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61 Switchboard and circuit breaker JP20679189 1989-08-11 JPH0374118A 1991-03-28 TAKEMATSU KOTARO; TANIMIZU TORU; YOSHIKAWA ISAO
PURPOSE:To reduce the size of a switchboard box and prevent the breakage of the box and circuit breakers by arranging a multiple-phase circuit breaking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depth of the box, and narrowing the contact gaps between power supply-side and load-side conductors and contact shoes successively in proportion to the depth from an inserting opening of the box. CONSTITUTION:The length sizes of side sections 14A-14C extending from the left side and right side of a circuit breaking section 9 respectively become larger successively in proportion to the depth from an inserting opening 1A of a box 1. Power supply side and load side contact shoes 11A-11C(12A-12C) extend upwards and downwards from the tips of respective side sections 14, and touch power supply side and load side conductors 16, 17. Each contact shoe 11A-11C(12A-12C) is made so as to have size of keeping farther away from the circuit breaking section 9 successively in proportion to the depth from the inserting opening. And, sizes H1, H2, H3 of the gaps between the power supply-side conductors 16A-16C and the load side conductors 17A-17C are made to be smaller successively, in proportion to the depth from the inserting opening.
62 JPH023230Y2 - JP4700582 1982-04-02 JPH023230Y2 1990-01-25
63 JPS5512690B1 - JP7188571 1971-09-17 JPS5512690B1 1980-04-03
64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 KR1020127026929 2011-03-26 KR101403900B1 2014-06-09 사이토요시타네; 니시키도켄지
전기 신호의 온 오프를 비접촉으로 수행할 수 있고, 조작부의 손모 부분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감도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에서는, 설치 부위에 탈부착 가능해지는 교환부의 끝면에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끝면의 상기 개구가 설치된 부분의 가상 경계면을 사이에 두고, 검출 인자가 상기 교환부 측에, 검출부가 상기 설치 부위 측에, 정상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근접 배치된다. 상기 교환부는, 가요성 통체와, 봉재와, 요동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 인자는, 상기 봉재의 베이스단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통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끝면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요동 부재의 상기 끝면측에 고정되며, 상기 봉재에 상기 봉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교환부 측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 인자가 이격된 것을 검출한다.
65 진공청소기의 출력조절부재 장착구조 KR1019960073441 1996-12-27 KR100190665B1 1999-06-01 김숙구
1990년 9월 1일자 이후 건은 출원인 미제출건
66 키이 스위치 KR1019880007189 1988-06-15 KR1019950002028B1 1995-03-08 마쓰자와이사무
내용없음.
67 자동차용다단식조명스위치 KR1019860007913 1986-09-17 KR1019940004947B1 1994-06-07 후버트스파지에터; 아담베버
내용 없음.
68 DEVICE FOR COVERING A FASTENING MEANS, AND OPERATING DEVICE FOR FASTENING TO A MODULE PCT/EP0211794 2002-10-22 WO03037684A8 2003-08-21 LUKSCH THOMAS; BLECKMANN MICHAEL
The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ng device (2) provided with at least one moving actuating element (3, 4) and with means for fastening the same to a module via releasable locking means. The operating device (2)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it consists of an unlocking element (6) that is separate from the at least one actuating element. After the operating device (2) has been attached to the first module, the unlocking element, while interacting with an actuation of the at least one actuating element (3, 4), enables the locking means of the operating device (2) to be released whereby permitting the operating device (2) to be subsequently detached from the first module.
69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KR1020160115277 2016-09-07 KR101834219B1 2018-04-16 한민국
본발명은퓨즈스위치의작동상태식별장치가개시된다. 본발명의퓨즈스위치의작동상태식별장치는, 전원스위치에의해선택적으로배터리전원이공급되는선택전기부하가연결된오프접점, 배터리전원이공급되는상시전기부하가연결된중간접점, 배터리전원이연결된온접점이형성된스위치단과, 스위치단의오프접점, 중간점점및 온접점과각각대응되는위치에오프감지접점, 중간감지접점, 온감지접점이형성된감지단및, 스위치단과감지단사이를이동하면서오프접점과중간접점및 오프감지접점과중간감지접점을각각연결시키거나중간접점과온접점및 중간감지접점과온 감지접점을각각연결시키는스위치레버를포함하는퓨즈스위치; 및퓨즈스위치의오프감지접점과온 감지접점으로부터각각중간감지접점에연결된접지상태를입력받아스위치레버의위치를식별하고, 식별상태를출력하는마이컴을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70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 KR1020127026929 2011-03-26 KR1020120136394A 2012-12-18 사이토요시타네; 니시키도켄지
전기 신호의 온 오프를 비접촉으로 수행할 수 있고, 조작부의 손모 부분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감도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에서는, 설치 부위에 탈부착 가능해지는 교환부의 끝면에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끝면의 상기 개구가 설치된 부분의 가상 경계면을 사이에 두고, 검출 인자가 상기 교환부 측에, 검출부가 상기 설치 부위 측에, 정상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근접 배치된다. 상기 교환부는, 가요성 통체와, 봉재와, 요동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 인자는, 상기 봉재의 베이스단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통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끝면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요동 부재의 상기 끝면측에 고정되며, 상기 봉재에 상기 봉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교환부 측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 인자가 이격된 것을 검출한다.
71 회로 차단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0097002212 2007-06-08 KR1020090035576A 2009-04-09 딕슨,조셉스콧; 로빈슨,크리스토퍼스콧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comprise a mounting base adapted to be snapably coupled to a wiring lug. The wiring lug can comprise a prong, which can be adapted to electrically couple a circuit breaker to the wiring lug. The mounting base can define a chamber adapted to receive the wiring lug.
72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960041966 1996-09-24 KR100206064B1 1999-07-01 래리피.허배처; 존에이치.몬타그; 제임스에프.클라크
차량(20)의 계기판(28)에 배치되는 스위치 제어 조립체(28)는 작동 상태와 비작동상태 사이에서 작동가능한 스위치 조립체(54)를 포함한다. 그 스위치 조립체(54)를 둘러싸는 하우징은 래치 조립체(78)에 의하여 계기판(28)과 연결된다. 래치 조립체(78)는 상기 하우징(52)를 계기판(28)내에 유지하는 맞물림 상태와 하우징을 계기판내에 유지하는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가능하다. 상기 스위치 조립체(54)에는 작동부재(32)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52)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작동부재(32)는 또한 상기 하우징(52)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78)를 상기 해제 상태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계기판(28)에 대하여 이동하게 상기 하우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 조립체(78)가 해제 상태에 있을때 상기 작동부재(32)를 수동으로 잡아당겨 상기 하우징(52) 및 스위치 조립체(54)를 계기판(28)으로 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73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KR20180015977 2018-02-08 KR20180028049A 2018-03-15 한민국
본발명은퓨즈스위치의작동상태식별장치가개시된다. 본발명의퓨즈스위치의작동상태식별장치는, 전원스위치에의해선택적으로배터리전원이공급되는선택전기부하가연결된오프접점, 배터리전원이공급되는상시전기부하가연결된중간접점, 배터리전원이연결된온접점이형성된스위치단과, 스위치단의오프접점, 중간접점및 온접점과각각대응되는위치에오프감지접점, 중간감지접점, 온감지접점이형성된감지단및, 스위치단과감지단사이를이동하면서오프접점과중간접점및 오프감지접점과중간감지접점을각각연결시키거나중간접점과온접점및 중간감지접점과온 감지접점을각각연결시키는스위치레버를포함하는퓨즈스위치; 및퓨즈스위치의오프감지접점과온 감지접점으로부터각각중간감지접점에연결된접지상태를입력받아스위치레버의위치를식별하여식별상태를출력하되, 오프감지접점과중간감지접점이접속되면서접지신호가입력되는경우스위치레버의위치를 OFF 상태로식별하는마이컴을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74 하우징과 교환가능한 스위칭 모듈을 가지는 스위칭 디바이스 KR1020167022842 2015-02-13 KR1020160128310A 2016-11-07 레이취알렉산더; 플롯징거사이먼; 운터라이너니콜라우스
본발명은스위칭하우징과적어도하나의교환가능한스위칭모듈을가지는디바이스, 특히온-부하탭 절환기에관한것이다. 스위칭디바이스(1), 특히온-부하탭 절환기는하우징(2); 교환가능한스위칭모듈(3, 3', 3"); 하우징(2) 내에배치된고정콘택(20); 하우징(2) 내에배치된가이드레일(25)을포함한다. 스위칭모듈(3, 3', 3")은고정콘택(20)에분리가능하게연결될수 있는가동콘택(10)을가진다. 스위칭모듈(3, 3', 3")은가이드레일(25)에이동가능하게연결되는하부분산플레이트(51)를가진다.
75 부하 제어 스위치 및 부하 제어 스위치 시스템 KR1020137013645 2011-11-16 KR1020130108402A 2013-10-02 히가시하마히로타다; 고로기다케시; 다니카가요코; 마쓰모토가즈히로; 나가타마사히로; 우에다신스케; 요시키가즈히사
부하 제어 스위치(1)는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고,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 모듈(2)과; 단자 모듈(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부하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개폐 기능 모듈(3)을 구비한다. 또한, 부하 제어 스위치(1)는 개폐 기능 모듈(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핸들(4)을 구비한다. 개폐 기능 모듈(3)은 전자 스위치 및 기계 스위치에서 선택 가능하며, 전자 스위치는, 또한 지연 기능, 타이머 기능, 인체 감지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공사를 수반하지 않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기능의 상이한 부하 제어 스위치에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76 회로 차단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0097002212 2007-06-08 KR101041679B1 2011-06-14 딕슨,조셉스콧; 로빈슨,크리스토퍼스콧
본 발명은 배선 러그(3200)에 스냅적으로 결합되는 장착 베이스(3100)를 포함한다. 배선 러그는 프렁(prong)(322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렁은 배선 러그에 회로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장착 베이스는 배선 러그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공된 챔버를 한정한다.
77 다상 배전반 및 다단적형 배전반 어셈블리 KR1019920001827 1992-02-08 KR100257924B1 2000-06-01 다니미즈도루
배전반 어셈블리는,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상 전원측 단로부와 부하측 단로부를 구비한 복수의 차단기실과,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상 전원 버스를구비한 복수의 도전실과, 각 차단기실내에 조절된 복수의 상 차단부를 구비한 복수의 차단기를 포함한다. 배전반 어셈블리에서, 복수의 상 차단부는 차단기실의 깊이 방향에 배치되고, 각 도전실은 배전반 어셈블리의 전체 크기를 줄이도록 차단기실의 대향된 것 사이에 배치된다.
78 タンク型真空遮断器 JP2013517810 2011-09-14 JPWO2012164764A1 2014-07-31 敏宏 松永; 有岡 正博; 正博 有岡; 秀樹 宮武; 吉田 忠広; 忠広 吉田; 透 木村; 田中 直樹; 直樹 田中
遮断器を据え付けたままの状態で,圧タンク内に配置された真空バルブを短時間且つ小さな作業スペースで交換可能なタンク型真空遮断器を得る。圧力タンク、圧力タンク内の支持体に連結部によって着脱自在に支持された絶縁フレーム、絶縁フレームによって支持され固定電極と可動電極を有する真空バルブ、接続部によってブッシング端子側内部導体と接離自在に接続された固定電極側端子、接続部によってブッシング端子側内部導体と接離自在に接続された可動電極側端子、内端部を連結部によって可動電極に着脱自在に連結すると共に外端部を固定電極及び可動電極の両接点を開閉操作する開閉操作機構に連結した絶縁ロッドを備え、真空バルブ、固定電極側端子、可動電極側端子、絶縁フレームによってユニット機構を構成すると共に各接続部、各連結部を切り離すことによって、ユニット機構を取外し取付け自在にする。
79 Tank-type vacuum circuit breaker JP2013517810 2011-09-14 JP5507010B2 2014-05-28 敏宏 松永; 正博 有岡; 秀樹 宮武; 忠広 吉田; 透 木村; 直樹 田中
80 Gas insulated switchgear JP2012535468 2011-01-28 JP5116907B2 2013-01-09 幸治 佐野; 正博 有岡; 知孝 矢野; 恭一 大塚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