说明书全文 |
피부 개선능이 있는 와인 부산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Manufacturing method for wine by-product having skin condition improvement and its use}
본 발명은 와인 부산물, 와인 부산물 제조방법 및 와인 부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도는 포도속( Vitis ) 식물의 총칭, 또는 그 열매를 말한다. 포도는 피로회복과 해독작용에 특효가 있는 천연물질이다. 포도는 당질이 주성분인데 단맛을 내는 것은 포도당과 과당이다. 포도에 들어 있는 포도당과 과당은 소화가 잘 되고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포도에는 주석산과 사과산, 펩틴, 고무질, 비타민 B 복합체, 탄닌 등이 있어서 장의 활동을 촉진시키고 해독작용이 있어서 변비를 일으키는 사람들에게도 좋다. 포도씨를 강장제로도 사용하는데 포도씨에는 지방이 20퍼센트 정도 들어 있다. 포도는 피를 맑게 하며 열을 내리게 하고 이뇨작용을 한다. 포도주 또는 와인(wine)은 포도를 으깨서 나온 즙을 발효시킨 술을 말한다. 또한, 역사적으로 와인의 저장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개발된 술이 브랜디(brandy)로, 이는 와인을 증류하여 오크통에 숙성시킨 술을 말한다. 와인의 증류액은 무색이나 오크통에서의 숙성 과정을 거치면 금색으로 변한다. 꼬냑과 알마냑도 이러한 브랜디의 일종이다. 한국에서 브랜디는 1968년도에 한국산토리(현 해태산업)가 국산 포도를 원료로 하여 제조 저장하던 중 1975년 프랑스의 브랜디 제조회사인 헤네시(Hennessy)와 기술제휴하여 국산 브랜디와 헤네시의 원주를 혼합하여 생산한 것이 시작이다. 이후 한국에서도 브랜디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많은 업체에서 생산하고 있다. 와인 제조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그라빠로 제조하기는 하나, 와인을 증류하고 남는 부산물은 통상적으로 폐기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은 원료 포도의 40% 정도에 이르러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36160호는 와인 부산물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나, 해당 특허는 와인 부산물을 이용해 와인 부산물 증류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한편, 현대의 급격한 산업발전에 따라, 대기공해, 수질공해 등의 공해문제가 심각해지고, 주거환경의 개선에 따른 거주공간의 강력한 난방 등과 같은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외부환경 요소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의 거칠어짐, 건조, 노화 등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피부 손상에 대해 개선 내지 예방 효과를 갖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약물, 외용제, 화장료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개선제는 주로 화학원료를 주재로로 사용함으로써, 민감한 피부에 대해 피부 자극, 발진, 점적현상 등 각종 부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어느 것도 피부손상에 대한 개선 내지 예방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피부손상에 대한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충분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피부개선 천연조성물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요구의 일환으로,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1-0041098호는 삼백초, 포도씨, 오매, 목단피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066452호는 토마토, 포도 및 홍화씨가 동량으로 혼입된 혼합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3 중량%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와인 증류 후 남는 부산물을 이용해 피부개선제를 제조할 수 있음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1-0041098호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066452호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36160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손상에 대한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충분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피부개선 천연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와인 증류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 개선능이 탁월한 와인 부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와인 부산물에 피부 개선능이 있으며, 특히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는 와인 부산물에 피부 개선능이 탁월하다는 발견에 기초하며,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본 발명은 피부 개선능이 탁월한 와인 부산물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와인 부산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부산물은 동일한 원료인 포도를 이용해 제조한 포도 파쇄물, 포도 발효액 및 시판되고 있는 와인 제품들과 비교하였을 때 피부 개선 효과가 탁월하였는바, 이러한 이유는 원료인 포도 품종의 차이, 발효 조건의 차이 및 증류 조건의 차이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개선능은 피부결 개선, 보습력 향상, 피부 트러블 완화, 피부 진정, 각질제거, 피부 윤기 향상 등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와인 부산물은 포도를 원료로 하여 패쇄 및 발효 공정을 거친 후 증류 공정에서 생성되는 와인 증류액을 제외한 나머지 생성물을 총칭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이상 발효 공정을 거친 후 증류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생성된 부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부산물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이하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포도를 제경 파쇄하는 단계; 포도 파쇄물에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액을 30 - 45℃에서 감압증류하는 동안 생성되는 부산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능이 탁월한 와인 부산물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제1단계: 포도 제경 파쇄하는 단계 포도 원료를 일정량 확보한 후, 확보된 포도 원료를 선별하고 제경(즉, 포도줄기 제거) 후 포도를 파쇄기에 넣고 가능한 잘게 파쇄한다. 그 다음 파쇄된 포도 원료를 착즙기 내지 압착기를 이용하여 착즙할 수 있다. 단, 상기 착즙 단계는 선택적이며 착즙 없이 파쇄물 상태로 다음 단계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포도의 품종, 산지 또는 수확시기 등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사용가능한 포도 품종으로는 예컨대, 거봉, 비티스 비니페라( vitis vinifera ), 비티스 라브르스카( vitis labrusca ), 비티스 아무렌시스( vitis amurensis ) 또는 비티스 로툰디폴리아( vitis rotundifolia )가 있으며, 이들 포도 품종을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포도 전과(whole fruit)를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포도박 제거 과정을 거친 포도를 이용한다. 제2단계: 발효 단계 포도 파쇄물에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사카로마이시스 속(genus)에 속하는 세레비지애( S. cerevisiae ) 종(species) 또는 바이아누스( S. bayanus ) 종(species)을 이용하여 와인 부산물 제조를 위한 발효 공정을 실시한 결과, 동속 균주라 할지라도 피부 개선 효과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 효모는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를 접종하며, 사용하는 제품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 K1-V1116,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 Fermivin,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 몬트라켓(Montrachet),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접종할 수 있다. 상기 효모는 균체, 포자,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괄하여 칭하는 것이다. 효모는 전체 포도 파쇄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10 -4 - 3×10 -4 % (w/w)로 접종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1×10 -4 - 2×10 -4 % (w/w)로 접종할 수 있다. 1×10 -4 (w/w) 미만으로 접종하면 발효 속도가 늦어지며, 2×10 -4 % (w/w) 초과하여 접종하면 효모 간 경합으로 인해 패사하는 효모의 증가를 가져온다. 아울러, 발효는 효모의 적정 생존 시간 및 온도 범위 내에서 실시되면 족하나, 바람직하게 30℃ 이하에서 7 - 10일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20 - 28℃에서 8 - 10일간 실시될 수 있다. 추가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원료를 첨가할 수 있는데, 예컨대 아황산염 내지 당분을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3단계: 증류 및 와인 부산물 수득 단계 발효액을 증류한다. 증류 전, 전 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액을 수일간 방치하여, 가라앉은 포도박 등을 포함한 앙금을 제거한 후 증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와인 부산물 제조를 위한 증류 공정을 실시한 결과, 증류 방법 내지 증류 조건에 따라 생성되는 와인 부산물의 피부 개선 효과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압증류(감압하여 저온에서 증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45℃ 이하에서 증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 - 45℃에서 증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 45℃에서 증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류 공정은 1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증류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부산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와인 부산물을 전체 중량 대비 0.03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함량은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그외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료 조성물 내 와인 부산물의 함량이 0.03% 미만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서 실질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와인 부산물의 향취를 마스킹(masking)하기 어렵고, 원가 상승에 따른 효능 대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와인 부산물 외에, 본 발명의 목적으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물질 등을 물성개선을 위하여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면도용 화장품 또는 구강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릿치제, 칼라 린스가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으며, 구강용 화장품으로는 치약, 마우스 워셔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와인 부산물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흡수촉진제, 보습제, 증점제, 유화제, 착색제, 방향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살균제, 방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기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색 바세린, 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 표백 밀납, 유동 파라핀, 라우로마크로골, 스쿠알란, 스쿠알렌, 라놀린, 밀리스틴산이소부틸,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촉진제로는 예를 들어 우레아, 크로타미톤,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피롤리돈카르복시산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다가 알코올류를 들 수 있다. 증점제로는 아라비아검,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폴리아크릴산염류,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류, 천연 라텍스, 아세트산비닐 수지 에멀전,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유화제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슈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제로는 유칼리유, 라벤다유, 멘톨, 박하유, 로즈유, 오렌지유, 체리 플레이버, 프루츠 플레이버, 바닐린, 바닐라 플레이버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L-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나트륨, 에리소르브산, 에리소르브산나트륨, 시트르산이소프로필, dl-α-토코페롤, dl-δ-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레이트, L-아스코르브산, dl-α-토코페롤, d1-δ-토코페롤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는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탄올, 아세톤, 경질 무수 규산, EDTA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염화벤잘코늄, 소르브산, 페놀, 클로로부탄올, 클로로크레졸, 벤질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는, 종래부터 피부 개선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약제,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제, 항알러지제, 면역억제제, 항염증약제 등의 약효성분을 동시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와인 부산물의 함유량은 제형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죄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와인 부산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리퀴드 파리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고, 특히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하다. 국소 도포에 적절한 고체 또는 액체 부형제나 희석제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고, 크림, 주사제, 산제, 과립제, 정제 등의 적합한 어떠한 제형으로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증상, 발증 부위의 면적, 연령, 체중, 약제의 투여형태 등에 따라 넓은 범위에 걸쳐 변경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0.001∼1000 ㎎/㎏·day의 범위 내에서 1일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환부에 직접 도포한다.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약제와 동등하게 또는 다른 약제를 보조하기 위해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 개선능이 탁월한 와인 부산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와인 부산물 제조방법 먼저 충남 천안 입장지역에서 생산된 비티스 라브르스카를 입수,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세척 후 제경 파쇄하였다. 포도 파쇄물 40 kg을 발효조로 이송하고,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 (제품명: Fermivin) 16g을 접종하여 고르게 혼합한 후 26℃ - 28℃에서 8 - 10일 동안 발효시켰다. 포도박을 제거한 후, 발효액 500ℓ를 감압증류기(한영엔지니어링 감압증류기)로 이송하고 이를 이용해 40 - 45℃에서 증류시켰다. 증류 과정에서 생성되는 와인 부산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5회 반복하여 하기 시험예 1의 샘플로 사용하였다.
< 시험예 1> 와인 부산물의 피부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와인 부산물,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과정 중 수득한 포도 파쇄물,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과정 중 수득한 발효액 및 시판되고 있는 와인 제품 2개의 피부 개선 효과를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각 샘플을 40명의 성인 남녀의 안면, 손 및 몸에 1일 2회 2주간 도포하고 그 후의 피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피부의 상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매우 개선됨, 2: 약간 개선됨, 3:보통임, 4; 약간 악화됨, 5: 매우 악화됨
| 피부결 | 보습력 | 트러블완화 | 피부진정 | 각질제거 | 피부윤기 | 와인제품 A | 2 | 3 | 4 | 3 | 3 | 3 | 와인제품 B | 3 | 3 | 4 | 4 | 4 | 3 | 포도파쇄물 | 2 | 2 | 4 | 2 | 3 | 3 | 포도발효액 | 2 | 2 | 2 | 1 | 1 | 2 | 실시예 1 | 1 | 1 | 2 | 1 | 1 | 1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와인 부산물이 와인 제품 내지 포도 파쇄물 및 발효액과 비교하여 자극없이 우수하게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증류 조건에 따른 와인 부산물의 피부 개선 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와인 부산물을 제조하되, 하기와 같이 증류 조건만을 달리하여 비교예 1 및 비교예 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90 - 100℃에서 상압증류하여 와인 부산물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감압증류하되 온도 조건을 50 - 60℃로 상향조절하였다. 제조된 비교예 1 - 2 및 실시예 1에 대하여, 시험예 1에 기재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상태 및 사용감을 조사하였으며, 동일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 피부결 | 보습력 | 트러블완화 | 피부진정 | 각질제거 | 피부윤기 | 비교예 1 | 2 | 1 | 3 | 2 | 3 | 1 | 비교예 2 | 2 | 3 | 3 | 2 | 2 | 1 | 실시예 1 | 1 | 1 | 2 | 1 | 1 | 1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45℃ 이하 감압증류 조건에서 증류하여 수득한 와인 부산물이 피부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3> 발효 조건에 따른 와인 부산물의 피부 개선 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와인 부산물을 제조하되, 하기와 같이 발효 조건만을 달리하여 비교예 3 - 5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은 효모로 사카로마이시스 바이아누스( Saccharomyces bayanus ) (제품명: Lalvin Ec-118)를 사용하여 발효시켰으며, 비교예 4는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 (제품명: Fermivin)를 사용하되 35 - 40℃ 에서 7 - 10일 동안 발효시켰으며, 비교예 5는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 (제품명: Fermivin)를 사용하되 20 - 28℃에서 1개월 동안 발효시켰다. 제조된 비교예 3 - 5 및 실시예 1에 대하여, 시험예 1에 기재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상태 및 사용감을 조사하였으며, 동일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와 같다.
| 피부결 | 보습력 | 트러블완화 | 피부진정 | 각질제거 | 피부윤기 | 비교예 3 | 2 | 1 | 3 | 3 | 2 | 2 | 비교예 4 | 2 | 2 | 3 | 2 | 2 | 1 | 비교예 5 | 2 | 2 | 4 | 2 | 3 | 2 | 실시예 1 | 1 | 1 | 2 | 1 | 1 | 1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조건에서 발효시켜 제조한 와인 부산물이가장 피부 개선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