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01 옷깃과 소매의 교체가 가능한 윗옷 KR1020070119978 2007-11-23 KR1020090053241A 2009-05-27 김갑준
본 발명은 옷깃과 소매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윗옷에 관한 것으로, 목 주위를 둘러 착의 되는 옷깃과, 손목 주위에 착의 되는 소매 부분만을 윗옷의 본체부분에서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땀과 먼지 등에 오염되기 쉬운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의 옷깃과 소매를 선택하여 윗옷을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옷깃과 소매의 교체가 가능한 윗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과 접촉되는 상부테두리에 지퍼가 설치된 본체부분; 본체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부인 단부테두리에 지퍼가 설치된 팔부분; 상기 본체부분의 상부테두리의 지퍼와 체결되는 지퍼가 설치되어, 지퍼의 작용으로 탈착이 자유로운 옷깃; 상기 팔부분의 단부테두리의 지퍼와 체결되는 지퍼가 설치되어, 지퍼의 작용으로 탈착이 자유로운 소매;를 포함하여 구성된 옷깃과 소매의 교체가 가능한 윗옷이 제공된다. 윗옷, 옷깃, 소매, 지퍼
102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KR1020050010016 2005-02-03 KR100664873B1 2007-01-04 가토고지
또한 봉제가 용이하고, 또한 넥타이를 조이지 않는 경우에도 목둘레를 크게 넓히더라도 돋보임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디자인적으로도 뛰어난 목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가 된다. 옷깃대 앞쪽 밑(3B)의 위쪽 옷감에는 제 2 단추구멍(6)이 형성되고, 아래쪽 옷감에는 고무테이프가 왼쪽 끝단에서 꿰매 붙여지고 오른쪽 끝단에는 이동포가 꿰매 붙여지며, 이동포의 오른쪽 끝단에는 안감이 꿰매 붙여져 그 오른쪽 끝단은 옷깃대 앞쪽 밑(3B)의 아래쪽 옷감 내에 꿰매 넣어져, 이동포에는 최상부의 단추(4)가 확실히 꿰매 붙여져 제 2 단추구멍(6) 안을 상상선으로 나타나도록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옷깃대 앞쪽 밑(3B)의 앞 끝단이 셔츠의 앞쪽 밑 본체(1B)로부터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단추구멍(6)을 길게 하더라도 제 2 단추구멍(6)의 오른쪽 끝단과 돌출부(3C)의 앞 끝단과의 사이에는 충분한 여유가 있어, 제 2 단추구멍(6)과 그 내부의 봉제가 용이해진다. 또한, 돌출부(3C)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디자인으로서도 뛰어난 것이 된다.
103 셔츠의 칼라와 커프스를 몸통과 분리 하는 방법 및 칼라와커프스가 몸통과 분리되는 셔츠 KR1020040094807 2004-11-18 KR1020060055251A 2006-05-23 손매리
본 발명은 셔츠의 칼라와 커프스를 몸통에 붙였다 뗐다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칼라와 커프스를 몸통에 붙여 봉제하여 완성하지 아니하고 몸통과 칼라와 커프스를 따로 따로 분리 제조하여 몸통의 시접에 설치한 단추구멍에 칼라와 커프스에 부착된 단추를 몸통의 단추구멍에 끼워 옷을 완성 하는데 목적이 있다. 몸통 보다 칼라와 커프스가 먼저 때가 타므로 몸통 한 벌에 칼라와 커프스 A조 와 B조 두 벌을 제조하여 옷 전체를 세탁하지 아니하고 칼라와 커프스만 뽑아서 세탁하여 A조를 B조로, B조를 A조로 교체하여줌으로 새 옷처럼 입을 수 있고 바쁜 직장인이나 급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칼라와 커프스 때문에 자주 세탁하는 세탁회수를 줄여주어 몸통의 마모가 더디므로 경제성이 있다. 몸통 칼라 커프스 시접 앞터침 소매터침 솔기 심지 오버록
104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KR1020050010016 2005-02-03 KR1020060041652A 2006-05-12 가토고지
A second buttonhole 6 is provided on a front cloth 3a of an inner fold 3B of a neckband 3. A left end of a rubber tape 8 is stitched on a rear cloth 3b. A moving cloth is stitched on a right end thereof. A lining cloth 7b is stitched on the moving cloth. A right end of the lining cloth 7b is stitched inside the rear cloth 3b of the inner fold of the neckband 3. An uppermost button is firmly stitched on the moving cloth so as to move inside the second buttonhole. Since the leading end of the neckband inner fold 3B is protruded from the inner fold main body 1B of the shirt, even if the second buttonhole 6 is made long, there is remained a space from the leading end of the second buttonhole 6 to the leading end of the neckband inner fold 3B. Consequently, the sewing work becomes easy. Moreover, it becomes excellent in design by devising a shape of the protruded portion 3C.
105 똑딱단추를 형성한 셔츠 KR2020000016951 2000-06-14 KR200230626Y1 2001-07-03 송항래
가.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 종래의 와이셔츠등 셔츠류에는 통상의 소형 단추를 부착하고 있다. 나. 고안의 목적 와이셔츠등의 목 부위 맨윗 단추가 달린 곳은 칼라와 봉합된곳이기 때문에 두껍고 단추 구멍이 있는 자리도 두꺼워서 단추가 잘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불편하므로 이곳에 통상의 단추모양을 한 똑딱단추를 달려고 하는것이다. 다. 고안의 구성 와이셔츠등의 목 부위 맨 위의 단추를 통상의 똑딱단추 또는 단추형 똑딱 단추를 달거나 소매의 단추를 비롯한 모든 단추를 똑딱 단추로 부착하는 것이다. 라. 고안의 효과 와이셔츠등의 목 부위 단추 다는곳과 단추구멍위치는 칼라의 천과 봉합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곳 보다 두꺼워서 단추를 끼우고 빼기가 불편한바, 똑딱단추를 부착하면 입고 벗기가 간편할 것이며 더욱이 소매나 또는 모든 단추를 똑딱단추로 부착하면 더욱 간편하게 셔츠를 입고 벗을 수 있을 것이다.
106 와이셔어츠 KR2019950011658 1995-05-29 KR2019960036017U 1996-12-16 김진태
본고안은넥타이를매는와이셔어츠에관한것으로서, 특히정장(正裝)을할때착용하는와이셔어츠칼라의내측부위양단부에는단추와단추구멍을만들지않고대신칼라의외측부위양단부에는내측으로암수호크를고정한연결편을각각봉착하여서된 것을특징으로하는것인바, 본고안의와이셔어츠를착용하고넥타이를매고나서는암수호크를결합하면연결편이서로연결되므로서칼라의내외측부위양단부가벌어지지않게되어외관상넥타이를맨 상태가흐트러짐이없어그대로맵시를나타내게되고넥타이를매었을때 목부위가쬐여지는불편함을해소할 수있고구조가간단하여제작및 사용이용이하며실수요자에게경제적인부담을주지않으면서널리보급시킬수 있도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정장을할 때착용하는와이셔어츠는칼라의내측부의양단부에단추와단추구멍을형성하여와이셔어츠를착용할때 칼라의내측부위에달은단추를단추구멍에끼우고나서넥타이를매면넥타이를맨 상태에서목부위가꽉 쬐여불편함을느끼게되었기때문에대개칼라의내측부위에달은단추를풀게되는데이렇게단추를끼우지않은상태에서넥타이가매어질때에는칼라의내외측부위양단부가서로벌어져서넥타이가흐트러지게되므로인하여외관상넥타이를맨 상태의맵시가나타나지않게되었고그렇다고단추를끼우게되면목부위가꽉 쬐여대단히불편함을느끼게되는등의문제점이있었다. 본고안은이와같은종래의문제점을시정보완하기위하여고안된것이다.
107 목조임 조절 기능을 가진 와이셔츠 KR1020170046679 2017-04-11 KR1020180114687A 2018-10-19
본발명은칼라스탠드의목단추와목단추구멍을가진와이셔츠에있어서, 상기칼라스탠드외측면상,하폭보다작은폭으로이루어지고가요성재질로이루어지며일측단부에는적어도하나이상의제2목단추구멍이형성되고, 타단부에는상기칼라스탠드외측면에고정되는고정부로이루어진목조임조절부재;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따라서, 와이셔츠를착용하는과정에서목단추와목단추구멍을체결했을때 사용자가조임력으로인해답답함을느끼는경우에는칼라내측의칼라스탠드외측면또는그 내부에마련된목조임조절부재를목단추쪽으로인출하여체결함으로써목부분편안한착용감을제공할수 있게되며, 목조임조절부재에는원래의위치로복원되는탄성부재또는신축부재가마련되므로목조임조절부재를사용하지않을때 원래자리에위치하게되므로덜렁거리지않으며, 칼라외부로노출되지않는효과를제공할수 있고, 목조임조절부재에마련되는방향부재가구비되어있으므로본인이원하는향수나방향제를방향부재에도포하여은은한향기를맡을수 있으며, 방향성분을충진할때에도간편하게액상의방향제를충진할수 있어매우편리하다.
108 자석이 부착된 와이셔츠 KR2020150007106 2015-11-03 KR2020170001645U 2017-05-12 김택규; 최병출; 조상원; 송명관; 임채중
본고안은자석이부착된와이셔츠에관한것으로, 와이셔츠단추를대신하여자석을천 사이에내장시켜각 위치에내장된자석의자력에의하여서로결합되어져와이셔츠를쉽고바르게착용하도록하여, 평소단추를잘못끼우거나단추가풀어져서옷매무새가흐트러지거나단추를잠그거나푸는번거로움을해결할수 있는방안을가진자석이부착된와이셔츠에관한것이다.
109 자석을 이용한 칼라 탈부착식 와이셔츠 KR2020120002928 2012-04-10 KR200470593Y1 2013-12-30 신경희
본 고안은 사용자의 취향 및 필요에 따라 와이셔츠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깨끗한 칼라본체를 와이셔츠의 목칼라부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자석을 이용한 칼라 탈부착식 와이셔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와이셔츠(10)에 일체로 형성되는 목칼라부(11)와 상기 목칼라부에 탈착하게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칼라본체(12) 및 상기 목칼라부와 칼라본체의 내부에 각각 삽입설치되며 칼라본체를 목칼라부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수개의 자석(5)을 구비하는 접착띠(8)(8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석을 이용한 칼라 탈부착식 와이셔츠에 있어서, 상기 접착띠들은,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장방공(3)(4)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내면을 열접착하는 수지필름(1)(2)과 상기 자석이 수용되게 수지필름(2)의 장방공(4)들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수개의 수용부(5A)와 상기 수지필름(2)의 외면에 접착되며 수용부가 결합되는 통공(7)이 천공된 부직포(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10 칼라 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셔츠 KR1020080075415 2008-08-01 KR101005919B1 2011-01-06 임난실
셔츠의 목밴드부에 칼라가 자석 및 금속판을 통해 부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칼라가 들려져서 벌어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칼라 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셔츠가 개시된다. 개시된 칼라 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셔츠는 목밴드부와, 상기 목밴드부에서 연장 형성된 칼라를 갖는 셔츠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양단부 내부에는 금속판이 마련되고, 상기 목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금속판에 대응하는 부분에 자석부가 마련되어, 상기 금속판이 상기 자석부에 부착되어서 상기 칼라가 목밴드부에 대해 들려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자석부는 자석판과, 상기 자석판의 녹을 방지하기 위해 자석판 외면에 코팅되는 합성수지코팅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셔츠, 칼라, 목밴드부, 자석부, 금속판
111 칼라 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셔츠 KR1020080037672 2008-04-23 KR100870970B1 2008-11-27 임난실
A shirt having collar lifting prevention function is provided to make the collar seen tidy by preventing the collar from being lifted or twisted. In both end parts of the collar, the collar magnet part is prepared. In the neck band part(110), the band magnet part is prepar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collar magnet part. The collar magnet part is attached to the band magnet part. The collar magnet part is prepared with the magnet plate. On the lower-part of the magnet plate, adhesive is applied and thermally bond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collar. The band magnet part is prepared with the magnet plate(121a). On the lower-part of the magnet plate, adhesive is applied and thermally bonded to both end outer sides of the neck band part.
112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KR1020040089324 2004-11-04 KR100673798B1 2007-01-24 가토고지
와이셔츠(1)의 옷깃대(3)의 아래쪽 앞의 위쪽 옷감(3a)에는 제 2 단추구멍(6)이 형성되고, 아래쪽 옷감(3b)에는 고무테이프(8)의 왼쪽 끝단이 꿰매 붙여지고, 오른쪽 끝단에는 심(7a)의 왼쪽 끝단이 꿰매 붙여지고, 심(7a)의 오른쪽 끝단에는 안감(7b)이 꿰매 붙여지고, 안감(7b)의 오른쪽 끝단은 옷깃대(3)의 아래쪽 옷감(3b)내에 꿰매 넣어지고, 심(7a)에는 최상부의 단추(4)가 확실히 꿰매 붙여져 있다. 심(7a)의 아래에는 세로테이프(9)가 상하 끝단을 아래쪽 옷감(3b)에 꿰매 붙여지고, 사이에는 가로방향 테이프(10)가 통과되어 양 끝단은 심(7a)과 안감(7b)의 뒷편에 각각 꿰매 붙여지고, 세로테이프(9)가 심(7a)과 안감(7b)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포와 가로방향 테이프(10)로 끼워지는 구조가 되고, 최상부의 단추(4)를 위쪽 옷감(3a)의 제 2 단추구멍(6)에 걸어 고무테이프(8)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목둘레를 눈에 띄는 동작을 하는 일 없이 기호의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113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KR1020040053370 2004-07-09 KR100624549B1 2006-09-19 이정찬
본 발명은 덧칼라를 의복의 칼라에 고정결합시킴에 있어서, 의복의 칼라 하부에 횡방향 동일선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통공형성된 단추구멍과, 내측에 의복의 칼라가 삽입되는 삽입요부를 갖고 단추구멍의 연장선상인 삽입요부의 외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단추를 갖으며 체결단추와 대응되는 삽입요부의 내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고리를 갖는 덧칼라를 구비하는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의복의 칼라에서 모피칼라와 같은 덧칼라를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덧칼라를 칼라에서 분리하더라도 외관이 미려하고 의복의 칼라에 완강하게 고정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덧칼라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덧칼라, 삽입요부, 체결단추, 체결고리, 절단재봉선, 단추구멍
114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KR1020040053370 2004-07-09 KR1020060004307A 2006-01-12 이정찬
본 발명은 덧칼라를 의복의 칼라에 고정결합시킴에 있어서, 의복 칼라의 하부에서 횡방향 동일성상에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통공형성된 단추구멍과, 내측에 의복의 칼라가 삽입되는 삽입요부를 갖고 단추구멍의 연장선상인 삽입요부의 외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단추를 갖으며 체결단추와 대응되는 삽입요부의 내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고리를 갖는 덧칼라를 구비하는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의복의 칼라에서 모피칼라와 같은 덧칼라를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덧칼라를 칼라에서 분리하더라도 외관이 미려하고 의복의 칼라에 완강하게 고정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덧칼라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덧칼라, 삽입요부, 체결단추, 체결고리, 절단재봉선, 단추구멍
115 Magnets that keep a collar of a shirt in place US17224790 2021-04-07 US20220322753A1 2022-10-13 Michael Andra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associated with the device. With respect to the device, it is a two to four decorated magnets, which keeps the collar up and immobile. This device can be used to keep the collar of an individuals shirt from moving. The core components of the invention are magnets, glue, gemstones, raw stones, and either gold, brass, silver, or copper, which, generally speaking, are configured as follows: one magnet inside the collar of the shirt and another magnet on the outer region of the collared shirt, or one magnet within the collar of the shirt with another magnet between the shirt and the inner region of the collar and finalizing the last magnet on the outer region of the collar shirt. With respect to the device it should be further noted that the purpose of this device is to keep the collar of the shirt from moving. With respect to the associated method, In order to carry out the method the following core steps are followed: place one magnet inside the collar of the shirt, step two is to place the other magnet on the outer region of the collar and at the same time connecting it to the magnet that is on the inside of the collar. Ultimately, at the conclusion of these steps the collar of the shirt should not be moving and in place of desired specification.
116 Jersey US13382717 2010-07-02 US09578904B2 2017-02-28 Lia Bybee; Jennie Yu
An athletic jersey having at least one sleeve with a shoulder panel and sleeve panel, and a back panel having first and second back panel lateral edges mated and joined to the sleeve panel of the sleeve, and a front panel having first and second front panel side edges mated and joined to the shoulder panel of the sleeve as well as a collar edge mated and joined to the shoulder panel. The jersey has side panels mated and join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back panel, such that the side panel comprises a beam element and an arm element extending from the beam element and having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extending from the beam element forward about the triceps of the jersey to form the sleeve in combination with the shoulder panel and sleeve panel, substantially eliminating loose fabric about the wearer's underarm.
117 Apparel With Raised Course Crease US12122443 2008-05-16 US20090282604A1 2009-11-19 Monica Litt; Derek A. Costarella
An article of apparel may include a textile element that defines a crease. The textile element may be knitted to have a first course and a second course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some areas of the textile element and spaced from each other by a raised course in other areas of the textile element. The crease extends along the third course and has a length that is substantially equal to a length of the third course. In manufacturing the textile element, the raised course may be formed between portions of the first course and the second course through a knitting process, such as a flat knitting process.
118 Apparatus for treating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particle and gas-phase contaminants US369464 1995-01-06 US5678576A 1997-10-21 William W. Nazaroff; Ashok J. Gadgil
An apparatus for treating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using a high efficiency particle air filter (HEPA) is provided. The apparatus has a pleated HEPA filter positioned in the top of a housing for filtering ETS particle contaminants. Layers of granulated activated alumina and layers of granulated activated carbon are also positioned in the top of the housing to filter gas-phase ETS contaminants. The apparatus offers substantial improvements over commercially available "smokeless ashtrays" by more effectively 1) directing ETS smoke over filter components, 2) removing ETS particle contaminants and 3) removing ETS gas-phase contaminants. The apparatus also indic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cess and allows user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cess.
119 Item of clothing with handling device for separating elements US432286 1995-05-01 US5624296A 1997-04-29 Georg Weber-Ung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handling of items of clothing having an arrangement for connecting and separating two coupling elements (2, 5), a pocket (7) or bridge which serves to receive the tip of the thumb (8) or of a finger of the wearer is assigned to at least in each case one coupling element (5). With the aid of the thumb tip inserted into the pocket (7), the coupling elements (2, 5)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lso connected again.
120 Collar for an article of clothing US200502 1980-08-22 US4375107A 1983-03-01 Urs Bachtiger
A turn-over area having two folds is formed in a part constituted by a collar outside and an insert and is held together by seams. Fold formation is facilitated by making the insert in the turn-over area in which the strip, which is usually adhered to the collar outside has unstiffened strips in the area of the folds and another strip for the turn-over area. The first-mentioned strips can be replaced by cuts or perforations. The portion formed in this way can be pre-sewn, turned and stitched to the collar underside, in the same way as a one-piece collar. Despite the fact that the working and material expenditure is only a little greater than in a one-piece collar, the appearance is that of a two-piece collar, which is taken as an indication of the quality of the article of clothing.
QQ群二维码
意见反馈