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 专利名 | 申请号 | 申请日 | 公开(公告)号 | 公开(公告)日 | 发明人 |
---|---|---|---|---|---|---|
101 | 파쇄 장치 | KR1020140158344 | 2014-11-13 | KR1020160057263A | 2016-05-23 | 린드너, 마누엘 |
본발명은회전식파쇄의원칙에따라블레이드의작용에의해파쇄하고자하는재료, 특히목재, 플라스틱, 타이어및 텍스타일재료를위한, 회전자(1) 및고정블레이드(2)가배치된하우징을갖는파쇄장치로서, 파쇄하고자재료에대한낫 형상의램(6)이곡선압축벽(5)에서배치되고, 상기램은상기회전자(1) 및/또는상기고정블레이드(2)를향해상기재료를밀거나압축하며, 압축벽의벽 표면은그의상단부에서 4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가장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0°의각도로이어지는것인파쇄장치에관한것이다. | ||||||
102 | Recycling apparatus for waste prefabricated panel | KR20150024403 | 2015-02-17 | KR101542445B1 | 2015-08-18 | KIM CHANG OUK |
본 발명은 폐 조립식 판넬의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상기 폐 조립식 판넬이 안착되는 작업테이블 및 상기 작업테이블 외부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작업테이블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폐 조립식 판넬의 상하부 외장재를 상기 단열재의 외측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한 쌍의 분리수단 및 각각의 분리수단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단열재의 외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상하부 외장재를 각각 후방으로 이송하는 가이드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폐 조립식 판넬의 상하부 외장재와 단열재를 상호 분리한 후, 단열재를 보드 형태의 완제품으로 가공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종래의 파쇄된 단열재 조각을 이용하여 보드 형태의 완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공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작업 공수 및 가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폐 조립식 판넬의 상하부 외장재와 단열재를 상호 분리하여 재활용 함으로써, 폐 조립식 판넬의 폐처리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폐 처리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
103 | 목분 제조장치 | KR2020120000764 | 2012-02-01 | KR2020130004808U | 2013-08-09 | 홍진호 |
본 고안은 한쌍의 분쇄날을 이용하여 유입된 목재 등을 분쇄시켜 톱밥 등을 제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트지 등이 부착된 목재가 이 한쌍의 분쇄날을 통과하는 동안 목재와 함께 시트지도 함께 분쇄시킬 수 있게 한 목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목재를 눌러주어 최대한 목재가 분쇄날과 맞닿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목재가 분쇄되지 않게 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목분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목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조된 목분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몸체 내부에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목분 배출에 문제가 있거나 일정량 이상의 목분이 몸체 내부에 쌓이게 되면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쌓인 목분에 의해 기기가 파손되거나 목분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목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
||||||
104 | 분쇄 및 살균을 위한 복합 장치 | KR1020100032506 | 2010-04-09 | KR1020110113240A | 2011-10-17 | 노한래 |
본 발명은 분쇄 및 살균을 위한 복합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건조 재료의 분쇄와 가공되어 포장지에 수용된 포장 식품의 살균이 가능한 분쇄 및 살균을 위한 복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합 장치는 상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수용 공간과 격리된 설치 공간이 형성된 몸체(101)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살균 수단(H); 수용 공간에 설치되면서 살균 수단(H)에 의하여 살균되도록 살균 대상물을 수용하는 살균 박스(33); 수용 공간의 개폐를 위한 덮개(C); 및 설치 공간에 구동 장치가 수용되면서 몸체(101)의 한쪽 측면에 고정된 분쇄기(G)를 포함한다.
|
||||||
105 | 음식물 처리기 | KR1020090055472 | 2009-06-22 | KR1020100137178A | 2010-12-30 | 장동희; 박찬정; 박명진; 이창영 |
PURPOSE: A food-waste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to enable a food-waste processing operation to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 drying furnace by controlling excessive food supply to the drying furnace. CONSTITUTION: A food-waste processing device comprises a sink bowl(110), a drying furnace, a transfer unit, a connecting unit and a deodorization unit. The sink bowl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a sink. The drying furnace is arranged on the lower part of the sink bowl and stirs, crushes and dries the received food waste. The transfer unit is connected to the entrance of the drying furnace and transfers the food-waste through the sink bowl. The connecting unit is arranged between the sink bowl and the transfer unit and moves the received food-waste. The deodorization unit removes bad smell due to food-waste from the drying furnace. | ||||||
106 | 일회용 음료 페트병 압착수거장치 | KR1020070134919 | 2007-12-21 | KR100837118B1 | 2008-06-11 | 이동철 |
An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collecting disposable beverage PET bottles is provided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PET bottles and bind the volume-reduced PET bottles into a predetermined size such that the bound PET bottles are sent to a recycling plant by passing the PET bottles through a compressing roller to perforate the PET bottles and removing the vacuum state of the PET bottles. An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collecting disposable beverage PET bottles comprises: a body in which a compression space for compressing PET bottles is formed; a compression roller installed under a PET bottle injection hopper(1), the compression roller including circular blades and gap adjusting rollers inserted onto rotary shafts continuously and alternately in a state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jected from the circular blades, and an operating motor connected to one of the rotary shafts; a safety locking unit including a door(30) formed on one side of the safety locking unit, a cylinder which is connected from the front of the body to the other side of the safety locking unit in a state the door is closed, and which is operated to close the door safely, and an operating element(37) which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and which operates an operating shaft as a central shaft, the operating shaft being coupled to a supporting element(38) linked to a front end of the body; a storage space(12) for collecting compressed PET bottles onto a central part of the body; an operating part(40) including a front cutting blade(45) fixed to a rear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space, and a cutting blade(41) which is attached to an upper front end of an upper end separating plate(43), integrally formed with a compression plate(42), and integrally operated with a main cylinder shaft(51) of an operating main cylinder(50); an operating sensor for sensing the PET bottles when it is impossible to further inject the PET bottles from the hopper to the storage space; and a power supply part, a main motor(70), and a hydraulic tank integrally form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 ||||||
107 | 피시비함유 폐변압기 처리장치 및 방법 | KR1020060117421 | 2006-11-27 | KR100775984B1 | 2007-11-15 | 류수헌 |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eating a waste-transformer containing PCB(Poly Chlorinated Biphenyl) are provided to transfer, disassemble and keep automatically the waste-transformer. A stand unit(100) holds a waste-transformer for a predetermined time. A process unit(200) is connected to the stand unit, wherein the process unit disassembles the waste-transformer into an outer box and inner components and pumps insulation oil remaining within the outer box. A dissolving unit(300) completely removes the remaining insulation oil from the box and the inner components using a solvent. A safekeeping unit(400) keeps the box and the inner components where the insulation oil is completely removed. A transferring unit(500) transfers the waste-transformer, the outer box, and the inner components. An exhaust and suction unit(600) is connected to the stand unit, the process unit, the dissolving unit, the safekeeping unit, and the transferring unit. | ||||||
108 |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KR1020050066668 | 2005-07-22 | KR1020070011938A | 2007-01-25 | 김형중; 최장현 |
A garbage disposal equipment with a harmful gas eliminating function which can reduce volume of the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equipment by allowing the entire garbage disposal process by a drum and a transfer screw, and can maintain the pleasant environment even during garbage disposal by heating and eliminating harmful gases generated in the garbage disposal process more efficiently is provided. The garbage disposal equipment(50) with a harmful gas eliminating function comprises: a drum(10) comprising an inlet(11), projection blades(15) and an outlet(13), wherein the inlet and the projection blades are oppositely directed to each other based on a length direction of the drum; a transfer screw(20) which is axially installed within the drum such that the transfer screw is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to allow the projection blades to crush garbage and discharge crushed garbage through the outlet; drive unit for reversely rotating the transfer screw forward or backward; a heater(25)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the drum to dry garbage within the drum; an exhaust pipe(30)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um to exhaust harmful gas from the inside of the drum; a harmful gas eliminating device(35) installed on the exhaust pipe to eliminate harmful gas; and a transfer fan(40) installed on the exhaust pipe to forcibly transfer harmful gas in the drum toward the harmful gas eliminating device. | ||||||
109 | 재활용 캔의 압축 성형방법 | KR1020000043653 | 2000-07-28 | KR1020020009957A | 2002-02-02 | 배용생 |
PURPOSE: A compression molding method of a reusable can is provided to reduce the cost of labor in a separating step of the can for the recycle of the can,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eparation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can. CONSTITUTION: The compression molding method of a reusable can comprises the steps of: separating collected various cans into aluminum cans and metallic cans with a first magnetic selector(12); separating the metallic cans into gas storage cans and other metallic cans with a rotating selector(14); transferring the metallic cans except the gas storage cans to a beverage can storage hopper(20) through a linear selector(22) and a linear conveyor(24) while separating iron parts contained in the metallic cans including nails, wires, and so on; pulverizing the aluminum cans and the metallic cans with a cutter type pulverizer(26); transferring the pulverized aluminum chips and metal chips into an aluminum chip storage hopper(28) and a metal chip storage hopper(34) after separating the aluminum chips and the metal chips with a second magnetic selector; and compressing the chips to mold them into an aluminum bar and a metal bar. | ||||||
110 | 마늘 절단기 | KR2019960028555 | 1996-09-09 | KR2019980015333U | 1998-06-25 | 배춘호 |
본고안은마늘절단기에관한것으로, 마늘절단실에무작위로다수의마늘을수납시킨다음집속절단도를작동시키면일정한두께로절단되고절단도를들어올리면절단된마늘편이집속절단도등에들려뚜껑을겸한마늘편수집실에수집되도록구성한것이다. | ||||||
111 |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 KR1020170050689 | 2017-04-19 | KR1020180117500A | 2018-10-29 | |
본발명은문서관리장치를구비하는문서파쇄장치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은케이스(120) 상부에형성되는급지대(121)와; 상기케이스(120) 내에서상기급지대(121) 하부에배치되어투입된문서를세절하는파쇄부(12)와; 상기파쇄부(12)에서절단된폐문서조각을수납하는수거함(125)을구비하는문서세단기(10)에있어서, 적어도하나의상기문서세단기(10)가문서를관리하기위한단말에위치하고, 상기문서세단기(10)에네트워킹되어문서를관리하는서버(20)를포함하며, 상기서버(20)는문서세단기(10)로부터파쇄요청문서의문서정보와이미지정보를저장하도록되어폐기문서를안전하게관리할수 있게된다. | ||||||
112 | 갈탄 건조 시스템 및 갈탄 건조 방법 | KR1020170011007 | 2017-01-24 | KR101761319B1 | 2017-07-25 | 이주선 |
본발명에따른갈탄건조시스템은, 고수분을함유하는저등급갈탄을분쇄하는분쇄기와, 고온의스팀으로분쇄된갈탄을건조시켜배출하는건조기와, 상기건조기에서갈탄건조시증발되어배출되는포화증기를물과의열교환으로응축시키고, 포화증기가응축된수용액으로갈탄건조시발생된탄진을함께집진시켜배출시키는응축집진증발기, 및상기응축집진증발기에서증발된스팀을압축하여상기건조기로공급하는증발스팀재압축기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 ||||||
113 |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 KR1020160086984 | 2016-07-08 | KR101751489B1 | 2017-06-27 | 정원식; 정승현; 문수영; 김현수 |
본발명은음식물쓰레기다중처리장치에관한것으로, 음식물쓰레기를분쇄하기위한분쇄유닛, 분쇄된음식물쓰레기와물을중력식침전방식을통해침전물과상등액으로분리하여배출하기위한중력식침전분리유닛, 상기침전물을압착및 탈수하여고형물로배출하기위한제1 탈수유닛, 상기제1 탈수유닛에서배출되는탈리액을원심력을이용하여탈수하여고형물로배출하기위한제2 탈수유닛, 및상기제1 및제2 탈수유닛에서배출되는고형물을발효및 소멸시켜최종적으로배출하기위한발효/소멸유닛을포함하는음식물쓰레기다중처리장치가제공되며, 고형물에대한발효및 소멸동작을통해고형물의양을획기적으로줄여주는것이가능하다. | ||||||
114 | 동일축상에서 정회전, 역회전이 동시에 실행되는 분쇄날과 UV모듈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KR2020160004558 | 2016-08-05 | KR200482103Y1 | 2016-12-14 | 신윤익 |
본고안은가정이나식당에서발생하는음식물쓰레기를처리하는장치에관한것으로서, 1개의구동모터를사용하여다수개의임펠러를동일축상에서정방향과역방향으로동시에회전시킴으로써음식물쓰레기의분쇄효율을높여처리시간을단축시키는것과아울러분쇄건조통내부에서자외선을직접조사할수 있는 UV모듈을장착함으로써음식물쓰레기의보관, 분쇄, 건조시의악취및 세균의번식차단, 살균함을목적으로한다. 이를위하여본 고안은, 1)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분쇄하는제3 임펠러와제3 임펠러의하부에구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2차적으로미세하게분쇄하는제1고정임펠러, 제1 임펠러, 제2고정임펠러, 제2임펠러를포함하고제1임펠러와제2임펠러, 그리고제3임펠러는동일한축 상에서정방향과역방향으로동시에회전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2) 분쇄건조통을둘러싼외장케이스내부의별도공간에 UV모듈이장착되어있고필요시 UV모듈을이동시켜살균및 탈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3) 외부에구비되는외장케이스와상기외장케이스내부에탈부착가능한분쇄건조통이마련됨을특징으로한다. | ||||||
115 | 조립식 커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 KR1020150134151 | 2015-09-22 | KR101652706B1 | 2016-08-31 | 최병선 |
본발명에따른음식물처리기는음식물쓰레기가투입될수 있도록상하부가개방된음식물투입구(110); 상기음식물투입구(110)의하부에연결되는분쇄하우징(140); 상기분쇄하우징(140) 내에한쌍이나란히배열되도록배치되는분쇄모듈(120); 상기분쇄하우징(140)에결합되는이송케이스(150); 상기이송케이스(150) 내부에회전가능한상태로배치되는동시에상기분쇄모듈(120)의하부에이격배치되는이송스크류모듈(130); 및상기분쇄모듈(120)과상기이송스크류모듈(130)에동력을제공하는메인구동모터(170);를포함하고, 상기분쇄모듈(120)은, 커터축(121), 상기커터축(121) 상에결합되는복수의단위커터(122), 상기복수의단위커터(122) 사이에배치되는스페이서와셔(125)를포함하고, 상기단위커터(122)와상기스페이서와셔(125)의결합은, 상기스페이서와셔(125)에형성된와셔치형(125b)이상기단위커터(122)의내측에형성된커터치형(123)과맞물리도록결합함으로써복수의단위커터(122)는일정간격으로이격된다. | ||||||
116 | 동일축상에서 정회전, 역회전이 동시에 실행되는 분쇄날과 UV모듈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KR2020160004558 | 2016-08-05 | KR2020160002960U | 2016-08-24 | 신윤익 |
본고안은가정이나식당에서발생하는음식물쓰레기를처리하는장치에관한것으로서, 1개의구동모터를사용하여다수개의임펠러를동일축상에서정방향과역방향으로동시에회전시킴으로써음식물쓰레기의분쇄효율을높여처리시간을단축시키는것과아울러분쇄건조통내부에서자외선을직접조사할수 있는 UV모듈을장착함으로써음식물쓰레기의보관, 분쇄, 건조시의악취및 세균의번식차단, 살균함을목적으로한다. 이를위하여본 고안은, 1)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분쇄하는제3 임펠러와제3 임펠러의하부에구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2차적으로미세하게분쇄하는제1고정임펠러, 제1 임펠러, 제2고정임펠러, 제2임펠러를포함하고제1임펠러와제2임펠러, 그리고제3임펠러는동일한축 상에서정방향과역방향으로동시에회전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2) 분쇄건조통을둘러싼외장케이스내부의별도공간에 UV모듈이장착되어있고필요시 UV모듈을이동시켜살균및 탈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3) 외부에구비되는외장케이스와상기외장케이스내부에탈부착가능한분쇄건조통이마련됨을특징으로한다. | ||||||
117 | 음식물처리기 및 이에 연결되는 배수관 막힘방지 구조 | KR1020150038904 | 2015-03-20 | KR101631865B1 | 2016-06-20 | 장춘만 |
음식물처리기및 이에연결되는배수관막힘방지구조는본체내부에연결되는회전판이원추형상으로형성되어음식물의분쇄효과를높이고, 음식물처리기하부에서연결되는횡지관에피그를투입하기위한연결관및 연결관에와류를공급하기위한와류관이연결됨으로써음식물쓰레기에의해막힘현상을해결할수 있다. 이와같이구성되는음식물처리기및 이에연결되는배수관막힘방지구조에의하면, 원추형상으로형성되는회전판에의해음식물분쇄효과가상승되도록하고, 횡지관에피그를투입하거나와류를공급하여음식물쓰레기에의해횡지관이막히는현상을해소할수 있는이점이있다. | ||||||
118 | 디스포저 전원연결 장치 | KR1020140142668 | 2014-10-21 | KR1020160046573A | 2016-04-29 | 김지선 |
본발명은디스포저전원연결장치에관한것으로, 본발명의일 실시예에따른디스포저전원연결장치는, 외부전원에서전력이공급되는전력공급부; 상기전력공급부에서공급된전력을음식물이처리되는디스포저(disposer)에공급되도록상기디스포저와전기적으로연결될수 있게형성된디스포저연결부; 상기디스포저연결부의전기적연결여부를제어하는제어부; 및외부와의무선통신을통해상기디스포저연결부의전기적연결여부에대한신호를수신하는통신부를포함하고, 상기제어부는상기디스포저연결부를통해흐르는전류를감지하여상기전류의크기가일정이하이면상기디스포저연결부의전기적연결을차단한다. 본발명에의하면, 디스포저에공급되는전류를감지하여공급되는전류의크기가일정이하이면, 디스포저에공급되는전원을차단하기때문에사용하지않는디스포저에전력을공급하지않고절전할수 있는효과가있다. | ||||||
119 | 김밥 성형 장치 | KR2020060001031 | 2006-01-12 | KR200412533Y1 | 2006-03-28 | 이세창 |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김밥을 동시에 다량으로 성형할 수 있고, 다양한 모양의 성형김밥을 균일하게 절단할 수 있는 김밥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그 김밥 성형장치는 원통형 김밥이 하나 이상 배열되며,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그 베이스에 배열된 김밥을 가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기위한 하나 이상의 성형부를 구비하고, 양측에 베이스의 가이드 홈에 이동 및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랜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성형부에는 성형된 김밥을 단위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절단칼이 삽입되는 절단구가 형성되는 성형부재로 구성된다. 김밥, 성형장치, 베이스, 성형부재, 절단구 | ||||||
120 | 목재 파쇄기 | KR2020040012912 | 2004-05-10 | KR200357828Y1 | 2004-07-30 | 김희수 |
본 고안은 목재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몸체 및 파쇄기로의 동력 전달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파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파쇄물에 포함되어져 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고, 장치의 보관 및 이동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 투입구(1')를 갖는 회전몸체(1)와, 회전몸체(1)의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고정하판(5)과, 투입되어진 목재를 파쇄시키기 위해 고정하판(5)면에 설치되어져 회전축(6a)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파쇄부(6)와, 파쇄부(6)에 의해 파쇄되어 배출되어진 파쇄물을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컨베어(8)가 하부에 구성되어진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 회전몸체(1)의 일측에는 구동기어(10)로 부터 회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전달기어(9)가 설치되어지되, 전달기어(9)와 기어치합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몸체(1)의 외주를 따라 연속되는 기어부(1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파쇄부 회전축(6a)의 일단에는 구동엔진(12)의 고속 회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위에 회동력 가변을 위한 변속부(13)가 설치되어져 있고; 이송컨베어(8)의 이송경로상에 설치되어져 파쇄물에 포함되어져 있는 금속 이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한 자석부(15)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