR1020140016479A 公开(公告)日 2014-02-10
申请人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发明人 김동근; 한태동;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hipbuilding dock and a method for mounting ship blocks using the same, wherein the method is to quickly mount the ship blocks using the variable shipbuilding dock properly varied according to the ship blocks forming a ship. Provided is the variable shipbuilding dock which comprises a latching protrusion (12)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a latching protrusion (12) formed on the internal bottom thereof and separated from the latching protrusion (12) at a distance, and a dock gate (20) capable of being opened or closed, wherein the dock gate (20) is capable of moving after floated so that the variable shipbuilding dock can be variably used. In addition, provided is the method for mounting ship blocks using the variable shipbuilding dock,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a first step of floating the dock gate (20) by discharging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dock gate (20); a second step of pushing and moving the dock gate (20) to the inside of the variable shipbuilding dock (10) using at least one tug boat (20) after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sinking the dock gate (20) by injecting the water to the inside of the dock gate (20) in order to close the variable shipbuilding dock (10) after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moving a carrier mounted with the ship block to the inside of the variable shipbuilding dock (10) after the third step; a fifth step of discharging water inside the variable shipbuilding dock (10) to the outside after the fourth step; and a sixth step of mounting the ship block from the carrier (50) to the inside of the variable shipbuilding dock (10) using a crane (30) after the fifth step.
权利要求
  • 바닥면에 걸림턱(1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과 간격을 두고 안쪽면에걸림턱(13)이 형성되어 개폐되는 도크 게이트(20)가 부상후 이동하여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헝 건조 도크.
  • 도크 게이트(20)안의 물을 배출하여 부상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후 하나 이상의 터그 보트(40)를 이용하여 도크 게이트(20)를 가변형 건조 도크(10)의 안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후 다시 도크 게이트(20)안에 물을 주수하여 가라앉혀서 가변형 건조 도크(10)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후 블록(B)을 탑재한 운반선(50)을 건조 도크(10)안으로 진입시키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후 가변형 건조 도크(10)안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후 크레인(30)을 통해 운반선(50)에 있는 블록(B)을 건조 도크(10)안에 탑재시키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건조 도크에 의한 선박 블록의 탑재방법.
  • 说明书全文

    가변형 건조 도크 및 이러한 건조 도크에 의한 선박 블록의 탑재방법{Variable Building Dock and Mounting Method of Ship Block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가변형 건조 도크 및 이러한 건조 도크에 의한 선박 블록의 탑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을 이루는 블록에 따라 건조 도크를 적절히 가변시켜서 사용하고, 이러한 가변형 건조 도크에 의해 블록을 신속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를 수 십개 또는 수 백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제작한 다음, 이를 도크의 내부로 운반하고 순차적으로 블록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선박으로 건조한다.

    이때, 여러 개의 블록끼리 하나로 결합하는 작업을 피이(PE:Pre-Erection)작업이라고 한다. 이 피이 작업은 여러 개의 소형 블록들을 하나의 큰 블록으로 결합하여 한번에 도크내에 탑재시킬 수 있어 선박의 건조시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박의 건조에 필요한 작업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건조작업으로 완성된 선박은 건조 도크내에서 바다로 진수시키게 된다.

    이러한 건조 도크는 크게 건식 도크와 부유식 도크가 있는데, 건식 도크는 육상의 작업장에서 선박의 건조 및 진수를 위해 제작된 도크로서, 도크 게이트를 개방 및 폐쇄하면서 해수를 채우거나 빼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부유식 도크는 도크 내부에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를 구비하고 있는 도크로서, 상기 발라스트 탱크 내부에 물을 채우면, 상기 부유식 도크의 자중이 부력보다 커져 해수속으로 가라앉고, 상기 발라스트 탱크 내부에서 해수를 빼내면, 부유식 도크의 자중이 부력보다 작아져서 해수 위로 부상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도크중 건식 도크에 있어서, 도크 게이트는 선박을 수리 및 건조하는 과정일 때에는 폐쇄하여 해수의 유입을 막고, 도크의 일측에 장착된 모터펌프를 이용하여 해상과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도크 내부의 주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선박이 완성되어 진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터 펌프를 이용하여 외부의 주수를 도크 내부로 유입시키고, 도크 게이트를 개방하여 선박을 진수시킨다.

    이와 같이 선박을 진수시켜 선박을 건식 도크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도크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도크 게이트 내부의 해수를 배출시켜 부상(Deballasting)시키는 단계와; 이후 터그 보트(Tug boat)로 부상된 도크 게이트를 견인하여 건식도크의 적당한 안벽에 이동계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크 게이트를 닫는 단계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건식 도크의 안벽에 이동계류된 도크 게이트를 터그 보트로 건식 도크 입구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이후 건식 도크 입구를 세팅하는 단계와; 이후 도크 게이트 내부에 해수를 발라스팅(Ballasting)하여 가라 앉히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크 게이트의 개폐에 따른 문제점으로 도크 게이트를 개방시 도크 게이트를 부상시키는 시간과, 적당한 안벽이 있을 경우 터그 보트를 이용하여 이동 계류 시키는 시간과, 반대로 도크 게이트를 닫을때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래의 도크 게이트 개폐방법은 개폐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선박건조 기간이 지체되어 결과적으로 선박의 전체적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크 게이트 계류방식은 터그 보트를 이용하고, 안벽에 계류함으로 인한 인력 및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개폐방식은 건식 도크내에서 완성된 선박 블록을 진수시 도크 게이트의 계류를 염두에 둔 작업배치를 해야 함으로 인한 사용치 못하는 공간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한정된 건식도크의 사용률이 떨어지게 되어, 더 많은 선박의 건조기회를 놓치게 된다는 건식도크 안벽의 공간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114754호(공개일 : 2009.1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크내의 사용면적을 유입되는 블록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가변하여 도크 게이트를 이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고, 도크내에 대형 블록의 탑재시, 바지선과 같은 운반선을 통해 도크에 근접되게 한 다음 크레인으로 바지선에 있는 대형 블록을 도크 안으로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바닥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간격을 두고 안쪽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개폐되는 도크 게이트가 부상후 이동하여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가변형 건조 도크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은 도크 게이트안의 물을 배출하여 부상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후 하나 이상의 터그 보트를 이용하여 도크 게이트를 가변형 건조 도크의 안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후 다시 도크 게이트안에 물을 주수하여 가라앉혀서 가변형 건조 도크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후 블록을 탑재한 운반선을 건조 도크안으로 진입시키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후 가변형 건조 도크안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후 크레인을 통해 운반선에 있는 블록을 건조 도크안에 탑재시키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는 가변형 건조 도크에 의한 선박 블록의 탑재방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용 블록의 조건에 따라 건조 도크장을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크 게이트를 이동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건조 도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의 탑재시 육상으로 운송하지 않고 해상을 통해 운반선에 블록을 탑재하여 건조 도크에 근접시켜서 신속하게 탑재하도록 함으로써, 탑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건조 도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따른 건조 도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 단면도로서, 도크 게이트의 이동모습과 운반선의 접근으로 블록을 건조 도크내에 탑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건조 도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건조 도크(10)의 한쪽에는 개방 및 폐쇄 가능한 도크 게이트(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변형 건조 도크(10)의 양쪽 사이드에는 크레인(30)이 구비되고, 이 크레인(30)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레일(11)이 갖추어져 있다.

    상기 도크 게이트(20)의 해당위치의 가변형 건조 도크(10)의 바닥면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턱(12)과 간격을 두고 건조 도크(10)의 안쪽면에도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건조 도크(10)는 도크 게이트(20)안의 물을 배출시켜서 해수에서 부상시킨 다음, 터그 보트(40)를 이용하여 도크 게이트(20)를 밀어서 가변형 건조 도크(10)의 안쪽으로 이동시켜서 설정된 위치에 도달시키면, 다시 도크 게이트(20)안에 물을 주수하여 가라앉혀서 건조 도크(10)가 폐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가변형 건조 도크에 의한 선박 블록의 탑재방법이 제공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재방법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도크 게이트(20)안의 물을 배출하여 부상시키는 제 1단계와, 이 제 1단계후 하나 이상의 터그 보트(40)를 이용하여 도크 게이트(20)를 가변형 건조 도크(10)의 안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제 2단계와, 이 제 2단계후 다시 도크 게이트(20)안에 물을 주수하여 가라앉혀서 가변형 건조 도크(10)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 3단계와, 이 제 3단계후 블록(B)을 탑재한 운반선(예를 들어 바지선)(50)을 건조 도크(10)안으로 진입시키는 제 4단계와, 이 제 4단계후 가변형 건조 도크(10)안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5단계와, 이 제 5단계후 크레인(30)을 통해 운반선(50)에 있는 블록(B)을 건조 도크(10)안에 탑재시키는 제 6단계� � 이루어진 것이다.

    종래에는 육상에서 블록(B)을 크레인 및 트랜스 포터 등과 같은 이송설비로 건조 도크(10)까지 이송시킨 다음, 건조 도크(10)안의 물을 배수시키고 탑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건조 도크(10)까지 이송해오는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이송에 따른 장비가 동원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크 게이트(20)를 가변형 건조 도크(10)의 내부로 이동시킨 다음, 바지선과 같은 운반선(50)을 가변형 건조 도크(10)의 도크 게이트(20)가 이동후 위치까지 접근시키고, 크레인(30)을 통해 운반선(50)에 있는 블록(B)을 가변형 건조 도크(10)안에 탑재시킴으로써, 건조 도크(10)까지의 이동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가변형 건조 도크(10)에 비치된 크레인(30)을 통해 용이하게 블록(B)을 탑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가변형 건조 도크
    11 : 레일
    12,13 : 걸림턱
    20 : 도크 게이트
    30 : 크레인
    40 : 터그 보트(tug boat)
    50 : 운반선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