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81 Flexible material strips the drive that you want to displace the profile parts relative to each other through, length adjustable housing and furniture JP2004525874 2003-06-19 JP2005530973A 2005-10-13 ストエリンガ、ダーク、ヤン
本発明は、少なくとも2つの形材部品を相互に対して変位し、位置決めするドライブで、回転可能なドライブ・ホィールと、第1形材部品およびドライブ・ホィールに結合されたモータと、少なくとも一方側で第2形材部品に固定接続した可撓性材料細片とを有し、材料細片がドライブ・ホィールにも係合し、さらに、少なくともほぼ静止状態で第1形材部品に接続された可撓性材料細片のガイドを有し、ガイドとドライブ・ホィールとの間の距離が、第2形材上の可撓性材料細片の係合ポイントとドライブ・ホィールとの間の距離より大きいものであるドライブに関する。 本発明は、このようなドライブを設けた長さ調節可能なハウジング、およびこのようなドライブを収容する脚部を有する家具にも関する。
82 Preferably, lifting column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or the height-adjustable table JP2003548659 2002-12-02 JP2005510331A 2005-04-21 クリンケ、ノルベルト
中間滑り部材(8)を備えた異なる筒材(2a、2b)から成る、テーブル等の家具用の昇降支柱(1)において、筒材(2a、2b)が比較的大きい寸法公差を有することは問題である。 これは、両筒材間の空隙が比較的大きくばらつくことがあることを意味し、それは支柱に大きい遊びを生じる。 この問題は、少なくとも一方の筒材(2a)における壁を滑り部材(8)に向かって内向きに局所的に変形させて、滑り部材を他方の筒材(2b)に対して内向きに押し付けることで解決される。 寸法差は、変形部の位置等を適宜選択することのみならず、変形を施す際のを調整することによっても無効化することができる。
83 Suitable drive unit and its lifting column to lifting columns to be used in the height-adjustable desk JP2003509896 2002-07-04 JP2004530613A 2004-10-07 ニールセン、イエンス、ユルゲン
高さ調節可能なテーブル用の昇降支柱に用いるのに好適な駆動装置は、エンドレス・チェーン(31)を備えており、このエンドレス・チェーンが、第1および第2スプロケット(16,17)間を通り、2つのスプロケット間の第1および第2チェーン経路を有する構成において、少なくとも一方のチェーン経路は駆動装置を収容する構造体の可動要素に対して連結されている。 駆動装置は、棒材(5)を備えており、その各端にスプロケット(16,17)が取付けられている。 一方のスプロケット(16)は、伝動機構を介して電気モータ(6)により駆動される。 電気モータと伝動機が棒材に同様に取付けられることにより、駆動装置は完成した実装可能な一つのユニットとなる。 ストローク長は、駆動装置の長さの選択のみによって決定されるため、駆動装置は細い柱状型材に適するように構成することができる。 さらに、駆動装置は実装が容易である。
84 기능성 테이블 및 테이블 제어 시스템 KR1020160073877 2016-06-14 KR1020170141001A 2017-12-22 이주연; 이갑현
본발명의일 실시예에따라, 기능성테이블및 테이블제어시스템이제공된다. 상기테이블은적어도하나의상판; 상기상판에연결되어상기상판중 적어도하나의높이를조절하는지지부; 사용자단말로부터사용자정보를수신하는통신부; 및상기사용자정보에기초하여상기지지부의동작을제어하는제어부를포함할수 있다.
85 모듈형 접힘식 테이블 KR1020087031504 2007-05-21 KR101362949B1 2014-02-12 카터마크씨.
모듈형 접힘식 테이블은 접힘식의 강하고 안정된 구조를 갖는 선반 공간 및 바람직한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힘식 실용 선반 및 접힘식 테이블 상단을 지지하는 접철형 트러스 골격과, 하나 이상의 유사 모듈형 접힘식 테이블의 레그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레그들을 포함한다. 레그, 트러스 골격, 링크 부재, 테이블 상단 지지 브라켓, 슬라이더 부재, 테이블 상단, 모듈형 접힘식 테이블
86 칼럼 유니트 및 칼럼 유니트의 튜브 가이드 KR1020010044523 2001-07-24 KR100436415B1 2004-06-16 마동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 guide for a column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be guide for a column unit which can smoothly move a spindle upward and downward by forming a plurality of ribs on the inside surface of the tube guide which guides a spindle which has a multilateral cross-section and which can smoothly accomplish the broaching. The tube guide has a hexagonal inside surface. Two inside ribs are formed on each surf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Sinc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of the spindle reduce the contacting area, the frictional force is remarkably reduced and the spindle is smoothly moved upward and downward. Further, only one surface of the inside rib needs to be broached, the broaching area is remarkably reduced.
87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는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20030007310 2003-03-12 KR200315261Y1 2003-06-02 임동만
본 고안은 책,걸상 다리의 양쪽 상부프레임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로 유동되는 하부프레임의 내부에, 장내측면 중간을 종으로 관통시킨 상하 유통로를 중심으로 양쪽 내측면에 하향으로 높아지는 파형경사면을 형성시킨 형 조절대를 삽입시켜 하부프레임의 양 장측면 중간을 종으로 관통시킨 상하 유통로와 일치시켜 외향 장측면에 동일체로 용접시키고 형 조절대 내부에는 내측면을 파형면으로 형성시킨 조정구를 삽입시키고 하부프레임을 내부로 삽입시킨 상부프레임의 양 장측면을 관통시킨 축공으로 조정핸들의 축을 삽입시켜 상하 유통로를 통해
88 책, 걸상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구조 KR2020020035568 2002-11-28 KR200304162Y1 2003-02-17 최학문; 최덕삼
본 고안은 받침다리에 설치되는 클램프와 위치 고정나사에 의해 받침다리 내에 끼워진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이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학생 체형에 맞추어 그때그때 간편히 걸상이나 책상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체형발달과 함께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책상상판 또는 걸상좌판의 지지다리(1)가 받침다리(2)와 결합되어 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책, 걸상용 지지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1)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고정공(1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다리(2) 상단일측에는 절개홈(22)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대향측에는 체결공(21)을 형성하여 고정나사(4)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다리(1)의 임의 고정공(11)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며, 그 외면에는 상단 내주면을 걸림턱(32)으로 형성한채 손잡이(31)의 편심 회전동작에 의해 그 내경이 변화되도록 한 협지클램프(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받침다리(2)에 대한 지지다리(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걸상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 구조이다.
89 학생용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20033306 2002-11-07 KR200302990Y1 2003-02-11 박침곤
본 고안은 학생용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높낮이 조절장치의 본체(1)에 하부지주(18)가 삽입되는 지주삽입공(2)을 형성하며, 상기 지주삽입공(2)의 상단에 하부지주(18)의 상단이 걸리도록 걸림턱(3)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안착홈(4)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4)과 지주삽입공(2) 사이에는 관통공(5)을 형성하며, 상기 안착홈(4)에는 걸림돌기(8)가 돌출된 걸림봉(7) 및 스프링(9)을 설치한 후 덮개(6)를 고정한 책,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푸쉬버튼(11)을 설치하고, 상기 푸쉬버튼(11)의 하부에 스톱퍼(12) 및 코일스프링(15)을 설치하되, 상기 스톱퍼(12)의 중앙에는 관통공(14)을 천공하여 걸림봉(7)이 통과되도록 하고, 본체(1)의 내부� �� 가이드 돌기(13)를 형성하여 상기 스톱퍼(12)가 상,하강하도록 하며, 상기 걸림봉(7)의 일측에 요홈(16)을 형성하여 상기 스톱퍼(1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손쉽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봉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걸림봉이 인위적으로 후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90 학생용 책상의 높이조절 장치 KR2020000022189 2000-08-01 KR200208155Y1 2000-12-15 이원선; 이경훈
(1)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학교나 학원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상판의 저부에 금속재 파이프를 연결하여 다리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책상에 있어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책상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빠르고 간단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그에 따라 학생들에게 최적의 학습여건을 제공토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고안이다. (3)고안의 구성 다리(2)가 상부파이프(3)와 하부파이프(4)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책상에 있어서, 상부파이프(3)의 하단에 고정관체(11)를 고정시키되 고정관체(11)의 일측 중앙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핀(12)을 삽입할 공간부(13)를 구성하고 하부파이프(4)에는 핀(12)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요홈(14)을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형성하며, 상기 고정관체(11)를 감싸도록 커버(20)를 결합하는데 커버(20)의 내부에는 중앙에 상기 공간(13)를 덮어주는 고정돌부(21)를 ' '형으로 구성하고 커버(20)의 상하 내부에 스프링(22)(22')을 삽입한 후 마개(23)(23')를 각각 결합하여 커버(20)와 마개(23)(23')가 스프링(22)(22')의 탄성을 받으며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을 요지로 하는 고안이다. (4)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수시로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여야 하는 학생용 책상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높이의 조절이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되었고, 외관상으로도 매우 단정하여 종래의 높이조절장치와는 비교할 수 없는 시각적인 장식효과도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91 모듈형 접힘식 테이블 KR1020087031504 2007-05-21 KR1020090029737A 2009-03-23 카터마크씨.
The modular folding table includes a collapsible truss framework that supports a folding table top and a folding utility shelf, and includes legs that can be connec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to the legs of one or more similar modular folding tables, to provide desired table and shelf space with a structure that is foldable, strong and stable.
92 학생용 다용도 책상 KR2020030034903 2003-11-07 KR200341983Y1 2004-02-14 허정무
본 고안은 상판(1)과, 상기 상판(1)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판(1)을 받치며 원형 파이프로 형성된 상판받침대(10)와, 상기 상판받침대(10)의 양쪽에 하부로 형성된 두 개의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에 삽입된 상하이동관(51)에 고정 결합된 레일(52)에 결합되어 상하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서랍(40)과, 상기 두 개의 지지축(50) 하단에 형성된 두 개의 책상받침대(60)로 구성된 학생용 다용도 책상에 관한 것이다.
93 장애인 및 노약자 접수대 KR2020030030351 2003-09-25 KR200336837Y1 2003-12-24 이형국
본 고안은 장애인 및 노약자 접수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판의 높이를 파워실린더로 조절하여 일반인 뿐만 아니라 장애인 등의 자신에게 적합한 높이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애인 및 노약자 접수대를 제공함에 있다.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다리의 상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안내봉이 설치되어진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상판이 안착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하방향으로 상기 안내봉과 대응되도록 고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봉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을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이동파이프로 이루어진 상부체와, 하부는 상기 지지다리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에 형성된 실린더로드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시키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상기 실린더로드를 전후진시키는 파워실린더로 구성된 것이다.
94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조절구조 KR2020030007320 2003-03-12 KR200321871Y1 2003-07-31 최상화; 강동준
본 고안은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책상의 상판(또는 걸상의 좌판) 저면에 부착 고정된 다리가 상부관체와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관체로 구성되고, 상 하부관체가 안테나식으로 구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책상(또는 걸상)에 있어서, 하부관체에는 상하 등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 조절용 구멍을 천공하고, 상부관체에는 스프링과 고정핀, 그리고 상기 고정핀을 지지하는 지지바로 구성되어 견인줄 등에 의해 고정핀의 출몰을 유도하는 높이조절시건부를 설치구성하고, 상기 견인줄의 선단에 견인손잡이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견인손잡이가 책상판의 양측 저면으로 인출되게 끔 구성함으로써, 책상(또는 걸상)의 높이 조절시 상판의 양측부를 잡음과 동시에 견인손잡이를 함께 잡아 견인손잡이를 잡아당기면서 상판을 들어올리거나 내려주어 사용자의 체형에 적절한 높이로 � �었을 때 잡아당기던 견인손잡이를 놓으면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책상 또는 걸상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책상판(또는 걸상의 좌판)의 양측부분을 잡음과 동시에 견인손잡이도 함께 잡은 상태에서 들어올리거나 내리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간단히 조절되게 되어 책상의 높이조절이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따르는 학생용 책상의 높이조절구조를 제공한다.
9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KR2020030012393 2003-04-22 KR200319417Y1 2003-07-10 윤상원
본 고안은 다리를 회전시켜 책상 및 걸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책상 및 걸상 본체로부터 다리부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걸상은 책상 및 걸상의 본체로부터 다리부가 분리되어 호기심이 많은 학생들이 책상 및 걸상 본체로부터 다리부를 분리시켜 장난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이렇게 분리된 다리는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시킬 수 있게 하는 것에 있어서, 책걸상 본체(1)에 다리(2)가 삽입되는 삽입공(3)을 형성시키고, 삽입공(3)의 내주연에 나사부(30)를 형성시키며, 상기 삽입공(3)의 저부에 삽입공(3)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그 경계에 걸림턱(44)을 구비하는 지지공(4)을 형성시키고, 다리(2)의 상부에 상기 걸림턱(44)에 걸리어지는 헤드부(20)를 형성시키며, 헤드부(20)의 주연에 나사부(21)를 형성시켜 구성함으로써,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 �� 다양한 신체 치수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다리가 본체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다리의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96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30001199 2003-01-15 KR200309599Y1 2003-04-08 안동준
본 고안은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다리(10)에 상부다리(20)가 삽입되는 양만큼 높낮이가 조정되는 책걸상(200)에 있어서, 상기 상부다리(20)와 하부다리(10)를 연결하고 있는 상부보강대(21)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래크(30)와, 상기 래크(30)에 치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피니언(40)과, 상기 피니언(40)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하부다리(10)와 하부다리(10)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보강대(11)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50)으로 구성하여, 래크(30)를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40)의 이동량 만큼 상부다리(20)가 하부다리(10)의 내외부로 인입출되면서 책상(100)과 걸상(200)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서, 상기 책상(100)과 걸상(2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책상(100)과 걸상(200)의 높낮이를 자기 신체조건에 맞게 높낮이를 조정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 �이다.
97 고정대 KR2020020036026 2002-12-02 KR200306728Y1 2003-03-11 조국환
본 고안은 학생용 책상과 걸상의 높 낮이을 조절한 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학생용 책상과 절상의 높 낮이을 조절한 후 고정하는 고정대(2)로서 학생용 책상과 걸상의 하단부 두 다리(11)의 상단 일측에 고정대(2)가 각 각 결합되여 학생용 책상과 걸상의 상단부 두다리(10)의 하단에 주워진 조절구(9)의 구멍을 통해 고정하는 고정대(2)로서 상기 고정대의 내부에 설치한 구성에 의하면 고정핀 밀대(3)에 결합된 밀대캡(6)을 좌 우측으로 밀게 되면 고정핀(4)은 고정핀에 체결된 와샤핀(7)과 강제로 압축 체결한 스프링(5)의 완축 작용에 의해 고정핀 밀대(3)에 주어진 높 낮이 턱 홈을 타고 고정핀(4)은 고정과 해지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좌측으로 밀대캡(6)을 밀으면 고정핀(4)은 고정핀 밀대(3)의 높 낮이 턱 홈을 타고 조절구(9)속에서 나와 고정이 해지되고 밀대캡(6)을 우측으로 밀으면 고정핀(4)은 고정핀 밀대(3)의 높 낮이 턱 홈을 타고 조절구(9)의 구멍속으로 들어가 고정되는 학생용 책상과 걸상의 높 낮이 조절후 고정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대가 제공된다.
98 具有升降工作台的工具柜 CN201720104313.0 2017-01-24 CN206465062U 2017-09-05 刘家铭
一种具有升降工作台的工具柜,包含一包括一形成有一导引孔的顶壁与两支导轨并界定出一走线空间的柜体、数个设置于该柜体的抽屉、一包括一台板、两支分别能滑动地连接于所述导轨的导脚与一从该台板朝下延伸并穿入该导引孔的电线护管的工作台、两个升降单元、一设置于该工作台的驱动单元,及一包括一设置于该柜体的供电模组与一电连接于该供电模组与该驱动单元之间的输电线的电源单元,每一升降单元包括一设置于该柜体的导管、一固定地设置于该导管顶端的螺帽,及一能转动地设置于该工作台并与该螺帽螺接的螺杆,该驱动单元用来驱使所述螺杆带动该工作台在一收合位置与一展开位置之间移动,该输电线能滑动地穿过该电线护管,并垂落于该走线空间内。
99 具有升降工作台的工具柜 CN201621015361.4 2016-08-31 CN206048125U 2017-03-29 刘家铭
一种具有升降工作台的工具柜包含一具有一顶盖与两支导轨的柜体、数个设置于柜体的抽屉、一具有一台板与两导脚的工作台、两设置于柜体与工作台之间的升降单元、两设置于工作台并分别对应于升降单元的驱动单元,及一设置于工作台的控制单元,每一导脚能移动地置于各自的导轨,每一升降单元具有一设置于柜体的导管、一设置于导管顶端的螺帽,及一能转动地设置于工作台并与螺帽螺接的螺杆,每一驱动单元具有一驱动达,及一连接于驱动马达与各自的螺杆之间的减速机构,控制单元与驱动马达电连接,并可控制每一驱动马达同步转动,以同步驱动螺杆产生转动,使工作台相对于柜体在一台板邻近于顶盖的收合位置与一该台板远离于顶盖的展开位置之间移动。
100 一种折叠桌 CN201620344237.6 2016-04-23 CN205682765U 2016-11-16 区灿洪
一种折叠桌,包括桌台以及支撑桌台的左、右两侧竖立的支撑架,在该两侧支撑架之间联接有两个平行四边形机构,两个平行四边形机构具有一条公共连杆,在公共连杆上滑动联接有一滑,在滑块上设有可将滑块定在公共连杆上的挂钩,左、右两侧支撑架之间的距离随着两个平行四边形机构的变形而变化。该折叠桌在折叠时,只要将左、右两侧的支撑架并拢,就完成了折叠操作,简单方便,而且该折叠桌在打开状态下,能够在两侧支撑架之间形成类似三形的稳定结构,使得打开状态下的桌子十分牢固。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