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申请号 | KR1020110105353 | 申请日 | 2011-10-14 | 公开(公告)号 | KR1020130040524A | 公开(公告)日 | 2013-04-24 | |||||||||||||||||||||||||||||||||||||||||||||||||||||||||||||||||
申请人 | 한국원자력연구원; | 发明人 | 정일윤; 진창현; 강시용; 김동섭; 서권일; | |||||||||||||||||||||||||||||||||||||||||||||||||||||||||||||||||||||
摘要 | PURPOSE: A beverage composition containing Rubus fruticosus vinegar is provided to provide effective recovery from liver damage an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CONSTITUTION: 4-10 parts by weight of Rubus fruticosus vinegar, 0.5-3 parts by weight of Rubus fruticosus concentrate, 0.5-3 parts by weight of apple concentrate, 6-15 parts by weight of high fructose corn syrup, 1-5 parts by weight of folic acid, 0.0001-0.020 parts by weight of enzyme processed stevia, 0.1-0.5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0.01-0.1 parts by weight of lotus leaf extract, 0.01-0.1 parts by weight of raspberry flavor, and 70-9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are mixed and stirred. The mixed solution goes through a first filtration. The filtered solution is sterilized and goes through a second filtration.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ubus fruticosus vinegar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25-35 parts by weight of Rubus fruticosus pulverized solution, 10-20 parts by weight of apple concentrate, and 50-6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are mixed. An initial sweetness of the mixture is controlled to 10-20 degrees brix, and yeast is inoculated to perform alcohol fermentation. After the filtration of the alcohol ferment, the alcohol concentrate is controlled to 5-9%, and acetic acid bacteria is inoculated to perform acetic acid fermentation. The alcohol fermentation is performed by inoculating 1-10 parts by weigh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904, at 20-30 degrees Celsius for 2-6 days.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is performed by inoculating 5-20 parts by weight of Acetobacter sp. PA97 at 25-35 degrees Celsius for 10-25 days. [Reference numerals] (AA) GPx active(control group%); (BB) Dr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ml/kg); | |||||||||||||||||||||||||||||||||||||||||||||||||||||||||||||||||||||||
权利要求 | 1) 블랙베리( Rubus fruticosus L. ) 식초 4 내지 10 중량부, 블랙베리 농축액 0.5 내지 3 중량부, 사과농축액 0.5 내지 3 중량부, 액상과당 6 내지 15 중량부, 플락토 올리고당 1 내지 5 중량부, 효소처리 스테비아 0.0001 내지 0.020 중량부, 구연산 0.1 내지 0.5 중량부, 연잎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부, 라즈베리 향료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정제수 7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혼합하여 교반된 액을 1차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된 액을 살균한 후, 2차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블랙베리 식초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 블랙베리 파쇄액 25 내지 35 중량부, 사과농축액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정제수 5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초기 당도를 10 내지 20°brix으로 조정하고 효모를 접종하여 알코올 발효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알코올 발효물은 여과한 후, 알코올 농도 5 내지 9%로 조정하고 초산균을 접종하여 초산 발효시키는 단계.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알코올 발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Saccharomyces cerevisiae ; KCTC 7904)를 1 내지 10 중량부 접종하고 20 내지 30℃에서 2일 내지 6일 동안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초산 발효는 아세토박터 종. PA 97( Acetobacter sp . PA 97)을 5 내지 20 중량부를 접종하고 25 내지 35℃에서 10일 내지 25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초산 발효의 산도는 0.5 내지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블랙베리 식초 5 내지 7 중량부, 블랙베리 농축액 0.7 내지 1.5 중량부, 사과농축액 0.7 내지 1.5 중량부, 액상과당 9 내지 11 중량부, 플락토 올리고당 2 내지 4 중량부, 효소처리 스테비아 0.008 내지 0.012 중량부, 구연산 0.2 내지 0.4 중량부, 연잎추출물 0.03 내지 0.07 중량부, 라즈베리 향료 0.03 내지 0.07 중량부 및 정제수 75 내지 8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교반은 45 내지 55℃에서 20 내지 40 분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여과 및 2차 여과는 각각 3 내지 7 μ 필터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살균은 90 내지 110℃에서 20 내지 40 초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2차 여과액을 80 내지 95℃가 유지되도록 충진하고 냉각기에서 35 내지 50℃까지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
|||||||||||||||||||||||||||||||||||||||||||||||||||||||||||||||||||||||
说明书全文 |
|
재료 | 단위 | w/v % | 단위량 | 100 L/T |
액상과당(신동방, 한국) | g | 10.000 | 13.800 | 10.000 |
프락토올리고당(삼양사, 한국) | g | 3.000 | 2.000 | 3.000 |
상기 <실시예 1>의 블랙베리 식초 | g | 6.000 | 0.600 | 6.000 |
블랙베리농축액(삼진향료, 한국) | g | 1.000 | 1.500 | 1.000 |
라즈베리향료(삼진향료, 한국) | g | 0.050 | 0.020 | 0.050 |
사과농축액 (경북능금협동조합,한국) | g | 1.000 | 0.040 | 1.000 |
벌꿀 | g | 0.500 | 0.010 | 0.500 |
효소처리스테비아 ((주)대평, 한국) | g | 0.010 | 0.160 | 0.010 |
구연산(영진산업, 한국) | g | 0.300 | 0.020 | 0.300 |
연잎추출물((주)밴스랩, 한국) | g | 0.050 | 0.150 | 0.050 |
정제수 | g | 78.0900 | 81.6828 | 78.0900 |
계 | 100.0000 | 100.000 | 100.0000 |
< 실험예 1> CCl 4 유도된 간 손상 동물 모델의 제조
<1-1> 실험동물의 사육
6 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150 ± 10 g)(오리엔트바이오, 한국)은 표준 환경 조건에서 1주일간 순응시키며, 표준식이와 물을 자유식이로 섭취하게 하였다. 상기 랫트는 12/12시간의 명-암 주기로 에어컨디션 방에서 유지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모든 실험 프로토콜은 한국 원자력 연구원의 동물 실험윤리위원회(KAERI-IACUC)에서 인증된 실험 동물 관리 및 이용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다.
<1-2> CCl 4 유도 급성 간 독성 랫트의 제조
6주령 랫트를 임의로 한 그룹당 7마리로, 4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 1) 올리브 오일(olive oil) 및 식염수 공급;
그룹 2) CCl 4 1 g/kg 및 식염수 공급;
그룹 3) CCl 4 1 g/kg 및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3 ㎖/㎏ 공급; 및
그룹 4) CCl 4 1 g/kg 및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6 ㎖/㎏ 공급.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을 직접 랫트에 투여하였으며, 50% CCl 4 는 올리브 오일에서 제조하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15일 동안, 600(3 ㎖/㎏) 및 1200 ㎕(6 ㎖/㎏) 씩 하루에 한번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그룹1) 및 2)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투여군과 동일하게 식염수를 15일 동안 하루에 한번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마지막 경구투여 3시간 후, 랫트에 올리브 오일을 이용하여 제조한 CCl 4 300 ㎕를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그룹1)은 올리브 오일만 300 ㎕를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그 후, 18시간 동안 절식하였으며, 이의 산화스트레스 및 간 보호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한 후, 모든 랫트를 안락사시켰다. 혈액은 혈청의 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에테르(ether)를 이용하여 상기 랫트를 마취시킨 후, 후대 정맥(postcaval vein)으로부터 채취하였다. 또한, 상기 랫트의 간을 신속하게 채취하여, 항산화 효소 분석에 사용하였다.
< 실험예 2> CCl 4 유도 급성 간 독성 랫트에서의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 확인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의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CCl 4 유도 급성 간 독성 랫트에서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Cayman Chemical에서 구입한 키트를 이용하여 황산화 효소인 G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2>의 4개 군의 CCl 4 유도 급성 간 독성 랫트로부터 채취한 간 조직 100 ㎎에 1 ㎖의 라이시스(lysis) 버퍼를 첨가하고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로 분쇄한 후 10000 g , 4℃에서 원심분리하여 조직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GPx 분석 키트에 포함된 100 ㎕의 에세이(Assay) 버퍼에 50 ㎕의 공통 기질 혼합물(co-substrate mixture)과 20 ㎕의 조직 현탁액을 혼합하고 20 ㎕의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ene hydroperoxide)를 첨가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GPx 농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 효소인 GPx의 활성이 CCl 4 유도 급성 간 독성 랫트의 간에서 CCl 4 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랫트에 비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을 미리 투여한 후, CCl 4 를 투여하여 제조한 간 독성 랫트에서는 GPx의 활성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 실험예 3> CCl 4 유도 급성 간 독성 랫트에서의 블랙베리 식초를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의 간 보호효과 확인
CCl 4 에 의한 간 손상은 세포막의 투과성(permeability)을 증가시키고, 간에서 혈액으로 급성 간 손상의 표지로 알려진 아스파진산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와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를 분비시킨다(Adesanoye, OA, et al., Experimental and Toxicologic Pathology , 2010; Ranawat, L.,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2010).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혈청 AST와 ALT의 수준을 간 손상의 지표로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AST와 ALT의 수준은 임상 생화학 자동 분석기(biochemistry automatic analyzer)(Hitachi Model 7180,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Cl 4 유도 급성 간 독성 랫트에서는 독성을 유발하지 않은 대조군 랫트에 비하여 AST와 ALT의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런,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3 또는 6 ㎖/㎏)을 미리 투여한 후, CCl 4 를 투여하여 제조한 간 독성 랫트에서는 AST와 ALT의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