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61 무게 조절형 덤벨 KR1020080021369 2008-03-07 KR1020090096041A 2009-09-10 이종애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is provided, which can prevent damage of dumbbell or dumbbell storage room and makes various dumbbell exercises possible.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comprises: a pipe type knob bar(12); a heavy body(11) in which two heavy bodies with the same weight are combined with both ends of the knob bar; a first fastener which is combined with the exterior of two heavy bodies; a second fastener which is detachably and mutually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er; and a removable weight plumb(20) which is made of the material that the specific gravity is high and is equipped with a small weight piece.
162 근력용 덤벨 KR1020070134441 2007-12-20 KR1020090066756A 2009-06-24 차기종
A dumbbell for muscular strength allows a user to do exercise regardless of places by simply carrying the dumbbell and enables the people to use the dumbbell conveniently by allowing all people to do exercises suitable for them while varying holding methods of the dumbbell. A disk-shaped dumbbell comprises a disk-shaped holding member(2) having a plurality of holding grooves(1) formed thereon, and a disk-shaped weight(4) connected to the holding member by connection members(3). The connection members are formed on central portions of the holding member and weight in a state that the connection members are spaced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hold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magnets(8) install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 weight has a thermometer(9) adhered to the surface thereof. An inserting hole(10)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s to insert the middle finger into the inserting hole. A middle finger-holding groove(11) is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inserting hole of the holding member side. A plurality of holding grooves are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lding member centering around the middle finger-holding groove.
163 운동용 스트랩 KR1020070085169 2007-08-23 KR1020080068516A 2008-07-23 홍승진
A strap for sports is provided to transmit the force that is given from a heavy material to the center portion of a user's back of hand to disperse such force to the entire portion of the user's back of hand. A strap for sports includes a wearing portion(30), a bonding portion(40) and a winding portion. The center portion of a long cloth having a width of 2-4cm is made in the form of a snare. The two strings of the cloth that remain after the wearing portion is formed are crossed in the shape of X, and the crossed parts are bonded and fixed to form the bonding portion. The two strings that remain after the bonding portion is formed are cut in a proper length, and the two strings are bonded partially, or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 Velcro tape(51) thereto to form one string of the winding portion.
164 운동용 그립 KR1020070006261 2007-01-19 KR1020080068443A 2008-07-23 홍승진
A grip for sports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grip a rod or a handle of a heavy material stably, and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rod or the handle to be used instead of gloves. A grip for sports includes a grip body(20), a couple of pushing preventing protrusions(30) and a locking protrusion(40). The grip body has a circular shape and has a diameter of 25-30mm. The pushing prevent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grip body, and are made of rubber or plastic. The pushing preventing protrusion is made by connecting a right body(32) and a left body(33) which have coupling portions(35) on the upper parts.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on any one of the right and left bodies.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turned over, the coupling portions are separated.
165 바벨용 레그 익스텐션 보조구 KR2020060030827 2006-12-01 KR2020080001584U 2008-06-05 박영록
본 고안은 통상적인 바벨(역기 또는 아령 포함)을 사용하여 다리의 근력을 강화하는 레그 익스텐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바벨용 레그 익스텐션 보조구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전형적인 바벨(2)에 있어서, 바벨용 봉(2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또는 각기둥으로 되는 평탄부(11)와, 상기 평탄부(11)의 일측단에 직립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측단부(12)로 되고, 상기 일체화된 평탄부(11)와 측단부(12)의 중심부에 상기 봉(21)이 삽입될 수 있는 천공(13)이 형성되는 보조구(1)가 바벨용 각 중량부(23, 23)의 외측에 삽입되어 바벨용 스토퍼(24)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통상적인 바벨을 이용하여 레그 익스텐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구현이 손쉽고도 저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품을 그대로 보조품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보관 면적을 요구하지 않아서 가정용으로 적합한 레그 익스텐션 용구를 제공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바벨, 익스텐션, 레그 익스텐션, 보조구, 보조용구, 바벨용 보조구
166 다용도 아령 KR2020060031358 2006-12-09 KR200437442Y1 2007-11-30 김명수
본 고안은 다용도 아령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일일히 횟수를 헤아리지 않아도 정확한 횟수로 아령운동을 할 수 있고, 하나의 아령으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다용도 아령을 널리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손잡이와,상기 손잡이의 양측에 동일한 무게의 중량체가 설치된 아령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령은, 상기 중량체의 외부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지압돌기가 다수 형성된 외피가 둘러 쌓여 있으며, 상기 중량체중 어느 하나의 외피에 계수장치가 일체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히 횟수를 헤아리지 않아도 정확한 횟수로 아령운동을 할 수 있고, 하나의 아령으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다용도 아령을 널리 제공한 이점이 있다. 아령
167 손,발목 파워운동밴드 KR1020070018267 2007-02-23 KR1020070032761A 2007-03-22 홍성정
맨손 운동인 태권도를 포함한 무술 등 각종 생활스포츠를 포함한 모든 운동의 운동시에 운동 시연자의 양 팔목과 양 발목부위에 본 고안 제품을 착용하여 운동시에 손과 손, 발과 발의 운동동작에 따라 제품에 부착된 발음장치에서 발생 되는 다양한 (예:"착"소리 등) 발음에 의한 운동 자의 청각적 운동 만족 효과, 또한 제품의 발광 부에서 동시에 운동 동작에 따라 발생 되는 다양한 색상의 발광 빛에 의한 시각적 운동 만족 효과로 운동의 만족도를 높여 운동 성취도를 향상하고, 본 제품의 팔목과 팔목 발목과 발목 사이에 탈부착 가능한 연결고리 부에 일정길이의 다양한 장력의 고무밴드를 부착하여 운동시에 남,녀,노,소 개개인의 신체적 운동능력에 따라 고무밴드의 장력에 의한 운동부하를 이용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첨단 운동기능� � 갖춘 용품이다. 손,발목 파워운동밴드
168 음료수병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20060025236 2006-09-20 KR200433554Y1 2006-12-11 정학기
본 고안은 음료수병을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관통공(102)이 형성되고, 관통공(102) 양단부 내주연에 암나사부(104)를 형성한 파지부재(100)와; 상기 파지부재(100)의 암나사부(104)에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202)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테(204)을 형성한 연결부재(200)와; 일측에 통공(302)이 마련되고, 타측에 내주연에 암나사를 구비한 개방단(304)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02)을 통해 관통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의 걸림테(204)에 걸리도록 끼움결합되는 결합너트(300)와; 상기 결합너트(300) 내측에 결합된 걸림테(204)측으로 안치되는 밀폐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100)와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200)에 끼움결합한 결합너트(300)가 음료수병(1)의 주입구(2) 외주면에 마련된 수나사(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동기구, 음료수병, 아령, 덤밸
169 Fixing structure of barbell disk KR20060022144 2006-08-18 KR200431293Y1 2006-11-23
본 고안은 역기원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역기원반을 원통형의 역기봉에 관통시킨 다음, 역기원반을 역기봉에 고정시킬 때, 역기봉에 역기원반을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목적으로, 상기 역기봉의 외주연에 형성된 요철(凹凸)부와, 상기 요철부에 감합 고정되어 역기원반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제1감합부 및 제2감합부로 분절되되, 각 감합부의 일단은 절첩부로 상호 연결되고, 제1감합부 및 제2감합부의 각 타단은 각각 슬릿 및 상기 슬릿에 끼움 고정되는 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감합부 및/또는 제2감합부의 내주면에 상기 요철부에 결합되는 계합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원반 고정구조가 개시된다.
170 페트 아령 KR2020050013330 2005-05-10 KR200390644Y1 2005-07-25 이경수
물이나 음료수 페트병을 아령 형태로 디자인하여 내용물을 소비한 후, 폐트 병 속에 모래나 황토 등을 넣어 제 2차 상품, 아령 운동기구로 고안된 페트 아령.
171 덤벨 및 역기 중량체의 탈리 방지구 KR2020040034622 2004-12-01 KR200382189Y1 2005-04-19 이광수
금속링(1')에 나선공(5')을 뚫고 하단에 나선을 구성하는 볼트부(7')의 중단에 손잡이핀(8')을 내통되게 한 종래의 탈리 방지구에 있어서, 파수부(2)와 조임부(3)를 일체로하여 축공(8)을 구성하고 조입부(3)에는 돌출부(4)를 형성하여 나선공(5)을 뚫어서된 탈리방지구(1)를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하고, 나선공(5)에는 하단나선 볼트부(7)를 형성하여 절곡된 경사 손잡이(6)를 돌려서 조임과 해체를 용이하게한 덤벨 및 역기 중량체의 탈리 방지구.
172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용 스택 KR2020030038942 2003-12-15 KR200354426Y1 2004-06-25 이병돈
본 고안은 스택의 앞쪽 가운데에 고정장치가 삽입되게 하는 홈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이 홈의 정면 중앙 하단에 누름버튼에 의해 동작되는 고정판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게 하되, 스택의 무게 중심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고정장치의 누름버튼과 고정판의 작동거리가 최소화 되게 하여서 원터치 방식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솔레노이드에 의한 누름 방식 또는 와이어에 의한 방식에의 적용시 적은 전기 에너지로도 가능하게 하는 것과, 누름버튼에 의해 동작되는 고정판을 직육면체로 형성되게 하여 이 고정판에 의해 선택된 스택과 그 스택 위의 스택들이 동시에 상, 하로 동작될 때 고정판과 고정판삽입홈을 중심으로 스택들이 좌, 우 또는 전, 후로의 흔들림이 방지되게 하는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용 스택에 관한 것이다.
173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스택 고정판의 안전 및 풀림방지장치 KR1020020069921 2002-11-12 KR1020040041845A 2004-05-20 이병돈
PURPOSE: A safety and locking device of a stack fixing plate of a weight training instrument is provided to prevent a fixing plate inserted into an insert hole of a stack from an external force from falling out from the insert hole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which may occur by an exerciser's taking exercise in an idling condition. CONSTITUTION: The device comprises: a safety device(3000) having a push pin(2004) and a stopping pin(2005) arranged orthogonal at both sides of a fixing plate(2000) and having a rotary bar(3100) with a push plate(3101) adjacent to the push pin(2004), with a supporting bar(3106) located at the bottom of a stack(310) at the lowermost side i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bar(3100); and a locking device(4000) having upper and lower ring plates fixed to a stopping por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topping pin(2005) by upper and lower rings and arranged on a front plate(1100) of a fixing device(1000) adjacent to the stopping pin(2005).
174 운동기구용 중량추 체결장치 KR2020030032626 2003-10-17 KR200340342Y1 2004-02-11 장보영
본 고안은 신체단력용 근력강화운동기구에 있어서 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중량추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견인봉에 끼워진 중량추가 요동 없이 견고한 체결과 체결핀이 안정적으로 무거운 중량추를 지지하여 떨림, 충격 등에 의한 이탈 방지로 견고한 체결을 이루고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운동기구용 중량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인봉을 사각체로 구성하여 양측면으로 견인홈을 길게 형성하고 이에 체결되는 "∪"자형 홈을 형성한 체결핀과 이 체결핀에 금속재의 중량추와 자력으로 부착가능하도록 자석을 구성시켜 중량추가 충격 및 상ㆍ하 이송의 요동에서도 체결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상기 관형의 견인봉은 그 내부로 구성된 가이드봉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성하여 안전하고 정밀한 승하강을 이룰 수 � �도록 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체 상ㆍ하측으로 고정된 가이드봉과 이 가이드봉을 관통하여 견인로우프에 의해 승하강되는 소정크기의 견인봉을 구성하되, 상기 견인봉의 양측면에 길다란 체결홈을 소정간격으로 형성하는 견인봉; 그리고 상기 견인봉에 체결되는 복수의 중량추와 이 중량추의 중앙에 견인봉이 끼워지는 가이드공과 이 가이드공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직사각체의 체결공을 형성한 중량추;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고 견인봉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핀을 구성하되 이 체결핀에는 "∪"자형의 가이드홈을 구성한 타측으로 손잡이부와 함께 자석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175 운동기구의 운동량 조절장치 KR2020030032625 2003-10-17 KR200340341Y1 2004-02-11 장보영
본 고안은 근육단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중량체를 들어올릴 때의 상하운동을 연동바에서 회전운동으로 전환함과 함께 회전축의 회전캠으로 견인밴드의 이송 량을 조절함으로써 운동량을 조절하여 보다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의 운동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기구는 연동바의 끝단부에 연결된 로우프 또는 밴드가 이동하는 거리에 의하여 중량추의 이동거리가 설정됨으로서 많은 운동량을 얻기 위하여서는 연동바의 이동거리를 증대하게 되나 시소 운동하는 연동바의 이동거리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기체에 힌지된 연동바에 의한 연동으로 이동하는 로우프 밴드의 이동량을 적절히 조절시켜 이와 연결된 중량추의 이동거리의 조절과 힘의 안배 및 힘의 강도를 조절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동효과를 증대하고 운동량의 증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운동기구 기체에 형성된 지지축에 힌지된 연동바를 승하강 이동시켜 이와 연결된 중량추를 승하강하도록 하되, 상기 중량추를 연동하는 와이어 또는 밴드를 연동바의 회전축으로 회전되는 타원형의 밴드 견인캠에 의해 밴드의 권선량을 증가감함으로 중량추의 이동거리를 조절하고 또한 운동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176 다리운동기구 KR2020030026481 2003-08-18 KR200334046Y1 2003-11-19 박영기
본 고안은 중량을 조절하는 중량조절부를 갖는 유동부재를 "C" 형상으로 상하 대향되게 한 후, 프레임본체의 전방 중앙으로 설치하되, 시트의 등받이부를 회동되도록 하여 시트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함에 따라, 하나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앉아서 운동을 할 수도 있고, 눕거나 엎드려서 운동을 할 수 있어 안정된 자세에서 다리 전체를 균형있게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다리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등받이부와 시트로 이루어진 의자본체와, 상기 의자본체를 지지하며 상ㆍ하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및 정면 중앙으로 상부면에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어진 수직프레임을 갖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플랜지에 힌지 결합되고, 양측면에 걸림부재가 결합되어지는 결합공이 일정간격으로 여러개 형성되며, 중량체가 결합되어지는 걸림고리가 돌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어지는 유동부재로 이루어진 다리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20)를 시트(110)상에 회동부재(130)로 결합하되. 의자본체(100)의 등받이부(120) 배면 상부 양측으로 힌지결합부(120a)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결합부(120a)로 시트(110)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고정다리(500)를 절첩되게 결합하되, 상기 고정다리(500)의 단부와, 이에 접면되는 등받이부(120)로는 각각 대응되는 고정수단(600)을 구비하여 상호 긴밀히 밀착되도록 하고, 등받이부(120)의 상부면으로 보조받침대(700)가 인출 및 수납되어지는 수납부(120b)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플랜지(230)에 힌지 결합되어진 유동부재(300)의 상부면을 연장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볼 때 "C"형상을 갖도록 하되, 연장된 부위에 일정간격을 갖고 여러개의 결합공(320)을 형성하며, 상기 여러개의 결합공(320)에 걸림부재(33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77 허리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KR2020030013033 2003-04-26 KR200322637Y1 2003-08-14 김진태
본 고안은 본체(10) 상의 시트쿠션(23)에 앉아 그립바아(15)를 잡은 상태로 허리를 굴신하여 중량기(40)의 중량체(42)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는 운동기구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에 있어서, 상측으로 머리쿠션(21)과 어깨쿠션(22)을 지니는 후방프레임(12)이 상기 본체(10)에 힌지축(19)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무릎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접촉되는 무릎쿠션(24)(25)을 지니는 전방프레임(14)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발받침(26)을 지니는 하부프레임(16)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위치하고, 허리쿠션(27)이 상기 본체(10) 상에서 시트쿠션(23)의 상측으로 장착된다. 조절휠(32)을 통해 하부프레임(16)의 높이를 변동하는 조절기(3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후방프레임(12)과 중량체(42)를 와이어(46)로 연결하여 상호운동을 매개하는 동력전달기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허리통증을 지닌 사용자들이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78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20020004745 2002-01-28 KR1020030064448A 2003-08-02 이병돈
PURPOSE: A weight adjusting device of a weight training apparatus is provided to know and adjust the weight of stacks with ease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stably maintaining a coupling state of the stacks and a fixing bar by a fixing device. CONSTITUTION: A guide(230) is installed to a plate connected to one side of a wire(160) so that a user of a weight training apparatus easily adjusts the weight of stacks suitable for its physical aptitude. A vertically slidable fixing device(100) vertically sliding along the guide is mount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operated by the wire(160) connected to a handle(190) so that the user stops at a desired position of the stack to make a fixing pin(150) engaged to the stacks. Thus the user overcomes the inconvenience occurred when a fixing tool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stacks.
179 활차 무게추 운동기구 KR1020030031663 2003-05-19 KR1020030051479A 2003-06-25 장상기
PURPOSE: Provided is a pulley and weight exerciser which lets current adjusted to be provided to a coil precisely and change weight of an elevating board in various ways so that it helps workers to carry the board by their own physical conditions. CONSTITUTION: The pulley and weight exerciser comprises the parts of: a base plate(10) which lets a shock absorbing pad(11) set at the center part; lateral support bars(12a,12b) which are vertically set at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a front and a rear cover(13,14) which let magnetic bodies(18a) with including coils(19a) formed at grooves of the lateral support bar; the elevating board(25) which is elevated by a wire rope(4b); and plural guide rollers(15a,15b) which are placed betwee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board and the lateral support bars and bound with the front and the rear cover by a bolt(21a) and a nut(21b) through bushings(17a,17b).
180 허리 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KR1020000010575 2000-02-29 KR1020000030476A 2000-06-05 조영국
PURPOSE: An athletic equipment for reinforcing the waist is provided to reinforce the waist, the weakest portion of modern people by repeatedly bend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CONSTITUTION: An athletic equipment for strengthening the waist is composed of: an iron frame and a pulle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human body; a large leather ring able to accept the upper part of the body; a foot holder for holding the top of the foot to prevent the body from floating; a weight plate of 10-200kg; and a chain connecting the leather ring with the weight plate. The athletic equipment helps modern people develop an abdominal muscle as well as lose abdominal fat by repeatedly bend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s holding the top of the foot to the foot holder and gripping the leather ring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