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
|||||||||||||||||||||||||||||||||||||||||||||||||||||||||||||||||||||||||||||||||||||||||||||||||||||||||||||||||||||||||||||||||||||||||||||||||||||||||||||||||||||||||||||||||||||||||||||||||||||||||||||||||||||||||||||||||||||||||||||||||||||||||||||||
申请号 | KR1020040075899 | 申请日 | 2004-09-22 | 公开(公告)号 | KR1020060027075A | 公开(公告)日 | 2006-03-27 | ||||||||||||||||||||||||||||||||||||||||||||||||||||||||||||||||||||||||||||||||||||||||||||||||||||||||||||||||||||||||||||||||||||||||||||||||||||||||||||||||||||||||||||||||||||||||||||||||||||||||||||||||||||||||||||||||||||||||||||||||||||||||
申请人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发明人 | 김은기; 김영범; 김동준; | ||||||||||||||||||||||||||||||||||||||||||||||||||||||||||||||||||||||||||||||||||||||||||||||||||||||||||||||||||||||||||||||||||||||||||||||||||||||||||||||||||||||||||||||||||||||||||||||||||||||||||||||||||||||||||||||||||||||||||||||||||||||||||||
摘要 | 본 발명은 감귤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귤박 또는 감귤박 추출액에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를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액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감귤박의 유효 물질과 풍미를 그대로 간직하며, 항균력이 높아 가축의 장내에 서식하는 유해세균의 증식을 저지하는 정장효과를 나타내며, 아울러 가축의 사료 이용율, 증체율 및 병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 ||||||||||||||||||||||||||||||||||||||||||||||||||||||||||||||||||||||||||||||||||||||||||||||||||||||||||||||||||||||||||||||||||||||||||||||||||||||||||||||||||||||||||||||||||||||||||||||||||||||||||||||||||||||||||||||||||||||||||||||||||||||||||||||
权利要求 | 감귤박 또는 감귤박 추출액에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를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액을 함유하는 항균용 사료첨가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Bacillus licheniformis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 및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Bacillus coagulance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Bacillus licheniformi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는 감귤박 또는 감귤박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해 1 ~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일반 배합사료에 제 1항의 사료첨가제를 10 ~ 20%를 첨가한 항균 사료. (1) 감귤박으로부터 감귤박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 (2) 감귤박 또는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감귤박 추출액에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를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후에 수득한 배양액을 건조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
说明书全文 |
|
감귤박 사료첨가제의 제조에 사용된 미생물 | 병 원 성 균 | ||
스테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 살모넬라 갈리나룸 | 대장균 |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 20 | 16 | 23 |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 18 | 14 | 18 |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 17 | 0 | 18 |
그 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으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가 상기 3가지 병원성 균 모두에 대해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바실러스 코아귤란스가 접종된 배양액이 항균활성이 낮았으나, 모두 유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병원성 세균에 있어서, 그람 양성 세균인 스테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그람 음성 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대장균에 대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배양액으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의 항균활성과 종래의 항생제인 앰피실린(ampicillin), 카나마이신(kana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반코마이신(vancomycin), 스펙티노마이신(spectinomycin), 노보바이오신(novobiocin)(모두 Sigma사에서 구입)의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도 2 및 표 2 ).
S. 아우레우스(그람 +) | S. 갈리나룸(그람 -) | 대장균(그람 -) | ||||
농도 | 항균환(㎜) | 농도 | 항균환(㎜) | 농도 | 항균환(㎜) | |
B. 서브틸러스에서 제조된 사료첨가제(비처리) | 10% | 28 | 10% | 15~16 | 10% | 17~20 |
[사료첨가제의 선처리 ] | ||||||
65℃, 30분 열처리 | 10% | ND | 10% | ND | 10% | ND |
100℃, 10분 열처리 | 10% | ND | 10% | ND | 10% | ND |
습윤멸균(121℃, 20분) | 10% | 0 | 10% | 7 | 10% | 7 |
프로테아제 K, 37℃ 2시간 처리 | 1 ㎎/㎖ | ND | 1 ㎎/㎖ | ND | 1 ㎎/㎖ | ND |
리파아제, 37℃ 2시간 처리 | 1 ㎎/㎖ | 12 | 1 ㎎/㎖ | 7 | 1 ㎎/㎖ | 7 |
아밀라제, 37℃ 2시간 처리 | 1 ㎎/㎖ | 17 | 1 ㎎/㎖ | 7 | 1 ㎎/㎖ | 8 |
카탈라제, 37℃ 2시간 처리 | 1 ㎎/㎖ | 15 | 1 ㎎/㎖ | 7 | 1 ㎎/㎖ | 9 |
SSF(고체배양) | 10% | 0 | 10% | 7 | 10% | 7 |
50% 메탄올, 37℃ 1시간 처리 | 10 | 20~22 | 10% | 13~14 | 10% | 8~13 |
[기타 항생제] | ||||||
앰피실린 | 1 ㎎/㎖ | 40 | 1 ㎎/㎖ | 26~27 | 1 ㎎/㎖ | 18~19 |
카나마이신 | 3 ㎎/㎖ | 20 | 3 ㎎/㎖ | 18~22 | 3 ㎎/㎖ | 19~20 |
스트렙토마이신 | 1 ㎎/㎖ | 18~19 | 1 ㎎/㎖ | 18 | 1 ㎎/㎖ | 7 |
테트라사이클린 | 3 ㎎/㎖ | 25~28 | 3 ㎎/㎖ | 22 | 3 ㎎/㎖ | 19~22 |
바노코마이신 | 1 ㎎/㎖ | 19 | 1 ㎎/㎖ | 0 | 1 ㎎/㎖ | 0 |
스펙티노마이신 | 1 ㎎/㎖ | 13 | 1 ㎎/㎖ | 14 | 1 ㎎/㎖ | 12~15 |
노보바이오신 | 1 ㎎/㎖ | 27~30 | 1 ㎎/㎖ | 0 | 1 ㎎/㎖ | 0 |
그 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배양액으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는 기존 항생제와 비교하였을 때 앰피실린(ampicillin)을 제외한 종래의 나머지 항생제에 비해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비육우, 착유우 , 육성 비육돈에 대한 급여 효과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감귤박 사료첨가제의 비육우, 착유우, 비육돈에 대한 급여 효과를 실험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의 방법에 의해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감귤박 사료첨가제를 일반 배합사료(조단백질 17%, 조지방 2.0%, 조섬유 5.5%, 조회분 8.0%, 칼슘 0.7%, 인 0.7% 및 라이신)와 혼합 급여하였다.
<3-1> 비육우에 대한 급여 효과
배합사료의 0%, 20% 및 40%를 감귤박 사료첨가제로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경우의 비육우에 대한 총증체량 및 일당증체량(단위:kg)을 90일 동안 육성우(200 ㎏ 내외)를 대상으로 비교 시험하였다( 표 3 ).
구분 | 배합사료 급여구 | 배합사료(80%) + 감귤박 사료첨가제(20%) | 배합사료(60%) + 감귤박 사료첨가제(40%) |
시험개시 체중 | 210 | 197 | 204 |
종료시 체중 | 281 | 264 | 252 |
총 증체량 | 71 | 67 | 48 |
일당증체량 | 0.78 | 0.71 | 0.54 |
그 결과, 배합사료 급여구 및 배합사료(80%) + 감귤박 사료첨가제(20%) 혼합 급여구의 경우 비육우의 증체량의 차이는 없었으나, 배합사료(60%) + 감귤박 사료첨가제(40%) 혼합 급여구의 경우에는 오히려 증체량이 떨어졌다. 즉, 적절한 감귤박 사료첨가제의 첨가비율은 20% 내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배합사료에 감귤박 사료첨가제를 혼합 급여하였을 경우의 비육우에 대한 일당증체량(단위:kg), 도체율(屠體率, carcass pecent) 및 사료 요구량을 비교 하였다( 표 4 ). 이때, 도체율은 가축의 생체무게에 대한 도체무게의 비율을 의미하는 바, 가축을 도살하기 바로 전의 몸무게를 생체무게라고 하며, 도살하여 박피한 다음 발목·머리·내장을 제거한 나머지를 도체라고 한다. 도체율은 가축의 품종, 소화기관에 남은 음식물, 비육 정도, 도살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구분 | 감귤박 사료첨가제를 첨가급여시 효과 | |||
0% | 7% | 14% | 21% | |
시험종료시 체중(㎏) | 333 | 339 | 333 | 341 |
일당증체량(㎏) | 1.18 | 1.08 | 1.03 | 1.11 |
도체율(%) | 61.6 | 60.7 | 60.1 | 61.2 |
일일 사료 요구량(㎏) | 8.35 | 8.72 | 8.2 | 8.46 |
증체당 사료 요구량(㎏) | 7.07 | 8.15 | 8.0 | 7.78 |
그 결과, 급여 수준에 관계없이 증체량과 도체율이 비슷하였다.
<3-2> 착유우에 대한 급여 효과
본 발명의 감귤박 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에 대체 급여하였을 경우, 젖소의 산유량과 유지율을 비교해 보았으며, 체세포 수의 증감여부를 분석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배합사료와 감귤박 사료첨가제의 분리 급여구, 감귤박 사료첨가제의 완전혼합사료(Total mixed ration ; TMR) 급여구, 배합사료의 30%를 감귤박 사료첨가제로 대체한 TMR 급여구에 대한 젖소의 산유량(㎏) 및 우유의 유지율(%)을 분석해 보았다( 표 5 ). 본 발명에서 TMR 급여방식은 감귤박 사료첨가제와 배합사료 를 혼합급여하면서 영양소 요구량에 근거하여 사료급여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산유량은 원유량으로 조사 분석하였으며, 개체별 산유량은 매월 1회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우유의 품질요인으로 유지율과 체세포수를 분석하였으며, 그 방법과 시기는 상기 산유량 분석에서와 같았다. 유지율은 적외선 우유분석기(Infra red milk analyzer)인 멀티스팩-CM(Multispec-CM)을 사용하였으며, 체세포수는 포소마틱 300/90(Fossomatic 300/9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분 | 분리 급여구 (배합사료+ 감귤박 사료첨가제) | 감귤박 사료첨가제의 TMR 급여구 | 감귤박 사료첨가제 30%의 TMR 급여구 |
사료섭취량(㎏/두/일) | |||
배합사료 | 9.0(7.9) | 9.6(8.39) | 9.4(8.22) |
감귤박 사료첨가제 | 19.9 | 26.4(5.03) | 25.8(4.92) |
건초 | 4.7(4.14) | 3.8(3.35) | 3.7(3.92) |
산유량(㎏/두/일) | 16.39 | 17.94 | 16.92 |
유지율(%) | 3.50 | 3.62 | 3.58 |
그 결과, 산유량은 감귤박 사료첨가제의 TMR 급여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배합사료의 30%를 감귤박 사료첨가제로 대체한 TMR 급여구, 분리 급여구 순서로 나타났다. 유지율은 TMR 급여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착유우에 대한 감귤박 사료첨가제의 적정 혼합량은 배합사료의 30%를 감귤박 사료첨가제로 대체했을 경우이다.
또한, 우유의 성분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감귤박 사료첨가제 급여구 특히, TMR 급여구에서 유지율과 총 고형분의 유의한 증가(p<0.05) 및 유 단백질과 무지 고형분의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우유의 pH와 적정 산도는 대체적으로 적정수준의 범위에 있었다.
한편, 체세포수를 조사한 결과, 1등급(2.5x10 5 개 이하)이 66%였으며, 등외(7.5x10 5 개 이상)는 2% 수준으로 다소 양호한 편이나 개선의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TMR 급여구의 경우, 뚜렷한 체세포수의 감소가 발견되었다. 한편, 감귤박 사료첨가제의 급여중단 및 TMR 급여구에서 관행사육방식으로 전환시 체세포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낸 바, 감귤박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TMR 급여는 유방암 예방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3-3> 육성 비육돈에 대한 급여 효과
본 발명의 감귤박 사료첨가제를 돼지에 급여시 증체량, 사료섭취량, 소화율 및 도체 성적을 조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만 후 41일령인 Landracex Large white 교잡종 36두를 공시하여 115일 동안 수행하였는 바, 감귤박 사료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T0), 감귤박 사료첨가제를 2% 첨가한 실험군(T1), 감귤박 사료첨가제를 8% 첨가한 실험군(T2)에서 증체량, 사료섭취량, 소화율 및 도체 성적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육성기에서 실험군(T1)은 대조군(T0)과 비교시 사료 섭취량은 다소 낮았으나 증체성적은 비슷하여 사료 요구율이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실험군(T2)의 증체성적은 전반적으로 저하되었다(P<0.05).
또한, 비육기에서는 사료 섭취량이 대조군(T0)>실험군(T1)>실험군(T2) 순으로 감소한 반면, 증체량은 실험군(T1)에서 증가되어 사료 요구율이 가장 좋았다. 그러나, 실험군(T2)의 증체성적은 육성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저하되었다(P<0.05).
한편, 도체성적을 보면, 실험군(T2)에서 증체량과 도체율은 다소 증가됨과 동시에 등지방 두께는 얇아지고 있었으며, 생체중과 도체중은 다소 감소됨과 동시에 배최장근 단면적은 넓어지고 있어서, 근육내 지방 침착 및 살코기 증가 등 육질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조섬유 소화율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 소화율이 비육기에 비하여 육성기에서 높았으며, 특히 실험군(T2)은 대조군에 비하여 육성기에서는 단백질 소화율, 비육기에서는 단백질과 조섬유 및 가용무질소물(NFE) 소화율이 향상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감귤박 또는 감귤박 추출액에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를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액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는 감귤박을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료 이용율, 증체율, 및 병에 대한 저항력 향상효과를 나타내며, 가축내의 장내 유효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료가 가진 항균력으로 인해 가축의 장내 서식하는 유해세균의 증식을 저지하여 정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