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61 모듈식 플러그 커넥터용 모듈 시스템 KR1020187027997 2017-01-03 KR1020180118176A 2018-10-30
본발명은모듈식플러그커넥터분야에관한것으로서, 특히상이한유형의접점들이모듈식플러그커넥터에조합되는구성에관한것이다. 상이한유형의접점을공간절약적방식으로조합할수 있는해결책을제공하기위해, 모듈식플러그커넥터에수용되는모듈블록(10)을갖는모듈식플러그커넥터용모듈시스템이제안되며, 모듈블록(10)은제1 유형의접점(20)을수용하기위해각각제공되는복수의접점리셉터클(15)과, 모듈블록(10)의접점리셉터클(15) 내에수용되도록설계된적응구성요소(40)를갖도록설계되고, 적응구성요소(40)는제2 유형의접점(30)을수용하도록제공되며, 제2 유형의접점(30)은제1 유형의접점(20)보다작은단면을갖는다.
62 전력선 및 증발가스 배관 연결의 자동화가 가능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탱크 컨테이너 적재시스템 KR1020140167302 2014-11-27 KR1020160063702A 2016-06-07 강희진; 이경중; 박범진
본발명은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natural gas hydrate)를운송하기위한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탱크컨테이너(natural gas hydrate tank container) 적재시스템에관한것으로, 본발명에따르면, 선박을이용하여대량으로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를장거리운송하기위해증발가스(BOG)의발생량을최소화하고탱크컨테이너내부의상평형조건을유지하기위한냉동기(refrigerator)에전력선을연결하는작업과증발가스를배출하기위한배관의연결작업을일일이수작업으로연결해야하는번거로움이있었던종래의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탱크컨테이너를이용한운송방법의문제점들을해결하기위해, 각각의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탱크컨테이너를적재함과동시에전력선의연결및 배관의연결이자동으로함께이루어질수 있도록구성되는전력선및 증발가스배관연결의자동화가가능한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탱크컨테이너적재시스템이제공된다.
63 고성능 커넥터 KR1020117017375 2010-01-15 KR1020110111421A 2011-10-11 데카르민안토니
리플로우 솔더링 또는 리워크를 받는 회로 기판들에 사용하기 위해 의도된 전기 커넥터들 또는 가혹한 작동 조건에 사용되기 위한 광섬유 커넥터들과 같은, 고성능 커넥터들이 폴리에테르케톤케톤과 미네랄 나노튜브들을 함유하는 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 폴리머 조성물은 고온에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커넥터를 제공하며 얇거나 미세한 상세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의 정밀하고 고품질의 몰딩을 용이하게 한다.
64 컴팩트한 케이블 헤드를 구비한 수냉식 고전류 케이블호스의 어셈블리 KR1020080012467 2008-02-12 KR1020080076756A 2008-08-20 둥,아른트
An assembly of a water-cooling type high current cable conduit including a compact cable head is provided to reduce operation stop time of an apparatus supplied with high current by stabilizing a position of the conduit against axial load through a knurling to interrupt torsional load of the conduit. In an assembly of a water-cooling type high current cable conduit, a cable head has a first region(113) and a second region(114)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The first region has a knurling unit(21) at a connecting unit side(112). The second region has a corrugated saw tooth unit(22). The conduit attached to the cable head is fixed to the cable head by clamping band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The fastened clamping bands compress the conduit at an opposite side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cable head. The saw tooth unit interrupts relative axial movement between the cable head and the conduit. The first region of the cable head interrupts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cable head and the conduit due to torsional load. A saw tooth lateral unit(222) of the corrugated saw tooth unit goes downward in a direction of a cable side end(116) of the cable head.
65 공구의 수냉각 전류 반송 라인용 플러그 소켓 접속장치 KR1020017006671 2000-03-25 KR1020010103706A 2001-11-23 짐바띠미쉘; 브레몽미쉘; 루베르트토마스; 띠쉬마셰크리스띠앙; 뉘르뎅얀니크; 엥겔크리스띠앙
본발명은공구에유도가열하기위해수냉각식전류반송라인용, 특히양극성고주파전류도체용플러그소켓접속장치에관한것이다. 상기접속장치를이용하여, 전류공급을위한전기적전류회로뿐 아니라냉각수용순환계역시수동으로간단한조작으로빠르게폐쇄되거나, 또는예컨대정비작업동안에는중단된다. 상기플러그소켓접속장치는하나의암부재(1)와하나의수부재(1′)로이루어져있으며, 상기부재들내에는공급되는냉각수용으로체임버들(3, 3′)과이 체임버내로개방되는덕트들(4, 4′)이제공되어있으며, 상기덕트들은플러그소켓접속장치의상호결합된위치에서상호연결되어있다. 상기체임버들(3, 3′)은수관(21, 21′)과곧바로연결되어있다. 상기수관들은냉각수의공급을위해제공되어있다. 냉각수의환류는냉각수를수부재(1′)로공급하는수관(20′)과암부재(1)로부터냉각수를계속해서리드하는수관(20) 사이의직접적인접속장치를통해서이루어진다. 또한암부재(1) 내에는전기적플러그소켓접속장치의 2개의콘택소켓들(23)이고정되어있으며, 그에반해수부재(1′) 내에는콘택소켓들(23)에해당되는 2개의콘택핀들(38)이고정되어있다. 상기콘택소켓들(23) 내지콘택핀들(38)은전류공급을위한전선들(28, 28′)과연결되어있으며, 상기전선들은자신의측면에서수관(21, 21′)을통해리드되어있다.
66 连接器组件和感应耦合等离子体光谱 CN201520455093.7 2015-06-29 CN205319466U 2016-06-15 C·彼得斯
公开了连接器组件和感应耦合等离子体光谱仪。所述连接器组件构造成联接感应线圈与射频发生器,以与等离子体吹管提供用于光谱仪的感应耦合等离子体的源。连接器组件包括:与射频发生器相关联的径向夹持构件和密封元件。径向夹持构件具有构造成接收感应线圈的端部的内表面。连接器组件构造成提供感应线圈的端部与射频发生器之间的基本上是导电的并且基本上是液密的可靠连接,不会导致径向夹持构件或感应线圈永久变形。本实用新型也公开了包括该连接器组件的感应耦合等离子体光谱仪,以及用于在感应线圈和射频发生器之间建立可靠连接的方法。
67 능동 냉각 케이블용 접속 유닛 KR20170117607 2017-09-14 KR20180030395A 2018-03-22 BEIMDIECK CARSTEN; BRULAND ALEXANDER
본발명은, 유체냉각전기케이블(16)용접속유닛(2)에관한것으로, 상기접속유닛(2)은하우징(9)을포함하고, 이하우징은케이블접속구(10), 유체유입구(11) 및유체배출구(12)를갖는다.
68 의료 장치 또는 기구용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부 KR1020130030385 2013-03-21 KR101550492B1 2015-09-04 그로스스테판
특히, 의료기술에사용하기위한, 본발명에따른플러그및 소켓커넥터시스템은플러그(16) 및소켓(18)을포함하고, 플러그및 소켓각각은적어도하나의유체커넥터요소(24, 33)를포함한다. 유체커넥터요소(24, 33)에는전기접촉구조물(48, 51)이제공되고, 따라서, 공간을절약하고견고하며안전한시스템을제공할수 있다.
69 공구 홀더를 공구 수용부에 자동으로 커플링 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KR2020120007805 2012-08-31 KR2020130001712U 2013-03-12 에브너,헬무트; 샤이데거,로게르
본 고안은 공구 홀더(1) 및 공구 수용부(21)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와 관련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공구 홀더(1)가 자동으로 공구 수용부(21)에 커플링 될 수 있는 동시에 전기적인 또는 광학적인 결합부뿐만 아니라 유체 결합부도 자동으로 커플링 되는 견고한 커플링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 홀더(1)에 의해서 해결되며,
- 이 경우에는 공구 수용부(21)에 대한 공구 홀더(1)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 볼트(5)가 제공되었고, 이때 상기 가이드 볼트(5)는 바람직하게 종축(3)에 대하여 법선(normal)으로 정렬되었고, 테이퍼 섕크(2)(taper shank)로부터 돌출하며;
- 이 경우에는 제 2 개구(10)에 밀봉 소자(12)가 할당되어 있고, 상기 밀봉 소자(12)는 상기 제 2 개구(10)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 이 경우에는 상기 밀봉 소자(12)가 밀봉부(13) 및 고정 링(14)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밀봉부(13) 및 고정 링(14)은 단 하나의 부품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링(14)은 이 고정 링의 내부 및/또는 외부 재킷 표면(jacket surface)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탭(15)(holding tap)을 포함한다.
70 Hose of double structure and Terminal apparatus thereof KR20090033821 2009-04-17 KR101122372B1 2012-03-23
본 발명은 2중 구조의 호스 및 그의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외부호스(102)와 상기 외부호스(102) 내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내부호스(104)가 내장되는 단일화된 호스(100)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호스(104)는 외부호스(10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호스(102) 및 내부호스(10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격판(106)이 설치된다. 그리고 단일화된 2중 구조의 호스(100)의 최종단과 결합하는 단말장치(200)가 구비된다. 상기 단말장치(200)에는, 상기 호스(10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부터 제 1 몸체부(212) 및 제 2 몸체부(214)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21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몸체부(212)의 외주면과 결합하며, 결합시 상기 호스(100)와 단말장치(200)가 분리되지 않게 방지링(226)과 함께 기밀을 위한 오-링(222) 및 압력링(224)이 삽입되는 제 1 덮개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몸체부(214)의 입구에는 패킹부재(232)와 인출유닛(234)이 순차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인출유닛(234)에는 원판 형상의 몸체(234a)와, 몸체(234a)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일단이 상기 내부호스(104)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몸체(210)의 외부로 향하게 형성되는 샤프트(23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유닛(234)을 가압하면서 상기 제 2 몸체부(214)의 외주면 일부와 결합하는 제 2 덮개부(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34b)와 일단이 결합하고 상기 내부호스(104)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 또는 가스를 외부로 인출하는 내부호스 니플(230)과, 상기 제 2 몸체부(214)의 일부에 형성된 장착공(216)과 결합하 며 상기 외부호스(102)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 또는 가스가 외부로 인출하도록 대략 'L' 자 형상의 외부호스 니플(240)이 구비된다. 만약 상기 내부호스(104)에 제어선/전력선이 내장되면 상기 외부호스 니플은 구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화된 호스에 의해 작업시 호스 꼬임 등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성이 개선되며, 또 호스와 단말장치를 통해 서로 다른 유체 또는 가스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인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용접, 호스, 2중 구조, 단말장치, 링, 니플
71 호스 밴드 커넥터 KR1020090095402 2009-10-08 KR101113833B1 2012-03-02 알츠버거,맥심밀리안; 헤르만,크리스틴
본발명은각각밴드또는스트립에배열된선을위한다수의호스를포함하는, 호스밴드요소를연결하기위한호스밴드커넥터에관한것이다. 호스커넥터는고정장치뿐만아니라두 콜렉팅사이드를가지는플랜지캐리어를포함하며, 호스는콜렉팅사이드에플랜지가붙여있다. 본발명에따르면제1 전기선및 제2 전기선사이의플러그-유형연결부를위한적어도하나의수용요소가플랜지캐리어에형성되어있다.
72 Hose of double structure and terminal apparatus thereof KR20090033821 2009-04-17 KR20100115203A 2010-10-27 KIM HEE SOO
PURPOSE: A hose of double structure and a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easily separate different fluids or a fluid from a wire at a reduced volume in gas-arc welding and to supply/discharge a fluid or gas transferred through the hoses to outside without leakage. CONSTITUTION: A hose of double structure comprises outer and inner hoses(102,104) and one or more support diaphragms. The inner hose has a smaller diameter and a greater length than that of the outer hose and is placed inside the outer hose. A first path is formed in the inner hose and a second path is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oses. The support diaphragms ar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oses.
73 호스 밴드 커넥터 KR1020090095402 2009-10-08 KR1020100041674A 2010-04-22 알츠버거,맥심밀리안; 헤르만,크리스틴
PURPOSE: A hose band connector is provided to reduce the damage of an electric wire and replace only a hose band element in a segment if a fluid hose or an electric wire is damaged by integrating an electric wire with a hose band. CONSTITUTION: A hose band connector comprises a flange carrier and a fixing device for a first and a second collecting side. The flange carrier comprises the first and second collecting sides. A path forming a wire connec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llecting sides. The fixing device for the first and second collecting sides connects hoses(4a,4b) to hose band elements(2a,2b) through flanges. At least one receiving element for plug-type connection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electric wire is formed in the flange carrier.
74 제너레이터를 위한 가요성이고 기밀성의 전기 연결부 KR1019997006408 1997-02-05 KR100467142B1 2005-01-24 카르보넬루이스엔리크; 라미레츠로렌조; 밀스도날드레로이
전기 제너레이터와 같은 가스 냉각 전기 역학적 시스템을 위한 가요성, 기밀성 전기 커플링(32)은 제 1 결합된 냉각제 및 전기 경로(36)와 연통상태에 있고 냉각제를 위해 제 1 통로를 안에 구획형성하여 가지고 있는 제 1 커넥터 요소(38); 제 2 결합된 냉각제 및 전기 경로(34)와 연통상태에 있고 냉각제를 위해 제 2 통로를 안에 구획형성하여 가지고 있는 제 2 커넥터 요소(40); 제 1 커넥터 요소(38)에 있는 제 1 통로를 제 2 커넥터 요소(40)에 있는 제 2 통로와 연통시키는 가요성 튜브(42); 그리고 제 1 커넥터 요소(38)를 제 2 커넥터 요소(4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기 연결부(54)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라, 전기 연결부는 가요성 튜브 바깥쪽에 위치되어 내부 전기 연결부와 비교할 때 비용절감 및 다른 장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라, 가요성 튜브의 외부는 제 1 및 제 2 커넥터 요소에 밀봉되어 냉각제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75 線及び蒸発ガス配管連結の自動化が可能な天然ガスハイドレートタンクコンテナ積載システム JP2017527347 2014-12-17 JP6329323B2 2018-05-23 カン,ヒジン; イ,ギョンジュング; パク,ボムジン
76 アクティブ冷却式のケーブル用の接続ユニット JP2017176428 2017-09-14 JP2018046016A 2018-03-22 カーステン バイムディーク; アレクサンダー ブルーラント
【課題】本発明は、流体冷却式のケーブル用の接続ユニットに起源する。さらに本発明は、プラグコネクタと流体冷却式のケーブルと接続ユニットとから成るシステムに関する。
【解決手段】
本発明は、流体冷却式の電気的なケーブル(16)用の接続ユニット(2)に関し、接続ユニット(2)は、ハウジング(9)を有し、ハウジング(9)は、ケーブル接続開口(10)と流体入口開口(11)と流体出口開口(12)とを有する。
【選択図】図1
77 材料を蒸着するための製造装置及び当該装置において使用される電極 JP2011505007 2009-04-13 JP5959198B2 2016-08-02 ヒラブランド,デイヴィッド; ナップ,セオドアー
78 医療装置または機器のための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部 JP2013062375 2013-03-25 JP5718964B2 2015-05-13 ステファン グロース
79 呼吸用加湿器の接続システム JP2014532388 2012-09-27 JP2014528259A 2014-10-27 ルドルフ・ビュッヒ; リートウ・フライ; マルク・ミーデル; トーマス・グランツオットー; アクセル・ゾイコス
電気配線を有する呼吸用配管をハウジング(2)と液体容器(4)とを備える呼吸用加湿器(1)に接続するための接続システムである。この接続システムは、液体容器(4)に配置された第1の接続要素(6)と、ハウジング(2)に配置された第1の電気接触要素(24)と、呼吸用配管へと接続可能であり、呼吸用配管の電気配線へと接続することができる第2の電気接触要素(16)を有している第2の接続要素(14)とを備える。第1の接続要素(6)および第2の接続要素(14)を、呼吸用配管が液体容器(4)へ空圧的に接続されるときに第1の接触要素(24)も第2の接触要素(16)へ接続されるようなやり方で、第1の接続方向に沿って互いに接続することができる。第1の接触要素(24)を、第1の接続方向とは異なる第2の接続方向にて第2の接触要素(16)へ接続することもでき、第2の接続方向は、好ましくは第1の接続方向に実質的に垂直である。
80 Hospital operating room redesign JP2013138337 2013-07-01 JP2013212411A 2013-10-17 MANGIARDI JOHN R
PROBLEM TO BE SOLVED: To disclose an improved operating room design.SOLUTION: Interfering connection devices, such as wires, cables, and hoses, are eliminated from a working area by use of disappearing floor pods mounted between a sub-floor and a finished floor. The floor pods recess flush with the finished floor, thereby allowing floor cleaning by a robotic device that incorporates disposable, sterile cleaning cartridges. Movable carts, such as an anesthesiology cart, are adapted for docking with the pod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ds with connectors presented underneath the carts. The pods provide numerous utility connections such as gas, vacuum, and electric. A surgical table is mounted on the sub-flooring of the operating room. AU utilities are fed to the table from underneath the floor. The surgery operating room has a wall with an array of built-in compartments for carrying medical supplies that allows access to personnel both in and outside the operating room.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