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41 打印单元和打印机 CN201520667701.0 2015-08-31 CN204936513U 2016-01-06 村田智大
本实用新型提供打印单元和打印机。打印单元具备:头单元;和压辊单元,其与头单元以能够分离的方式组合。压辊单元具有:压辊框架,其具有分别支承压辊的两端部的一对轴支承部、和悬架在一对轴支承部之间的连结部;和副框架,其将压辊框架支承成能够移动。头单元具有抵接部,该抵接部在压辊框架位于装配位置时与压辊框架的连结部抵接。在压辊框架与副框架之间配设有施压机构,该施压机构朝向抵接部(47)对压辊框架(21)施压。
142 调整喷墨平台与墨盒间距的装置及喷墨打印机 CN201220742608.8 2012-12-28 CN203046479U 2013-07-10 陈郁婷
本实用新型提供一种调整喷墨平台与墨盒间距的装置,包括基底、喷墨单元、喷墨平台以及一对调整件。喷墨单元位于基底上,且喷墨单元包括墨盒。喷墨平台位于喷墨单元及基底之间,其中喷墨平台具有平台部以及一对调整部,而调整部设置在平台部的相对两侧,且每一调整部具有阶梯导引面。调整件设置在喷墨平台旁,并对应与调整部的阶梯导引面接触,其中喷墨平台与墨盒之间的距离随调整件相对于阶梯导引面的位置而变化。
143 喷墨记录设备 CN201220505346.3 2012-09-28 CN202895930U 2013-04-24 川俣范幸
提供一种喷墨记录设备,包括:输送辊;从动辊,与输送辊相对设置,以将记录介质夹在从动辊和输送辊之间,同时从动辊基于记录介质的厚度在接离方向上移动;第一偏压构件,将从动辊偏压至输送辊;压盘;记录部分,被构造成从喷嘴喷射墨滴;和协作部分,随着从动辊在接离方向上的移动而移动,以移动压盘。该设备能在不取决于记录介质的厚度的情况下保持记录介质和记录位置之间不变的间隙。
144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20160152713 2016-11-16 KR101849947B1 2018-04-19 최동호
본발명은디지털프린팅머신에관한것으로, 본체에회전가능하게구비되어인쇄완료된출력매체를와인딩(winding)하는와인딩롤러, 와인딩롤러를회전시키는구동모터, 및와인딩롤러에감기는출력매체의양에따라와인딩롤러의회전속도를동일하게유지하도록구동모터의가동력을조절하는부하가변신호발생부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본발명은종래기술과달리와인딩롤러에감기는출력매체에외접되는롤봉의위치를감지하여출력매체의감김량을검출후 와인딩롤러를회전시키는구동모터의부하값을설정함으로써출력매체의감김량에상관없이와인딩롤러의설정회전속도를유지시킴에따라출력매체의감김불량을방지할수 있다.
145 프린터의 헤드용 텐션장치 KR1020160095766 2016-07-27 KR101825175B1 2018-02-02 배관원
본발명은프린터의헤드용텐션장치이다. 본발명에서는헤드(20)가고정프레임(10)에탄성링크(30)에의해전후진가능하게설치된다. 상기탄성링크(30)는제1아암(31)과제2아암(32)이상대회전가능하게연결되고, 상기제2아암(32)이상기고정프레임(10)에회전중심축(36)을중심으로회전되게설치된다. 상기제2아암(32)이일방향으로회전하기위해서는스프링(46)의탄성력을극복하고타방향으로회전할때믄스프링(46)의복원력을사용한다. 상기탄성링크(30)의동작에상기스프링(46)의탄성력을제공하는탄성제공유니트(40)의스프링지지바아(42)에는롤러(44)가설치되는데, 상기롤러(44)는상기고정프레임(10)의안내면(17)을따라움직이게된다. 상기안내면(17)에서상기헤드(20)에서가장먼 위치에걸이홈(18)이형성되어상기탄성링크(30)가직선으로된 상태에서일정이상의힘이가해져야제1아암(31)과제2아암(32) 사이의상대회전이발생하도록한다. 이와같은본 발명에의하면제품(52)이컨베이어(50)를따라이동하는궤적이정해진궤적을벗어날경우헤드(20)가충격을받는것이방지되고제품(52)의표면을따라헤드(10)가정확히이동하면서정보를표시할수 있게된다.
146 탄성체 롤러 KR1020177001107 2015-08-25 KR101739468B1 2017-05-24 닛타하루히코
마모목시용홈(10)을형성하는것, 마모목시용홈(10)을복수개의단위홈으로부터형성하는것에착목하여, 내층측 탄성재(4), 내층측 탄성재(4)의외주에설치하여밴드형부재에접촉하는피복층(5)을가지고, 피복층(5)의하층측에위치하여, 내층측 탄성재(4)의표면에원주방향의마모목시용홈(10)을형성하고, 마모목시용홈(10)을순서대로연속하는복수개의단위홈(11), (12), (13)으로부터형성하고, 이들단위홈 중적어도둘에대하여각각의깊이를서로상이하게하고, 마모목시용홈(10)에는내층측 탄성재(4) 및피복층(5)의재료의색과는상이한색이며피복층(5)의재료와동일한재료를충전하고있다.
147 탄성체 롤러 KR1020177001107 2015-08-25 KR1020170008892A 2017-01-24 닛타하루히코
마모목시용홈(10)을형성하는것, 마모목시용홈(10)을복수개의단위홈으로부터형성하는것에착목하여, 내층측 탄성재(4), 내층측 탄성재(4)의외주에설치하여밴드형부재에접촉하는피복층(5)을가지고, 피복층(5)의하층측에위치하여, 내층측 탄성재(4)의표면에원주방향의마모목시용홈(10)을형성하고, 마모목시용홈(10)을순서대로연속하는복수개의단위홈(11), (12), (13)으로부터형성하고, 이들단위홈 중적어도둘에대하여각각의깊이를서로상이하게하고, 마모목시용홈(10)에는내층측 탄성재(4) 및피복층(5)의재료의색과는상이한색이며피복층(5)의재료와동일한재료를충전하고있다.
148 인쇄용지의 피딩방식 변경이 가능한 프린터 KR1020150011915 2015-01-26 KR1020160091608A 2016-08-03 김준수; 손태혁
본발명은인쇄용지를수납하기위한수납부가형성된본체케이싱; 일단에형성되는회동부에의해상기본체케이싱의후방상단에회동개폐가능하게결합되고, 타단에제1 수용부가형성되는상면커버; 상기본체케이싱의전면에결합되고, 상단에제2 수용부가형성되는전면커버; 상기전면커버에인접하도록상기본체케이싱에설치되는프린터헤드유닛; 상기프린터헤드유닛과대향되도록상기상면커버의하부에설치되는플래튼롤러유닛; 및상기제1 수용부또는상기제2 수용부에탈부착가능하도록설치되어상기인쇄용지의피딩방식을변경하는가이드블록;을포함하는인쇄용지의피딩방식변경이가능한프린터에관한것이다.
149 매체 및 리본의 로딩 및 언로딩 기능이 향상된 매체 처리 장치 KR1020147014096 2012-11-07 KR1020140103258A 2014-08-26 갓슈위스키,로버트피.
본 발명의 매체 처리 장치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고 상기 축을 따라 프린트 헤드에 작동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가압 요소를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압력 조정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헤드에 인가되는 상기 작동력은 용기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헤드 압력 조정 조립체는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나사형 인서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형 인서트는 상기 용기에 의해 형성된 상반되게 구성된 암나사산과 맞물려서 상기 용기의 회전에 따라 대체로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나사형 인서트를 병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수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어 상기 가압 요소에 부착되는 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형 인서트와 상기 컵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용기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압축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압축 해제된다.
150 기록 장치 KR1020130104195 2013-08-30 KR1020140030069A 2014-03-11 나카무라토모노리
Provided is a recording apparatus, which requires no correc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the detection threshold even though the thickness of a recording medium is different in a medium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that the recording medium becomes unfastened by detection light radiated to follow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apparatus comprises an apparatus main body (4) which has a medium transfer device (12) moving a recording medium (W) along a transfer path (3); a printing unit (5) which has an inkjet head (15) conducting printing on the recording medium (W)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disjunctive direction relative to the transfer path (3)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cording medium (W); and a medium detection unit (140) which detects that the recording medium (W) becomes unfastened from the transfer path (3) by detection light radiated to follow the surface of the moving recording medium. The medium detection unit (140) is attached to the printing unit (5). [Reference numerals] (7) Control unit
151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rray print head KR20080090358 2008-09-12 KR20100031322A 2010-03-22 KIM YOUNG CHOON; PARK HEON SOO; PARK CHANG SHIN; YOUN KARP SIK; JUNG MYUNG SONG
PURPOSE: An inkjet image forming device with an array print head is provided to stably transfer print media in a printing area by forming the distance between nip parts with less than 3 inches. CONSTITUTION: An inkjet image forming device with an array print head comprises an array print head(30), a first rolling unit(110), and a second rolling unit(120). The array print head discharges ink to a printing area, and comprises a nozzle unit(31). The first rolling unit has a nip part(110n) for catching print media, and transfers the print media to the printing area. The second rolling unit has a nip part(120n) for catching the print media, and arranged in a transferring direction of the print media. The distance between the nip parts is less than 3 inches.
152 프린터 KR1020057025033 2004-06-15 KR100896023B1 2009-05-11 야노타쓰야; 쿠게에이시치; 이케다야스유키
인자헤드에 대하여 상하 이동하고, 매체를 아래쪽에서 가이드 부재에 미는 플래튼을 갖는 프린터에 있어서, 플래튼은, 스프링 부재를 통해 지지 부재에 장착되고, 스프링 부재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며, 매체의 두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스프링력 보강 기구에 의해 더욱 위쪽으로 가압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플래튼이 매체를 미는 힘을 매체의 두께에 의해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인자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인자헤드, 플래튼, 스프링 부재, 지지 부재, 가이드 부재
153 잉크젯 프린터 KR1020060091145 2006-09-20 KR100846793B1 2008-07-16 손동기; 김민수; 송미정
잉크젯 프린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잉크젯 프린터는 용지에 복수회의 인쇄 작업을 수행하여 하나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정 설치되어 이송하는 용지에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프린트헤드; 및 이 프린트헤드에 의하여 인쇄된 용지를 수평으로 90도 회전시키는 용지회전부재;를 구비하여, 프린트헤드에 제1 방향으로 공급되어 인쇄된 용지를 용지회전부재에 의하여 수평으로 90도 회전시킨 다음, 회전된 용지를 프린트헤드에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공급하여 반복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4 액적 토출 장치 및 식별 코드 KR1020070039342 2007-04-23 KR1020070104852A 2007-10-29 미우라히로츠나
A droplet discharge apparatus and an identification code are provided to increase a dry time of a droplet without damaging productivity of a mark by forming a beam spot in an area of a surface facing a discharge head and increasing a width of the beam spot in a tangent line of the surface. A droplet discharge head(31) includes a nozzle plate(34) facing the substrate, and discharges a droplet from a nozzle of the nozzle plate. A moving device moves at least one of the substrate and the droplet discharge head toward the other side in one direction. A laser light source emits a laser beam for drying the droplet applied to the substrate. An optical member is arranged and installed at the droplet discharge head, and guides a laser beam from the laser light source to an area of the substrate facing the nozzle plate such that an emission direction of the laser beam with respect to the droplet becomes almost parallel to the on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a normal of the substrate. A first displacement device performs displacement on at least one of the optical member and the substrate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an optical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and the substrate becomes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nozzle plate and the substrate.
155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20050116893 2005-12-02 KR1020070057435A 2007-06-07 하동우
A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to perform preliminary discharge after capping a nozzle to preven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rom being contaminated. In a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 paper(100) picked up by a pickup roller(40) from a paper supply cassette(50) is transferred to a sub-scan directions by a transfer unit(20). An inkjet head(10) is provided on the paper. The inkjet head includes a nozzle unit(11) having a length in a main scan direction(M)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per and injects ink to the paper in a fixed position to print an image onto the paper. A discharge unit(30) discharges the printed paper.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capping unit(90) and caps the nozzle unit using the capping unit to separate the nozzle unit from an external apparatus to perform preliminary discharge. The capping unit is coupled with a cap arm(520). The cap arm is rotatably provided in a guide member(70) that guides the paper under the nozzle. Two connection arms(561,562) connect a gear(402) rotating by a cap motor and the cap arm to each other.
156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 KR1020040036044 2004-05-20 KR100600860B1 2006-07-14 문형대
본 발명은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昇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도포체와 스프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는, 구동 부재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왕복 이동을 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왕복 이동 구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가이드 장공을 통하여 한 쌍의 슬라이더와 각각 결합되도록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그 상단은 소정의 평판 테이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링크 부재;를 구비하고, 크로스 링크 부재는, 대략 가운데 부분에서 서로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단위 링크를 구비하고, 한 쌍의 단위 링크 중 어느 하나의 하단은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나머지 어느 하나의 하단은 프레임에 힌지 결합하며, 한 쌍의 단위 링크 중 어느 하나의 상단은 평판 테이블에 힌지 결합하며 나머지 어느 하나의 상단은 평판 테이블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슬라이더의 왕복 이동에 의하여 상기 평판 테이블을 승강시킨다. 액상형 물질 도포기, 승강 장치
157 프린터 KR1020060002752 2006-01-10 KR1020060019615A 2006-03-03 나가타아쓰시
돈이 투입될 경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사진 인쇄 시스템에서, 돈이 투입되는 즉시 프린터는 용지 공급을 개시한다. 사용자가 배경 프레임을 선택하고 촬영을 실행하는 동안, 인쇄를 위한 준비는 완료된다. 그러므로, 인쇄는 인쇄 명령에 응답하여 즉각적으로 개시되고, 그에 따라 인쇄되기까지의 시간은 단축된다. 스티커사진기, 전자사진인쇄시스템, 프린터, 사진기, 카메라
158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 KR1020040036045 2004-05-20 KR1020050111027A 2005-11-24 문형대
본 발명은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昇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도포체와 스프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는, 수직으로 소정 개수가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구동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회전축; 및 피도포체가 설치되는 이송 테이블을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내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형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승강 부재;를 구비한다.
159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 KR1020040036044 2004-05-20 KR1020050111026A 2005-11-24 문형대
본 발명은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昇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도포체와 스프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액상형 물질 도포기의 승강 장치는, 구동 부재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왕복 이동을 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왕복 이동 구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가이드 장공을 통하여 한 쌍의 슬라이더와 각각 결합되도록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그 상단은 소정의 평판 테이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링크 부재;를 구비하고, 크로스 링크 부재는, 대략 가운데 부분에서 서로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단위 링크를 구비하고, 한 쌍의 단위 링크 중 어느 하나의 하단은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나머지 어느 하나의 하단은 프레임에 힌지 결합하며, 한 쌍의 단위 링크 중 어느 하나의 상단은 평판 테이블에 힌지 결합하며 나머지 어느 하나의 상단은 평판 테이블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슬라이더의 왕복 이동에 의하여 상기 평판 테이블을 승강시킨다.
160 프린터 KR1020030003351 2003-01-17 KR100452677B1 2004-10-14 네바시미츠히코
A printer unit (10) comprises a first positioning mechanism (22) and a second positioning mechanism (23) for positioning a platen (16) with respect to a print head (15) when a cover frame (21) is closed. The first positioning mechanism is constituted to restric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platen to a rotation around a first positioning fulcrum (24), such as a lock pin. The second positioning mechanism is constituted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platen around a first positioning fulcrum by abutment on a second positioning fulcrum (25), such as a lock lever spindle. <IMAGE>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