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301 유량센서, 질량유량 콘트롤러, 가스유량 측정방법 및 질량유량 제어방법 KR1020077013080 2005-11-07 KR1020070067739A 2007-06-28 샤지이알리; 메네기니폴
A mass flow rate sensor uses a Reynolds number correction function to compensate for errors in a bypass ratio of the sensor for all gases, based on the fact that all bypass errors are functions of Reynolds number. The sensor includes a sensor tube and a bypass tube dividing flow, wherein a bypass ratio of the sensor equals a total flow rate through the sensor divided by a flow rate through just the sensor tube. Heater elements heat an upstream portion and a downstream portion of the sensor tube, and a circuit is connected to the heater elements for producing a voltage based upon a difference in resistance between the heater elements. The voltage is calibrated based on known flow rates of a reference gas, and the flow rate through the sensor is based upon the calibrated voltage multiplied by a multi-gas correction function and a Reynolds number correction function.
302 관 내에 흐르는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결정하기위한 장치 KR1020067000848 2004-07-06 KR1020060039904A 2006-05-09 바이리히한스; 콘첼만우베; 그멜린크리스토프; 헨니히올리버
The invention relates to previously known devices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parameter of a medium flowing in a conduit, especially for determining the air mass flow rate in the intake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aid devices comprising a conduit part (3) and a sensor unit (1) with a bypass part (6).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from separating on the sidewalls of the bypass part, a flow-deflecting part (2) is disposed upstream from the bypass part relative to the main flow direction (18) in the conduit part (3). Said flow-deflecting part (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eflection area (20) that faces the main flow direction (18) and is regularly bent on both sides towards the two sidewalls (16, 17) starting from an apex line (25)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bypass part (6) in such a way that the ends of the deflection area (20), which face away from apex line, are aligned with the sidewalls (16, 17).
303 공기 유량 측정 장치 KR1020040040257 2004-06-03 KR100546930B1 2006-01-26 카와이마사히로; 요네자와후미요시; 타카시마아키라; 우라마치히로유키
압력 손실이 저감됨과 함께, 검지 소자의 부착 위치 정밀도가 향상하고, 또한 부품 개수가 삭감됨으로써 각 부품의 조립 편차가 낮게 억제되고, 측정 정밀도가 향상한다. 주통로(3)의 축선 방향에 따라 공기의 상류측으로 일단부가 지향하고 있음과 함께 공기의 하류측으로 타단부가 지향하고, 또한 도중 굴곡된 홈(5)이 형성된 베이스(1)와, 지지 기판(11) 및 이 지지 기판(11)의 일면에 탑재되고 공기의 유량을 검지하는 감열 저항 소자(13)를 포함하고, 베이스(1)에 대면 접합함으로써 홈(5)과 협동하여 부통로(14)를 형성한 회로 모듈(2)을 구비하고, 지지 기판(11)의 일면측의 감열 저항 소자(13)는, 부통로(14)에 노출하여 있고, 그 지지 기판(11)의 타면측은 주통로(3)에 노출하여 있다. 내연기관, 공기 유량
304 공기 유량 측정 장치 KR1020040006886 2004-02-03 KR100538060B1 2005-12-20 타니모토코지; 우라마치히로유키; 야마카와토모야; 하마다신고
본 발명은 분류 통로 내로 공기를 안정하게 보다 많이 유입시켜서, 유량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유량 신호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또한 물방울이나 더스트 등의 영향을 억제하고, 높은 유량 측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공기 유량 측정 장치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분류 통로(4)는 통로 방향을 검출 유관(3)의 연장 방향으로 하는 상류측 분류 통로(5) 및 하류측 분류 통로(6)가 곡부(7)를 통하여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역U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입구(8)가 상류측 분류 통로(5)의 주류 방향(A)의 상류측 벽을 제거하고, 또한, 상류측 분류 통로(5)의 주류 방향(A) 및 검출 유관(3)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양 측벽을 제거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8)에서의 상류측 분류 통로(5)의 주류 방향(A)의 하류측 벽면이 검출 유관(3)의 연장 방향에 관해 점차 상류측으로 변위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 도입면(11)을 구성한다.
305 유동 센서 신호 변환 KR1020057018084 2004-03-25 KR1020050116394A 2005-12-12 왕치언; 룰존엠.; 발렌타인윌리엄에스.
A Method of obtaining at least one representation of a characteristic function of a sensor from a test fluid during calibration of the sensor according to a sensor model having a transfer function operating on flow rate, at least one sensor property and at least one fluid property and employing the at least one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 function to determine flow rates through the sensor during operating with an arbitrary fluid.
306 유동 센서 KR1020057000895 2003-07-18 KR1020050045989A 2005-05-17 왕츈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low. A flow sensor includes a sensor conduit and a bypass having at least one capillary tube. At least one of the length, inside diameter, an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nsor conduit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corresponding length, inside diameter, an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t least one capillary tube.
307 유량검출장치 KR1020020000200 2002-01-03 KR100486140B1 2005-04-28 다니모토코지; 다니구치신지; 야마카와토모야; 토야마류지
피측정유체가 맥동한 경우라도 린화오차(leaning error)를 유효하게 저감하여 피측정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보다도 유량의 검출정밀도를 더욱 향산한 유량검출장치를 제공한다. 피측정유체내에 설치된 발열저항체(12)로부터 피측정유체로의 전열현상을 이용하여 피측정유체의 유량에 따른 유량검출신호(S f )를 출력하는 유량검출수단(50)과, 이 유량검출수단(20)으로부터의 유량검출신호(S f )를 증폭하여 이 신호(S f )의 오차를 보상하는 이득보상수단(6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이득보상수단(60)은 피측정유체의 맥동최저주파수에 상당하는 주파수(f2A)보다도 높은 주파수영역에서, 주파수가 영일때의 직류이득(G 1 )보다도 큰 대략 일정한 교류이득(G 3 )으로서 유량검출신호(S f )를 증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08 열식 유량계 KR1020047019374 2003-05-26 KR1020050004262A 2005-01-12 이토아키히로; 세코나오추구
본 발명은, 쌍방향의 유량 검지가 가능함과 동시에, 출력 특성을 선형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응답성을 손상하지 않고 안정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열식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열식 유량계(1)에 있어서, 바디(41)에 형성된 유로 공간(44)에 마련되고, 주유로(M)과 센서 유로(S)의 사이에 메시부(51M)가 배치되도록 메시판(51)을 조합한 적층체를 장착하여, 주유로(M)를 구성한다. 그리고, 측정 칩(11)에 상류 온도 검출 저항체(R1), 하류 온도 검출 저항체(R2), 발열 저항체(Rt) 및 유체 온도 검출 저항체(Rt)를 마련하고, 전기 회로에 의해, 발열 저항체(Rh)와 유체 온도 검출 저항체(Rt)가 일정의 온도차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류 온도 검출 저항체(R1)와 하류 온도 검출 저항체(R2)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피측정 유체의 유량을 측정한다.
309 라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매스를 측정하는 장치 KR1020037016632 2003-04-22 KR1020040110070A 2004-12-29 슈토이버,프랑크; 페잘,슈테판; 샤이프너,위르겐; 슈리히,카이; 빌트겐,안드레아스; 세테스카크,슈테핀
본 발명은 삽입 요소, 매스 채널 요소 및 평가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요소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품 설계가 제공되는 공기 매스 센서에 관한 것이다. 짧은 전체 높이를 가지는 장치용 가요성 삽입 요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측정 채널 요소 및 하우징 요소가 주요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정 채널 요소의 측부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310 공기 유량 측정 장치 KR1020040006886 2004-02-03 KR1020040099113A 2004-11-26 타니모토코지; 우라마치히로유키; 야마카와토모야; 하마다신고
PURPOSE: An air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is provided to improve the flow rate detection sensitivity, to stabilize flow rate signals, to suppress the influence of water drops and dust, and to secure the high flow rate measurement precision by stably and massively inducing air into a branch passage. CONSTITUTION: An air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includes a branch passage(4). The branch passage consists of an upper branch passage(5) and a lower branch passage(6) which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via a curved part(7). The branch passage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inverted U. An inflow port(8) is formed by removing the upper wall in the main stream direction of the upper branch passage and removing both sidewalls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detecting flow pipe(3). The lower wall in the main stream direction of the upper branch passage is displaced upward to form an air induction face(11).
311 열 질량 유동 제어기 KR1020047007828 2002-11-20 KR1020040070179A 2004-08-06 앰브로시나,제시; 스즈키,이사오; 사지이,알리
열량 유동 제어기(100)는 센서 조립체(102), 밸브 조립체(104), 그리고, 질량 유동 제어기 하우징(108)을 포함한다. 열 접지부(148)는, 상기 열 접지부(148)의 단면을 제한하여, 상기 질량 유동 제어기 하우징(108)과 센서 조립체(102)사이의 열전도 경로를 제한한다. 그리고, 이것은 외부에서 부가된 상기 센서 조립체내의 열 변화를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제어기(100)는 또한, 상기 밸브 조립체로부터 상기 센서 조립체로부터 멀리, 경로를 따라 열 에너지를 전도시키는 열 분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312 제어된 유동 분리 위치를 구비한 공기 질량 유량계 KR1020047002846 2002-08-16 KR1020040031010A 2004-04-09 페잘,슈테판; 슈토이버,프랑크; 빌트겐,안드레아스
유동 분리가 약 90°로 채널 안에서 공기 유동을 변환시키는 공기 잘량 센서에서 발생한다. 채널 내의 분리/ 재순환 지역의 단면 지역은 축소되고, 유동의 속도가 증가한다. 재순환 지역의 크기 및 위치는 외곡에 민감하다. 측정 장치를 위한 규정된 유동 조건을 얻기 위하여, 유동 부재가 반화 지역에 제공되고, 이는 방향 전환 지역으로 돌출하고, 내부 채널 벽으로부터 공기 유동의 분리를 유발시킨다.
313 유동 매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1019960703948 1995-10-24 KR100407877B1 2004-03-18 한스헥트; 하인쯔릴링그; 스테판레헨베르게르; 우베콘젤만
PCT No. PCT/DE95/01477 Sec. 371 Date Aug. 26, 1996 Sec. 102(e) Date Aug. 26, 1996 PCT Filed Oct. 24, 1995 PCT Pub. No. WO96/16317 PCT Pub. Date May 30, 1996A device for measuring the mass of a flowing medium by use of a temperature-dependent measuring resistor bathed by the flowing medium and accommodated in a measuring channel. The device has a flow obstacle, embodied in the form of a trip edge, upstream of the measuring element in the region of an inlet opening of the measuring channel, so as to create a chronologically and spatially stable separation zone in the region of the trip edge, thereby preventing chronologically and spatially unstable separation zones and makes it possible to attain a reduction in measuring signal noise. The invention is contemplated for measuring the mass of a flowing medium, especially for measuring the aspirated air mas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314 발열저항식 유량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연기관 제어시스템 KR1019950035728 1995-10-17 KR100402728B1 2004-01-28 이가라시신야; 고바야시지히로; 모우리야스노리; 이시까와히또시; 우찌야마가오루
The invention relates to a thermal-type air flow measuring instrument comprising: two temperature sensing resistors (1a, 1b) mounted respectively at an upstream side and a downstream side within a fluid passage (5)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for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fluid in said fluid passage (5); an auxiliary passage (3) provided in the fluid passage (5), the auxiliary passage (3) comprising a first passageway (302) in which the two temperature sensing resistors (1a, 1b) are disposed, a second passageway (304) through which most of the fluid which entered the first passageway (302) in a forward direction flows, and a third opening (309) which is arranged downstream of said two temperature sensing resistors (1a, 1b) inside the auxiliary passage (3). <IMAGE>
315 최적의 재료로 이루어진 유체 유동 및 특성 측정용의강건한 마이크로센서 KR1020037003402 2001-09-04 KR1020030029161A 2003-04-11 파드마나반아라빈드; 하지-쉐이크마이클제임스; 본얼리치
필요한 물리적 구조 및 열적 특성을 갖고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 유체 유동 및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강건한 센서가 개시된다. 센서 다이는 센서의 포화를 방지하는데 필요한 열전달 특성을 제공하도록 맞추어진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이전에 실리콘 기반 센서에서는 유용하지 않은 고압 및 종종 열악한 환경에서 높은 질량 플럭스 기류 및 유체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강건한 센서는 이면 전기 연결을 위한 내부 비아(via)를 더 구비하므로, 측정에서의 전기적 기계적 간섭을 방지한다. 결합된 이러한 모든 특징은 열악한 환경에서 넓은 동적 영역에서 안정되고 신속한 응답 동작을 할 수 있는 마이크로센서를 제공한다.
316 유량측정장치 KR1019990053239 1999-11-27 KR100328175B1 2002-03-16 하마타신고; 요네자와후미요시; 야마카와토모야; 오시마다케하루; 코토사토루; 우라마치히로유키
흡기경로의구부림부, 에어필터나에어클리너의조립변동등에의해흐름의속도분포가변화한경우및 에어필터의막힘이생겨서흡기계의경시변화가생기고, 편류나선회류가변화하며또 교란도가증대한경우에서도유량검출오차가생기기어려운유량측정장치를제공한다. 유체가흐르는유체통로(20)내에유체의흐름의일부를횡단하여배치된주상부재(33)와, 이주장부재에설치된검출통로(40)와, 이검출통로내에배치된유량검출체(31),(32)를구비한것으로서, 상기검출통로는, 그유체도입구가유체의흐름방향에대향한길고가는형상을갖고또한이 길고가는형상의길이방향에서, 상기유체도입구에서상기유체검출체까지의사이에서하류측으로향하여스무스하게좁게되어가도록수축되어있으며, 또한, 상기유체도입구에서상기유체검출체까지의사이가단일구멍이다.
317 유량 및 유속 측정장치 KR1020010012915 2001-03-13 KR1020010092290A 2001-10-24 마에다순스코; 고무라요시히코; 고지마다키오; 구즈야야스히사; 스다마사노리; 오시마다카후미
PURPOSE: To provide a flow rate and flowing velocity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and accurately measuring the flow rate and flowing velocity in both the forward flow and backward flow. CONSTITUTION: The flow rate and flowing velocity measuring apparatus comprises a measuring distributing tube 332, mounted perpendicularly to a suction tube 1 of an engine to be detected and introduced with a fluid flow in the tube 1, an inlet plate 334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lowing direction in the tube 1 to form a U-shaped pipeline in the tube 332, and a detection element 331 disposed to be exposed with the fluid flow in the tube 332 out of the tube 1 to detect the flow rate and the flowing velocity. In this case, one end of the plate 334 is projected into the tube 1 through a top opening of the tube 332. The tube 332 has a symmetrical channel structure at the element 331 as a center. The element 331 obtains equivalent outputs, when the flow flows in both the forward flow and a backward flow directions in the tube 1.
318 라인내에서 유동하는 매체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KR1019997011522 1999-01-22 KR1020010013515A 2001-02-26 헤히트한스; 뮐러볼프강
본발명은특히, 내연기관의흡입공기와같이라인(2)내에서유동하는매체의질량을측정하기위한질량측정장치(1)에관한것이다. 상기측정장치는주위에서유동매체가흐르고있는측정소자(21)를포함한다. 측정소자는이 측정장치(1)의유동채널(10)내에배치되며, 상기유동채널은라인(2)내에제공된다. 유동채널(10)은라인(2)에연결된입구(12)와, 이입구(12)의하류에서라인(2)에연결된적어도하나의출구(13) 사이에서주 유동방향(19)을따라연장되어있다. 본발명에따라서, 유동채널(10)은상기측정소자(21)가배치된측정채널(20)과주유동방향에서측정소자(21)를우회하는제 1 바이패스채널(22)로분기된다. 유동채널은입구(12)와측정소자(21) 사이에배치된제 1 분리점(15)에서분기한다.
319 유동 매체량 측정장치 KR1019997010541 1999-01-28 KR1020010012584A 2001-02-15 탄크디터; 콘젤만우베
본발명은매체량을, 특히배관(2)에흐르는내연기관의흡기량을측정하는장치(1)에관한것이다. 상기장치는배관(2)내에배치된유동관(3)을구비한다. 유동매체의흐름은유동관(3)내에서측정소자(20) 주위에배치된다. 매체는흡기구(9)를통해배관(2)으로부터유동관(3)으로흘러들어가며, 배기구(11)를통해유동관으로부터배관(2)으로흘러나간다. 배기구를둘러싸는유동관(3)의배기전방면(12)은유동관(3)의종축(6)에대해반경방향성분으로연장하는구조상의홈(53)을가진다.
320 질량유량계와 이 질량유량계용 층류 유동요소 KR1019997010218 1998-05-06 KR1020010012267A 2001-02-15 루카스폴디.; 루프트프레데릭제이.; 후앙팅
본발명의질량유량계(300)는통로를형성하는부분과통로내에배치되는층류유동요소(318)를포함한다. 층류유동요소의최대단면크기는통로의최대단면크기보다작다. 한실시형태에서, 유량계는층류유동요소가튜브의내면일부분에접촉토록통로내에층류유동요소를착설하기위한장치를포함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층류유동요소는통로내에고정되는두 지지세그먼트를포함하고통로내에층류유동채널을형성하는중앙세그먼트를지지한다. 다른실시형태에서층류유동요소의일부분의위치는두 위치중한 위치로조절가능하게되어있어채널의단면형상이채널을통하여유량을수정토록수정될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