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物理 / 乐器;声学 / 发声器械 / 拨浪鼓或类似的产生声音的器械,{例如门环}
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241 현관문 설치용 종 KR2020090008150 2009-06-24 KR2020100013046U 2010-12-31 이우용
본 고안은 현관문 설치용 종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문에 설치되어 문을 여닫을 때 종소리가 나도록 문에 설치되는 문종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 현관문 설치용 종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인 현관문에 종을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현관문 설치용 종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종(1)이 와이어(2)로 매달려 있을 뿐만 아니라 종(1)들의 사이에 종을 울리는 타격구(3)가 와이어(2)에 매달려 있고 상부에 걸림고리(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5)와, 상기한 본체(5)의 걸림고리(4)가 걸리도록 걸림아암(6)이 형성됨과 아울러 삽입부재(9) 및 본딩재(10)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으로 자석(7)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못을 걸수 있도록 걸림공(11)이 형성된 고정부재(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현관종, 종, 문종
242 국악 타악기용 채 KR2020060011742 2006-04-27 KR200420875Y1 2006-07-06 이점술
본 고안은 국악기 특히 징이나 꽹가리 또는 북 등 각종 타악기를 연주할 때 사용되는 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가벼운 목재재질의 손잡이 끝에 섬유나 가죽재질을 둥글게 말아놓은 확대된 형상의 두부(頭部)로 이루어진 국악 타악기의 징채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내면에 복수개의 방울을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하여 연주자가 징을 치기 위해 징채를 올릴 때에는 징소리가 울리고, 징채를 내릴 때에는 방울소리가 울릴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국악 타악기, 징, 징채, 방울
243 손뼉응원도구 KR2020040036248 2004-12-21 KR200377758Y1 2005-03-14 권순국
본 고안은 손뼉응원도구로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고 흔드는 것에 의해서 실제 양 손으로 손뼉을 치는 것과 유사한 손뼉음을 발생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손 모양 부분(10)과 손잡이(12) 사이에 장방형돌출부(14)가 형성된 고정판(16)과, 손 모양부분(18)과 고정편(20)사이에 두께가 얇은 목 부분(22)을 가진 한 쌍의 가동판(24),(24')을 슬라이더(30)로 고정하여서 된 손뼉응원도구임.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 실제 양손으로 손뼉을 치는것과 흡사하게 손뼉응원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44 복합적인 음정이 연출되는 리듬터치기 KR2020030011907 2003-04-17 KR200319100Y1 2003-07-07 우길만
본 고안은 고음과 저음등을 비롯한 다양한 음정 연출이 가능한 리듬터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체로 야외공원이나 운동장등에서 놀이 내지 응원시 복합적인 음정이 제공되어 대중을 동참하고 흥을 돋는 데 사용코자 고안해 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제공된 본 고안은 실제 박수치는 모습을 재현하기 위하여 손바닥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체 좌우측에 보조손벽을 제공하여 본체를 흔들어 줌으로서 본체와 손벽이 상호 마찰되고 이때 본체와 손벽사이에 위치한 울림쇠가 마찰되어 다양한 음정이 연출되는 것이며 이외에도 기타 다양한 음정배출수단이 본체와 보조손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여러 사람이 각각의 음정기구를 본체와 분리하여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다중의 음정 연출가능코자 제공된 것이다.
245 응원용구 KR2020020030964 2002-10-17 KR200300351Y1 2003-01-10 백종옥
본 고안은 하측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통공이 형성된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접하는 유동부재의 하부 일측에 경사부와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과 체결공을 일치시킨 다음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줄끈으로 묶어서 일체로 고정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일측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타측 손이나 신체의 다른 부위에 상기 응원용구를 타격하여 발생하는 타격음으로 리듬에 맞춰 응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응원용구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246 응원용 북식딱다기 KR2020000019096 2000-07-04 KR200207102Y1 2000-12-15 이성윤
본 고안은 운동경기시에 북소리를 내어 응원하기 위한 응원용 북식딱다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의 선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3725호인 응원용 딱다기를 더욱 개량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출원고안의 특징은, 손잡이에다 요입부를 형성한 고정딱다기판을 고정하고, 손잡이부위의 고정딱다기판에는 돌편을 형성하여 돌편의 구멍에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경사상으로 제어부를 형성한 유동딱다기의 돌기를 유착하여 한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흔드는 것에 의하여 고정딱다기판에 유동딱다기판이 반복 부딪히게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는 소리가 적어 큰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선 심하게 흔들어야하게 됨으로 힘의 소모가 많아 피로가 촉진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듣기에 매우 싫은 부드럽지못한 소리가 발생케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1)와 일체로 형성되고 돌편(201)을 형성한 지지판(2)에다 커버(301)로 밀폐시킨 합성수지제의 북(3) 을 고정하고 돌편(201)에는 타격간(4)을 핀(5)으로 유착하여 손잡이를 한손으로 쥐고 흔드는 것에 의해 타격간이 북(3)을 반복치도록하여 듣기에 좋은 북소리가 발생되도록함과 아울러 북의 양호한 울림에 의하여 심하게 흔들지 않아도 큰소리가 발생되도록하여 딱다기응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응원용 북식딱다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47 CHEERING DEVICE USING HANDCLAPPING PLATE PCT/KR2009006169 2009-10-23 WO2010050707A3 2010-08-12 KIM CHUN YEONG; KIM JI-YOU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ering device using a handclapping plat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ering device comprising: a handclapping plate having a shape of a flat plate and having a bearing ball insertion hole and a pair of string holes for inserting a fastening string formed on a flat surface thereof, and a fastening member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top thereof; a cheering pompom, one end of which is tied by a band to prevent the strands of the pompom from being untied, and fastened in the fastening member insertion hole by a fastening member; a bearing ball which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fixed in the bearing ball insertion hole such that the bearing ball projects from the flat surface of the handclapping plate; and a fastening string inserted into the pair of string holes. The che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ngle-use but can be used again and again, thus overcoming social problems such as wasting resources.
248 HANDCLAPPING AID PCT/US2005030474 2005-08-26 WO2006026464A3 2007-11-29 DAVIDSEN KEVIN P; DAVIDSEN MICHELLE C
A handclapping aid is provided that allows a wearer to produce a sound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sound produced by a bare handclap (audible applause) when the wearer is wearing gloves, mittens, or the like. The handclapping aid includes a first member adapted to be coupled to a wearer's hand and a second member adapted to be coupled to the wearer's other hand, the striking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 together with a force produces a total sound during a period of time representative to a total sound produced by striking two bare hands together with substantially the same force and measured over substantially the same period of time.
249 PERCUSSION INSTRUMENT AND NOISEMAKING DEVICE PCT/US2006014434 2006-04-12 WO2006110925A3 2007-10-11 DELATORRE JOHN
A noisemaking devices (Figs. 1 and 2) arc described which may be a blade member (10) having a handle (20) joining portion at its base a flexible plate member (30) operable for making sound (e.g., low-pitched, clicking sounds and alternative, louder, high-pitched clicking sounds) the flexible plate member having an indention that is operable for producing a sound when the flexible plate member i flexed about the indention. A handle (20), an upper portion of which is joined to the flexible plate member (30) and be pivotably joined to the blade (10) such that the blade pivots when the handle is translat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blade and the blade and the flexible plate member being oriented such that when the blade pivots, the blade causes the flexible plate member to flex and thereby make the sound (Figs. 3 and 4).
250 SHAKER INSTRUMENT PCT/US0200354 2002-01-09 WO02058046A2 2002-07-25 ENHOFFER RAYMOND; SIMONS RICHARD
There is provided a shaker instrument (1) having a single, contiguous body (10) with a sounding chamber (24)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an elongated hollow neck or handle (26). The hollow handle (26) has an opening (28) or aperture through which a fill material (40) may be introduced to, or removed from, the sounding chamber. The fill material is restricted to the sounding chamber by a plug or insert (30) that is placed through the opening and extends into the elongated hollow neck.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king such a shaker instrument. The method is simplified compared to prior art methods and eliminates any relatively weak and possibly unsafe seams on the instrument.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