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61 CN201080001274.2 2010-03-19 CN101980680A 2011-02-23 河上日出生; 久米洋平; 中村彻; 榊原瑞穗; 上田敏秀
发明的可动床(10),用于卧床的床的床体部(51)由固定部(11)和移动部(12)构成,移动部(12)可以从固定部(11)分离或与其合体,且可以从卧床姿势状态向坐位姿势状态变形而成为轮椅,在移动部(12)与固定部(11)合体而成为可动床(10)时,搭载移动部(12)的人的基座部(13)的上面及扶手部(14)的内面成为可动床(10)的床体部(51)的床面。
62 残疾人用的多位置轮椅 CN200680054844.8 2006-04-03 CN101460133A 2009-06-17 弗朗索瓦·波尔舍龙
根据本发明轮椅的特征在于,其包括用于使整体座椅结构倾斜的倾斜装置,这种倾斜装置夹设于底盘与提升装置之间,该轮椅至少包括:与底盘(1)一体形成的基座(65),其围绕近似平的轴线摆动,并且提升装置设置在该基座上;以及机械辅助装置,其夹设于基座(65)与底盘(1)之间,并设计成能允许通过转动基座(65)来调节整体座椅结构的斜度。
63 多用途的病人椅 CN200410082186.6 2004-12-31 CN1640363A 2005-07-20 R·A·费罗尔; M·D·福克斯
一种医疗椅,它提供了可枢轴转动地固定在座位部分上的射线可透过的靠背。靠背上的可枢轴转动的推杆可在操作位置与存放位置之间枢轴转动,其中推杆在操作位置中用于操纵医疗椅,而在存放位置中不会损害靠背的可透射线性能。该椅子包括腿支撑部分、靠背以及可在椅子结构与担架结构之间枢轴转动的腿支撑部分。靠背和腿支撑部分的枢轴转动通过促动件来控制,促动件定位成不会妨碍靠背的可透射线性能。腿支撑部分上的脚踏台连接成在腿支撑部分枢轴转动时保持为大致平行于座位部分。遥控装置允许从远离医疗椅的位置点处对椅子的构造进行调节。
64 침대 가변형 휠체어 KR1020160177552 2016-12-23 KR1020180073966A 2018-07-03 김종형; 김태섭; 김상아; 이주환; 장동휘
침대가변형휠체어는, 다리받침부, 시트부및 등받이부를포함하고, 다리받침부및 등받이부는시트부에회동가능하게연결되어침대형상으로가변되는사용자지지부, 사용자지지부의하부에위치하면서사용자지지부를승강시키는승강장치로서, 일정간격이격되어설치된한 쌍의 "X" 형상의링크부재, "X" 형상의링크부재의 4개의단부중에수직방향으로마주보는 2개의단부에설치되어 2개의단부의수평방향이동을안내하는 LM 가이드부재및 한쌍의 "X" 형상의링크부재를연결하는연결바를밀거나당겨서한 쌍의 "X" 형상의링크부재를접거나펼치는제 1 리니어엑츄에이터를포함하는것인승강장치및 사용자지지부의하부와연결되면서사용자지지부를슬라이딩시키는수평이동장치로서, 사용자지지부와연결되어사용자지지부의슬라이딩운동을안내하는 LM 가이드모듈및 사용자지지부와연결되어사용자지지부를밀거나당기는제 2 리니어엑츄에이터를포함하는것인수평이동장치를포함한다.
65 다기능 휠체어 및 그 구성 방법 KR1020140017420 2014-02-14 KR101539018B1 2015-07-23 이주원; 강성인; 남재현; 박희정; 손진수
본발명은환자, 장애인또는거동이불편한사용자가휠체어를사용시휠체어의공기실린더에의한높이조절, 등받이의기울기조절, 시트의회전폭 조절, 지지대조절또는이들의조합을포함한휠체어구성요소를조절하여환자의휠체어사용에있어서편리성을제공하고, 휠체어에앉은자세에서침대에누운자세로전환할수 있기때문에거동이불편한환자가병원에서각종검사를시행할시 휠체어에서침대로이동해야하는불편함이없어보다편리하게검사를시행할수 있으며, 또한환자를돌보는보호자, 간병인또는병원관계자들의체력소모를감소시켜줄수 있는다기능휠체어및 그구성방법에관한것이다.
66 복합 기능을 갖는 유아용품 KR1020110039944 2011-04-28 KR1020120122001A 2012-11-07 김성욱
PURPOSE: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is provided to hygienically wash and dry the buttocks of an infant. CONSTITUTION: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comprises a toilet body for an infant. The toilet body comprises a receipt box(20) which has an excrement treating space for treating the excrement of an infant, a cabinet(21) for keeping articles like a diaper, a water bottle holder(22) which is used for treating the excrement of the infant, and a combination fixing part(11) capable of combining various articles for an infant. On the upper side of the toilet body, a seat back for supporting the back of an infant can be formed.
67 휠체어 KR1020077020920 2006-02-08 KR100941414B1 2010-02-10 후루소에이코
다른 의자 등으로 바꿔 앉지 않고, 그대로 일반 엑스선 촬영장치에서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휠체어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거의 수직으로 취부된 상부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를 횡단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 본체를 구비한 등받이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된 파지부, 차륜을 가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상기 본체는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는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다.
68 간병용 의자 KR1020140058753 2014-05-16 KR1020150131687A 2015-11-25 이철재
간병용의자가제시된다. 본발명의일 실시예에따른간병용의자는시트부, 상기시트부후방부에설치되는등받이부, 상기시트부의전방하부에설치되며하부에바퀴가설치된앞다리부및 상기시트부의후방하부에설치되며, 하부에바퀴가설치되고, 상기시트부에대하여후방측으로회전가능한뒷다리부를포함한다.
69 구급용 접침대 및 의자 겸용 기구 KR1020087020538 2007-01-31 KR101337933B1 2013-12-09 보우그라프,얼로이에드윈; 폴락,어빈
구급용 접침대 및 의자 겸용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 적어도 의자 위치와 완전히 눕혀진 위치 사이의 운동을 위하여 지지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구획된 환자 지지부를 포함한다. 구획된 환자 지지부는 시트 세그먼트를 가진다. 고정 기구는 지지 프레임과 시트 세그먼트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완전히 눕혀진 위치에 구급용 접침대 및 의자 겸용 기구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구급용 접침대 및 의자 겸용 기구, 고정 기구, 지지 프레임, 환자 지지부
70 구급용 접침대 및 의자 겸용 기구 KR1020087020538 2007-01-31 KR1020080094928A 2008-10-27 보우그라프,얼로이에드윈; 폴락,어빈
A combination ambulance cot and chair is disclosed. The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and a segmented patient support pivotally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for movement at least between a chair position and a fully-reclined position. The segmented patient support has a seat segment. A securing device is connected functionally to the support frame and the seat segment, and configured to releasably secure the combination ambulance cot and chair in at least the fully-reclined position.
71 앰블런스 간이침대 및 의자의 조합체 KR1020027002289 2000-08-22 KR1020020043562A 2002-06-10 보우그래프,엘로이,에드윈; 베인스,로널드,더에인; 밴딘오이진
환자를앰블런스의후방부안으로탑승시키기위하여사용되는눕혀질수 있는앰블런스간이침대가제공된다. 상기간이침대는레그세그먼트, 시트세그먼트및 차륜형백 세그먼트로구성되는관절식베드프레임을지탱하는차륜형의접혀질수 있는하부구조체를포함한다. 상기관절식베드프레임은경사져서완전히눕혀질수 있는자세와. 의자자세및 그사이에있는복수의자세들사이에서이동할수 있다. 로킹가능한바이어스장치는베드프레임을의자자세에서완전히눕혀진자세로추진함으로써전환작업을보조한다. 백세그먼트는간이침대가경사져서완전히눕혀진자세로있을때, 로딩휠이눕혀진간이침대를앰블런스의후방부, 특히높이이송덱을가지는앰블런스의후방부안으로탑승시키는작업을촉진하기에충분한높이에있도록, 측부연장부의단부에서한쌍의로딩휠을추가로포함한다.
72 들것 KR1020000060094 2000-10-12 KR1020010050998A 2001-06-25 이토쓰네타로
PURPOSE: A stretcher is provided to hold the head of a patient in an appropriate posture according to the physique and symptom of the patient. CONSTITUTION: A headrest is formed on the part of a frame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tient, the frame forming a stretcher body which is movable with the patient resting thereon. The headrest is supported in such a way as to be adjustable in inclination by means of a first bracket secur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frame while pointing to the headrest, a second bracket secured to the back of the headrest while at least partly overlying the first bracket, and a connecting means for permitting or preventing relative rotation between both brackets. A through hole in the second bracket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means passes is an oblong hole elonga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and the headrest can move toward and away from the frame within the range of the stroke of the oblong hole. The second bracket is desirably provided with a regulating pin when the headrest is lowered,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second bracket and the first bracket.
73 다목적, 다기능 및 재조직 가능한 안락의자 침대 KR20187011630 2016-09-17 KR20180059516A 2018-06-04
본발명의안락의자침대는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등받침및 다리받침을구비한다. 상기제1 프레임은전방및 후방단부를구비한다. 상기제2 프레임은제1 프레임에서안밖으로망원경식으로접철될수 있게고정된다. 상기다리받침은상기제1 프레임의전방단부에부착되어있다. 상기등받침은상기제1 프레임의후방단부에부착되어있다. 상기등받침과다리받침이독립적으로움직일수 있어서원하는위치로편리하게변환할수 있다. 안락의자침대는안정감을제공하고, 화장실변기나가구와같은고정물위로이동될수 있고, 침대로도변환될수 있다.
74 침대형 휠체어용 탈부착 들것 KR1020160079945 2016-06-27 KR101743876B1 2017-06-07 강태원; 정종훈; 강순동; 서동현; 유태현; 황인규
본발명은침대형휠체어용탈부착들것에관한것으로서,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및 제3 프레임이연속해서결합되고, 제2 프레임의양측종단에서제1 프레임및 제3 프레임이회동하도록결합되는중공형상의한 쌍의프레임; 제3 프레임의종단을연결하여한 쌍의프레임을이격배치시키는간격유지프레임; 및한 쌍의제1 프레임을서로연결하는제1 천막, 제2 프레임을서로연결하는제2 천막및 제3 프레임을서로연결하는등받이천막을포함하며, 제1 프레임은다리프레임에이웃하여배치되고, 제2 프레임은좌석프레임에이웃하여배치되며, 제3 프레임은등받이프레임에이웃하여배치된다. 본발명에의하면, 평상시에는침대형휠체어로사용하다가필요에따라침대형휠체어에서들것을분리시켜사용할수 있다. 특히, 화재와같은긴급상황시 침대형휠체어에서들것을분리시켜사용함으로써시간을단축하여환자를신속하게이동시킬수 있으며, 탄소강재질의경량으로형성되어힘이약한보호자라도몸에무리를덜 받으면서환자를이동할수 있다.
75 주행기구 및 그 주행기구가 장착되는 전기차와 장난감 KR1020167032677 2016-08-31 KR1020170048247A 2017-05-08 첸,라이핑오브리; 이,소이룬
본발명은주행기구를공개하는것으로, 이는프레임, 상기프레임에설치되는구동장치, 상기프레임에설치되는컨트롤러, 각각상기프레임의양단에장착되고, 트랙과상기트랙내에장착되는두개의직경이다른동기화휠을각각포함하며, 구동장치와컨트롤러의작용하에, 상기주행기구가계단, 험난한도로및 전지형지면에서마음대로주행하도록하는두 세트의주행어셈블리를포함한다. 본발명은상기주행기구를이용하는전기차와장난감을더 공개한다. 본발명의주행기구는기존의주행기구의결점을해결하여, 하프-휠하프트랙의결합및 증가된메카넘휠의조합구조를돌파적으로사용하여, 상기주행기구및 상기주행기구의전기차와장난감이상이한도로와상이한각도의계단에적용가능하도록하여, 매우편리하고, 안전하며신뢰성이있다.
76 구급용 환자 이송장비 KR1020160081684 2016-06-29 KR101723773B1 2017-04-18 김장석; 권구완
본발명은구급용환자이송장비에관한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구급상황발생시구급대원이환자의이송을위해편리하게가지고다닐수 있으며, 현장상태및 환자상태에따라용이하게이송할수 있도록들것또는휠체어로변경하여환자를이송할수 있는구급용환자이송장비에관한것이다.
77 휠체어 KR1020077020920 2006-02-08 KR1020070115955A 2007-12-06 후루소에이코
A wheelchair on which a person can have radiograph taken, as it is, by a general radiography system without transferring to another chair. The wheelchair comprises a seat, a backrest provided with an upper frame fix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seat and a body fixed removably to the upper frame, grips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upper frame, and wheels, wherein the upper frame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ing surface of the wheel, the body is composed of an X-ray transmitting material, and the grips are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upper frame such that they can be removed and rotated.
78 走行装置、並びに該走行装置を取り付けた電動車椅子及び玩具 JP2016568972 2016-08-31 JP6339699B2 2018-06-06 陳麗冰; 李少麟
79 走行装置、並びに該走行装置を取り付けた電動車椅子及び玩具 JP2016568972 2016-08-31 JP2017538450A 2017-12-28 陳麗冰; 李少麟
本発明は、支持フレームと、前記支持フレームに設けられる駆動手段と、前記支持フレームに設けられるコントローラーと、前記駆動手段及びコントローラーにより、前記走行装置が階段、凸凹の道路、及び全地形の地面を自在に走行するように、キャタピラーと、前記キャタピラー内に設けられる2つの直径が異なる同期ホイールとを含み、前記支持フレームの両端にそれぞれ取付けられる2つの走行手段と、を含む走行装置を提供する。本発明は、さらに、該走行装置を使用した電動車椅子及び玩具を提供する。本発明の走行装置解は従来の走行装置の欠点を解決し、ホイール-キャタピラーの組み合わせを利用し、及びユニバーサルホイールの構造を増加することにより、該走行装置及び該走行装置を使用した電動車椅子と玩具は、異なる道路及び度が異なる階段に適応することができ、非常に便利で、且つ安全で信頼できる。
80 分離可能ベッド JP2014555035 2014-09-12 JPWO2015040847A1 2017-03-02 洋平 久米; 将平 塚田; 日出生 河上
車椅子部(2)とベッド部(12)とを合体してなる分離可能ベッド(1)であって、車椅子部(2)は、第2座面部(3)と、第2座面部(3)を支持する第2ガイド部(5)と、を備え、ベッド部(12)は、第1床面部(13)と、第2座面部(3)及び第1床面部(13)を支持する第1ガイド部(15)と、第1床面部(13)を昇降動作させる昇降部(18)と、制御部(100)とを備え、制御部(100)は、分離動作を行う場合は第2下限位置まで第1ガイド部(15)を下降させる。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