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전분 용기

申请号 KR1020040038148 申请日 2004-05-28 公开(公告)号 KR1020050112745A 公开(公告)日 2005-12-01
申请人 율촌화학 주식회사; 发明人 김헌무; 윤성환; 방윤미;
摘要 Disclosed is a composition for biodegradable starch bowl consisting of unmodified starch of 20-60 wt. %, pulp fiber powder of 5-30 wt. %, solvent of 30-60 wt. %, photo catalyst of 0.1-2.0 wt. %, preservative of 0.01-1 wt. % and releasing agent of 0.5-5 wt. %.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disclosed is a biodegradable starch bowl being prepared by heating and pressurizing said composition for biodegradable starch bowl so as to have a desired shape. The composition for a biodegradable starch bowl and the biodegradable starch bow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improved sterilizing, deodorizing, preservative and releasing properties.
权利要求
  •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에 있어서,
    비변성 전분 20~60wt%; 펄프 섬유 파우더 5~30wt%; 용매 30~60wt%; 광촉매제 0.1~2.0wt%; 보존제 0.01~1wt%; 및 이형제 0.5~5w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변성 전분은,
    옥수수, 감자, 밀, 쌀, 타피오카 및 고구마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섬유 파우더는,
    섬유 길이가 1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섬유 파우더는,
    활엽수를 분쇄한 펄프 섬유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제는,
    아나타제 함량이 70% 이상인 이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제는,
    철(Ⅲ), 바나듐, 몰리브덴, 니오븀 및 백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이 도핑된 이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제는,
    철(Ⅲ)이 도핑된 이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제는,
    이산화규소, 오산화바나듐 및 산화텅스텐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산화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소르빈산, 소르빈산 칼륨, 안식향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모노스테아릴시트레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모노스테아릴시트레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가 중량비 1 : 1.5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알칼리 수용액 및 산성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 생분해성 전분 용기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
  • 说明书全文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전분 용기{Composition for biodegradable starch bowl and biodegradable starch bow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전분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살균성, 탈취성, 보존성, 이형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포성 합성수지, 플라스틱, 은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용기의 환경오염 문제를 개선하고자, 종래에 매립후 분해가 가능한, 종이, 전분 등 천연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가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던 경우와 달리, 생분해가 가능하므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고, 또한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는, 병원성 대장균, 0-157균, 녹농균, 포도구균, 살모넬라균 등에 의해 그 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보관 환경에 따라서는 미생물에 의한 부패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 보존성에 있어서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는 종래의 플라스틱 등과 대비하여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에, 내충격성, 항균성, 보존성 등을 부가할 수 있는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8-311243호에서는 전분계 고분자, 식물성 섬유, 금속이온, 발포제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배합하여 제조된, 항균성, 항곰팡이성, 내충격성 등이 개선된 생분해성 발포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의 제조에 관한 기술은, 특히 식품 저장용 용기에 있어서, 미생물에 의한 용기의 부패 등 장기 보존성이 여전히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고, 살균성 및 나아가 탈취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의 경우, 이형성이 취약하므로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의 제작시, 용기의 깊이가 예를 들어 5cm 이상인 경우에는 용기가 몰드로부터 쉽게 탈리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공정을 중단한 후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용기를 탈리시켜야 하는 불편이 따르며, 그 결과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전분용기에 살균, 탈취기능을 부여하고, 장기 보존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이형성을 부여한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전분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에 있어서, 비변성 전분 20~60wt%, 펄프 섬유 파우더 5~30wt%, 용매 30~60wt%, 광촉매제 0.1~2.0wt%, 보존제 0.01~1wt% 및 이형제 0.5~5w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비변성 전분은, 옥수수, 감자, 밀, 쌀, 타피오카 및 고구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전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펄프 섬유 파우더는, 섬유 길이가 10~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펄프 섬유 파우더는, 활엽수를 분쇄한 펄프 섬유 파우더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제는, 아나타제 함량이 70% 이상인 이산화티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광촉매제는, 철(Ⅲ), 바나듐, 몰리브덴, 니오븀 및 백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이 도핑된 이산화티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광촉매제는, 철(Ⅲ)이 도핑된 이산화티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광촉매제로, 이산화규소, 오산화바나듐 또는 산화텅스텐의 금속산화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존제는, 소르빈산, 소르빈산 칼륨, 안식향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형제는, 모노스테아릴시트레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형제는, 모노스테아릴시트레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가 중량비 1 : 1.5로 혼합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알칼리 수용액 및 산성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용매는, 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생분해성 전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전분 용기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은, 전분으로서 특히 비변성 전분을 포함하고, 인장강도, 휨저항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펄프 섬유 파우더를 포함하고, 용매로서 물을 포함하며, 살균 및 탈취 효과를 주기 위하여 광촉매제를 포함하고, 보존성을 높이기 위한 보존제 및 이형성을 증대하기 위한 이형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비변성 전분은 20~60wt%로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펄프 섬유 파우더는 5~30wt%를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용매는 30~60wt%로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광촉매제는 0.1~2.0wt%로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보존제는 0.01~1wt%로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이형제는 0.5~5wt%로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술하면, 우선, 상기 생분해성 전분은 특히, 음이온성인 천연 전분, 즉, 비변성 전분을 이용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별도의 물리적, 화학적 처리 등을 거치지 않은 비변성 전분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과정을 비교적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비변성 전분으로서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40%이하의 옥수수, 찰옥수수, 감자, 타피오카, 고구마, 쌀, 찹쌀, 밀, 보리, 기타 종실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옥수수, 감자, 밀, 쌀, 타피오카, 고구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전분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은 비변성 전분은 전체 조성물 중 20~60wt% 를 함유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한데, 20wt% 미만인 경우에는 유기 바인더 역할을 하는 전분의 부족으로 펄프 및 각종 첨가제의 균일한 분산이 어려우며, 60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 강도 및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펄프 섬유 파우더를 포함시킨다.

    즉, 상기 비변성 전분의 경우, 통상 500meq 이상의 음이온 전하를 가지므로 자신들끼리 서로 뭉치는 현상이 있는데, 이에 따라 분자간 결합에너지가 약해져 전반적인 강도와 내수성이 약해진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하여, 펄프를 분쇄기로 갈아서 미세 분말화(즉, 파우더화)한 분말 미세 펄프 섬유를 이용하며, 이로써 겉보기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부피를 작게할 수 있으며, 서로 뭉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결국, 인장 강도, 휨저항성 등 전반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펄프 섬유로는 목재, 짚, 사탕수수, 갈대, 대나무, 목질줄기, 인피섬유, 잎섬유 및 종묘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펄프 섬유의 길이가 10~200㎛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조성물 내의 섬유 파우더의 분산성을 높이고, 성형체의 강도를 부위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펄프 섬유중 활엽수, 즉, 장섬유를 이용하는 경우와 침엽수, 즉, 단섬유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크기의 스크린을 사용하여도 분쇄되는 섬유 길이에 따른 분포량에 다소 차이가 있다.

    표 1은 0.35mm 홀의 스크린을 통하여 활엽수를 분쇄한 경우의 섬유 길이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다(섬유의 겉보기 부피 밀도 : 30~50g/ℓ).

    섬유길이(㎛) 분포량
    32 이하 18%
    32~50 11%
    50~90 18%
    90~150 28%
    150~200 23%
    200이상 2%

    표 2는 0.35mm 홀의 스크린을 통하여 침엽수를 분쇄한 경우의 섬유 길이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다(섬유의 겉보기 부피 밀도 : 70~90g/ℓ).

    섬유길이(㎛) 분포량
    32 이하 12%
    32~50 16%
    50~90 29%
    90~150 35%
    150~200 6%
    200이상 2%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분쇄되어 나오는 펄프 섬유의 길이 분포가 다양한 것은, 상기 스크린의 소정 크기(0.35mm)의 홀을 통하여 길이가 긴 섬유가 접히거나 또는 꼬여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며, 상기 스크린 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펄프 섬유 길이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여전히 다양한 분포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침엽수 보다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활엽수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엽수를 분쇄한 펄프 파우더를 이용하면 제품 성형시 열에 의하여 탄화되어 완제품에 갈변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매는 30~60wt%로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상기 용매로 물, 알코올, 알칼리 수용액, 산성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촉매제는 살균이나 탈취를 위하여 혼합되는 것이므로, 광촉매제로서, 철(Ⅲ)(Fe 3+ ), 바나듐(Ⅴ), 몰리브덴(Mo), 니오븀(Nb), 백금(Pt) 등의 금속이 도핑된 이산화티탄, 또는 이산화규소(SiO 2 ), 오산화바나듐(V 2 O 5 ), 산화텅스텐(WO 3 ) 등의 금속산화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특히, 아나타제 함량이 70% 이상인 이산화티탄을 이용하는 것이 살균 및 탈취력을 높이는 측면에서 적절하다.

    상술하면, 이산화티탄은 결정구조에 따라 루틸(rutile)형 및 아나타제(anatase)형, 브로카이트(vrookite)형의 3가지 종류가 있다. 아나타제 함량이 70%인 이산화티탄이란 아나타제형 결정 구조인 이산화티탄이 70%라는 것이며, 나머지 30%는 대부분 루틸형 이산화티탄이고 일부 극소수가 브루카이트형 이산화티탄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나타제형은 광촉매 반응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므로 아나타제 함량 70% 이상인 이산화티탄은 충분한 살균 및 탈취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제는 0.1~2.0wt%로 함유되는 것이 적합한데, 상기 범위를 넘어 과량 첨가할 경우, 용기의 성형성와 강도를 저하할 우려가 있고, 과소량으로 첨가할 경우에는 살균, 탈취의 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렵다.

    다음으로, 상기 보존제로는 소르빈산, 소르빈산 칼륨, 안식향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1wt%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형제로는, 모노스테아릴시트레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형제는 0.5~5wt%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유연제 및 유화제로서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가소제로서,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유화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구아검, 아라비아검, 카라야 검, 크탄산 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강도 보강제로서, 리그노설퍼네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분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예를 들어, 140~220℃로 가열된 가열가압 성형기로 0.5~8kgf/cm 2 의 압력에서 1~5분간 성형함으로써 생분해성 일회용 전분 용기를 완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를 이용한 실험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고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 1 - 4]

    실시예 1 - 4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즉, 변성시키지 않은 음이온성 옥수수전분, 활엽수 목재로부터 얻은 섬유파우더, 광촉매제로 아나타제 함량이 70%이상인 이산화티탄늄, 이형제로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와 모노스테아릴시트레이트 혼합물, 장기보존제로 소르빈산 칼륨 및 물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더블자켓 가열교반기에서 20분 동안 혼합혼련하여 성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3은 실시예 1 - 4 의 각각의 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성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천연고분자(옥수수전분) 36.7 36.7 36.7 36.7
    펄프 섬유 파우더(활엽) 9.9 9.9 9.9 9.9
    아나타제 함량이70%이상인 TiO 2 0.2 0.5 1 2
    보존제(소르빈산칼륨) 0.2 0.2 0.2 0.2
    이형제(Mg Stearate) 0.8 0.8 0.8 0.8
    이형제(Monostearyl Citrate) 1.2 1.2 1.2 1.2
    51.0 50.7 50.2 49.2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5 - 8]

    실시예 5 - 8에서는 광촉매제로 철이 도핑된 이산화티탄늄(Fe-doped TiO 2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 4와 동일한 방법 및 동일한 양으로 생분해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4는 실시예 5 - 8의 각각의 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성성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천연고분자(옥수수전분) 36.7 36.7 36.7 36.7
    펄프 섬유 파우더(활엽) 9.9 9.9 9.9 9.9
    Fe-doped TiO 2 0.2 0.5 1 2
    보존제(소르빈산칼륨) 0.2 0.2 0.2 0.2
    이형제(Mg Stearate) 0.8 0.8 0.8 0.8
    이형제(Monostearyl Citrate) 1.2 1.2 1.2 1.2
    51.0 50.7 50.2 49.2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9 - 12]

    실시예 9 - 12에서는 광촉매제, 보존제 및 물의 양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 4와 동일한 방법 및 동일한 양으로 생분해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5는 실시예 9 - 12의 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성성분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천연고분자(옥수수전분) 36.7 36.7 36.7 36.7
    펄프 섬유 파우더(활엽) 9.9 9.9 9.9 9.9
    아나타제 함량이 70%이상인 TiO 2 0.5 0.5 0.5 0.5
    보존제(소르빈산칼륨) 0.05 0.1 0.5 1.0
    이형제(Mg Stearate) 0.8 0.8 0.8 0.8
    이형제(Monostearyl Citrate) 1.2 1.2 1.2 1.2
    50.85 50.8 50.4 49.9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13 - 16]

    실시예 13 - 16은 광촉매제, 이형제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와 모노스테아릴시트레이트, 물의 양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 4와 동일한 방법 및 동일한 양으로 생분해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6은 실시예 13 - 16의 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성성분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천연고분자(옥수수전분) 36.7 36.7 36.7 36.7
    펄프 섬유 파우더(활엽) 9.9 9.9 9.9 9.9
    아나타제 함량이 70%이상인 TiO 2 0.5 0.5 0.5 0.5
    보존제(소르빈산칼륨) 0.2 0.2 0.2 0.2
    이형제(Mg Stearate) 1.6 1.4 0.8 0.4
    이형제(Monostearyl Citrate) 0.4 0.6 1.2 1.6
    50.7 50.7 50.7 50.7
    합계 100 100 100 100

    [비교예 17 - 20]

    비교예 17 - 20 에서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광촉매제 역할을 수행하는 아나타제 함량이 70%이상인 TiO 2 또는 철이 도핑된 TiO 2 를 이용한 것과 대비하고자, 루틸상 이산화티타늄을 적용하였다. 상기 루틸상 이산화티타늄이 적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 4와 동일한 방법 및 동일한 양으로 생분해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7은 비교예 17 - 20의 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성성분 비교예 17 비교예 18 비교예 19 비교예 20
    천연고분자(옥수수전분) 36.7 36.7 36.7 36.7
    펄프 섬유 파우더(활엽) 9.9 9.9 9.9 9.9
    루틸상 TiO 2 0.2 0.5 1 2
    보존제(소르빈산칼륨) 0.2 0.2 0.2 0.2
    이형제(Mg Stearate) 0.8 0.8 0.8 0.8
    이형제(Monostearyl Citrate) 1.2 1.2 1.2 1.2
    51.0 50.7 50.2 49.2
    합계 100 100 100 100

    [비교예 21 - 24]

    비교예 21 - 24에서는 보존제로 안식향산나트륨을 사용하고, 광촉매제, 보존제, 물의 양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7 - 20과 동일한 방법 및 동일한 양으로 생분해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8은 비교예 21 - 24의 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성성분 비교예 21 비교예 22 비교예 23 비교예 24
    천연고분자(옥수수전분) 36.7 36.7 36.7 36.7
    펄프 섬유 파우더(활엽) 9.9 9.9 9.9 9.9
    루틸상 TiO 2 0.5 0.5 0.5 0.5
    보존제(안식향산나트륨) - 0.1 0.2 0.5
    이형제(Mg Stearate) 0.8 0.8 0.8 0.8
    이형제(Monostearyl Citrate) 1.2 1.2 1.2 1.2
    50.9 50.8 50.7 50.4
    합계 100 100 100 100

    [비교예 25 - 28]

    비교예 25 - 28에서는 이형제로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모노스테아릴시트레이트 혼합물 대신 스테아라미드, 유동파라핀 및 아연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고, 광촉매제, 각 이형제 및 물의 양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7 - 20 과 동일한 방법 및 동일한 양으로 생분해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9는 비교예 25 - 28의 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성성분 비교예 25 비교예 26 비교예 27 비교예 28
    천연고분자(옥수수전분) 36.7 36.7 36.7 36.7
    펄프 섬유 파우더(활엽) 9.9 9.9 9.9 9.9
    루틸상 TiO 2 0.5 0.5 0.5 0.5
    보존제(소르빈산칼륨) 0.2 0.2 0.2 0.2
    이형제(Stearamide) - 2.0 - -
    이형제(유동파라핀) - - 2.0 -
    이형제(Zn Stearate) - - - 2.0
    52.7 50.7 50.7 50.7
    합계 100 100 100 100

    [실험예1 - 성형체 제조 및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1 - 16 및 비교예 17 - 28에서 각각 제조한 조성물을 온도 180℃, 압력 3 kgf/cm 2 의 조건을 가지는 가열가압 성형기에서 150초 동안 성형하여 용기 형상을 갖는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성형체의 물성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성형성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 는 표면이 매끄럽고 주름이나 핀홀이 없음을 나타내고, ○는 표면이 상대적으로 거칠지만 주름이나 핀홀은 없음을 나타내고, X 는 표면에 주름 또는 핀홀이 있거나 성형하기 곤란함을 나타낸다.

    압축강도에 있어서, 2mm/s의 속도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용기의 양측면을 압축하여 용기가 파괴될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에서 ◎는 5kg·m/s 2 이상을 나타내고, ○는 3 5kg·m/s 2 을 나타내고, X는 표면에 주름 또는 핀홀이 있거나 성형하기 곤란함을 나타낸다.

    이취에 있어서, 10명의 연구원이 용기에서 전분 특유의 냄새 이외의 불쾌한 냄새가 나는지 여부를 검사하였다. 측정 결과에서 N은 '없음'을 나타내고, Y는 '있음'을 나타낸다.

    갈변현상에 있어서, 용기의 색을 표준 조성물(옥수수 전분 36.7%, 섬유파우더 9.9% 및 물 53.4%)의 색과 비교하였다.

    살균효과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반응기 내부에 자외선(UV)램프를 넣고 석영(quartz)관으로 둘러싼 후 석영관 내벽에 50mm ×80mm 크기의 전분성형물 샘플을 넣고 대장균이 관 사이로 지나가도록 하였다.

    그 후 360nm의 파장을 갖는 100W 자외선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1시간 경과 후 반응기 내부에서의 대장균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탈취효과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반응기 내부에 자외선 램프를 넣고 석영관으로 둘러싼 후 석영관 내벽에 50mm ×80mm 크기의 전분성형물 샘플을 넣고 공기로 희석된 600ppm 농도의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을 통과하게 하였다.

    그 후 360nm의 파장을 갖는 100W 자외선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1시간 경과 후 반응기 내부에서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효율을 측정하였다.

    장기 보존성에 있어서, 온도 30℃, 상대습도 90%의 항온항습기에 실시예 1 - 16 및 비교예 17 - 28의 조성물로 제조한 성형체을 넣고 용기가 곰팡이에 의하여 오염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측정 결과에서 X는 20일 이내에 곰팡이 발생을 나타내는 것이고, ○는 21 ~ 30일 사이에 곰팡이 발생을 나타내는 것이고, ◎는 31 ~ 90일 사이에 곰팡이 발생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형성에 있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기 샘플을 100개 성형하는 동안 하부 몰드로 떨어지지 않고 상부 몰드에 부착되어 올라가는 용기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0 및 표 11에서는 개수가 적을수록 이형성이 좋은 것을 나타낸다.

    표 10은 상기 실시예 1 - 16의 각각에 있어서 성형성, 압축강도, 이취, 갈변현상, 살균효과, 탈취효과, 보전성, 이형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성형성 압축강도 이취 갈변 살균효과(대장균 제거율) 탈취효과(아세트알데히드 분해율) 보존성 이형성(개수)
    1 N N 65% 70% 0
    2 N N 100% 100% 0
    3 N N 100% 100% 0
    4 N N 100% 100% 0
    5 N N 75% 85% 0
    6 N N 100% 100% 0
    7 N N 100% 100% 0
    8 N N 100% 100% 0
    9 N N 100% 100% X 0
    10 N N 100% 100% 0
    11 Y Y 100% 100% 0
    12 Y Y 100% 100% 0
    13 N N 100% 100% 12
    14 N N 100% 100% 12
    15 N N 100% 100% 8
    16 N N 100% 100% 8

    표 11은 상기 비교예 17 - 28의 각각에 있어서 성형성, 압축강도, 이취, 갈변현상, 살균효과, 탈취효과, 보전성, 이형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비교예 성형성 압축강도 이취 갈변 살균효과(대장균 제거율) 탈취효과(아세트알데히드 분해율) 보존성 이형성(개수)
    17 N N 0% 0% 0
    18 N N 0% 0% 0
    19 N N 0% 0% 0
    20 N N 0% 0% 0
    21 N N 0% 0% X 0
    22 N N 0% 0% X 0
    23 N N 0% 0% 0
    24 Y Y 0% 0% 0
    25 N N 0% 0% 100
    26 X - Y N 0% 0% X 96
    27 N N 0% 0% X 82
    28 X - N N 0% 0% X 56

    표 10 및 표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루틸상 TiO 2 을 사용한 비교예 17 - 28은, 광촉매제로서 아나타제 함량이 70%이상인 TiO 2 를 사용하거나 철이 도핑된 TiO 2 을 사용한 실시예 1 - 16과 비교할 때, 성형체에 살균 및 탈취효과는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특히 아나타제 함량이 70% 이상인 이산화티탄늄과 철이 도핑된 이산화티탄늄이 0.5wt%이상 첨가되었을 경우 살균 및 탈취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고가의 광촉매제를 1wt%이상 첨가할 경우, 조성물의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보존제로 안식향산나트륨을 사용한 비교예 21 - 24는 소르빈산칼륨을 사용한 비교예들에 비하여 곰팡이 억제 기능이 미약하며, 상기 보존제를 0.5wt%이상 과량 첨가할 경우, 심한 이취(냄새) 발생과 함께 성형체의 갈변이 유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보존제는 소르빈산칼륨으로 0.2wt%을 첨가하였을 경우, 이취 및 갈변현상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곰팡이 억제기능이 뛰어남을 상기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형성 측면에서는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5는 이형성이 우수하지 못하며, 이형제로 스테아라미드를 사용한 비교예 26의 경우에는 심한 이취가 발생되고 이형성이 우수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27에서 사용한 유동파라핀은 비점이 높기 때문에 성형체의 발포율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성형성 불량을 유발하였다. 또한 아연 스테아레이트의 경우에도 성형성 불량을 유발하였으며 발포율이 억제되었다.

    하지만 실시예 13 - 16에서 사용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모노스테아릴 시트레이트를 중량비 1.5 : 1의 비율로 혼합사용한 경우, 발포율 증대로 인하여 원재료의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반기 내벽에 반죽이 붙는 현상이 개선되며, 성형체 표면에 광택 및 우수한 이형력을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2 - 토양 분해성 테스트]

    본 실험예2에서는 상기 실험예1에서 제작된 생분해성 전분 용기의 토양 분해성(부엽토를 이용)을 측정하였다.

    도 2a는 본 실험예2에 있어서 분해초기(매립초기)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b는 본 실험예2에 있어서 20일 경과 후의 분해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c는 본 실험예2에 있어서 40일 경과 후의 분해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2d는 본 실험예2에 있어서 60일 경과 후의 분해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a 내지 2d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전분 용기는 100일 경과후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전분 용기에 따르면, 살균, 탈취기능, 장기 보존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일회용 전분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1에 있어서 살균 및 탈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험예2에 있어서 분해초기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

    도 2b는 본 발명의 실험예2에 있어서 20일 경과 후의 분해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

    도 2c는 본 발명의 실험예2에 있어서 40일 경과 후의 분해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

    도 2d는 본 발명의 실험예2에 있어서 60일 경과 후의 분해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